KR101302236B1 -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236B1
KR101302236B1 KR1020080087401A KR20080087401A KR101302236B1 KR 101302236 B1 KR101302236 B1 KR 101302236B1 KR 1020080087401 A KR1020080087401 A KR 1020080087401A KR 20080087401 A KR20080087401 A KR 20080087401A KR 101302236 B1 KR101302236 B1 KR 10130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insulation material
construction
build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386A (ko
Inventor
장호연
이충화
배문성
박성찬
김준엽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8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2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8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차음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측벽에 설치된 측면 차음재와 바닥에 설치된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를 수밀하는 방법으로서, 측면 차음재의 하부에 점착층이 형성된 시공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시공용 테이프의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층간 차음재의 상면에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공용 테이프와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를 테이핑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은 측면 차음재와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의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하다.
측면 차음재, 층간 차음재, 시공용 테이프, 방수제

Description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interfloor noise proofing material}
본 발명은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측면 차음재 및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의 방수 성능을 높일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한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세대 주택, 연립 주택식 빌라, 빌딩, 아파트, 학교, 병원 및 기숙사 등과 같은 공동 집합형의 다층 건축물에서는 상하층으로 사람이 거주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상층에서 가해지는 충격 및/또는 상기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은 하층 사람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다. 이와 같은 충격 및 소음을 바닥 충격음이라고도 하며, 이는 물체의 낙하 및 이동, 또는 사람의 보행 등에 의한 슬라브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및 충격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발생하는 고체음은 극히 적은 감쇠로 여러 위치에 전달되어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키고, 이에 따라 바닥 충격음은 하층 사람들에게는 직 접 반사되는 공기 전달음과 같이 인식된다.
최근 국내에서도 상기와 같은 바닥 충격음으로 인한 소음이 주거 환경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즉, 쾌적한 주거 환경에 관한 소비자의 욕구는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반면, 다층 건축물의 바닥 구조에 사용되는 재질은 점점 얇아지고 경량화되면서 내부 소음원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바닥 충격음으로 인한 문제가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상기 다층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 등에 설치되어 상층에서 하층, 또는 측면으로 가해지는 충격 및/또는 소음을 흡수, 분산 및/또는 소진시키기 위한 차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차음재는 통상 측벽에 대응되는 측면 차음재와 바닥 슬라브에 대응되는 층간 차음재로 구분되며, 측면 차음재와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는 테이핑 작업을 통하여 마감되었다.
이때, 테이프가 측면 및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공극이 발행하여, 틈새를 통하여 경량기포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측면 및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와 테이프 사이에 공간부가 발행하여, 경량기포 타설시 등분포 하중분산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방수성능이 우수하며,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측벽에 설치된 측면 차음재와 바닥에 설치된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를 수밀하는 방법으로서, 측면 차음재의 하부에 점착층이 형성된 시공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시공용 테이프의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층간 차음재의 상면에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공용 테이프와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를 테이핑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측벽에 설치된 측면 차음재와 바닥에 설치된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를 수밀하는 방법으로서, 측면 차음재의 일 종단에 대응되는 층간 차음재의 일 종단의 상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시공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시공용 테이프의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측면 차음재의 일면에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공용 테이프와 측면 차음재의 경계부를 테이핑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은 측면 차음재와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에 대한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중 측벽에 설치된 측면 차음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중 층간 차음재를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각 부재가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에 따라 설치된 차음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은 측면 차음재(300)의 하부에 점착층(313)이 형성된 시공용 테이프(310)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공용 테이프(310)는 베이스 필름(312) 및 상기 베이스 필름(3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영역에 형성된 점착층(313)을 포함한다.
한편, 베이스 필름(312)에서 사용되는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이란 용어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구분되는 두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필름(312)은 폴리 올레핀 필름으로서, 그 두께가 50㎛ ~ 100㎛이고, 베이스 필름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율이 3 내지 5 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폭 방향으로의 신장률이 4 내지 8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필름(312)의 신장률에 따라 측면 차음재(300)와 층간 차음재(200)의 경계부의 고정력이 결정되며, 신장률이 전술한 수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측면 차음재와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에 대한 고정력이 커지지만, 이와 반대로 경계부에 일정량 이상의 충격량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베이스 필름(312)의 파손이 발생하며, 그 파손 부위를 통하여 경량 기포의 수분이 차음재로 유입되어, 차음재의 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신장률이 전술한 수치보다 큰 경우에는 측면 차음재(300) 또는 층간 차음재(200)에 충격량이 가해져도, 베이스 필름(312)이 그 충격량을 분산할 수 있으므로, 파손이 일어나지는 않으나, 측면 및 층간 차음재(300, 200)의 경 계부에 대한 고정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용 테이프(310)를 구성하는 베이스 필름(312)의 인장강도는 측면 및 층간 차음재(300, 200)의 경계부에 요구되는 고정력 및 충격 분산 능력에 의해 결정되며, 차음재가 설치되는 공간의 생활환경(활동 인원 및 예상 충격량 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싱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312)의 인장 강도는 170 ~ 25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90 ~ 230 ㎏/㎠ 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차음재(300)와 층간 차음재(200)의 경계부를 마감하는 시공용 테이프(310)가 파손이 일어나게 되면, 상기 파손 부위를 통하여 경량 기포의 유입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차음재의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충격량에 따른 시공용 테이프(310)의 파손 여부는 인열강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시공용 테이프(310)를 구성하는 베이스 필름(312)의 인열강도는 70 ~ 12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 ~ 120 ㎏/㎝이다.
전술한 수치보다 미만인 경우에는 시공용 테이프(310)가 약한 충격량에도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상기 수치보다 초과인 경우에는 시공용 테이프(310)의 전체 사이즈(두께, 폭 등)가 증가하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 필름(312)에 형성된 점착층(313)은 두께가 20㎛ ~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점착층(313)은 색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색소를 더 포함하는 것은 점착층(313)이 형성된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용이하게 식별하 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용 테이프(310)를 구성하는 베이스 필름(312)에는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에 형성된 노치(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치는 베이스 필름(312)의 길이방향으로 단일의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베이스 필름(31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 개의 노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점착층(313)이 형성된 영역과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 필름의 영역(B) 간에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은 상기 시공용 테이프(310)의 점착층(3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층간 차음재(200)의 상면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측면 차음재(300)의 하부에 부착된 시공용 테이프(310)의 점착층(3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절곡시킨 후, 측면 차음재(300)의 하부 종단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층간 차음재(200)의 일 종단을 밀착시킨다.
이후, 시공용 테이프(310)의 점착층(3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층간 차음재(200)의 상면에 대응시킨다.
한편, 층간 차음재(200)는 수지 발포 폼을 포함하는 복수의 본체(100), 상기 인접하는 본체(100)사이의 경계부에 부착되는 제 1 방수테이프(110) 및 상기 제 1 방수 테이프(110) 상에 이중으로 부착되는 제 2 방수테이프(120)를 포함한다.
즉, 층간 차음재(200)는 인접하는 본체(100) 사이의 경계부를 제 1 및 제 2 방수 테이프(110, 120)를 사용하여 마감함으로써, 본체(100) 사이의 경계부를 통하여 습기가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제 1 방수 테이프(110)로는 오리엔티트 폴리프로필렌 테이프(OPP)가 사용될 수 있고, 제 2 방수 테이프(120)로는 폴리에틸렌 계열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제 1 방수 테이프(110)로는 폴리에틸렌 계열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고, 제 2 방수 테이프(120)로는 오리엔티트 폴리프로필렌 테이프(OPP)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계열 테이프는 폴리에틸렌 계열 필름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인장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반면에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에 쉽께 찢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오리엔티트 폴리프로필렌 테이트(OPP)는 접착력 및 신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지만, 잦은 마찰에도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층간 차음재(200)를 구성하는 각 본체(100)에는 시공 후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통하여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충격이 가해지면 인접하는 본체(100) 사이의 경계부의 틈이 벌어지게 되고, 그 결과 상기 틈을 통하여 수분이 침투함으로써 본체(100)의 탄성력 및 복원력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층간 차음재(200)는 인접하는 본체(100)의 경계부가 신축성과 인장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계열 테이프와 잦은 마찰에도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 오리엔티트 폴리프로필렌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중으로 마감 처리됨으로써, 외부에 충격으로 인하여 인접하는 본체(100) 간에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각 테이프는 인접하는 본체(100) 사이의 경계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분이 침투하여 본체(100)의 탄성력 및 복원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은 상기 시공용 테이프와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를 테이핑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층간 차음재(200)의 상면에 대응된 시공용 테이프(310)의 영역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자유롭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층간 차음재(200)와 측면 차음재(300)의 경계부에 밀착되도록, 시공용 테이프(310)의 위치를 조정한 후, 층간 차음재(200)의 상면에 대응된 시공용 테이프(310)와 층간 차음재(200)의 경계부는 또 다른 테이프를 사용하여 마감한다.
이와 같이 시공함으로써, 층간 차음재(200)와 측면 차음재(300)의 경계부는 시공용 테이프(310)가 밀착된 상태에서 마감이 이루어지므로, 빈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수분이 침투할 우려가 없으며, 시공용 테이프의 우수한 물성(인열 강도, 인장 강도 및 신장률 등)에 따라 차음재에 충격량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쉽게 파손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층간 및 측면 차음재는 수지 발포 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발포 폼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 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플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로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아크릴 발포 폼, 부직포, 섬유직물, 및 글라스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적층 또는 접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엘라스토머 (elastomer)로서 탄성력이 우수하고, 셀 구조 형성이 용이하며, 다른 재료에 비하여 기계적 물성 및 충격음 차단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우레탄 발포 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수지 발포 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재질에 따라 이 분야의 일반적인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지 발포 폼은 베이스 수지 및 발포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기계적인 방법 또는 자외선 조사 등의 수단을 통하여 발포시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층간 차음재(200)를 구성하는 본체(100)는 전술한 수지 발포 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기능성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층의 형성은 기능성층 등이 접합 또는 적층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접합』은 이 분야의 통상의 점착 수 단(ex. 고형 점착제, 고온 용융 점착제, 열, 초음파 또는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을 매개로 구성 요소 상호간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맞닿은 모든 면이 결합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적층』은 별도의 결합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구성 요소 상호간이 포개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성층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치수안정층, 방수층, 단열재층 또는 강화 보드층과 같은 이 분야의 일반적인 층이 포함된다.
상기에서 치수안정층은 치수변화율이 0.5% 이내가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예로는 유리 섬유; 합성수지 필름; 및 천연 또는 합성 섬유로 제조된 직포 또는 부직포 등을 들 수 있으며, 우수한 치수안정성 및 인열 강도를 갖는다는 관점에서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층의 예로는 액체 불투과성 합성수지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직포 또는 부직포에 합성 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고; 단열재층의 예로는 폴리스티렌 발포 시트,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시트와 같은 합성수지 발포시트; 글라스울; 락울; 미네랄울; 및 부직포 등을 들 수 있으며; 강화 보드층의 예로는 플라스틱 보드 또는 석고 보드와 같은 무기 모드; 목재 합판; 목분 압착 보드; 및 목분과 무기물의 혼합 보드 등을 들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강화 보드로서 허니컴 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허니컴 보드』는 육각형의 단위들이 모여 구성된 보드를 의미하며, 이 때 육각형의 단위를 구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술한 강화 보드의 소재들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허니컴 보드를 육각형 단위의 집합체로 구성하는 경우, 그 내구성 및 강도가 더욱 향상되어, 차음재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발생하는 압축 응력, 비틀림 또는 휨 등에 대한 저항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기능성층의 구체적인 예들은 그 단독으로 본체(10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2 이상의 층이 적층 또는 접합된 복층 구조로서 본체(100)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에 사용되는 전술한 각각의 기능성층의 수, 종류 및/또는 형성 순서 등은 시공되는 건축물의 용도 등에 따라서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차음재는 전술한 기능성층 중 어느 일종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중 이종 이상의 층이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지 발포 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다양한 기능성층이 형성된 차음재 단위가 순차 반복하여 하나의 차음재를 이룰 수도 있다.
본체(100)는 또한 상기 수지 발포 층 및/또는 기능성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파형(wave pattern) 또는 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을 형성함으로 해서 적층 또는 접합되어 있는 각 층 사이에 완충구가 형성되게 되고, 이에 따라 충격 완충성 및 단열성 등의 물성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차음재가 시공되는 슬라브면과 맞닿는 층에 요철을 형성할 경 우에는 슬라브가 낮은 평활성을 갖는 경우에도 용이한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은 인접하는 2개의 측면 차음재와 층간 차음재로 이루어진 코너부에 수지 발포 폼 스프레이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접하는 2개의 측면 차음재(300)와 층간 차음재(200)로 이루어진 코너부는 시공용 테이프를 사용하여도, 그 시공이 어려움으로 인하여 충분한 방수 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코너부에는 수지 발포 폼 스프레이를 도포할 수 있으며, 이때 수지 발포 폼으로는 폴리 우레탄 폼이 바람직하며, 수지 발포 폼이 경화된 후, 상기 수지 발포 폼의 표면에 방수제(400)를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제(400)는 시멘트, 물 및 방수액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성분의 중량비는 0.5 ~ 1.5 : 0.5 ~ 1.5 : 0.01 ~ 0.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제(400)는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스팔트 프라이머, 실리콘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 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설명한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은 측면 차음재의 하부에 시공용 테이프를 부착하지만, 이와는 다르게, 측면 차음재의 일 종단에 대응되는 층간 차음재의 일 종단의 상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시공용 테이프를 부착하고, 상기 시공용 테이프의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측면 차음재의 일면에 대응시킨 후, 상기 시공용 테이프와 측면 차음재의 경계부를 테이핑 마감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중 측벽에 설치된 측면 차음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중 층간 차음재를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각 부재가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에 따라 설치된 차음재의 사시도.

Claims (10)

  1. 측벽에 설치된 측면 차음재와 바닥에 설치된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를 수밀하는 방법으로서,
    측면 차음재의 하부에 점착층이 형성된 시공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시공용 테이프의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층간 차음재의 상면에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공용 테이프와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를 테이핑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2. 측벽에 설치된 측면 차음재와 바닥에 설치된 층간 차음재의 경계부를 수밀하는 방법으로서,
    측면 차음재의 일 종단에 대응되는 층간 차음재의 일 종단의 상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시공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시공용 테이프의 점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측면 차음재의 일면에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공용 테이프와 측면 차음재의 경계부를 테이핑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용 테이프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영역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은 인열강도가 70 ~ 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길이방향으로의 신장률이 3 내지 5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폭 방향으로의 신장률이 4 내지 8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인장강도가 170 ~ 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측면 차음재와 층간 차음재로 이루어진 코너부에 수지 발포 폼 스프레이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이 경화된 후, 상기 수지 발포 폼의 표면에 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는 시멘트, 물 및 방수액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는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스팔트 프라이머, 실리콘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KR1020080087401A 2008-09-04 2008-09-04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KR10130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401A KR101302236B1 (ko) 2008-09-04 2008-09-04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401A KR101302236B1 (ko) 2008-09-04 2008-09-04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386A KR20100028386A (ko) 2010-03-12
KR101302236B1 true KR101302236B1 (ko) 2013-09-02

Family

ID=4217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401A KR101302236B1 (ko) 2008-09-04 2008-09-04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2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433A (en) 1992-09-22 1994-08-02 Porambo Bernard A Self-adhesive wallboard finishing tape and tape-and-wallboard panel system
JPH07331836A (ja) * 1994-06-14 1995-12-19 Sekisui House Ltd 捨て水切
JP2001207559A (ja) 2000-01-25 2001-08-03 Sekisui House Ltd 入隅部又は出隅部における気密構造
KR100483965B1 (ko) 2002-12-30 2005-04-18 이정구 폴리우레탄계 층간차음재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433A (en) 1992-09-22 1994-08-02 Porambo Bernard A Self-adhesive wallboard finishing tape and tape-and-wallboard panel system
JPH07331836A (ja) * 1994-06-14 1995-12-19 Sekisui House Ltd 捨て水切
JP2001207559A (ja) 2000-01-25 2001-08-03 Sekisui House Ltd 入隅部又は出隅部における気密構造
KR100483965B1 (ko) 2002-12-30 2005-04-18 이정구 폴리우레탄계 층간차음재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386A (ko) 201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9774A (ko) 다기능 밑판 차음 매트 및 시스템
KR100624357B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200420631Y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US20100282539A1 (en) Composite material multilayered membrane with sound insulating and sound absorbing to mitigate impact noise
KR101656794B1 (ko) 공동주택의 평면분할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21850B1 (ko)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KR101302236B1 (ko) 건축용 차음재의 시공방법
KR102220518B1 (ko)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2282B1 (ko) 차음재
KR200470795Y1 (ko) 차음재
KR101302304B1 (ko) 시공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KR101207288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NL2024806B1 (e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panel
JP5216315B2 (ja) 防音床材
KR200455458Y1 (ko) 방수층 보호시트가 부착된 탄성 이피에스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1302290B1 (ko) 차음재
KR200401924Y1 (ko) 건축물용 층간소음 저감패널
TWI762330B (zh) 多層吸音減震墊
KR101058708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101302327B1 (ko) 시공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KR20060127548A (ko) 뜬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
KR20060099382A (ko) 방음, 단열 및 보강 기능을 동시에 갖는 판넬구조체로이루어진 건축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10066421A (ko) 내구성을 보강한 층간 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