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282B1 -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282B1
KR101115282B1 KR20110079438A KR20110079438A KR101115282B1 KR 101115282 B1 KR101115282 B1 KR 101115282B1 KR 20110079438 A KR20110079438 A KR 20110079438A KR 20110079438 A KR20110079438 A KR 20110079438A KR 101115282 B1 KR101115282 B1 KR 101115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fiber
plastering
friendly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7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혜주
최희용
박태성
조민철
추유선
양준혁
강남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제이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제이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제이엔
Priority to KR2011007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석회수 처리된 천연섬유를 흙미장재와 배합하여, 흙의 특성을 그대로 발현하면서 내부공극 유지에 의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흙미장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친환경섬유 0.1~15중량부를 첨가하되, 상기 친환경섬유는 석회수에 0.1~24시간 담근 후, 함수율이 10wt%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 후 첨가하여, 흙미장 시공시, 친환경섬유 주위에 포졸란 반응을 발생되어 주변의 강도가 높아지고 조직이 치밀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친환경섬유의 내부공극이 보호되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compositions with enhanced insulation capability for clay plastering architecture and its plastering method using the same thereof}
본 발명은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석회수 처리된 천연섬유를 흙미장재에 배합하여, 내부 공극을 유지보호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흙집은 우리나라의 주요 건축양식이었으나 산업화시기를 거치면서 대부분 헐리고 지금은 보기 드문 상황이 되었다. 그러나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흙집과 흙관련 기술 등에 대한 관심이 다시 커지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기술들이 전해져 오지 않아 대중화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남아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에너지 다소비에 따른 온난화가 심해지고 있으며 여기에 따라 재료를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 및 발생하는 온난화가스 양이 적은 재료를 선호하며 지향하고 있다. 또한 최근 건축에 사용되는 재료의 경우 유지관리비를 저감하기 위해 건축물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재료와 시공법을 선택하며 재료의 경우 단열성능이 높은 재료를 선호하게 되었다.
흙은 국내외에서 매우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온 가장 전통적이고 일반적인 건축재료로서 주로 주택에 적용되고 있으며, 별도의 가열에 의한 소성과정을 거치지 않아 시멘트나 콘크리트 등 기존 건축재료에 비해 내재에너지 절감을 통한 환경오염 감소에 효과적이고, 별도의 처리 없이 재활용이 가능하며, 자원 절약과 운송비용 절감에도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흙은 축열량이 크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일반 시멘트에 비해 우수하지만 현재 시판되고 있는 흙미장재의 경우 다른 단열재에 비해 단열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시멘트, 수지, 화학제 등의 첨가제를 흙미장재에 첨가하여 흙미장재에 대한 단열성능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흙미장재는 흙의 특성을 그대로 발현할 수 없고,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현대화된 건축재료로의 흙미장재가 생산되고 있으나 아직 개발 및 보급 초기단계로, 흙의 특성을 그대로 발현시키면서 단열성능을 개선시킨 흙미장재는 찾아볼 수 없다.
특허등록번호 10-0722765(등록일자:2007.05.22) 공개번호 특2001-0099082(2001.11.09) 공개번호 특1997-0065459(1997.10.13)
본 발명은 석회수 처리된 천연섬유를 흙미장재와 배합하여, 흙의 특성을 그대로 발현하면서 내부공극 유지에 의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흙미장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친환경섬유 0.1~15중량부를 첨가하되, 상기 친환경섬유는 석회수에 0.1~24시간 담근 후, 함수율이 10wt%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 후 첨가하여, 흙미장 시공시, 친환경섬유 주위에 포졸란 반응을 발생되어 주변의 강도가 높아지고 조직이 치밀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친환경섬유 내부의 공극이 보호되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시멘트, 수지 및 화학제품을 첨가하지 않는 흙미장재에 석회수 처리된 천연섬유를 첨가하여, 단열성능을 개선한 것으로, 모든 구성성분이 자연재료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실내 공기질에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방출이 없으며, 흙의 특성인 탈취성능, 원적외선 방사 성능, 습도조절성능 등의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에 있어서 에너지 소비가 아주 낮으며 시멘트 등의 가공제품을 첨가하지 않으므로, 생산단계에서의 온난화가스 발생이 없고, 폐기시에도 폐기물처리가 아닌 자연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자연순환적인 특성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흙미장재에 비해 단열성능이 향상되어, 건축물 내부에 시공시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에너지소비를 줄이고 환경오염을 줄이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을 미장시공한 단면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의 공극유지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흙미장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
일반적으로 흙미장에 있어 섬유질은 흙미장의 균열을 제어하기 위해 시공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서는 또한 흙미장의 단열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내부 공극을 구비한 친환경섬유를 첨가하여 단열성능을 개선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섬유는 내부에 일정 정도의 공극을 갖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흙미장재에 배합되어 시공될 경우, 친환경섬유로 인해 흙미장 내에는 내부공극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흙과 친환경섬유는 결합력이 약하므로, 친환경섬유로 인해 내부의 공극이 형성되더라고 반죽, 시공, 경화단계시 내부공극이 파손되어, 단열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열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친환경섬유를 석회수에 의해 전처리하고, 이를 흙미장재와 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흙과 친환경섬유의 배합시, 친환경섬유에 잔존하는 석회수 성분과 흙이 반응하여 친환경섬유 외부에 흙조직이 치밀하게 됨으로써, 친환경섬유 내부공극이 보호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을 미장시공한 단면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섬유의 공극유지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시멘트 및 수지류, 화학제품을 첨가하지 않은 친환경 흙미장재(20)에, 흙미장재의 단열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내부공극(11)을 가지고 있는 친환경섬유를 석회수 처리하여 첨가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흙미장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친환경섬유 0.1~15중량부를 첨가하되, 상기 친환경섬유는 석회수에 0.1~24시간 담근 후, 함수율이 10wt%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친환경섬유의 함수율을 10%이하로 하는 것은 친환경섬유가 석회수를 흡수한 다음 적당한 건조되어야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석회수가 마르지 않고 흐르는 상황이 될 경우 석회수의 농도에 따른 섬유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에도 포졸란 반응이 일어나거나 전체적으로 강화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함수율은 본 발명의 목적인 내부단열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상기 흙미장재(20)는 황토, 고령토 등으로 이루어진 흙미장재로, 시멘트, 수지, 화학제 등이 첨가되지 않고, 천연섬유류를 포함하지 않은 흙미장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흙미장재(20)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흙미장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친환경섬유(10)는 내부공극(11)을 구비하고 있는 섬유로, 왕겨, 훈탄, 볏짚, 밀짚, 보리짚, 수수 등의 짚섬유; 면, 폭 등의 종자모섬유; 황마, 아마, 대마, 선햄프, 저마 등의 인피섬유; 마닐라마, 사이잘마, 뉴질랜드마 등의 옆맥섬유; 야자, 바나나 등의 과실섬유; 양모, 램양모, 카멜모, 캐시미어, 라마모, 모헤어, 비큐나모 등의 수모섬유; 가잠견, 야잠견 등의 견섬유; 해포석 등의 천연섬유; 및 옥수수수염, 스사, 목편, 셀룰로오스 중에서 1종 이상의 것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왕겨 또는, 훈탄 또는, 볏짚을 사용한다.
상기 친환경섬유는 첨가량에 있어, 첨가량이 너무 많은 경우 단열성능은 높일 수 있으나 섬유질이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로 인해 균열은 제어할 수 있어도 시공 후 흙미장의 내구성은 저하되고 흙미장 표면의 경도는 낮아지게 된다. 또한 양생이 완료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섬유가 뭉치는 일이 발생하여, 하자발생 가능성이 높게 된다. 또한, 첨가량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단열성능이 저하되며 섬유질이 골고루 잘 분포되기 어렵고 뭉치는 현장이 발생하게 되므로, 적정범위를 첨가하여야 한다.
상기 석회수는 칼슘(Ca)을 포함하는 성분을 물에 녹인 것으로서, 칼슘(Ca)을 포함하는 성분으로는 Ca(OH)2, CaO, CaCO3, CaCl2, CaSO4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슘을 물에 녹인 무색투명한 석회수(pH 12.5)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석회수는 외부 치밀구조 형성뿐만 아니라, 왕겨의 살균 및 소독의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석회수 처리된 친환경섬유는 흙에 적정량 첨가하여 흙미장을 실시할 경우, 배합수에 의해 친환경섬유에 함유되어 있던 칼슘(Ca) 이온이 활성화 되어 흙의 Al, Si 이온들과 포졸란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포졸란 반응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환경 섬유 주위에서 발생하게 되어 주변의 강도가 높아져, 치밀조직(40)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친환경섬유(10)의 내부공극(11)은 치밀조직(40)에 의해 보호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즉, 상기 포졸란 반응은 친환경 섬유와 붙어 있는 흙(약 1~2㎜)과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게 된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독립적인 공극들은 흙미장 내에 불연속적으로 다수 존재하게 됨에 따라 외부에서 전해지는 열의 전도율이 낮아지며 흙미장의 단열성능은 일반적인 흙미장재에 비해 월등히 향상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왕켜 및 볏짚 등의 섬유를 포함하는 일반 흙미장의 경우 외부에서 다량의 습기가 내부로 침투되게 되면, 침투되는 습기로 인하여 섬유에 있는 여러 요인에 의해 곰팡이가 발생되고, 습기로 인해 쉽게 팽창하여 균열의 발생을 일으키게 되나,
본 발명의 경우, 친환경섬유 외부에 흙조직이 치밀하게 되어, 친환경섬유까지 습기가 도달할 가능성이 현저히 낮으며 또한, 석회수의 살균처리 효과로 인해 다량의 습기에 노출되더라도 곰팡이의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고 특히, 흙미장 내부에 있을 경우 곰팡이 발생 확률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
또한, 본 발명의 독립적인 연속 공극은 단열성능 이외에 부가적으로 차음 성능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흙미장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석회수에 친환경섬유를 0.1~24시간 담근 후, 친환경섬유내 함수율이 10wt%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친환경섬유 생성단계;
흙미장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석회수 처리된 친환경섬유 0.1~15중량부, 배합수 15~50중량부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배합단계;
상기 혼합물을 바탕면에 도포 또는 타설하여 흙미장층을 형성하는 미장단계;
상기 흙미장층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양생된 흙미장층은 열전도율 0.2 W/(mK)이하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친환경섬유의 석회수 처리시간은 사용되는 친환경섬유의 종류에 따라 0.1~24시간 담그어 석회수 성분이 친환경섬유내로 충분히 침투하도록 한 다음 건조시킨다.
상기 친환경섬유는 내부에 공극을 구비하고 있는 섬유로, 왕겨, 훈탄, 볏짚, 밀짚, 보리짚, 수수 등의 짚섬유; 면, 폭 등의 종자모섬유; 황마, 아마, 대마, 선햄프, 저마 등의 인피섬유; 마닐라마, 사이잘마, 뉴질랜드마 등의 옆맥섬유; 야자, 바나나 등의 과실섬유; 양모, 램양모, 카멜모, 캐시미어, 라마모, 모헤어, 비큐나모 등의 수모섬유; 가잠견, 야잠견 등의 견섬유; 해포석 등의 천연섬유; 및 옥수수수염, 스사, 목편, 셀룰로오스 중에서 1종 이상의 것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왕겨 또는, 훈탄 또는, 볏짚을 사용한다.
상기 석회수는 칼슘(Ca)을 포함하는 성분을 물에 녹인 것으로서, 칼슘(Ca)을 포함하는 성분으로는 Ca(OH)2, CaO, CaCO3, CaCl2, CaSO4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슘을 물에 녹인 무색투명한 석회수(pH 12.5)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흙미장재 100 중량부에 대해 왕겨, 볏짚, 마섬유를 각각 아래와 같이 첨가하여 흙미장 샘플을 제작한 후, 이를 기건 양생한 다음 균열발생 및 열전도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1]과 같다.
이때, 상기 흙미장재는 시멘트, 수지, 화학제품, 천연섬유 등이 첨가되지 않은 흙미장재로, 주요 구성물은 황토, 고령토 등으로 이루어지고, 미세한 분말에서 2.25㎜ 까지의 입자들이 골고루 분포 되어있는 흙미장재(시중판매제품)를 사용하였다.
[표1]
Figure 112011061732454-pat00001

상기 [표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0.2 W/(mK)이하로 낮아 우수한 단열효과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경우 실험측정을 위해 만든 샘플로서 크기는 200㎜×200㎜×30㎜(가로×세로×높이)로 제작되었다. 또한 양생 후 균열은 발생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며 균열이 발생할 경우 하자로 간주하였다.
또한, 열전도율 측정 시기는 흙미장재가 충분히 양생된 재령 일주일이 지난 다음 측정하였다.
(10) : 친환경섬유 (11) : 내부공극
(20) : 흙미장재 (30) : 바탕면
(40) : 치밀구조

Claims (7)

  1. 흙미장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친환경섬유 0.1~15중량부를 첨가하되,
    상기 친환경섬유는 석회수에 0.1~24시간 담근 후, 함수율이 10wt%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섬유는 왕겨 또는, 훈탄 또는, 볏짚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섬유는 짚섬유, 종자모섬유, 인피섬유, 옆맥섬유, 과실섬유, 수모섬유, 견섬유, 해포석으로 이루어진 천연섬유, 옥수수수염, 스사, 목편, 셀룰로오스 중에서 1종 이상의 것을 혼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석회수는 Ca(OH)2, CaO, CaCO3, CaCl2, CaSO4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물에 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
  5. 석회수에 친환경섬유를 0.1~24시간 담근 후, 친환경섬유내 함수율이 10wt%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친환경섬유 생성단계;
    흙미장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석회수 처리된 친환경섬유 0.1~15중량부, 배합수 15~40중량부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배합단계;
    상기 혼합물을 바탕면에 도포 또는 타설하여 흙미장층을 형성하는 미장단계;
    상기 흙미장층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양생된 흙미장층이 열전도율 0.2 W/(mK)이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을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섬유는 왕겨 또는, 훈탄 또는, 볏짚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을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
  7.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석회수는 Ca(OH)2, CaO, CaCO3, CaCl2, CaSO4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물에 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을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
KR20110079438A 2011-08-10 2011-08-10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 KR101115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9438A KR101115282B1 (ko) 2011-08-10 2011-08-10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9438A KR101115282B1 (ko) 2011-08-10 2011-08-10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282B1 true KR101115282B1 (ko) 2012-03-05

Family

ID=4614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79438A KR101115282B1 (ko) 2011-08-10 2011-08-10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2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8238A1 (en) * 2019-08-13 2021-02-17 RiceHouse srl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3d printable eco-friendly construction elements
EP3778522A1 (en) * 2019-08-13 2021-02-17 RiceHouse srl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530B1 (ko) * 1987-07-13 1991-04-23 박재학 내화, 단열성 불연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40486A (ko) * 2004-11-06 2006-05-10 이병국 한방 황토 마감재
KR100798096B1 (ko) 2007-03-15 2008-01-24 김종도 건축자재용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7693A (ko) * 2009-05-26 2010-12-06 김백민 붓으로 칠하면 마르면서 벽지가 되는 액상 황토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530B1 (ko) * 1987-07-13 1991-04-23 박재학 내화, 단열성 불연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40486A (ko) * 2004-11-06 2006-05-10 이병국 한방 황토 마감재
KR100798096B1 (ko) 2007-03-15 2008-01-24 김종도 건축자재용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7693A (ko) * 2009-05-26 2010-12-06 김백민 붓으로 칠하면 마르면서 벽지가 되는 액상 황토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8238A1 (en) * 2019-08-13 2021-02-17 RiceHouse srl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3d printable eco-friendly construction elements
EP3778522A1 (en) * 2019-08-13 2021-02-17 RiceHouse srl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 Silva et al. A new treatment for coconut fibers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cement-based composites–Combined effect of natural latex/pozzolanic materials
Pacheco-Torgal et al. Cementitious building materials reinforced with vegetable fibres: A review
Madurwar et al. Application of agro-waste for sustainable construction materials: A review
Di Bella et al. Effects of natural fibres reinforcement in lime plasters (kenaf and sisal vs. Polypropylene)
Binici et al. The possibility of vermiculite, sunflower stalk and wheat stalk using for thermal insulation material production
Binici et al. Insulation material production from onion skin and peanut shell fibres, fly ash, pumice, perlite, barite, cement and gypsum
Bouchefra et al. Mechanical and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compressed earth brick rienforced by raw and treated doum fibers
Aigbomian et al. Development of wood-crete from treated sawdust
KR100712232B1 (ko) 건축용 황토 함유 마그네슘 보드 제조방법
CN104790545A (zh) 一种低碱度抗裂胶浆纤维增强发泡水泥保温板
Al-Mohamadawi et al. Influence of lignocellulosic aggregate coating with paraffin wax on flax shive and cement-shive composite properties
WO2015184121A1 (en) Compositions of and methods for making of a concrete-like material containing cellulosic derivatives
KR101115282B1 (ko)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흙미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미장 시공방법
Jesudass et al. Earthen blocks with natural fibres-A review
Rajput et al. A review on recent eco-friendly strategies to utilize rice straw in construction industry: pathways from bane to boon
CN104211316B (zh) 一种丝瓜纤维增韧防裂砂浆、制备方法及应用
CN105481461B (zh) 一种无机防火门芯材料的制备方法
JP4565123B1 (ja) 耐熱性向上剤
JP2010070403A (ja) 新規コンクリートの乾燥収縮ひび割れ抑制方法及びひび割れ抑制剤、並びに既設コンクリートのひび割れ閉塞方法及びひび割れ閉塞剤
CN106747642A (zh) 环保隔声防水混凝土墙砖及其制备方法
Hwang et al. Development of compressed stabilized earth block as an eco-friendly and sustainable wall making material
CN1153875C (zh) 外墙体保温构造及其施工方法
Wang et al. Investigation of the adaptability of paper sludge with wood fiber in cement-based insulation mortar
Helepciuc Sheep wool–a natural material used in civil engineering
Pedroso et al. Study on the thermal conductivity performance of cement-based composites incorporating natural organic fib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