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960B1 -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960B1
KR101301960B1 KR20100120985A KR20100120985A KR101301960B1 KR 101301960 B1 KR101301960 B1 KR 101301960B1 KR 20100120985 A KR20100120985 A KR 20100120985A KR 20100120985 A KR20100120985 A KR 20100120985A KR 101301960 B1 KR101301960 B1 KR 101301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treatment
aggregate
coarse
treatment agent
recycled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309A (ko
Inventor
임남기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00120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9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4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 C04B41/453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applied as a solution, emulsion, dispersion or suspension
    • C04B41/4543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applied as a solution, emulsion, dispersion or suspension by spraying, e.g. by atomi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저품질의 굵은 순환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액상 규산질의 표면처리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굵은 순환골재에 표면처리제를 소정 시간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표면처리제가 분사된 굵은 순환골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Performance Recycled Aggregates by Potassium Silicate}
본 발명은 고품질 구조용 순환골재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추가적인 생산설비 없이 기존의 생산설비로 제조된 저품질 순환골재의 외부 공극과 균열에 대하여 액상의 규산질로 표면처리함으로서 결합성, 조막성 및 흡착성 등의 특성을 가지는 고품질 구조용 순환골재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 중반 일본 및 선진국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등의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학술적 연구가 시작된 이후, 1990년대에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또한 이를 위한 다각적인 기술개발과 투자가 이루어져 왔으나, 연구개발 투자에 비하여 실용화 성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제조하는 핵심기술은 폐콘크리트에 부착되어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를 제거하는 기술에 있고, 이를 위하여 건설폐기물에 압축공기와 압력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 분리, 선별하는 습식선별장치, 건축폐기물을 가열 건조하고 에어분사를 한 후에 사이클론 분리 및 선별하는 건식선별장치 등 순환골재 제조 장치에 대한 기술개발 중심으로 건설용 순환골재가 생산되어 왔다.
  천연골재 수급부족의 대안으로 대두된 순환골재는 건설폐기물의 발생지나 처리방법 등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있어 대부분 건설공사의 성토나 매립용 등으로 사용되었고, 사용자의 부정적인 인식과 구조용으로 공식적인 시공사례가 부족하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높은 부문에서 천연골재를 대체하여 사용된 실적은 매우 저조하다.
  환경부의 건설폐기물 재활용정책에 의하여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촉진하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측면에서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의 적용대상 공사에서 순환골재의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어 이 분야의 연구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내 건설 산업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주거환경 개선, 재건축, 재개발 등 건설공사의 증가로 골재의 수요 및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건설폐기물의 적정 처리 및 재활용 촉진을 위한 정부의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골재자원의 대체재료로써 폐콘크리트를 활용한 순환골재의 사용에 대한 국가·사회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순환골재의 재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천연골재의 대체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양질의 순환골재 생산을 유도하고 일정규모 이상의 공사에 대하여 순환골재의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어, 향후 순환골재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는 한층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순환골재에 대한 인식 부족과 순환골재 및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부족으로 인해 대부분의 순환골재는 성토·복토나 도로공사용 보조 기층재 등의 비구조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구조용 재료로 사용되는 순환골재의 표준이 강화됨에 따라 표준에 부합되는 순환골재의 생산단가가 기존골재의 단가를 상회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순환골재제조를 위한 생산설비가 추가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중·소규모 위주의 순환골재 제조업체로서는 이러한 고가의 생산설비의 추가적 구매의 어려움으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보급화의 또 다른 장애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가의 생산설비의 추가 없이 기존의 생산설비로 제조된 저품질 순환골재의 외부 공극과 균열에 대하여 액상의 규산질로 표면처리함으로서 결합성, 조막성 및 흡착성 등의 특성을 가지는 고품질 구조용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가의 생산설비의 추가 없이 기존의 생산설비로 제조된 저품질 순환골재의 외부 공극과 균열에 대하여 액상의 규산질로 표면처리함으로서 결합성, 조막성 및 흡착성 등의 특성을 가지는 고품질 구조용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저품질의 굵은 순환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액상 규산질의 표면처리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굵은 순환골재에 표면처리제를 소정 시간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표면처리제가 분사된 굵은 순환골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은, 저품질의 굵은 순환골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액상 규산질의 표면처리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굵은 순환골재를 표면처리제에 소정 시간 침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표면처리제가 분사된 굵은 순환골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생산설비의 추가 없이 기존의 생산설비로 제조된 저품질 순환골재의 외부 공극과 균열에 대하여 액상의 규산질로 표면처리함으로서 결합성, 조막성 및 흡착성 등의 특성을 가지는 고품질 구조용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SEM 촬영한 표면처리 전 순환골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SEM 촬영한 표면처리(분사)후 순환골재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SEM 촬영한 표면처리(침지)후 순환골재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표면처리(분사) 시간별 순환골재의 비중 변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표면처리(침지) 시간별 순환골재의 비중 변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분사) 시간별 순환골재의 흡수율 변화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침지) 시간별 순환골재의 흡수율 변화도이다.
도 8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한 표면처리 전후 순환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결과의 비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표면처리(분사) 후 건조 시간별 순환골재의 중량 변화도이다.
도 10은 도 9를 수치적으로 표시한 비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침지) 후 건조 시간별 순환골재의 중량 변화도이다.
도 12는 도 10을 수치적으로 표시한 비교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에 관한 제1 실시예로서, 저품질의 굵은 순환골재와 액상 규산질의 표면처리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굵은 순환골재에 상기 표면처리제를 소정 시간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표면처리제가 분사된 굵은 순환골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에 관한 제2 실시예로서, 저품질의 굵은 순환골재와 액상 규산질의 표면처리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표면처리제에 굵은 순환골재를 소정 시간 침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표면처리제에 침지된 굵은 순환골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의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상기 굵은 순환골재는 일반 순환골재 생산업체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 순환골재 중 품질이 낮아 도로 노반재나 매립재로 사용되는 도로기층용골재로서, 그 물리적 성질은 표 1과 같다.
Figure 112010079005983-pat00001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표면처리제는 소수성(疏水性, Hydrophobe)을 가진 규산질 재료를 주원료로 하며, 알카리 자극제로 시멘트 경화체의 수화반응을 증진할 수 있는 칼륨으로 이루어진 액상의 규산칼륨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 액상 규산칼륨은 nSiO2, K2O, xH2O로 이루어진 무색, 투명한 수용성 무기화합물로 SiO2/K2O의 몰비(Mole Ratio)와 농도에 따라 물성이 변하는 화합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SiO2 함유량이 높은 용액으로서, 그 용액의 물성은 표 2와 같다.
Figure 112010079005983-pat00002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굵은 순환골재에 상기 표면처리제를 소정 시간 분사하는 단계는, 분사량이 약 180g/분인 분사기를 이용하여 5, 10, 15초를 분사시간으로 선정하여 상기 굵은 순환골재에 규산칼륨 용액을 분사하는 단계로서, 분사 시간대별 최적 분사시간을 도출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제가 분사된 굵은 순환골재를 건조하는 단계는,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온도 25℃ 습도 50%로 유지하여 건조하는 단계로서, 1, 2, 3, 6, 12, 24시간별로 순환골재 중량을 측정하여 최종 건조시간을 도출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처리제에 굵은 순환골재를 소정 시간 침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표면처리제를 상기 굵은 순환골재에 1, 6, 12, 24시간대 별로 침지하는 단계로서, 침지 시간대별 최적 침지시간을 도출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제가 분사된 굵은 순환골재를 건조하는 단계는,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온도 25℃ 습도 50%로 유지하여 건조하는 단계로서, 1, 2, 3, 6, 12, 24시간별로 순환골재 중량을 측정하여 최종 건조시간을 도출한다.
도 1은 SEM 촬영한 표면처리 전 순환골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SEM 촬영한 표면처리(분사)후 순환골재의 구조도이다.
도 3은 SEM 촬영한 표면처리(침지)후 순환골재의 구조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표면처리 전 순환골재의 표면은 균열이 많고 흡수율이 큰 시멘트 페이스트가 부착되어 있으나,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공극이 밀실하게 충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사방법의 경우 순환골재 표면에 안정적으로 피막을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침지방법의 경우 골재 표면에 과도한 두께로 피막을 형성하여 건조되면서 분사방법보다 피막에 균열이 많이 발생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사방법보다 표면처리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표면처리(분사) 시간별 순환골재의 비중 변화도이다.
도 5는 표면처리(침지) 시간별 순환골재의 비중 변화도이다.
도 6은 표면처리(분사) 시간별 순환골재의 흡수율 변화도이다.
도 7은 표면처리(침지) 시간별 순환골재의 흡수율 변화도이다.
도 8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한 표면처리 전후 순환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결과의 비교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전반적으로 표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처리한 순환골재의 품질은 개선효과가 있었으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침지방법이 제1 실시예의 분사방법 보다 개선효과가 좋게 나타났다. 그러나 침지방법의 경우 실험 결과 값들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건조과정에서 표면 균열이 많이 발생되어 표면처리 품질개선 효과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최적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분사방법으로서, 불필요한 제조시간을 줄이고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순환골재 표면에 규산칼륨 용액을 10초 동안 분사하여 표면처리하고 약 1∼3시간 동안 건조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표면처리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처리 결과 비중은 약 0.03% 정도 증가하고 흡수율은 약 2.0% 정도 감소하는 품질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표면처리(분사) 후 건조 시간별 순환골재의 중량 변화도이다.
도 10은 도 9를 수치적으로 표시한 비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침지) 후 건조 시간별 순환골재의 중량 변화도이다.
도 12는 도 10을 수치적으로 표시한 비교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전반적으로 표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규산칼륨의 흡착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사방법의 경우 전체적인 규산칼륨 용액의 중량 감소는 30% 정도 나타났으며, 3시간 이후 중량 감소는 5∼10% 미만으로 나타나 추후 중량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침지방법의 경우 전체적인 규산칼륨 용액의 중량 감소는 40% 정도 나타났으며, 12시간 이후 중량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침지방법 대비 분사방법에서 더 큰 중량 변화가 측정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침지방법으로 표면처리한 경우 순환골재의 내부까지 규산칼륨 용액이 침투하여 피막을 형성하지만, 분사방법으로 표면처리한 경우 순환골재의 표면에만 피막이 형성되어 규산칼륨 용액의 수분 증발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면처리한 순환골재는 표면처리하고 약 1∼3시간 이후 전체 중량변화가 5∼10% 정도로 측정되어, 현장 적용시 장기적인 외부 노출에도 품질편차가 적어서 현장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6)

  1. 굵은 순환골재와 액상 규산질의 표면처리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굵은 순환골재에 상기 표면처리제를 10초 또는 15초 동안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표면처리제가 분사된 굵은 순환골재를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
  2. 굵은 순환골재와 액상 규산질의 표면처리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굵은 순환골재를 상기 표면처리제에 6시간 또는 12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표면처리제가 침지된 굵은 순환골재를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굵은 순환골재는 노반재나 매립재로 사용되는 도로기층용골재로서의 저품질의 굵은 순환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제는 규산칼륨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
  5. 삭제
  6. 삭제
KR20100120985A 2010-11-30 2010-11-30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301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0985A KR101301960B1 (ko) 2010-11-30 2010-11-30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0985A KR101301960B1 (ko) 2010-11-30 2010-11-30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309A KR20120059309A (ko) 2012-06-08
KR101301960B1 true KR101301960B1 (ko) 2013-08-30

Family

ID=4661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0985A KR101301960B1 (ko) 2010-11-30 2010-11-30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8375B (zh) * 2019-01-21 2021-02-12 昆明理工大学 一种制备再生骨料制品最佳方案的确定方法
KR102357274B1 (ko) * 2020-07-13 2022-02-07 유건해운(주) 고품질 골재 생산방법
CN111977998B (zh) * 2020-08-27 2021-12-07 长安大学 一种高表面粗糙度集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352A (ja) 1998-12-25 2000-07-11 Kajima Corp コンクリ―ト用骨材およびその製法
KR20010089919A (ko) * 2000-03-13 2001-10-17 김인술 칼라골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14086B1 (ko) 2007-05-07 2008-03-20 두제산업개발(주)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고강도의 친환경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08397A (ko) * 2008-07-16 2010-01-26 명흥식 순환골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352A (ja) 1998-12-25 2000-07-11 Kajima Corp コンクリ―ト用骨材およびその製法
KR20010089919A (ko) * 2000-03-13 2001-10-17 김인술 칼라골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14086B1 (ko) 2007-05-07 2008-03-20 두제산업개발(주)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고강도의 친환경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08397A (ko) * 2008-07-16 2010-01-26 명흥식 순환골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309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442B1 (ko) 코팅된 친환경 순환골재를 포함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439955B (zh) 一种06级石膏基免蒸压加气混凝土砌块的制备方法
CN104131680A (zh) 镁制集装箱房屋专用地板及其制造方法
CN110482936A (zh) 一种再生骨料制备的透水混凝土及其制备工艺
KR101265882B1 (ko)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CN106746992A (zh) 一种水泥保温墙板
KR101301960B1 (ko) 액상의 규산질을 이용한 고품질 굵은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0946184B1 (ko) 복합기능성 투수평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95378B1 (ko) 이중 코팅 처리된 친환경 순환골재를 포함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758670A (zh) 一种多层硅基自清洁透水砖及其制备方法
CN106431150A (zh) 一种建筑垃圾作为骨料和工业固体废弃物作为掺合料制备气凝胶复合砂岩板的方法
CN102924011B (zh) 一种建筑垃圾再生人造景观石制备方法
KR20090078930A (ko) 수성발수제로 피복된 순환골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조성물
CN103613354A (zh) 一种石膏内置模
CN105382894A (zh) 一种用于家具制作的杨木材料的改性处理方法
CN104692753B (zh) 一种减震环保砌块的制备方法
CN101967901A (zh) 一种复合材料杆塔
CN101545235A (zh) 复合纤维路基薄毡
CN106927754A (zh) 一种废旧玻璃钢制备的透水混凝土
CN110922079A (zh) 一种利用硫酸盐溶液强化再生粗骨料质量的方法
KR102357274B1 (ko) 고품질 골재 생산방법
CN112321184A (zh) 一种装配式建筑用再生骨料的制备方法
KR101115282B1 (ko)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
CN106045439A (zh) 一种利用橡胶制成的蒸压灰砂砖及其制备方法
CN201924639U (zh) 一种复合材料杆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