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728B1 -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 Google Patents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1728B1 KR101301728B1 KR1020130035386A KR20130035386A KR101301728B1 KR 101301728 B1 KR101301728 B1 KR 101301728B1 KR 1020130035386 A KR1020130035386 A KR 1020130035386A KR 20130035386 A KR20130035386 A KR 20130035386A KR 101301728 B1 KR101301728 B1 KR 1013017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bracket
- wall plate
- plate
- long s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은, 평면상에서 단변부(11)와 장변부(12)가 구비된 장방형의 직사각형 형상을 취하되, 상면에는 양측에 상기 단변부(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상부플레이트(1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장변부(1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0)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장변측벽플레이트(2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단변부(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단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단변측벽플레이트(3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양 측벽은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 접한 채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에 다수 개의 "∪"형 단면의 안착홈(41)이 형성된 채, 상기 장변부(12)와 평행하게 다수 설치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부력지지플레이트(40)와; 양단이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은 상기 안착홈(41)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는 부력부재(50)와;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접한 단벽측벽플레이트(30)와 상호 연결시키는 단변연결장치(60)와;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20)와 상호 연결시키는 장변연결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안정성 및 접지력 증대로 침하를 줄이는 것은 물론 가설도로 개설 및 철거에 따른 토공작업을 최소화하거나 배제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경제적으로 가설도로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특히, 복공판의 하부에 도로가 개설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파이프를 설치함으로써 복공판 하부와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동식물의 서식 환경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내부가 빈 파이프를 설치함으로 인해 부력을 제공하여 뻘이나 늪지와 같이 수분이 많은 지반에서 하중에 눌려 복공판이 가라앉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장변연결장치에 의해 인접한 복공판이 상호 연결됨에 있어서 두 장변측벽플레이트 하단이 접하도록 하고, 연결지점이 두 장변측벽플레이트가 접한 지점으로부터 수직선상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복공판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가설도로를 개설할 때 측면상에서 상하 두 지점에서 지지되어 연장되는 복공판이 지형에 관계없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부력부재 내부에 스티로폼을 채운 채 부력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복공판의 설치 과정에서 지반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은, 평면상에서 단변부(11)와 장변부(12)가 구비된 장방형의 직사각형 형상을 취하되, 상면에는 양측에 상기 단변부(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상부플레이트(1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장변부(1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0)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장변측벽플레이트(2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단변부(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단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단변측벽플레이트(3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양 측벽은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 접한 채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에 다수 개의 "∪"형 단면의 안착홈(41)이 형성된 채, 상기 장변부(12)와 평행하게 다수 설치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부력지지플레이트(40)와; 양단이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은 상기 안착홈(41)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는 부력부재(50)와;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접한 단벽측벽플레이트(30)와 상호 연결시키는 단변연결장치(60)와;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20)와 상호 연결시키는 장변연결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안정성 및 접지력 증대로 침하를 줄이는 것은 물론 가설도로 개설 및 철거에 따른 토공작업을 최소화하거나 배제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경제적으로 가설도로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특히, 복공판의 하부에 도로가 개설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파이프를 설치함으로써 복공판 하부와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동식물의 서식 환경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내부가 빈 파이프를 설치함으로 인해 부력을 제공하여 뻘이나 늪지와 같이 수분이 많은 지반에서 하중에 눌려 복공판이 가라앉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장변연결장치에 의해 인접한 복공판이 상호 연결됨에 있어서 두 장변측벽플레이트 하단이 접하도록 하고, 연결지점이 두 장변측벽플레이트가 접한 지점으로부터 수직선상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복공판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가설도로를 개설할 때 측면상에서 상하 두 지점에서 지지되어 연장되는 복공판이 지형에 관계없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부력부재 내부에 스티로폼을 채운 채 부력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복공판의 설치 과정에서 지반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뻘, 습지와 같은 보호대상 동식물이 서식하는 장소에 중장비 공사를 위해 덤프트럭의 운송로 확보를 위해 가설도로를 개설하고자 할 때 골재, 자갈이 포설을 최소화한 채 복공판의 설치만으로 가설도로를 개설하여 철거가 용이하고, 가설도로의 설치 및 철거 과정에서 주변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하도록 한,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지나 뻘은 지반 강도 부족에 따른 불규칙한 지반 변형으로 인하여 중장비와 같은 건설장비의 주행성이 매우 불량하여 건설장비의 조기투입이 불가능하였다.
종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장비가 하는 주행하는 위치에 가설도로를 시공하였으며, 이러한 가설도로는 주행성의 조기확보가 가능하고 침하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가설도로를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사석과 같은 양질의 치환재료를 연약지반에 직접투하 하여 강제적으로 치환하거나 또는, 자갈을 포설하여 건설장비가 운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가설도로를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임시용 도로를 포장하여 가설도로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뻘과 늡지, 습지 등이 생태보전 구역으로 지정되는 사례가 증가되는 바, 공사를 위해 자갈 등을 포설하여 가설도로를 개설하게 될 경우 주변 환경을 훼손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공사 개시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가설 도로에 관한 기술로 "연약지반의 등분포 하중을 이용한 PC블록 임시용가설도로 시공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3613호, 특허문헌 1)에는 등분포 하중이 가해지도록 PC블록을 이용하여 지반 교란을 최소화하도록 한 가설도로 시공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법 역시 다수의 모래와 자갈을 여러 차례에 거쳐 포설하는 절차를 거치게 되는 바, 자연 훼손이 여전히 가해지고, 도로 개설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복공판을 이용하여 연약지반에의 가설 도로 조성을 위한 기술로, "연약지반용 복공판"(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160호, 특허문헌 2)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일반적인 복공판의 구조에 본체 좌우측에 암수 힌지 브라켓을 용접 설치하는 한편 본체 저면에 좌우 측면판이 이어지도록 저면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저면판이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하중을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가설도로가 개설되는 지형에 수분의 침투가 발생하지 않거나 저면판 내측으로 다량의 하중물이 침투하지 않는 구조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연약지반에 효과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늪지나 뻘과 같이 수분의 함유량이 극히 높은 초습지의 경우 저면판 상부로 질퍽하고 수분이 함유된 흙이 유입되어 복공판의 하중에 저면판 상부로 침투한 흙과 수분의 하중이 더해져 중장비나 차량이 눌러 하중을 가하게 되면 가라앉게 될 수 있으며, 설치 과정에서는 저면판이 늪이나 뻘에서 미끄러지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안정성 및 접지력 증대로 침하를 줄이는 것은 물론 가설도로 개설 및 철거에 따른 토공작업을 최소화하거나 배제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경제적으로 가설도로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복공판의 하부에 도로가 개설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파이프를 설치함으로써 복공판 하부와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동식물의 서식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또, 내부가 빈 파이프를 설치함으로 인해 부력을 제공하여 뻘이나 늪지와 같이 수분이 많은 지반에서 하중에 눌려 복공판이 가라앉는 것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또한, 장변연결장치에 의해 인접한 복공판이 상호 연결됨에 있어서 두 장변측벽플레이트 하단이 접하도록 하고, 연결지점이 두 장변측벽플레이트가 접한 지점으로부터 수직선상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복공판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가설도로를 개설할 때 측면상에서 상하 두 지점에서 지지되어 연장되는 복공판이 지형에 관계없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부력부재 내부에 스티로폼을 채운 채 부력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복공판의 설치 과정에서 지반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면상에서 단변부(11)와 장변부(12)가 구비된 장방형의 직사각형 형상을 취하되, 상면에는 양측에 상기 단변부(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상부플레이트(1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장변부(1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0)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장변측벽플레이트(2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단변부(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단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단변측벽플레이트(3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양 측벽은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 접한 채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에 다수 개의 "∪"형 단면의 안착홈(41)이 형성된 채, 상기 장변부(12)와 평행하게 다수 설치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부력지지플레이트(40)와; 양단이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은 상기 안착홈(41)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는 부력부재(50)와;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접한 단벽측벽플레이트(30)와 상호 연결시키는 단변연결장치(60)와;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20)와 상호 연결시키는 장변연결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변연결장치(60)는, 일측의 단변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직선을 이루도록 각각 홀(61a)이 형성된 채 이격된 두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1브라켓(61)과; 타측의 단변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61a)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홀(62a)이 형성된 채 제1브라켓(61)의 두 플레이트 사이로 끼워지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2브라켓(62)과; 상기 제1브라켓(61)과 제2브라켓(62)에 형성된 홀들(61a, 62a)을 관통하여 연결시키는 제1연결볼트(6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변연결장치(70)는, 일측의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직선을 이루도록 각각 홀(71a)이 형성된 채 이격된 두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3브라켓(71)과; 타측의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71a)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홀(72a)이 형성된 채 제3브라켓(71)의 두 플레이트 사이로 끼워지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4브라켓(72)과; 상기 제3브라켓(71)과 제4브라켓(72)에 형성된 홀들(71a, 72a)을 관통하여 연결시키는 제2연결볼트(7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브라켓(71) 및 제4브라켓(72)은 상단이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 상단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 하단으로부터 상향되게 이격된 채 상단면이 상기 단변측벽플레이트(30) 상단면과 평행한 삼각형 형상을 이루며,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30)에 각기 설치된 제3브라켓(71)과 제4브라켓(72)이 끼워져 제2연결볼트(73)가 체결된 상태에서 두 장변측벽플레이트(20)는 하단이 서로 접하고, 제2연결볼트(73)는 중심이 두 장변측벽플레이트(20)의 하단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부력부재(50)는 양측 끝단 둘레가 상기 단변측벽플레이트(30)에 용접되어 있고, 내부가 빈 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 내측면에는 원통형의 가이드부재(8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력부재(50)는 양측 끝단이 상기 가이드부재(80)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내부가 빈 강관으로 이루어져 있고, 강관 내부에 스티로폼(51)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80) 내주면에는 베어링삽입홈(8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삽입홈(81)에 베어링(8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안정성 및 접지력 증대로 침하를 줄이는 것은 물론 가설도로 개설 및 철거에 따른 토공작업을 최소화하거나 배제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경제적으로 가설도로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복공판의 하부에 도로가 개설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파이프를 설치함으로써 복공판 하부와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동식물의 서식 환경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 내부가 빈 파이프를 설치함으로 인해 부력을 제공하여 뻘이나 늪지와 같이 수분이 많은 지반에서 하중에 눌려 복공판이 가라앉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변연결장치에 의해 인접한 복공판이 상호 연결됨에 있어서 두 장변측벽플레이트 하단이 접하도록 하고, 연결지점이 두 장변측벽플레이트가 접한 지점으로부터 수직선상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복공판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가설도로를 개설할 때 측면상에서 상하 두 지점에서 지지되어 연장되는 복공판이 지형에 관계없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부력부재 내부에 스티로폼을 채운 채 부력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복공판의 설치 과정에서 지반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복공판의 상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복공판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가설 도로를 개설하기 위한 연결 상태를 평면상에서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부력지지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장변측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단변측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부력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된 실시예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장변연결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복공판의 상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복공판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가설 도로를 개설하기 위한 연결 상태를 평면상에서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부력지지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장변측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단변측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부력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된 실시예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장변연결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복공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복공판은 크게 상부플레이트(10), 장변측벽플레이트(20), 단변측벽플레이트(30), 부력지지플레이트(40), 부력부재(50), 단변연결장치(60) 및 장변연결장치(7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상부플레이트(10)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단변부(11)와 장변부(12)가 구비된 장방형의 직사각형 형상을 취한다.
아울러, 상부플레이트(10)는 상면에 양측에 상기 단변부(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13)는 무늬강판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장변측벽플레이트(20) 역시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시된 것처럼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장변부(1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0)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시된 것처럼 측면에서 볼 때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장변측벽플레이트(20)는 상부플레이트(10)와 별도로 제조되어 용접되거나, 상부플레이트(10)로부터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단변측벽플레이트(30) 역시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단변부(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단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시된 것처럼 측면에서 볼 때는 장방형의 형상을 취하게 된다.
단변측벽플레이트(30) 역시 상부플레이트(10)와 별도로 제조된 채 용접되거나, 상부플레이트(10)로부터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부력지지플레이트(40) 역시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 1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양 측벽은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 접한 채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른 부력지지플레이트(40)는 장변측벽플레이트(20)와 같은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나, 내측에 위치하는 만큼 크기가 다소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부력지지플레이트(40)는 중간에 다수 개의 "∪"형 단면의 안착홈(41)이 형성된 채, 상기 장변부(12)와 평행하게 다수 설치되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부력부재(50)는 양단이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은 상기 안착홈(41)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부력부재(50)는 일반적으로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그 예로는 원통형의 스티로폼과 같은 것들이 대상이 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바로는 본 발명이 적용되고자 하는 대상이 수분이 많은 뻘이나 늪지대의 가설 도로용이며, 상부에서 큰 하중이 작용하는 반면 저부는 바다나 강과 같은 유동성이 큰 재질만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므로, 스티로폼만으로 적용할 경우 상부 하중과 하부의 저항력에 의해 파손되기 쉽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부재(50)는 양측 끝단 둘레가 상기 단변측벽플레이트(30)에 용접되어 있고, 내부가 빈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택적으로 내부에 스티로폼을 추가로 충진시킬 수도 있다.
이때, 부력부재(50)는 도시된 것처럼 하단이 단변측벽플레이트(30)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단변연결장치(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접한 단벽측벽플레이트(30)와 상호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시된 것처럼 제1브라켓(61), 제2브라켓(62) 및 제1연결볼트(6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61)는 일측의 단변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직선을 이루도록 각각 홀(61a)이 형성된 채 이격된 두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제2브라켓(62)은 타측의 단변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61a)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홀(62a)이 형성된 채 제1브라켓(61)의 두 플레이트 사이로 끼워지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1브라켓(61)과 제2브라켓(62)은 각기 인접한 복공판의 단변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된 채 서로 끼움 결합되기 위해 그 위치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1연결볼트(63)는 상기 제1브라켓(61)과 제2브라켓(62)에 형성된 홀들(61a, 62a)을 관통하여 연결시키는데, 미도시된 너트 등이 체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61) 및 제2브라켓(62)은 하단이 상기 단변측벽플레이트(30) 하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단이 상기 단변측벽플레이트(30) 상단으로부터 하향되게 이격된 채 바닥면이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 바닥면과 평행한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도 6과 같이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장변연결장치(70)는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20)와 상호 연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변연결장치(70)의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브라켓(71), 제4브라켓(72) 및 제2연결볼트(73)로 구성될 수 있다.
제3브라켓(71)은 도시된 것처럼 일측의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직선을 이루도록 각각 홀(71a)이 형성된 채 이격된 두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제4브라켓(72)은 타측의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71a)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홀(72a)이 형성된 채 제3브라켓(71)의 두 플레이트 사이로 끼워지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제2연결볼트(73)은 상기 제3브라켓(71)과 제4브라켓(72)에 형성된 홀들(71a, 72a)을 관통하여 연결시키는데, 미도시된 너트 등이 체결될 수도 있다.
즉, 제3브라켓(71)과 제4브라켓(72)은 각기 인접한 복공판의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된 채 서로 끼움 결합되기 위해 그 위치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3브라켓(71) 및 제4브라켓(7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 상단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 하단으로부터 상향되게 이격된 채 상단면이 상기 단변측벽플레이트(30) 상단면과 평행한 삼각형 형상을 이루며,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30)에 각기 설치된 제3브라켓(71)과 제4브라켓(72)이 끼워져 제2연결볼트(73)가 체결된 상태에서 두 장변측벽플레이트(20)는 하단이 서로 접하고, 제2연결볼트(73)는 중심이 두 장변측벽플레이트(20)의 하단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복공판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가설도로를 개설할 때 측면상에서 상하 두 지점 즉, 제2연결볼트(73)의 연결지점과 두 장변측벽플레이트(20) 하단이 접하는 면인 두 지점에서 지지되어 연장되는 복공판이 지형에 관계없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지형이 수평이 아닌 경우 두 지점에서 견고한 지탱이 이루어지게 되어 부분적인 침하의 발생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 내측면에는 원통형의 가이드부재(8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력부재(50)는 양측 끝단이 상기 가이드부재(80)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내부가 빈 강관으로 이루어져 있고, 강관 내부에 스티로폼(51)이 충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부력부재(50)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구성으로 바닥면에 돌출된 암반 등이 있을 경우 충격을 최소화하고 부력부재(50)가 찌그러들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부력부재(50)의 원할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80) 내주면에는 베어링삽입홈(8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삽입홈(81)에 베어링(82)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은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복공판을 하나씩 내려놓은 후 장변연결장치(70)를 이용하여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20)가 서로 맞닿은 채 서로 연결상태를 갖도록 하여 가설도로를 개설하게 된다.
가설도로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단변측벽플레이트(30)끼리 서로 맞댄 채 단변연결장치(60)를 이용하여 폭을 넓힐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저부에 설치된 부력부재(50)들은 가설도로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복공판을 내려놓는 과정이나 하중을 받는 과정에서 토사나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부에 차량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로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힘을 제공해주게 된다.
특히,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20) 하단이 서로 맞닿아 지지됨과 더불어 상부의 제2연결볼트(73)가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의 출렁임 현상을 최대한 방지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설도로를 철거할 때에는 설치의 역순으로 복공판들의 연결을 해제하면 된다.
10 : 상부플레이트 11 : 단변부
12 : 장변부 13 : 요철부
20 : 장변측벽플레이트 30 : 단변측벽플레이트
40 : 부력지지플레이트 41 : 안착홈
50 : 부력부재 51 : 스티로폼
60 : 단변연결장치 61 : 제1브라켓
62 : 제2브라켓 63 : 제1연결볼트
70 : 장변연결장치 71 : 제3브라켓
72 : 제4브라켓 73 : 제2연결볼트
80 : 가이드부재 81 : 베어링삽입홈
82 : 베어링
12 : 장변부 13 : 요철부
20 : 장변측벽플레이트 30 : 단변측벽플레이트
40 : 부력지지플레이트 41 : 안착홈
50 : 부력부재 51 : 스티로폼
60 : 단변연결장치 61 : 제1브라켓
62 : 제2브라켓 63 : 제1연결볼트
70 : 장변연결장치 71 : 제3브라켓
72 : 제4브라켓 73 : 제2연결볼트
80 : 가이드부재 81 : 베어링삽입홈
82 : 베어링
Claims (5)
- 복공판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단변부(11)와 장변부(12)가 구비된 장방형의 직사각형 형상을 취하되, 상면에는 양측에 상기 단변부(11)와 평행한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상부플레이트(1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장변부(1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0)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장변측벽플레이트(2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단변부(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단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단변측벽플레이트(30)와;
상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양 측벽은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 접한 채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에 다수 개의 "∪"형 단면의 안착홈(41)이 형성된 채, 상기 장변부(12)와 평행하게 다수 설치되어 있는 스틸 재질의 부력지지플레이트(40)와;
양단이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은 상기 안착홈(41)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는 부력부재(50)와;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접한 단벽측벽플레이트(30)와 상호 연결시키는 단변연결장치(60)와;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20)와 상호 연결시키는 장변연결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연결장치(60)는,
일측의 단변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직선을 이루도록 각각 홀(61a)이 형성된 채 이격된 두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1브라켓(61)과;
타측의 단변측벽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61a)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홀(62a)이 형성된 채 제1브라켓(61)의 두 플레이트 사이로 끼워지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2브라켓(62)과;
상기 제1브라켓(61)과 제2브라켓(62)에 형성된 홀들(61a, 62a)을 관통하여 연결시키는 제1연결볼트(6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변연결장치(70)는,
일측의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직선을 이루도록 각각 홀(71a)이 형성된 채 이격된 두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3브라켓(71)과;
타측의 장변측벽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71a)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홀(72a)이 형성된 채 제3브라켓(71)의 두 플레이트 사이로 끼워지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4브라켓(72)과;
상기 제3브라켓(71)과 제4브라켓(72)에 형성된 홀들(71a, 72a)을 관통하여 연결시키는 제2연결볼트(7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브라켓(71) 및 제4브라켓(72)은 상단이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 상단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장변측벽플레이트(20) 하단으로부터 상향되게 이격된 채 상단면이 상기 단변측벽플레이트(30) 상단면과 평행한 삼각형 형상을 이루며,
인접한 장변측벽플레이트(30)에 각기 설치된 제3브라켓(71)과 제4브라켓(72)이 끼워져 제2연결볼트(73)가 체결된 상태에서 두 장변측벽플레이트(20)는 하단이 서로 접하고, 제2연결볼트(73)는 중심이 두 장변측벽플레이트(20)의 하단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50)는 양측 끝단 둘레가 상기 단변측벽플레이트(30)에 용접되어 있고, 내부가 빈 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벽측벽플레이트(30) 내측면에는 원통형의 가이드부재(8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력부재(50)는 양측 끝단이 상기 가이드부재(80)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내부가 빈 강관으로 이루어져 있고, 강관 내부에 스티로폼(51)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80) 내주면에는 베어링삽입홈(8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삽입홈(81)에 베어링(8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5386A KR101301728B1 (ko) | 2013-04-01 | 2013-04-01 |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5386A KR101301728B1 (ko) | 2013-04-01 | 2013-04-01 |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1728B1 true KR101301728B1 (ko) | 2013-08-30 |
Family
ID=4922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5386A KR101301728B1 (ko) | 2013-04-01 | 2013-04-01 |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172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56368A (zh) * | 2019-04-11 | 2019-07-26 | 中铁三局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单线隧道的双向通车装置及施工方法 |
CN110295526A (zh) * | 2019-06-14 | 2019-10-01 | 广东工业大学 | 一种用于沼泽地的装配式路板及其安装方法 |
CN111663392A (zh) * | 2020-07-08 | 2020-09-15 | 绍兴市城投再生资源有限公司 | 一种控制新旧路基衔接处不均匀沉降的装置 |
CN113897837A (zh) * | 2021-11-19 | 2022-01-07 | 北京顺杰伟业消防工程有限公司 | 一种可移动式地板及其制作方法 |
CN115506190A (zh) * | 2022-10-16 | 2022-12-23 | 西安建工绿色建筑集团有限公司 | 一种预制混凝土拼装道路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1070A (ko) * | 2009-05-08 | 2010-11-17 | 김민우 | 다층 부력 부재의 연결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력 낚시터 |
KR101085213B1 (ko) * | 2011-04-25 | 2011-11-21 | (주)에스코스틸 | 복공판 |
-
2013
- 2013-04-01 KR KR1020130035386A patent/KR10130172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1070A (ko) * | 2009-05-08 | 2010-11-17 | 김민우 | 다층 부력 부재의 연결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력 낚시터 |
KR101085213B1 (ko) * | 2011-04-25 | 2011-11-21 | (주)에스코스틸 | 복공판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56368A (zh) * | 2019-04-11 | 2019-07-26 | 中铁三局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单线隧道的双向通车装置及施工方法 |
CN110295526A (zh) * | 2019-06-14 | 2019-10-01 | 广东工业大学 | 一种用于沼泽地的装配式路板及其安装方法 |
CN110295526B (zh) * | 2019-06-14 | 2023-08-18 | 广东工业大学 | 一种用于沼泽地的装配式路板及其安装方法 |
CN111663392A (zh) * | 2020-07-08 | 2020-09-15 | 绍兴市城投再生资源有限公司 | 一种控制新旧路基衔接处不均匀沉降的装置 |
CN113897837A (zh) * | 2021-11-19 | 2022-01-07 | 北京顺杰伟业消防工程有限公司 | 一种可移动式地板及其制作方法 |
CN115506190A (zh) * | 2022-10-16 | 2022-12-23 | 西安建工绿色建筑集团有限公司 | 一种预制混凝土拼装道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73195B2 (en) | Pipeline crossing bridge | |
KR101301728B1 (ko) | 초습지 가설 도로용 부력 복공판 | |
KR100243401B1 (ko) | 지하 매설관용 지지구조물 | |
CN110670433B (zh) | 一种在软土地基上构建道路的施工结构 | |
JP5815360B2 (ja) | 改良地盤、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JP5700888B1 (ja) | 路面用排水部材及び路面用排水部材を敷設する方法 | |
US9714490B2 (en) | Bridge | |
KR100901886B1 (ko) | 조립식블록 사방댐의 블록 고정 기초 | |
KR101020856B1 (ko) | 지중 강관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 |
KR101097995B1 (ko) | 강성포장용 콘크리트 모듈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급속시공방법 | |
CN217579585U (zh) | 可循环施工便道单元、施工便道 | |
US10689811B2 (en) | System,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raised ground cover mat | |
CN203890826U (zh) | 一种带夹具的临时钢板道路 | |
CN212612060U (zh) | 一种缓解侧陡降的箱涵结构 | |
CA2750775C (en) | Pipeline crossing bridge | |
JPH0352256Y2 (ko) | ||
JP6591838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及び同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を備えた貯留槽 | |
CA2932128C (en) | Bridge | |
JP3125931U (ja) | 側溝の道路横断構造 | |
KR100506501B1 (ko) | 조적식 옹벽 축조용 보강블럭 및 그 시공방법 | |
KR20120122114A (ko) | 준설투기토 감량화를 위한 진공압밀용 배수재의 시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JP6095967B2 (ja) | 地盤沈下対策構造 | |
RU2249146C1 (ru) | Полимерно-панельное анке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па) мухаметдинова | |
KR101830627B1 (ko) | 토목 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 |
JP2008231756A (ja) | ガードレール等を支持する為の支柱の沈下防止装置及び支柱の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