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845B1 -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845B1
KR101192845B1 KR1020100119032A KR20100119032A KR101192845B1 KR 101192845 B1 KR101192845 B1 KR 101192845B1 KR 1020100119032 A KR1020100119032 A KR 1020100119032A KR 20100119032 A KR20100119032 A KR 20100119032A KR 101192845 B1 KR101192845 B1 KR 101192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health data
standard
data
information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500A (ko
Inventor
박종태
나재욱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8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ISO/IEEE 11073 기반의 건강 측정 디바이스에 의하여 측정된 건강 데이터를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HL7 기반의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HL7 기반의 데이터를 ISO/IEEE 11073 기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ISO/IEEE 11073(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 측정 디바이스와, 상기 건강 측정 디바이스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 및 상기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여 요청된 버전에 따라 HL7(Health Level 7) 표준 또는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 health information}
본 발명은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ISO/IEEE 11073 기반의 건강 측정 디바이스에 의하여 측정된 건강 데이터를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HL7 기반의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HL7 기반의 데이터를 ISO/IEEE 11073 기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생체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U-헬스케어(Ubiquitous Heathcare)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격으로 혈당 관리, 혈압 관리 및 ECG(Electrocardiograph) 등의 생체 정보 전송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휴대용 개인 건강 측정 장비 및 모니터링 장비가 각 제조사들마다 구현 체계와 표시 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자 및 의료진에 의한 정확한 생체 정보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개인 건강 측정 장비의 특성상 신체의 일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개인 건강 측정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ISO/IEEE 11073 표준은 개인 건강 측정 장비의 표준으로서, 특히 외부 시스템간의 통신을 필요로 하는 진료 현장(POC; Point-of-care)에서 사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의료 장치의 통신을 위한 표준이다. 이 표준의 주 목적은 모든 헬스케어 환경에서 얻어지는 생체 신호와 의료 기기 데이터가 사용자와 연결된 건강 측정 장비들에 대한 정보 프로파일의 전송 포맷으로 원활하게 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HL7(Health Level 7) 표준은 OSI 7(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레이어 중 최상위 계층인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 포함된 메시지 전달 프로토콜로서, 병원, 의료 장비, 의사 등이 사용하는 의학적인 임상 데이터나 원무/행정 데이터 등 의료 분야에서 사용하는 모든 메시지를 획일화하기 위해 정의되었다.
HL7 표준의 주 목적은 환자, 의사, 병원 등 의료 행위에 관련된 객체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기(건강 측정 장비,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인터페이스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로 인해, HL7 표준은 여러 의료 서비스 기관의 독립된 시스템들을 상호 조정하기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은 사용자의 일상 생활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정보 수집 단말의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데이터가 원활하게 수집되고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 단말은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인데, 만일 사용자가 가정이나 사무실을 떠나게 된다면 데이터 수집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해당 데이터가 누락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보 수집 단말의 공간적 제약을 완화시켜 끊김 없는 데이터 수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각각의 건강 측정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자 및 의료진에게 전달하고 사용자 및 의료진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강 측정 디바이스의 관련 국제 표준에 따라 제공된 정보를 의료 정보 관련 국제 표준인 HL7(Health Level 7)으로 변환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구성하고, 추가적으로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로의 변환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나 의료진이 특별한 절차나 소프트웨어를 추가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ISO/IEEE 11073(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 측정 디바이스와, 상기 건강 측정 디바이스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 및 상기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여 요청된 버전에 따라 HL7(Health Level 7) 표준 또는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 측정 디바이스에 의하여 측정되어 ISO/IEEE 11073(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여 요청된 버전에 따라 HL7(Health Level 7) 표준 또는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개인의 생활 공간이나 개인이 소지한 정보 수집 단말을 이용하여 ISO/IEEE 11073 기반 건강 측정 디바이스의 건강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또는 의료진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자동적으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추가적인 소프트웨어 설치나 설정 등의 행위 없이 개인 건강 관련 정보를 일괄적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면서 필요한 서비스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ISO/IEEE 11073 표준에 의한 건강 측정 디바이스와 HL7 표준 또는 CDA 표준에 의한 서비스의 연동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도 있다.
셋째,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말로서 사용자가 소유하고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공간적 제약을 완화하고, 데이터 변환은 정보 수집 단말의 외부에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정보 수집 단말에 의한 이동 단말기 동작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관리부에 대한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1 변환부에 대한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 2 변환부에 대한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시스템은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 제 1 네트워크(110), 제 1 정보 수집 단말(301), 제 2 정보 수집 단말(302),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400), 서비스 서버(500), 제 2 네트워크(120), 이동 통신망(130) 및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ISO/IEEE 11073(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는 가정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 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는 혈압계, 혈당계, ECG(Electrocardiograph) 측정기,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과 운동을 위한 러닝 머신, 체지방 측정계, 체중계 등의 개인 건강 기기를 포함한다.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는 ISO/IEEE(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1073) 국제 표준에 기반하여 동작한다.
또한,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는 제 1 네트워크(110)를 통하여 수집된 건강 데이터를 정보 수집 단말(301, 302)로 송신할 수 있는데, 제 1 네트워크(110)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유선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정보 수집 단말(301, 302)은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에 의하여 생성된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2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건강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200)로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복수 개의 정보 수집 단말(301, 302) 중 사전에 설정된 특정 조건이 고려되어 결정된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즉,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로부터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200)로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301, 302)은 하나가 아닌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중 하나에 의하여 건강 데이터가 중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 수집 단말(301, 302)은 사용자가 생활하는 개인 생활 영역에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개인이 휴대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즉, 정보 수집 단말은 하나의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형(이하, 제 1 정보 수집 단말이라 한다)(301)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이하, 제 2 정보 수집 단말이라 한다)(302)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정보 수집 단말(301)은 제 1 네트워크(110)에 의하여 제공되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 방식을 통하여 건강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 1 정보 수집 단말(301)은 유선 또는 무선의 TCP/IP 통신 방식으로 건강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200)로 송신하는 것이다.
한편, 제 2 정보 수집 단말(302)은 이동 통신망(13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망(130)을 이용하는 장치가 제 2 정보 수집 단말(302)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수집 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TCP/IP 및 이동 통신망(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데,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복수 개의 정보 수집 단말(301, 302)이 구비됨에 따라, 그 중 실제로 건강 데이터를 중계하여야 하는 정보 수집 단말을 결정하여야 한다. 이 때, 정보 수집 단말의 결정 조건은 TCP/IP 통신의 가능 여부일 수 있다.
즉, 건강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200)로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은 TCP/IP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TCP/IP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1 정보 수집 단말(301)이고, TCP/IP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이동 통신망(130)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2 정보 수집 단말(302)일 수 있는 것이다.
건강 데이터를 중계하는 정보 수집 단말을 지정하기 위하여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가 송신하는 건강 데이터에는 중계 대상을 나타내는 정보 수집 단말의 식별자가 명시될 수 있다.
즉,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는 건강 데이터를 중계할 정보 수집 단말의 식별자를 건강 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TCP/IP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 1 정보 수집 단말(301)의 식별자를 건강 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하고, TCP/IP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제 2 정보 수집 단말(302)의 식별자를 건강 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건강 데이터에 식별자가 포함되어 수신됨에 따라 정보 수집 단말(301, 302)은 자신이 건강 데이터를 중계하는 주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CP/IP 통신의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는 제 1 정보 수집 단말(301)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최초에 건강 데이터는 제 1 정보 수집 단말(301)로 송신되는데, 만일 제 1 정보 수집 단말(301)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는 정보 수집 단말에 의한 TCP/IP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 1 정보 수집 단말(301)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는 정보 수집 단말에 의한 TCP/IP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200)는 정보 수집 단말(301, 302)로부터 수신된 ISO/IEEE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요청된 버전에 따라 HL7(Health Level 7) 포맷 또는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건강 데이터를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4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HL7은 다양한 의료 정보 시스템간의 정보 교환을 위하여 미국 국립 표준 연구소(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가 인증한 의료 정보 교환 표준 규약으로서, 의료 정보의 인코딩, 구조 및 내용을 세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마크업 표준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CDA는 HL7의 일종으로서 HL7의 버전이 3인 것을 의미한다.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400)는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수신된 HL7 기반 또는 CDA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400)는 사용자별 데이터 또는 디바이스별 데이터로 건강 데이터를 구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400)는 HL7 표준 또는 CDA 표준으로 변환되어 수집된 건강 데이터 중 특정 사용자에 대한 건강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개인 건강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개인 건강 데이터는 특정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한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의 종류 및 해당 사용자의 병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저장된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건강 관련 정보가 서비스로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서비스 서버(500)는 건강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저장하고 있다가, 서비스 요청을 받는 경우 해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는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400)에 접속한 사용자의 요청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서비스에는 원격 환상 진료, 안전 환경 모니터링, 응급 환자 관리, 약물 복용 안내, 자가 건강 관리 및 고령자 재활 프로그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하나의 제 1 정보 수집 단말(301) 및 하나의 제 2 정보 수집 단말(302)을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 개의 제 1 정보 수집 단말 및 복수 개의 제 2 정보 수집 단말이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제 1 정보 수집 단말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네트워크(110)에 접속하거나 별도의 제 1 네트워크(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제 2 정보 수집 단말도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망(130)에 접속하거나 별도의 이동 통신망(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체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서버(미도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시스템 관리자는 관리 서버를 통하여 시스템의 오류 발생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장치에 대한 지속적인 갱신을 통해 시스템의 안정화를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200)는 제 1 변환부(210), 데이터 관리부(220), 저장부(230), 제어부(240), 제 2 변환부(250) 및 데이터 송수신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 및 정보 수집 단말(301, 302)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관리부(220)는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 또는 정보 수집 단말(301, 302)을 검색하거나 송신할 메시지를 규격에 맞추어 생성하는 역할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데이터 관리부(2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저장부(230)는 코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코드 매핑 테이블은 ISO/IEEE 10073 포맷과 HL7 포맷간의 매핑 정보 및 ISO/IEEE 10073 포맷과 CDA 포맷간의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테이블로 이해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 1 변환부(210)는 수신된 ISO/IEEE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HL7 기반의 건강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 변환을 수행함에 있어서, 제 1 변환부(21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코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HL7은 버전 2.X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 1 변환부(210)는 요청된 버전에 따라 건강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제 1 변환부(2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 2 변환부(250)는 수신된 ISO/IEEE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CDA 기반의 건강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 변환을 수행함에 있어서, 제 2 변환부(25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코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제 2 변환부(2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정보 수집 단말(301, 302)이 송신하는 ISO/IEEE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1 변환부(210) 또는 제 2 변환부(250)에 의하여 변환된 건강 데이터를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4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 송수신부(260)에 의한 통신 방식은 제 2 네트워크(120)의 통신 방식이거나 이동 통신망(130)에 의한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즉, 건강 데이터를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이 제 1 정보 수집 단말(301)인 경우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제 2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고, 건강 데이터를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이 제 2 정보 수집 단말(302)인 경우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이동 통신망(130)을 통하여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제 2 네트워크(120)의 통신 방식 및 이동 통신망(130)의 통신 방식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변환된 건강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제 2 네트워크(120)에 접속하여 해당 건강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관리부(220)는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 또는 정보 수집 단말(301, 302)에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 또는 정보 수집 단말(301, 302)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이러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수신된 변환 요청이 HL7 포맷으로의 변환인지 CDA 포맷으로의 변환이지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 1 변환부(210) 또는 제 2 변환부(25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수신된 변환 요청은 ISO/IEEE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HL7 기반의 건강 데이터로 변환을 요청하는 것이거나, CDA 기반의 건강 데이터로 변환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는데, 제어부(240)는 수신된 변환 요청 메시지에 명시된 요청 포맷에 따라 제어 명령을 제 1 변환부(210) 또는 제 2 변환부(250)로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240)는 제 1 변환부(210), 데이터 관리부(220), 저장부(230), 제 2 변환부(250) 및 데이터 송수신부(26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관리부에 대한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데이터 관리부(220)는 분석부(310), 메시지 합성부(320) 및 전송 관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석부(310)는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 및 정보 수집 단말(301, 302)을 검색하고, 각 장치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석부(310)에 의하여 생성된 요청 메시지가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 또는 정보 수집 단말(301, 302)에 전달되는 경우 각 장치는 요청된 정보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ISO/IEEE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분석부(310)에 의하여 생성되어 정보 수집 단말(301, 302)에 전달되는 경우 정보 수집 단말(301, 302)은 자신에게 접속한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에게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ISO/IEEE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고, 이를 수신한 정보 수집 단말(301, 302)는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200)로 전달하는 것이다.
메시지 합성부(320)는 분석부(310)에 의하여 생성되는 메시지가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 및 정보 수집 단말(301, 302)에서 사용되는 규격에 맞도록 수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 및 정보 수집 단말(301, 302)은 ISO/IEEE 11073 포맷의 메시지만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인데, 메시지 합성부(320)는 이에 맞게 메시지를 수정하는 것이다.
또한, 메시지 합성부(320)는 정보 수집 단말(301, 302)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부(310)에 의하여 인식되는 HL7 또는 CDA 포맷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송 관리부(330)는 건강 측정 디바이스(101, 102, 103)와 정보 수집 단말(301, 302)과의 연결을 수행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 합성부(32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1 변환부에 대한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제 1 변환부(210)는 메타파일 처리부(410) 및 메시지 변환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타파일 처리부(410)는 HL7 메시지의 메타파일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메타파일 처리부(410)는 메타파일을 생성하여 메시지 변환부(420)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에서 메타파일은 메시지 변환부(420)의 동작을 세부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메시지 변환부(420)는 메타파일 처리부(410)로부터 전달받은 메타파일을 참조하여 메시지를 파싱하고, 데이터를 첨가하여 완성된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변환부(210)는 요청된 버전에 따라 건강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는데, 메시지 변환부(420)는 요청된 버전의 HL7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버전은 HL7 V2.4인 경우 메시지 변환부(420)는 이에 맞는 버전의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 2 변환부에 대한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제 2 변환부(250)는 프로필 구성부(510), 정보 매핑부(520) 및 데이터 생성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필 구성부(510)는 레퍼런스 CDA 스키마(Reference CDA Schema)를 참조하여 CDA의 형식을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CDA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작성될 수 있으며,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XML, DTD(Document Type Definition) 또는 RELAX-NG(REgular LAnguage for XML Next Generation) 등의 스키마로 정의될 수 있는데, 프로필 구성부(510)는 이를 참조하여 CDA의 형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정보 매핑부(520)는 프로필 구성부(510)에서 구성된 CDA의 형식에 ISO/IEEE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매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정보 매핑부(520)는 ISO/IEEE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에 대응하는 매핑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추출된 매핑 정보는 데이터 생성부(530)로 전달되고, 데이터 생성부(530)는 전달받은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CDA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1, 102, 103: 건강 측정 디바이스
110: 제 1 네트워크 120: 제 2 네트워크
130: 이동 통신망 200: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
301, 302: 정보 수집 단말 400: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
500: 서비스 서버

Claims (16)

  1.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ISO/IEEE 11073(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 측정 디바이스;
    상기 건강 측정 디바이스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 및
    상기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여 요청된 버전에 따라 HL7(Health Level 7) 표준 또는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되,
    상기 건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상기 복수 개의 정보 수집 단말 중 사전에 설정된 특정 조건이 고려되어 결정된 하나의 정보 수집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정보 수집 단말은 하나의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형 및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을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식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및 이동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TCP/IP의 통신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은 상기 TCP/IP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TCP/IP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정보 수집 단말이고, 상기 TCP/IP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 통신망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정보 수집 단말인,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L7 표준 또는 상기 CDA 표준으로 변환된 건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저장된 건강 데이터를 기초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HL7 표준 또는 상기 CDA 표준으로 변환되어 수집된 건강 데이터 중 특정 사용자에 대한 건강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개인 건강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건강 데이터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한 건강 측정 디바이스의 종류 및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병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9. 건강 측정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ISO/IEEE 11073(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1073) 기반의 건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정보 수집 단말기가 상기 생성된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변환 게이트웨이가 상기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여 요청된 버전에 따라 HL7(Health Level 7) 표준 또는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건강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복수 개의 정보 수집 단말 중 사전에 설정된 특정 조건이 고려되어 결정된 하나의 정보 수집 단말기가 상기 건강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정보 수집 단말은 하나의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형 및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을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식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및 이동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TCP/IP의 통신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TCP/IP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TCP/IP의 통신 방식으로 상기 건강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TCP/IP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 통신망의 통신 방식으로 상기 건강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인,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정보 수집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HL7 표준 또는 상기 CDA 표준으로 변환된 건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단계; 및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저장된 건강 데이터를 기초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HL7 표준 또는 상기 CDA 표준으로 변환된 건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HL7 표준 또는 상기 CDA 표준으로 변환되어 수집된 건강 데이터 중 특정 사용자에 대한 건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건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개인 건강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건강 데이터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한 건강 측정 디바이스의 종류 및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병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
KR1020100119032A 2010-11-26 2010-11-26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192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032A KR101192845B1 (ko) 2010-11-26 2010-11-26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032A KR101192845B1 (ko) 2010-11-26 2010-11-26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500A KR20120076500A (ko) 2012-07-09
KR101192845B1 true KR101192845B1 (ko) 2012-10-19

Family

ID=4671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032A KR101192845B1 (ko) 2010-11-26 2010-11-26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8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162B1 (ko) 2014-12-12 2016-01-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형 시맨틱 기반 중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15170A (ko) 2020-03-12 2021-09-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Hl7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82890A (ko) 2021-12-02 2023-06-09 서울대학교병원 확장 및 보안을 확보한 무선 환자 생체 신호 수집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81B1 (ko) * 2012-12-03 2015-06-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35294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이상 징후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6752B1 (ko) * 2017-12-21 2019-04-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헬스 데이터의 의료기관 중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162B1 (ko) 2014-12-12 2016-01-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형 시맨틱 기반 중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15170A (ko) 2020-03-12 2021-09-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Hl7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82890A (ko) 2021-12-02 2023-06-09 서울대학교병원 확장 및 보안을 확보한 무선 환자 생체 신호 수집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500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845B1 (ko)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schou et al. Health Internet of Things: Metrics and methods for efficient data transfer
Elgazzar et al. Ubiquitous health monitoring using mobile web services
US20100161354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health care using universal health platform
US20090273467A1 (en) Ip based monitoring and alarming
Martíez et al. Seamless integration of ISO/IEEE11073 personal health devices and ISO/EN13606 electronic health records into an end-to-end interoperable solution
Trigo et al. Interoperability in digital electrocardiography: harmonization of ISO/IEEE x73-PHD and SCP-ECG
Jara et al. Communication protocol for enabling continuous monitoring of elderly people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s
KR101192842B1 (ko) 표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6099A (ko) 웹 기반의 개인화된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Galarraga et al. Standards for medical device communication: X73 PoC-MDC
KR20090014481A (ko)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5403A (ko) 인터넷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KR20140062659A (ko) 헬스아바타를 이용한 u-헬스케어 시스템 및 u-헬스케어 정보 제공 방법
Lee et al. Improving chronic disease management with mobile health platform
KR101192843B1 (ko) 표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Helal et al. STEPSTONE: An intelligent integration architecture for personal tele-health
KR101129450B1 (ko) 중계 기기 및 그를 이용한 측정 데이터 관리 방법
Kumpusch et al. A Mobile Phone Based Telemonitoring Concept for the Simultanous Acquisition of Biosignals Physiological Parameters
Martínez-Espronceda et al. Standard-based homecare challenge: Advances of ISO/IEEE11073 for u-health
de Toledo et al. Towards e-Health device interoperability: the Spanish experience in the telemedicine research network
KR20160086548A (ko)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Martínez et al. Interoperable and standard e-health solution over Bluetooth
Spanakis et al. R&D challenges in developing an ambient intelligence eHealth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