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091B1 -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091B1
KR101301091B1 KR1020100006969A KR20100006969A KR101301091B1 KR 101301091 B1 KR101301091 B1 KR 101301091B1 KR 1020100006969 A KR1020100006969 A KR 1020100006969A KR 20100006969 A KR20100006969 A KR 20100006969A KR 101301091 B1 KR101301091 B1 KR 10130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body information
health care
top box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515A (ko
Inventor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스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스마트
Priority to KR1020100006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0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rd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이상의 신체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신체측정결과를 사용자의 신체기능에 대한 신체정보를 관리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셋탑박스에 제공하여 셋탑박스와 연결되는 건강관리 서버에 제공함으로서, 종합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실행된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상에서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무선입력장치를 제공하여 정보통신기기의 조작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IrDA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using thereby}
본 발명은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IPTV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시퀀스를 설정하기 위한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IT와 의료 서비스가 결합하여 전문의료기관이 아닌 일반 가정집 및 노인시설등에서 언제 어디서나 신체상태 관리, 질병 예방, 진단 및 치료, 사후관리 등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소위 U-Health 서비스 시스템이 다양한 형태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시되고 있는 U-Health 서비스 시스템은 체지방계, 체중계, 혈압계, 맥박계 및 혈당계 등 다양한 형태의 신체측정장치에 유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측정된 신체정보를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건강관리서버에 제공하여 전반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U-Health 서비스 시스템은, 해당 신체측정장치가 측정한 신체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버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전용 정보통신기기를 구비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노약자 등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사용자는 신체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측정했다 하더라도, 해당 정보통신기기를 조작하여 신체측정결과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버에 전송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체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신체측정결과를 별도의 전용기기가 아닌 가정집 및 노인시설 등에 구비된 IPTV 서비스 장치 등을 통해 건강관리서버에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약자 등이 조작하기 어려운 정보통신기기를 단순한 조작으로 손쉽게 제어하여 신체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PTV 기반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측정한 결과값인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신체정보 수신부를 구비하고,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메뉴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한 메뉴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사용자로부터 설정종료에 해당하는 입력을 받으면, 그 시점까지 진행된 메뉴선택 내용이 적용된 개시코드 및, 신체기능을 측정하여 수치화한 신체정보가 적용된 데이터코드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시퀀스 생성부; 상기 시퀀스 생성부가 생성한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시퀀스 저장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함에 의하여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상에서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개시코드; 상기 제어신호 값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셋탑박스의 통신수신모듈의 동작을 요청하는 기능코드; 상기 신체정보의 종류를 정의하는 데이터구분 코드;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비트값인 데이터코드; 제어신호의 오류체크비트인 체크디지트; 및, 제어신호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PTV 기반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는, IPTV 기반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측정한 결과값에 대응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는 측정부를 구비하고,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메뉴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한 메뉴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사용자로부터 설정종료에 해당하는 입력을 받으면, 그 시점까지 진행된 메뉴선택 내용이 적용된 개시코드 및, 신체기능을 측정하여 수치화한 신체정보가 적용된 데이터코드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시퀀스 생성부; 상기 시퀀스 생성부가 생성한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시퀀스 저장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함에 의하여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상에서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개시코드; 상기 제어신호 값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셋탑박스의 통신수신모듈의 동작을 요청하는 기능코드; 상기 신체정보의 종류를 정의하는 데이터구분 코드;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비트값인 데이터코드; 제어신호의 오류체크비트인 체크디지트; 및, 제어신호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는 적외선 IrDA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신체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혈압, 혈당, 맥박, 체온 또는 체지방 중 하나에 대한 수치값일 수 있다.
상기 신체정보 수신부는, 적외선 IrDA 모듈, Zigbee 모듈, RF송수신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송수신 모듈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IPTV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는, 양방향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IPTV 서비스 장치;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IPTV 서비스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양방향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 및 재생하고, 사용자의 신체기능에 대한 신체정보를 관리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셋탑박스; 상기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셋탑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신체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신체정보에 따라 사용자별로 신체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건강분석결과를 상기 셋탑박스에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버; 및, 상기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실행된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상에서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무선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개시코드; 상기 제어신호 값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셋탑박스의 통신수신모듈의 동작을 요청하는 기능코드; 상기 신체정보의 종류를 정의하는 데이터구분 코드;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비트값인 데이터코드; 제어신호의 오류체크비트인 체크디지트; 및, 제어신호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상기 셋탑박스에 제공하는 중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IPTV 기반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신체정보 입력방법은, (a) 신체정보 수신부가 신체측정장치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신체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측정부가 하나이상의 신체기능을 통합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절차가 정의된 제어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조작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호출하고, 상기 제어신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b1) 조작부가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시작을 입력받는 단계; (b2) 조작부가 구동중인 IPTV 메뉴상에서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선택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b3) 조작부가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종료를 입력받으면, 상기 (b2) 단계의 입력결과에 대응하여 시퀀스 생성부가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시퀀스 저장부가 상기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및, (c)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신부가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함에 의하여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개시코드; 상기 제어신호 값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셋탑박스의 통신수신모듈의 동작을 요청하는 기능코드; 상기 신체정보의 종류를 정의하는 데이터구분 코드;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비트값인 데이터코드; 제어신호의 오류체크비트인 체크디지트; 및, 제어신호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이상의 신체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측정된 신체측정결과를 IPTV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와 연동하는 건강관리서버를 통해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체정보를 관리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이상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IPTV 서비스 상의 메뉴선택을 미리 시퀀스 설정하여 하나의 키조작만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IPTV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의 코드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입력장치의 제어신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IPTV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보된 무선입력장치 및 중계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보된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IPTV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IPTV 서비스 제공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VOD, 어플리케이션 등의 양방향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IPTV 서비스 장치(100)와, 이와 연결되어 각종 양방향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는 셋탑박스(130)와,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70)와,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측정 및 수치화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신체정보를 셋탑박스(130)에 제공 및, 신체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300)와, 무선입력장치(300)에 의해 전송된 신체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관리하는 건강관리서버(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IPTV 서비스 장치(1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 지역에 분산하여 위치하는 단말기에 각종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고, 컨텐츠 제공에 대한 단말의 응답을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서, 양방향 디지털 컨텐츠 제공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IPTV 서비스 장치(100)는 영상 및 음성신호,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공급하는 베이스밴드 시스템과, 데이터를 압축 및 다중화하고 IP 패킷화하는 압축 다중화 시스템과,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리턴패스 시스템 및, 보안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셋탑박스(130)는 전술한 IPTV 서비스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각종 양방향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70)를 통해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여 이를 IPTV 서비스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셋탑박스(130)는 실행하고자 하는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 저장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용 리모트 컨트롤(미도시) 뿐만 아니라, 신체정보 입력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전술한 어플리케이션은 정보통신망에 연결된 건강관리서버(800)와 연동하여 신체정보를 전송 및 관리한다.
이러한 셋탑박스(130)는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저전력, 고성능의 CPU, 이더넷과 같은 네트워크 연결수단, 다양한 포맷의 동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디스플레이장치 연결수단, 및 인터넷 프로토콜 지원수단 등을 구비한다.
무선입력장치(300)는 신체기능을 측정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전술한 셋탑박스(13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종래 상용화된 가정용 의료 단말기와 같이 사용자의 체지방, 체중, 혈압, 맥박 및 혈당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사용자 신체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입력장치(300)에 신체기능 측정을 위해 구비되는 센서의 일 예로서, 혈압측정 및 압력검출 방법으로는 오실로메트릭 방식 및 반도체 스트렌게이지 방식이 이용 될 수 있다. 또한, 체온 측정방법으로는 적외선 방사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체지방 측정 방법은 BI(Bio Electrical Impedance Analysis)법이 적용될 수 있다. 무선입력장치(300)는 전술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무선입력장치(300)는 셋탑박스(130)에 수신 또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 시퀀스를 가지는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셋탑박스(130)에 송신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러한 무선입력장치(300)는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수단, 무선데이터송신수단, 신체정보 및 제어정보 생성수단 등을 구비한다. 무선입력장치(300)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건강관리서버(8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셋탑박스(130)와 연결되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전술한 신체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건강관리서버(800)는 셋탑박스(130)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신체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별로 건강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여기서 각 사용자를 식별하는 수단으로 셋탑박스(130)의 ID 또는 사용자 고유 ID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건강관리서버(800)는 반복적인 서비스 요청에 따른 데이터 트래픽을 원활히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프로세서와,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강관리서버(800)는 외부의 각종 병원, 검진센터 및 의료관련업체가 운영하는 서버와 더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서 건강관리를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TV 서비스 장치는 무선입력장치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에 대한 신체정보를 시스템상에 저장 및 관리하고, 건강내역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는 종합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300)는 신체정보 수신부(310), 조작부(320), 시퀀스 생성부(330), 시퀀스 저장부(350), 디스플레이부(360), 인쇄부(370), 적외선 송신부(380) 및 전원부(39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신체정보 수신부(310)는 신체측정장치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신체정보를 유무선 방식을 통해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조작부(320)는 무선입력장치의 각종 구동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것으로 키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저장된 신체정보를 셋탑박스로 전송하거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시퀀스의 설정시 이용된다.
시퀀스 생성부(3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을 위한 시퀀스를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시퀀스 저장부(350)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지된 IPTV 시스템이 제공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리모트 컨트롤장치를 이용한 복잡한 메뉴선택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무선입력장치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선택과정을 순차적으로 설정 및 저장하고, 이후 한번의 제어신호 호출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60)는 신체정보 수신부(310)가 수신한 신체정보에 대한 수치값과 이에 관련된 단위, 그리고 기타 무선입력장치의 구동시 필요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60)는 소형 LCD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장치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인쇄부(370)는 신체정보를 소형종이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적외선 송신부(3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입력장치에 수신된 신체정보 및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신호를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송신부는 어떠한 무선통신모듈이라도 적용가능하나, 주지된 IPTV 시스템에 포함되는 셋탑박스의 무선외부신호 수신방식은 적외선 통신으로서, 송신부(380)는 적외선 IrDA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390)는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2차전지가 내장되어 있는 형태 또는 소형전지가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는 신체측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신체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방법 및 IPTV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체정보 무선입력방법은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610), 제어신호의 설정여부에 따라(S620)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630) 또는, 제어신호를 호출하는 단계(S640) 및 제어신호에 따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650)를 포함한다.
먼저,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610)는, 사용자가 체지방계 및 혈당계 등 하나이상의 신체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측정하고, 무선입력장치의 신체정보 수신부가 그 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수신하는 단계이다.
이후, 무선입력장치는 제어신호의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제어신호 생성절차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된 제어신호를 호출한다(S620).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630)는, 사용자가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조작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의 메뉴를 선택하면 시퀀스 생성부는 이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시퀀스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시퀀스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종료에 해당하는 입력을 받으면, 지금까지 진행된 메뉴선택에 대한 조작을 제어신호의 개시코드부분에 적용하고 시퀀스 저장부는 이를 비트값으로 저장한다. 이후, 시퀀스 생성부는 제어신호를 구성하는 나머지 코드들을 생성하고, 이를 시퀀스 저장부를 통해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메뉴선택 부분인 개시코드와, 제어신호값을 셋탑박스에 송신하기 위해 셋탑박스에 구비된 통신수신모듈의 동작을 요청하는 기능코드와, 신체정보의 종류를 정의하는 데이터구분 코드와,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비트값인 데이터코드와, 제어신호의 오류체크비트인 체크디지트와, 제어신호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코드로 구성된다.
전술한 S630 단계에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이하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후, 제어신호가 설정되면 제어신호를 호출하는 단계(S640)를 진행한다. S640 단계는 전송된 신체정보를 셋탑박스 및 건강관리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호출하는 단계로서, 저장된 제어신호에 따라 IPTV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메뉴선택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신호에 따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65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의 입력에 따라, 시퀀스 저장부가 저장된 제어신호에 따라, 셋탑박스를 제어하여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상태에서 코드화된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방법은, 신체측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신체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 설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입력장치의 제어신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신호 설정방법은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시작을 입력받는 단계(S631), 메뉴선택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S632), 설정완료 확인단계(S633) 및 입력결과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634)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한 설정시작을 입력받는 단계(S63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부가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코드화하기 위해 시퀀스 생성부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설정시작이 입력되면, 시퀀스 생성부가 구동을 시작하여 이후 조작부에 입력되는 조작은 제어신호의 개시코드에 반영된다.
메뉴선택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S632)는 조작부에 입력되는 키조작에 대응하여 셋탑박스를 제어함으로서 IPTV 서비스 화면상에서 메뉴선택을 진행하고, 동시에 키조작을 개시코드에 반영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하기 위해서는 초기 IPTV 서비스 메뉴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메뉴선택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및 그 하부메뉴을 선택해야 하며, 이는 조작부의 채널 선택키 또는 방향 선택키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선택 진행상황에 따라, 메뉴카테고리 및 이의 하부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실행하며, 동시에 시퀀스 생성부는 이러한 조작을 개시코드에 반영한다. 사용자는 설정 도중 오류가 있다면, 조작부를 통해 이전진행을 전 단계로 되돌려 다시 진행할 수 있다.
설정완료 확인단계(S633)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완료에 대한 조작을 조작부가 입력받으면 시퀀스 생성부에 어플리케이션 실행설정을 종료하고, 진행된 설정사항을 시퀀스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이다.
입력결과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634)는, 시퀀스 생성부가 S532 단계에서 설정한 사항을 개시코드화 하고, 나머지 제어신호 생성에 필요한 코드를 생성하여 제어신호에 포함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제어신호의 호출은 조작부에 구비되는 하나의 기능키에 할당되어, 사용자에 의한 한번의 조작에 따라 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본 발명의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IPTV 서비스상의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무선입력장치(300)를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측정하여 수치화된 신체정보를 생성한다(S710). 무선입력장치(300)는 제어신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입력장치(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제어신호의 설정요청을 텍스트형태로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어신호를 호출하여 적외선부를 통해 셋탑박스(130)로 전송한다(S720). 이때, 제어신호에는 전술한 신체정보가 포함된다. 제어신호에 따라 셋탑박스(130)는 하나이상의 메뉴선택 후 해당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730), 전송된 신체정보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한 뒤, 정보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버(800)에 신체정보를 전송한다(S740). 신체정보를 수신한 건강관리서버(800)는 사용자별로 해당 신체정보를 DB화 하고(S750), 신체기능 이상 및 현재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의료분석을 수행한 뒤 그 분석결과를 해당 셋탑박스(130)에 제공한다(S760).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본 발명의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자신의 신체정보에 기초하는 종합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IPTV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IPTV 서비스 장치(100), 셋탑박스(130), 디스플레이장치(170) 및 건강관리서버(800)의 구조와 연결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무선입력장치(400) 및 중계장치(500)의 구조 및 연결에 차이점이 있다.
진보된 무선입력장치(400)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통해 신체정보를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보된 무선입력장치(4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신체정보 측정장치를 모듈화하여 무선입력장치에 내장한 것으로,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신체정보 측정수단,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수단, 무선데이터송신수단, 신체정보 및 제어정보 생성수단 등을 구비한다. 진보된 무선입력장치(400)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중계장치(500)는 진보된 무선입력장치(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체정보를 셋탑박스(1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진보된 무선입력장치는 통신방식이 셋탑박스와 동일한 IrDA 방식 뿐만 아니라, Zigbee, RF 송수신, 블루투스 또는 WiFi송수신 방식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중계장치(500)는 진보된 무선입력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IrDA 형태로 변환하여 셋탑박스에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진보된 무선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측정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설정한다. 또한, 중계장치는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셋탑박스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보된 무선입력장치 및 중계장치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보된 무선입력장치 및 중계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보된 무선입력장치(400)는 측정부(410), 조작부(420), 시퀀스 생성부(430), 시퀀스 저장부(450), 디스플레이부(460), 인쇄부(470), 무선 송수신부(480) 및 전원부(49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측정부(410)는 사용자의 하나이상의 신체기능을 통합적으로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측정부(410)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신체기능은 체지방, 체중, 혈압, 맥박 및 혈당 등이 있으며, 측정부(410)는 측정이 완료되면 이를 디지털화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한다.
조작부(420)는 무선입력장치의 각종 구동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체기능을 측정개시하거나 또는 생성된 신체정보를 셋탑박스로 전송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시퀀스의 설정시 이용된다.
시퀀스 생성부(4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을 위한 시퀀스를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퀀스 저장부(450)는 시퀀스 생성부(430)가 생성한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IPTV 시스템이 제공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리모트 컨트롤장치를 이용한 복잡한 메뉴선택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진보된 무선입력장치(40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선택과정을 순차적으로 설정 및 저장하고, 이후 한번의 제어신호 호출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60)는 측정부(410)가 생성한 신체정보에 대한 수치값과 이에 관련된 단위, 그리고 기타 진보된 무선입력장치의 구동시 필요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60)는 소형 LCD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장치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인쇄부(470)는 신체정보를 소형종이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송수신부(4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신체정보를 제어신호에 따라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송수신부(480)는 어떠한 무선통신모듈이라도 적용가능하다.
전원부(490)는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2차전지가 내장되어 있는 형태 또는 소형전지가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중계장치(500)는 무선신호 수신부(510), 변환부(530) 및 적외선 송신부(55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무선신호 수신부(510)는 진보된 무선입력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형태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무선신호 수신부(510)는 무선 송수신부(480)와 동일한 통신방식이 적용되어야 한다.
변환부(530)는 무선 송수신부(480)가 수신한 제어신호를 IrDA 방식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적외선 송신부(550)는 변환부(530)가 변환한 제어신호를 셋탑박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 및 중계장치는 신체정보 및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어신호를 셋탑박스에 대응하도록 변환하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보된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체정보 무선입력방법은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810), 신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820), 제어신호의 설정여부를 판단하고(S830), 이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840) 또는, 제어신호를 호출하는 단계(S850), 제어신호를 변환하는 단계(S860) 및 제어신호에 따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870)를 포함한다.
먼저,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810)는, 사용자가 진보된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이상의 신체기능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신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820)는, 측정부가 신체기능 측정결과에 대응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후, 무선입력장치는 제어신호의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제어신호 생성절차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된 제어신호를 호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830).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840)는, 사용자가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조작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상의 메뉴를 선택하면 시퀀스 생성부는 이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시퀀스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시퀀스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설정종료에 해당하는 입력을 받으면, 지금까지 진행된 메뉴선택에 대한 조작을 제어신호의 개시코드부분에 적용하고 시퀀스 저장부는 이를 비트값으로 저장한다.
이후, 제어신호가 설정되면 제어신호를 호출하는 단계(S850)를 진행한다. S850 단계는 전송된 신체정보를 셋탑박스 및 건강관리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호출하는 단계로서, 저장된 제어신호에 따라 IPTV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메뉴선택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셋탑박스의 일반적인 신호수신방식인 IrDA 형태가 아니며, 제어신호를 변환하는 단계(S860)는 중계장치가 이러한 제어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제어신호에 따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87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의 입력에 따라, 시퀀스 저장부가 저장된 제어신호에 따라, 셋탑박스를 제어하여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상태에서 코드화된 신체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무선입력방법은, 신체측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신체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보된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보된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보된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진보된 무선입력장치(400)를 이용하여 신체기능을 측정하면, 무선입력장치(400)의 측정부가 측정결과에 따라 수치화된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제어신호의 설정여부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910), 이후 제어신호를 호출하여 중계장치(5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920). 중계장치(500)는 수신한 제어신호를 변환부를 통해 셋탑박스(130)가 수신할 수 있는 IrDA 신호형태로 변환하고(S930), 변환된 제어신호를 호출하여 셋탑박스(13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940). 제어신호에 따라 셋탑박스(130)는 하나이상의 메뉴선택 후 해당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950), 전송된 신체정보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한 뒤, 정보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서버(800)에 신체정보를 전송한다(S960). 신체정보를 수신한 건강관리서버(800)는 사용자별로 해당 신체정보를 DB화 하고(S970), 신체기능 이상 및 현재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의료분석을 수행한 뒤 그 분석결과를 해당 셋탑박스(130)에 제공한다(S980).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본 발명의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자신의 신체정보에 기초하는 종합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진보된 무선입력장치와, 중계장치가 모두 포함된 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제1 실시예의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의 적외선 송신부(도2의 380)가 무선 송수신부(도 8의 480)로 대치되어 중계장치를 통해 셋탑박스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진보된 무선입력장치의 무선 송수신부(도 8의 480)가 적외선 송신부(도 2의 380)로 대치되어 중계장치를 제외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IPTV 서비스 장치 130 : 셋탑박스
170 : 디스플레이 장치 300 : 무선입력장치
800 : 건강관리서버

Claims (12)

  1. IPTV 기반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측정한 결과값인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신체정보 수신부를 구비하고,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메뉴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한 메뉴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사용자로부터 설정종료에 해당하는 입력을 받으면, 그 시점까지 진행된 메뉴선택 내용이 적용된 개시코드 및, 신체기능을 측정하여 수치화한 신체정보가 적용된 데이터코드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시퀀스 생성부;
    상기 시퀀스 생성부가 생성한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시퀀스 저장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함에 의하여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상에서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개시코드;
    상기 제어신호 값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셋탑박스의 통신수신모듈의 동작을 요청하는 기능코드;
    상기 신체정보의 종류를 정의하는 데이터구분 코드;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비트값인 데이터코드;
    제어신호의 오류체크비트인 체크디지트; 및,
    제어신호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2. IPTV 기반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측정한 결과값에 대응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는 측정부를 구비하고,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메뉴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한 메뉴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사용자로부터 설정종료에 해당하는 입력을 받으면, 그 시점까지 진행된 메뉴선택 내용이 적용된 개시코드 및, 신체기능을 측정하여 수치화한 신체정보가 적용된 데이터코드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시퀀스 생성부;
    상기 시퀀스 생성부가 생성한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시퀀스 저장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함에 의하여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상에서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개시코드;
    상기 제어신호 값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셋탑박스의 통신수신모듈의 동작을 요청하는 기능코드;
    상기 신체정보의 종류를 정의하는 데이터구분 코드;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비트값인 데이터코드;
    제어신호의 오류체크비트인 체크디지트; 및,
    제어신호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적외선 IrDA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혈압, 혈당, 맥박, 체온 또는 체지방 중 하나에 대한 수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 수신부는, 적외선 IrDA 모듈, Zigbee 모듈, RF송수신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송수신 모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7. 삭제
  8. IPTV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로서,
    양방향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IPTV 서비스 장치;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IPTV 서비스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양방향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 및 재생하고, 사용자의 신체기능에 대한 신체정보를 관리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셋탑박스;
    상기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셋탑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신체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신체정보에 따라 사용자별로 신체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건강분석결과를 상기 셋탑박스에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버; 및,
    상기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저장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실행된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상에서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무선입력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개시코드;
    상기 제어신호 값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셋탑박스의 통신수신모듈의 동작을 요청하는 기능코드;
    상기 신체정보의 종류를 정의하는 데이터구분 코드;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비트값인 데이터코드;
    제어신호의 오류체크비트인 체크디지트; 및,
    제어신호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상기 셋탑박스에 제공하는 중계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10. IPTV 기반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신체정보 입력방법으로서,
    (a) 신체정보 수신부가 신체측정장치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신체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측정부가 하나이상의 신체기능을 통합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절차가 정의된 제어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조작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호출하고,
    상기 제어신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b1) 조작부가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시작을 입력받는 단계; (b2) 조작부가 구동중인 IPTV 메뉴상에서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선택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b3) 조작부가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종료를 입력받으면, 상기 (b2) 단계의 입력결과에 대응하여 시퀀스 생성부가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시퀀스 저장부가 상기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및,
    (c)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신부가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함에 의하여 상기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개시코드;
    상기 제어신호 값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셋탑박스의 통신수신모듈의 동작을 요청하는 기능코드;
    상기 신체정보의 종류를 정의하는 데이터구분 코드;
    상기 신체정보에 대응하는 비트값인 데이터코드;
    제어신호의 오류체크비트인 체크디지트; 및,
    제어신호의 종료를 알리는 종료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한 신체정보 입력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 및 변환하여 상기 셋탑박스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정보 입력방법.
KR1020100006969A 2010-01-26 2010-01-26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KR10130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69A KR101301091B1 (ko) 2010-01-26 2010-01-26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69A KR101301091B1 (ko) 2010-01-26 2010-01-26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515A KR20110087515A (ko) 2011-08-03
KR101301091B1 true KR101301091B1 (ko) 2013-08-27

Family

ID=4492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969A KR101301091B1 (ko) 2010-01-26 2010-01-26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9719A (zh) * 2015-01-07 2015-04-22 杭州蓝联科技有限公司 一种广电云编码服务器
CN108549252A (zh) * 2018-06-20 2018-09-18 江苏优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ZigBee的智能家居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9570A (ja) * 2001-03-02 2002-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健康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端末装置
KR20070121361A (ko) * 2006-06-22 2007-12-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양방향 헬스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100073027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tv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9570A (ja) * 2001-03-02 2002-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健康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端末装置
KR20070121361A (ko) * 2006-06-22 2007-12-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양방향 헬스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100073027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tv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515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3812B2 (ja) データ収集システム
US9495512B2 (en) Using audio video device as health monitor
US20120095302A1 (en) Using tv as health monitor
US20160055306A1 (en) User condition checking system, user condition checking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er condition notif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3156995A (ja) 運動量情報管理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並びにサーバ
US20150149619A1 (en) User state confirmation system, user state confirmation method, server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erver computer program, and terminal computer program
CN101283928A (zh) 一种应用于数字电视上的无线医疗设备系统
KR101301091B1 (ko) 신체정보 무선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이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CN201743770U (zh) 基于闪联的网络医疗设备系统
WO2004104964A1 (ja) インターネット経由データ転送装置
CN113488137A (zh) 健康管理计划的推荐方法、装置及系统
KR20010095395A (ko) 원격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용 각종 개인 건강정보 측정용 단말기
US20060129356A1 (en) Data collection system and data collection method
KR20120076500A (ko)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544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medical services and open iptv platform apparatus
JP2009516455A (ja) 家庭内音声ビデオギア用遠隔診断
JP2013048749A (ja) 心電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1226188B1 (ko) 센서 노드와 임베디드 기기에 기반한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92842B1 (ko) 표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KR20060102997A (ko) 실시간 심전도 측정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01827253B (zh) 病房多媒体网络通信设备及使用其的网络通信方法
JPH11151211A (ja) 在宅健康管理システム
JP2003116797A (ja) バイタルデータ取得装置及びバイタルデータ取得ネット送信システム
KR102319495B1 (ko) Aal기반 헬스케어정보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