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416B1 - 폐비닐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폐비닐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416B1
KR101301416B1 KR1020110146539A KR20110146539A KR101301416B1 KR 101301416 B1 KR101301416 B1 KR 101301416B1 KR 1020110146539 A KR1020110146539 A KR 1020110146539A KR 20110146539 A KR20110146539 A KR 20110146539A KR 101301416 B1 KR101301416 B1 KR 10130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vinyl
roller
washing
frame
driv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690A (ko
Inventor
김상일
Original Assignee
김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일 filed Critical 김상일
Priority to KR102011014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4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86Cleaning means used for separation
    • B29B2017/0289Washing the materials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폐비닐롤러로부터 풀려나오는 폐비닐을 구동프레임을 통해 세척프레임으로 이송되도록 한 후, 상기 세척프레임의 하부 일측으로 입력된 폐비닐이 하부구동롤러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동 과정 중 다수 개의 세척장치에 의해 표면에 붙어있는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며, 오염물질이 제거된 폐비닐이 세척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구동롤러에 의해 일측면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폐비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세척장치는, 일측으로 입력되는 폐비닐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동구동롤러, 상기 수동구동롤러와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며 일측으로 입력되는 상기 폐비닐을 상기 수동구동롤러와 함께 안내하는 하부제1구동롤러, 상기 하부제1구동롤러와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수동구동롤러 및 하부제1구동롤러에 의해 안내되어 입력되는 폐비닐을 상부로 안내하는 하부제2구동롤러, 상기 하부제1구동롤러 및 하부제2구동롤러에 의해 구동초기에 안내되는 폐비닐을 상부로 안내하도록 회전하거나 또는 상부로 안내가 완료된 상기 폐비닐을 세척하도록 회전하는 제1 내지 제7세척롤러,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를 통해 안내된 폐비닐을 상부로 안내하도록 상호 접촉된 상부제1구동롤러 및 상부제2구동롤러와 상기 상부제2구동롤러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와 상부제2구동롤러에 의해 상부로 안내된 폐비닐을 측면으로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구비하는 세척프레임과; 상기 세척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폐비닐롤러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 및 상기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폐비닐롤러의 일측 끝단의 폐비닐을 고정하여 상기 세척프레임으로 안내하는 구동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비닐을 수직으로 상부로 올리면서 세척을 진행하기 때문에 표면에 묻은 물이 수직하부로 낙하하게 되어, 세척을 위해 분사된 물이 폐비닐의 표면에 남아 무게를 가중하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세척의 효율이 향상되게 되며, 폐비닐롤러가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정역회전이 가능하고 또한 이송부가 구비된 구동프레임에 의해 폐비닐이 세척프레임에 입력되기 때문에 폐비닐의 이송 및 세척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폐비닐 세척장치 {Waste vinyl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폐비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비닐롤러로부터 풀려나오는 폐비닐을 구동프레임을 통해 세척프레임으로 이송되도록 한 후, 상기 세척프레임의 하부 일측으로 입력된 폐비닐이 하부구동롤러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동 과정 중 다수 개의 세척장치에 의해 표면에 붙어있는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며, 오염물질이 제거된 폐비닐이 세척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구동롤러에 의해 일측면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폐비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의 재배 등에 의해 발생하는 폐비닐의 경우 수거 후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한 세척과정을 거친 다음 재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폐비닐을 수거된 원형대로 재활용하지 못한 채 잘게 절단한 후 세척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비닐을 재생산해야 하는 공정이 부가적으로 요구되곤 하였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8-0077789호 (공개일자: 2008.08.26.) 는 농업용으로 사용되고 버려지는 폐비닐을 수거하여 잘게 절단한 다음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절단 및 세척이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폐비닐의 배출량에 비례하여 투입되는 폐비닐의 과투입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폐비닐을 원형대로 재생하지 못한 채 1차적으로 폐비닐을 잘게 절단한 후 세척함으로써 필요한 비닐을 규격에 맞추어 재생산해야 하는 부가공정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후 등록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51643호 (등록일자: 2006.11.23.) 는 상기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비닐을 원형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의 일측으로 상기 폐비닐을 투입시킨 후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폐비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비닐이 수평방향으로 투입되는 상태에서 세척액 또는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기 때문에 폐비닐이 물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하부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폐비닐의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기술에 의하면, 수평방향의 일측으로 입력된 폐비닐이 세척장치를 통과하면서 세척되어 가는 중 폐비닐의 상부에 위치한 세척액 또는 물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된 세척액 또는 물이 상기 폐비닐을 하부로 쳐지게 함으로써 폐비닐의 다른 일측으로의 출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은 세척과정을 이중으로 형성함으로써 구성이 중복되어 복잡한 문제가 있으며, 구성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평방향으로의 폐비닐 투입에 따른 상기 문제점으로 인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KR 10-2008-0077789 A 2008.08.26. KR 10-0651643 B1 2006.11.23.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거된 폐비닐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한 채 표면에 달라 붙어있는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거된 폐비닐이 감겨있는 폐비닐롤러를 지지프레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폐비닐롤러의 일측 끝단을 구동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이송부로 고정하여 세척프레임으로 이송한 다음, 상기 세척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된 수동구동롤러 및 하부구동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폐비닐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다수 개의 세척장치로 상기 폐비닐의 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기 위한 폐비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세척장치는, 일측으로 입력되는 폐비닐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동구동롤러, 상기 수동구동롤러와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며 일측으로 입력되는 상기 폐비닐을 상기 수동구동롤러와 함께 안내하는 하부제1구동롤러, 상기 하부제1구동롤러와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수동구동롤러 및 하부제1구동롤러에 의해 안내되어 입력되는 폐비닐을 상부로 안내하는 하부제2구동롤러, 상기 하부제1구동롤러 및 하부제2구동롤러에 의해 구동초기에 안내되는 폐비닐을 상부로 안내하도록 회전하거나 또는 상부로 안내가 완료된 상기 폐비닐을 세척하도록 회전하는 제1 내지 제7세척롤러,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를 통해 안내된 폐비닐을 상부로 안내하도록 상호 접촉된 상부제1구동롤러 및 상부제2구동롤러와 상기 상부제2구동롤러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와 상부제2구동롤러에 의해 상부로 안내된 폐비닐을 측면으로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구비하는 세척프레임과; 상기 세척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폐비닐롤러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 및 상기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폐비닐롤러의 일측 끝단의 폐비닐을 고정하여 상기 세척프레임으로 안내하는 구동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폐비닐 세척장치는, 세척프레임에 형성되는 제3세척롤러의 양측면 상부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 분사장치가 더 구비되며, 세척프레임의 하부에는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오수를 집수하기 위한 하부저수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폐비닐 세척장치는,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에 수용된 폐비닐롤러가 폐비닐의 원활한 풀림을 위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하며, 구동프레임의 상부에는 폐비닐의 끝단을 압착하여 안내하기 위한 상하의 폐비닐이송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동프레임의 하부에는 구동을 위한 구동프레임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폐비닐 세척장치는, 폐비닐이송부가 결속장치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하며, 구동프레임롤러는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비닐을 절단하지 않은 채 원형 그대로 세척하여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닐의 재생을 위한 부가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비닐을 수직으로 상부로 올리면서 세척을 진행하기 때문에 표면에 묻은 물이 수직하부로 낙하하게 되어, 세척을 위해 분사된 물이 폐비닐의 표면에 남아 무게를 가중하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세척의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비닐롤러가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정역회전이 가능하고 또한 이송부가 구비된 구동프레임에 의해 폐비닐이 세척프레임에 입력되기 때문에 폐비닐의 이송 및 세척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세척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세척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세척장치에 사용되는 세척롤러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세척장치의 세척프레임 내에 형성되는 수동구동롤러, 상하부구동롤러 및 안내롤러에 의해 폐비닐이 하부로 입력되어 상부로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세척장치의 세척프레임 내에 형성되는 롤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세척장치의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에 폐비닐롤러가 장착되는 모습 및 구동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종래 수평방향으로 구성된 세척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세척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2의 경우 내부에 형성되는 롤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세척프레임(60)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프레임(60a)은 편의상 생략하였다. 도1에 도시된 상기 가로프레임(60a)은 세척프레임(60) 내에 설치되는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며 구성형태도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도1의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비닐이 롤 형태로 일정 축에 감겨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81)에 장착되게 되며, 상기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81)에 안착된 폐비닐롤러(90)의 일측 끝단의 폐비닐(1)을 세척프레임(60)의 하부 일측으로 입력함으로써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세척장치의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81)에 폐비닐롤러(90)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축에 감겨진 폐비닐(1)이 축과 함께 일체로 상기 지지프레임(81)에 장착됨으로써 작업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도1, 도2 및 도6을 참조하면, 상기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81)의 일측에 폐비닐(1)을 세척프레임(60)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프레임(82)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상기 구동프레임(82)의 상부에는 폐비닐(1)의 끝단을 상하에서 압착하여 세척프레임(60)으로 안내하기 위한 폐비닐이송부(84a, 84b)가 폐비닐(1)의 폭에 걸쳐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프레임(82)의 하부에는 폐비닐(1)이 상부의 폐비닐이송부(84a, 84b)에 의해 압착고정된 후 세척프레임(60)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구동프레임롤러(83)가 양측에 구비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프레임롤러(83)가 하부 양측에 각각 다수 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상기 구동프레임롤러(83)는 구동의 형태에 따라 개수 등을 달리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프레임롤러(83)가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레일(86)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레일(86) 또한 필요에 따라 부가 또는 삭제가 가능한 것으로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비닐롤러(90) 뭉치가 지지프레임(81)에 안착되도록 한 후 폐비닐(1)의 끝단을 구동프레임(82) 상부에 형성된 폐비닐이송부(84a, 84b)에 압착시킨 다음, 상기 구동프레임(82) 하부에 형성된 구동프레임롤러(83)의 구동에 따라 폐비닐이 세척프레임(60)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비닐(1)이 상기 폐비닐이송부(84a, 84b)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프레임롤러(83)의 구동에 따라 이송되기 때문에, 일정 폭을 갖는 폐비닐(1)의 이송이 한 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하로 형성되는 상기 폐비닐이송부(84a, 84b)의 결합을 위해 필요에 따라 결속장치(8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폐비닐(1)은 수거시 폐비닐롤러(90)의 축에 가지런한 상태로 감기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폐비닐롤러(90)를 세척을 위해 다시 풀어야 하는 경우 상기 폐비닐롤러(90)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즉, 상기 폐비닐롤러(90)에 감긴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풀림이 비교적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으나, 폐비닐이 접혀서 감겨져 있거나 폐비닐의 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 등에 의해 인접한 폐비닐간 상호 접착되어 있는 등으로 풀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81)에 회전기능을 부가하여 상기 지지프레임(81)에 안착되는 폐비닐롤러(9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폐비닐롤러(90)로부터 폐비닐(1)이 원활하게 풀릴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프레임(81)에 안착된 폐비닐롤러(90)를 정회전시켜 폐비닐(1)이 세척프레임(60) 방향으로 풀릴 수 있도록 하되, 폐비닐(1)의 풀림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역회전을 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정회전과 역회전을 번갈아 병용함으로써 폐비닐(1)의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81)의 정역회전에 따라 폐비닐(1)이 힘을 받아 찢어지는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폐비닐(1) 끝단이 고정된 구동프레임(82)이 하부에 형성된 구동프레임롤러(83)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구동될 수 있기 때문에 폐비닐(1)에 가해지는 힘은 크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81)의 정역회전은 스위치 입력과 모터의 구동에 따라 행해지는 것으로서 스위치 및 모터의 구조는 일반적인 형태의 공지된 기술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1, 도2 및 도6에 의하면 본 발명의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81)의 경우 상부에 일정 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홈에 폐비닐롤러(90)의 축이 안착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폐비닐롤러(9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도면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폐비닐롤러(90)가 지지프레임(81)에 안착된 후 정역회전을 위해 결합되는 구조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의 치차의 결합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폐비닐롤러(90)가 원활하게 풀릴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81) 상에 위치하는 상기 폐비닐롤러(90)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는 구성의 부가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폐비닐(1)이 가지런하게 수거되지 못하는 특성상, 축의 정역회전에 의해서도 풀림이 원활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폐비닐롤러(90)를 지지프레임(81)상에서 좌우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폐비닐롤러(90)에 감겨진 폐비닐(1)이 원활하게 풀리도록 할 수 있다. 폐비닐롤러(90)가 지지프레임(81) 상에서 좌우로 구동되는 구성은 도면상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이를 테면 도1의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8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폐비닐롤러(90)의 축이 안착되는 홈을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후 축이 좌우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을 부가한 후 상기 축에 구동모터를 연결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폐비닐롤러(90)의 좌우구동을 위한 구성 또한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세척장치의 세척프레임(60) 내에 형성되는 수동구동롤러(20), 상하부구동롤러(30, 40) 및 안내롤러(18)에 의해 폐비닐(1)이 하부로 입력되어 상부로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5는 상기 세척프레임(60) 내에 형성되는 롤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4 및 도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척프레임(60) 및 롤러의 축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프레임(60a)이 생략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비닐롤러(90)가 지지프레임(81)에 안착된 상태에서 폐비닐(1)의 끝단이 구동프레임(82)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폐비닐이송부(84a, 84b)에 의해 세척프레임(60)으로 안내된 후, 상기 세척프레임(60)의 하부로 상기 폐비닐(1)이 입력되게 된다. 상기 폐비닐(1)의 입력은 수동구동롤러(2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수동구동롤러(20)에는 구동을 위한 구동휠(21)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구동휠(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동구동롤러(20)가 회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구동롤러(20)가 하부제1구동롤러(30a)와 접촉된 상태로 형성되게 되며, 상기 수동구동롤러(20)와 하부제1구동롤러(30a)가 맞물려 돌아가는 접촉면으로 상기 폐비닐(1)이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제1구동롤러(30a)는 하부제2구동롤러(30b)와 접촉된 상태로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수동구동롤러(20)와 하부제1구동롤러(30a)의 접촉면으로 입력된 폐비닐(1)이 상기 하부제1구동롤러(30a)와 하부제2구동롤러(30b)의 접촉면으로 입력되어 상부로 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프레임(60)의 하부로 입력된 폐비닐(1)이 수동구동롤러(20)의 수동 구동에 의한 하부제1,2구동롤러(30a, 30b)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부로 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동구동롤러(20)와 하부제2구동롤러(30b)는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동구동롤러(20)의 회전에 따라 하부제2구동롤러(30b)의 회전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프레임(60) 하부로 입력되는 폐비닐(1)의 초기 입력시에는 수동구동롤러(20)를 수동으로 구동하도록 하게 되는데, 입력된 상기 폐비닐(1)은 상부로 올려지면서 후술하는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 및 상부제1,2구동롤러(40a, 40b)의 회전력에 의해 상부로 연속해서 올려지면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부방향(A방향) 또는 하부방향(B방향)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세척을 위해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폐비닐(1)을 세척프레임(60)으로 입력하는 초기에는 스위치 동작을 통해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가 상부방향(A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를 구동하게 되는데,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의 고속회전에 의해 폐비닐(1)의 상부 이동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게 되지 않도록 하부의 수동구동롤러(20)를 이용하여 상기 폐비닐(1)의 상부이동속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하부구동롤러(30a, 30b)에 의해 상부로 입력되는 폐비닐(1)은 상부방향(A방향)으로 고속회전하는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에 의해 고속으로 상부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데, 지나치게 고속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폐비닐(1)의 끝단이 상호 접촉되어 구동되는 상부제1구동롤러(40a) 및 상부제2구동롤러(40b)의 접촉면으로 출력되기까지는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에 위치한 수동구동롤러(20)의 구동휠(21)을 수동으로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초기 입력되는 폐비닐(1)의 끝단이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의 회전에 의해 고속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구동롤러는 상부제1구동롤러(40a) 및 상부제2구동롤러(40b)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40a) 및 상부제2구동롤러(40b)는 상호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40a) 및 상부제2구동롤러(40b)는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와는 별도의 스위치 및 모터로 제어되도록 하며 구동속도 또한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의 고속회전과는 달리 폐비닐(1)이 적절한 속도로 이동될 수 있도록 비교적 저속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40a)와 상부제2구동롤러(40b)는 각각 회전력이 부가되어 회전될 수도 있고, 이를테면 상부제1구동롤러(40a)에만 회전력을 가하고, 접촉되어 회전하는 상부제2구동롤러(40b)는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40a)와의 접촉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초기에 하부로 입력되는 폐비닐(1)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40a) 및 상부제2구동롤러(40b)의 사이로 출력된 후에는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40a) 및 상부제2구동롤러(40b)의 구동속도에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즉, 세척프레임(60)의 하부로 입력된 폐비닐(1)은 수동구동롤러(20)의 수동 구동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게 되며, 이동 중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의 고속회전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도록 상기 수동구동롤러(2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안정된 속도로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40a) 및 상부제2구동롤러(40b)의 접촉면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폐비닐(1)이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40a) 및 상부제2구동롤러(40b)의 접촉면으로 출력된 후에는 하부의 수동구동롤러(20)의 수동제어는 중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 폐비닐(1)이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40a) 및 상부제2구동롤러(40b)의 사이로 출력되게 되면, 곧바로 스위치 구동을 통해 상부방향(A방향)으로 회전하던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의 회전방향을 하부방향(B방향)으로 변환하도록 한다. 상부방향(A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는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의 회전에 따라 상부로 이동되는 폐비닐(1)은 하부의 수동구동롤러(20)의 제어를 통해 적절한 속도로 상부제1구동롤러(40a)와 상부제2구동롤러(40b)의 사이로 출력되게 되며, 이후로는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40a)와 상부제2구동롤러(40b)의 속도에 따라 출력되게 된다. 이때 곧바로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의 회전방향을 하부(B방향)로 향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폐비닐(1)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의 회전을 폐비닐(1)의 이동방향(A방향)과 반대방향(B방향)으로 함으로써 폐비닐(1)이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폐비닐(1)의 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에 대한 적절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척롤러(10)는 양측에 세척롤러축(10a)이 형성되고 축의 둘레를 따라 유연재질의 세척솔(10b)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척롤러(10)를 좌우로 7쌍 구비하여 상하로 인접하여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세척프레임의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는 각 쌍을 이루는 좌우의 세척롤러가 상호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각 쌍의 세척롤러를 통과하는 폐비닐(1)의 표면에 붙어있는 각종 이물질이 하부로 쓸려 내려가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는 폐비닐(1)이 입력되는 초기에는 상부방향(A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폐비닐(1)이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되, 상기 폐비닐(1)이 상부로 이동되어 상부제1구동롤러(40a) 및 상부제2구동롤러(40b)의 접촉면으로 출력된 후에는 곧바로 하부방향(B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폐비닐(1)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세척롤러(13a, 13b)의 양측면 상부에 물 분사장치(70a, 70b)를 구비하고 상기 물 분사장치(70a, 70b)를 통해 상기 제3세척롤러(13a, 13b)의 하부로 형성되는 제1내지 제3세척롤러(11a ~ 13b)에 물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폐비닐(1)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폐비닐(1)에는 각종 이물질이 달라 붙어있게 되는데,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하부로 입력되는 상기 폐비닐(1)의 표면에 물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세척롤러에 의한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내지 제3세척롤러(11a ~ 13b)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부분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고, 이후 제4내지 제7세척롤러(14a, 17b)는 폐비닐(1)에 남아있는 나머지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하부에서 공급된 물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하부로 입력된 초기의 폐비닐(1)의 표면에 붙어있던 이물질이 물기에 의해 제거되도록 한 후, 폐비닐(1)의 표면에 남아 있는 물이 제4내지 제7세척롤러(14a ~ 17b)의 유연재질의 솔에 의해 제거된 후에 상부로 출력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폐비닐(1)의 세척에 의해 떨어지는 오수는 세척프레임(6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저수조(50)에 모이도록 하고, 상기 오수는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되어 정화장치(미도시)를 통해 정화된 후 다시 폐비닐(1)을 세척하기 위한 물로 재활용되도록 함으로써 폐비닐(1) 세척에 따른 환경오염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상기 오수의 정화 및 재활용을 위한 구성은 기존의 공지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부로 이송되어 출력되는 폐비닐(1)은 상부제2구동롤러(40b) 쪽으로 안내되어 일측으로 모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제2구동롤러(40b)의 측면에 안내롤러(18)를 더 구비하고 회전방향을 폐비닐(1)의 출력방향과 같도록 함으로써, 세척 후 상부로 출력된 폐비닐(1)이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17b)와의 접촉으로 세척롤러 내부로 말려 들어가는 등의 고장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7은 종래기술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폐비닐이 입력된 후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척장치 및 세척액 또는 물 분사장치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폐비닐(1) 자체의 무게에 세척액 또는 물의 무게가 가중됨으로써 출력이 용이하지 않게 되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폐비닐(1)이 상부로 이동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의 무게가 폐비닐(1)에 미치는 영향이 없으며, 폐비닐(1)은 상부로 이동하면서 남아있는 물 또는 이물질은 세척롤러에 의해 하부로 밀려 내려가게 되기 때문에 물 또는 이물질의 제거가 확실하게 되어 세척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폐비닐
10: 세척롤러
10a: 세척롤러축 10b: 세척솔
11a, 11b: 제1세척롤러 12a, 11b: 제2세척롤러
13a, 13b: 제3세척롤러 14a, 14b: 제4세척롤러
15a, 15b: 제5세척롤러 16a, 16b: 제6세척롤러
17a, 17b: 제7세척롤러
18: 안내롤러
20: 수동구동롤러 21: 구동휠
30a: 하부제1구동롤러 30b: 하부제2구동롤러
40a: 상부제1구동롤러 40b: 상부제2구동롤러
50: 하부저수조 51: 배출구
60: 세척프레임 60a: 가로프레임
70a, 70b: 물 분사장치
81: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 82: 구동프레임
83: 구동프레임롤러 84a, 84b: 폐비닐이송부
85: 폐비닐이송부 결속장치 86: 레일
90: 폐비닐롤러

Claims (4)

  1. 일측으로 입력되는 폐비닐(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동구동롤러(20);
    상기 수동구동롤러(20)와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며, 일측으로 입력되는 상기 폐비닐(1)을 상기 수동구동롤러(20)와 함께 안내하는 하부제1구동롤러(30a);
    상기 하부제1구동롤러(30a)와의 접촉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수동구동롤러(20) 및 하부제1구동롤러(30a)에 의해 안내되어 입력되는 폐비닐(1)을 상부로 안내하는 하부제2구동롤러(30b);
    상기 하부제1구동롤러(30a) 및 하부제2구동롤러(30b)에 의해 구동초기에 안내되는 폐비닐(1)을 상부로 안내하도록 회전하거나 또는 상부로 안내가 완료된 상기 폐비닐(1)을 세척하도록 회전하는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 ~ 17b);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17b)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내지 제7세척롤러(11a~17b)를 통해 안내된 폐비닐(1)을 상부로 안내하도록 상호 접촉된 상부제1구동롤러(40a)와 상부제2구동롤러(40b) 및
    상기 상부제2구동롤러(40b)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상부제1구동롤러(40a)와 상부제2구동롤러(40b)에 의해 상부로 안내된 폐비닐(1)을 측면으로 안내하는 안내롤러(18)를 구비하는 세척프레임(60)과;
    상기 세척프레임(60)의 일측에 형성되며, 폐비닐롤러(90)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81) 및
    상기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81)에 의해 지지되는 폐비닐롤러(90)의 일측 끝단의 폐비닐(1)을 고정하여 상기 세척프레임(60)으로 안내하는 구동프레임(8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프레임(60)에 형성되는 제3세척롤러(13a, 13b)의 양측면 상부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 분사장치(70a, 70b)가 더 구비되며,
    상기 세척프레임(60)의 하부에는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오수를 집수하기 위한 하부저수조(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롤러 지지프레임(81)에 수용된 폐비닐롤러(90)는 폐비닐(1)의 원활한 풀림을 위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구동프레임(82)의 상부에는 폐비닐(1)의 끝단을 압착하여 안내하기 위한 상하의 폐비닐이송부(84a, 84b)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동프레임(82)의 하부에는 구동을 위한 구동프레임롤러(8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이송부(84a, 84b)는 결속장치(85)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구동프레임롤러(83)는 레일(86)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세척장치.
KR1020110146539A 2011-12-29 2011-12-29 폐비닐 세척장치 KR101301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539A KR101301416B1 (ko) 2011-12-29 2011-12-29 폐비닐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539A KR101301416B1 (ko) 2011-12-29 2011-12-29 폐비닐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690A KR20130077690A (ko) 2013-07-09
KR101301416B1 true KR101301416B1 (ko) 2013-08-28

Family

ID=4899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539A KR101301416B1 (ko) 2011-12-29 2011-12-29 폐비닐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3815A (zh) * 2016-11-15 2017-05-31 成都蒲江珂贤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过滤膜清洁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167B1 (ko) * 2020-03-24 2020-12-04 주식회사 제이엘컴퍼니 텐트 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세제통을 구비한 텐트 세척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723A (ja) * 2002-12-24 2004-07-22 Kayaba Ind Co Ltd 樹脂フィルムの洗浄機
JP2008178772A (ja) * 2007-01-23 2008-08-07 Hitachi Chem Co Ltd テープ状部材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723A (ja) * 2002-12-24 2004-07-22 Kayaba Ind Co Ltd 樹脂フィルムの洗浄機
JP2008178772A (ja) * 2007-01-23 2008-08-07 Hitachi Chem Co Ltd テープ状部材洗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3815A (zh) * 2016-11-15 2017-05-31 成都蒲江珂贤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过滤膜清洁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690A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6917B2 (ja) 搬送面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KR101301416B1 (ko) 폐비닐 세척장치
CN209439081U (zh) 格栅自动清洗机
CN102232023A (zh) 干式柔性版印刷板清洁器系统及方法
CN204505663U (zh) 一次性乳胶及pvc手套自动脱模装置
CN101569432B (zh) 流水线式萝卜清洗装置
CN115338216B (zh) 一种显示面板的清洗设备及清洗方法
ITVI20070235A1 (it) Macchina perfezionata per la pulizia di superfici laminari flessibili.
US73925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sails
KR101167161B1 (ko) 벨트 컨베이어
EP3330010B1 (en) Apparatus for cleaning of a printed band of flexible material and method of using this apparatus
KR200390604Y1 (ko)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용 컨베이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1790665A (zh) 包装盒生产用模切机刀版的清理装置
EP2903797B1 (de) BANDGIEß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KR101408442B1 (ko) 합성수지 박피용 재생장치
KR102423000B1 (ko) 청소용 점착테이프 제조 설비의 롤러 세척장치
CN112090627B (zh) 一种纳米光催化剂人造板处理设备
JP2012192602A (ja) 廃プラスチックシート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機構
CN205634938U (zh) 一种机械格栅除污装置
CN200988042Y (zh) 用于桶刷洗的电动拖车
CN204722234U (zh) 水洗梗输送机的清洁喷吹装置、水洗梗输送机及洗梗机
CN214782319U (zh) 一种环保再生棉开花机
CN203711396U (zh) 拉链超声波清洗装置
CN211309811U (zh) 一种垃圾发电厂炉渣输选防尘及防垃圾坠落装置
CN219895609U (zh) 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