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066B1 - 지붕용 채광구조 - Google Patents

지붕용 채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066B1
KR101301066B1 KR1020130061640A KR20130061640A KR101301066B1 KR 101301066 B1 KR101301066 B1 KR 101301066B1 KR 1020130061640 A KR1020130061640 A KR 1020130061640A KR 20130061640 A KR20130061640 A KR 20130061640A KR 101301066 B1 KR101301066 B1 KR 101301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anel
panel unit
light
mi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기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Priority to KR102013006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05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sky-lights of flat or domed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와, 수직연장부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겹침 결합부를 가진 지붕 패널 단위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채광용 투광판을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붕용 채광구조{LIGHTING STRUCTURE FOR ROOF}
본 발명은 지붕에 마련되는 채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붕 패널 단위체가 서로 겹침 결합되어 형성되는 지붕에 채광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건축물은 지붕이 마련되며, 따라서 건물의 실내는 낮에도 조명등을 켜야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아파트와 같이 창이 많아 자연채광이 우수한 구조의 건물도 있지만, 대형 강당이나 공장용 건물 등의 경우는 자연 채광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한편, 근래에는 금속재의 지붕 패널 단위체를 서로 겹침 결합하여 건물의 지붕을 시공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지붕에 환기구를 마련하는 경우는 많지만 지붕을 통해 자연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은 많지 않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21014호(2011.03.02 등록)의 "건축용 채광패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용 채광패널의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채광패널(10)은 자연채광이 가능하도록 타공한 금속판재(12)의 표면에 투명합성수지(20)를 접합하여 일체로 제조되며, 금속판재(12)에 다수의 통공(14)들이 적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태양광이 통과하며, 금속판재(12)의 표면에는 투명합성수지(20)를 접합함으로써 통공(14)을 통해 외부로부터 비나,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용 채광패널은 금속판재(12) 위에 투명합성수지(20)를 접합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현장에서 벤딩을 통해 조립형성되는 아치지붕과 같은 조립식 지붕용으로 사용되기에 부적합한 면이 있다.
U 자형으로 절곡된 단위체들을 연결하여 제공되는 조립식 지붕은 절곡 부위가 많고 이웃하는 단위체간 연결시 각 단부를 압착시켜서 연결시키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투명합성수지가 결합된 금속판재(12)를 사용하여 절곡하거나 압착시켜 지붕을 형성하게 되면 투명합성수지가 떨어지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건물들에 마련되는 채광창들은 건물의 벽이나 지붕에 구멍을 뚫은 후 창을 설치하되, 반드시 고정을 위해 볼트와 같은 수단을 사용해야만 했으므로 작업이 어렵고 누수에 대한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21014호(2011.03.0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와, 수직연장부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겹침 결합부를 가진 지붕 패널 단위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채광용 투광판을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수직하게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연장부와, 다른 지붕 패널 단위체와 겹침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수직연장부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겹침 결합부가 형성되는 지붕 패널 단위체가 이웃하는 지붕 패널 단위체와 서로 겹침 결합되어 형성되는 지붕에 있어서 : 상기 지붕 패널 단위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바닥부에 채광구멍이 형성되는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이며 ; 상기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의 타측에 형성된 수직연장부의 상부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지붕 패널 단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수직연장부와 접하면서 상기 수직연장부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단에서 타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지지부로 이루어진 보조 지지바 ; 상기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의 일측 겹침 결합부의 상부, 상기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의 타측 겹침 결합부의 상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상부에 걸쳐서 안착되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일측 겹침 결합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굽혀지며, 타측 가장자리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굽혀지며, 상기 지붕 패널 단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광용 투광판 ; 상기 채광용 투광판의 일측 및 타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ㄷ 자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지붕 패널 단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형태유지용 프레임 ; 상기 한 쌍의 형태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ㄷ 자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진 메인 걸림부와, 상기 메인 걸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채광용 투광판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띠형 연장부로 이루어진 메인 고정결합대 ; 상기 한 쌍의 형태유지용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걸리는 ㄴ 자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진 보조 걸림부와, 상기 보조 걸림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띠형 연장부와 접하게 되는 고정용 하판부로 이루어진 보조 고정결합대 ; 상기 메인 고정결합대의 띠형 연장부와 상기 보조 고정결합대의 고정용 하판부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결합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고정결합대는 상기 채광용 투광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되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채광용 투광판은 플라스틱 재질이며,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가 ㄷ 자 형태로 굽혀지기 위하여 그 하면에 복수의 굽힘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용 프레임의 내부에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채광용 투광판의 하면에 빛의 확산을 위한 복수의 확산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채광구멍이 형성되는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의 재질은 상기 채광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지붕 패널 단위체의 재질과 상이하며, 상기 채광구멍이 형성되는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는 상기 채광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지붕 패널 단위체의 재질과 비교하여 빛의 반사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의 수직연장부의 내측에 빛의 반사를 위한 반사판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와, 수직연장부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겹침 결합부를 가진 지붕 패널 단위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채광용 투광판을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용 채광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지붕 구조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분리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채광용 투광판이 굽혀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지붕 구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지붕 구조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빛의 확산과 반사를 보이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인 지붕 구조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지붕 구조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채광용 투광판이 굽혀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구조의 지붕 패널 단위체(100)에 의하여 시공되는 지붕 구조에 특화된 것이다.
지붕 패널 단위체(100)의 횡단면 구조는 바닥부(101)와, 수직연장부(102)와, 겹침 결합부(103)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부(101)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한 쌍의 수직연장부(102)가 수직하게 상부로 연장되며, 아울러 각각의 수직연장부(102)의 상단에서 겹침 결합부(103)가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겹침 결합부(103)는 다른 지붕 패널 단위체(100)와 겹침 결합되기 위한 부위이다. 즉 어느 하나의 지붕 패널 단위체(100)의 겹침 결합부(103)가 다른 이웃하는 지붕 패널 단위체(100)의 겹침 결합부(103)와 겹쳐진 후 절곡하는 거멀잡기로 서로 이웃하는 지붕 패널 단위체(100)가 서로 연결된다.
한편, 지붕 패널 단위체(100) 중 하나 이상의 지붕 패널 단위체(100)는 바닥부(101)에 채광구멍(104)이 형성되는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이다.
채광구멍(104)은 바닥부(101)은 작은 크기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혹은 비교적 큰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채광구멍(104)은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의 시공 이전에 미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는 두 개 이상이 연속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지붕 패널 단위체(100)를 서로 겹침 결합하여 기본적인 지붕 구조가 완성된다.
이후 보조 지지바(160), 채광용 투광판(110), 형태유지용 프레임(120), 메인 고정결합대(130) 및 보조 고정결합대(140)가 순차적으로 시공된다.
보조 지지바(160)는,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의 타측에 형성된 수직연장부(102)의 상부 타측에 위치되어 지붕 패널 단위체(1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아울러 보조 지지바(160)의 횡단면 구조는, 수직연장부(102)와 접하면서 수직연장부(102)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161)와, 수직지지부(161)의 상단에서 타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지지부(162)로 이루어진다.
수직지지부(161)는 고정볼트(170) 등에 의하여 수직연장부(102)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볼트(170) 등이 삽입되는 부위에는 누수를 완전히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이 마련되거나 혹은 실리콘 등으로 수밀 처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직지지부(161)에 형성된 볼트구멍은 수평지지부(162) 및 후술하는 형태유지용 프레임(120)에 의하여 직상부에서 낙하되는 우천으로부터 가려지는 구조이므로 실질적으로는 누수의 염려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지지바(160)를 설치함으로써 채광용 투광판(110)을 설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채광용 투광판(110)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지붕 패널 단위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이다.
채광용 투광판(110)은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의 일측 겹침 결합부(103)의 상부,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의 타측 겹침 결합부(103)의 상부, 및 보조 지지바(160)의 수평지지부(162)의 상부에 걸쳐서 안착된다.
또한 채광용 투광판(110)의 일측 가장자리는 일측에 위치한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의 겹침 결합부(103)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굽혀지며, 채광용 투광판(110)의 타측 가장자리는 보조 지지바(160)의 수평지지부(162)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굽혀진다.
상기와 같이 채광용 투광판(110)의 양측 가장자리가 현장에서 용이하게 굽혀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과 같이 채광용 투광판(110)의 하부에는 미리 굽힘용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굽힘용 홈(111)이 없다면 현장에서 채광용 투광판(110)의 가장자리를 굽히는 작업이 매우 난해하게 된다.
굽힘용 홈(111)은 도 5와 같이 선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도 6과 같이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진 도랑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굽힘용 홈(111)은 채광용 투광판(110)의 제작시 혹은 제작 후 설치 전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굽힘성을 가진 채광용 투광판(110)의 재질로서는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이 적합하며, 특히 투명 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가 채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채광용 투광판(110)은 현장에서 양측 가장자리가 굽혀질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양측 가장자리가 굽혀진 채광용 투광판(11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형태유지용 프레임(120)이 마련된다.
형태유지용 프레임(120)은 지붕 패널 단위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횡단면 구조를 가지며, 아울러 채광용 투광판(110)의 일측 및 타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ㄷ 자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진다.
형태유지용 프레임(120)은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형태유지용 프레임(120)이 설치된 후 메인 고정결합대(130)와 보조 고정결합대(140)가 설치된다.
메인 고정결합대(130)는, 한 쌍의 형태유지용 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ㄷ 자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진 메인 걸림부(131)와, 메인 걸림부(1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채광용 투광판(110)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띠형 연장부(13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채광용 투광판(110)의 상부로는 띠형 연장부(132)만이 지나가게 되어 메인 고정결합대(130)는 채광용 투광판(110)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메인 고정결합대(130)는 채광용 투광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보조 고정결합대(140)는, 한 쌍의 형태유지용 프레임(120) 중 다른 하나에 걸리는 ㄴ 자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진 보조 걸림부(141)와, 보조 걸림부(14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띠형 연장부(132)와 접하게 되는 고정용 하판부(14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메인 고정결합대(130)와 보조 고정결합대(140)를 설치한 후, 메인 고정결합대(130)의 띠형 연장부(132)와 보조 고정결합대(140)의 고정용 하판부(142)를 볼트 등의 고정결합수단(150)에 의하여 고정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메인 고정결합대(130)와 보조 고정결합대(140)의 결합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채광용 투광판(110)은 강풍 등에도 그 설치 상태가 온전히 유지될 수 있다.
물론 메인 고정결합대(130)의 띠형 연장부(132)의 폭은 그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가급적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채광을 위한 지붕 구조가 완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지붕 구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태유지용 프레임(120)의 내부에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121)이 마련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지붕 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빛의 확산과 반사를 보이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채광용 투광판(110)의 하면에 빛의 확산을 위한 복수의 확산용 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확산용 홈(112)은 채광용 투광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채광용 투광판(110)을 투과하는 빛은 확산용 홈(112)에서 확산된다.
또한 채광구멍(104)이 형성되는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의 재질은 채광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지붕 패널 단위체(100)의 재질과 상이하며, 채광구멍(104)이 형성되는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는 채광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지붕 패널 단위체(100)의 재질과 비교하여 빛의 반사율이 높다. 즉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는 알루미늄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진 재질로 제작되며, 일반적인 지붕 패널 단위체(100)는 일반적인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채광용 투광판(110)을 지나면서 빛이 확산된 후, 채광구멍(104)으로 곧바로 향하지 않는 빛 중 대부분은 지붕 패널 단위체(100A)의 수직연장부(102)에서 반사된 후 다시 채광구멍(104)을 향하게 되므로, 실내에 보다 많은 빛이 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인 지붕 구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의 수직연장부(102)의 내측에 빛의 반사를 위한 반사판(105)이 더 부가된 것이다.
이는 제3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를 다른 지붕 패널 단위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하고,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100A)의 빛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된 반사판(105)이 부가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지붕 패널 단위체 101 : 바닥부
102 : 수직연장부 103 : 겹침 결합부
100A :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 104 : 채광구멍
110 : 채광용 투광판 111 : 굽힘용 홈
120 : 형태유지용 프레임 121 : 패킹
130 : 메인 고정결합대 131 : 메인 걸림부
132 : 띠형 연장부
140 : 보조 고정결합대 141 : 보조 걸림부
142 : 고정용 하판부
150 : 고정결합수단
160 : 보조 지지바 161 : 수직 지지부
162 : 수평 지지부
170 : 고정볼트

Claims (6)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수직하게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연장부와, 다른 지붕 패널 단위체와 겹침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수직연장부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겹침 결합부가 형성되는 지붕 패널 단위체가 이웃하는 지붕 패널 단위체와 서로 겹침 결합되어 형성되는 지붕에 있어서 :
    상기 지붕 패널 단위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바닥부에 채광구멍이 형성되는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이며 ;
    상기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의 타측에 형성된 수직연장부의 상부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지붕 패널 단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수직연장부와 접하면서 상기 수직연장부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단에서 타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지지부로 이루어진 보조 지지바 ;
    상기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의 일측 겹침 결합부의 상부, 상기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의 타측 겹침 결합부의 상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상부에 걸쳐서 안착되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일측 겹침 결합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굽혀지며, 타측 가장자리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굽혀지며, 상기 지붕 패널 단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광용 투광판 ;
    상기 채광용 투광판의 일측 및 타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ㄷ 자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지붕 패널 단위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형태유지용 프레임 ;
    상기 한 쌍의 형태유지용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ㄷ 자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진 메인 걸림부와, 상기 메인 걸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채광용 투광판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띠형 연장부로 이루어진 메인 고정결합대 ;
    상기 한 쌍의 형태유지용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걸리는 ㄴ 자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진 보조 걸림부와, 상기 보조 걸림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띠형 연장부와 접하게 되는 고정용 하판부로 이루어진 보조 고정결합대 ;
    상기 메인 고정결합대의 띠형 연장부와 상기 보조 고정결합대의 고정용 하판부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결합수단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고정결합대는 상기 채광용 투광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되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채광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용 투광판은 플라스틱 재질이며,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가 ㄷ 자 형태로 굽혀지기 위하여 그 하면에 복수의 굽힘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채광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용 프레임의 내부에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채광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용 투광판의 하면에 빛의 확산을 위한 복수의 확산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채광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구멍이 형성되는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의 재질은 상기 채광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지붕 패널 단위체의 재질과 상이하며, 상기 채광구멍이 형성되는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는 상기 채광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지붕 패널 단위체의 재질과 비교하여 빛의 반사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채광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용 지붕 패널 단위체의 수직연장부의 내측에 빛의 반사를 위한 반사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채광구조.
KR1020130061640A 2013-05-30 2013-05-30 지붕용 채광구조 KR101301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640A KR101301066B1 (ko) 2013-05-30 2013-05-30 지붕용 채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640A KR101301066B1 (ko) 2013-05-30 2013-05-30 지붕용 채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066B1 true KR101301066B1 (ko) 2013-08-28

Family

ID=4922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640A KR101301066B1 (ko) 2013-05-30 2013-05-30 지붕용 채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941B1 (ko) * 2016-09-09 2017-02-08 (주)우강엔텍 플랫형 smc 덮개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구조물
KR101950145B1 (ko) 2018-08-21 2019-02-19 정지호 악취 및 오염 물질 방지용 덮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563U (ko) * 1993-08-06 1995-03-21 문수창 지붕용 채광판의 결합구조
KR20060004737A (ko) * 2004-07-06 2006-01-16 배재호 채광 및 온도조절용 투명 지붕재
KR20110001384U (ko)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건축물 지붕용 아치형 채광기
KR101021014B1 (ko) 2010-05-11 2011-03-09 장쌍권 건축용 채광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563U (ko) * 1993-08-06 1995-03-21 문수창 지붕용 채광판의 결합구조
KR20060004737A (ko) * 2004-07-06 2006-01-16 배재호 채광 및 온도조절용 투명 지붕재
KR20110001384U (ko)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건축물 지붕용 아치형 채광기
KR101021014B1 (ko) 2010-05-11 2011-03-09 장쌍권 건축용 채광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941B1 (ko) * 2016-09-09 2017-02-08 (주)우강엔텍 플랫형 smc 덮개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구조물
KR101950145B1 (ko) 2018-08-21 2019-02-19 정지호 악취 및 오염 물질 방지용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5054A1 (en) Indirect lighting apparatus
US9027292B2 (en) Passive collimating skylight
TWI467107B (zh) Optical transmission device
US10480736B2 (en) Daylighting system
KR101301066B1 (ko) 지붕용 채광구조
JP5726772B2 (ja) 洗面所の採光構造
KR100907644B1 (ko) 건축물 지붕의 채광창
JP6139828B2 (ja) 採光装置
KR200462893Y1 (ko) 건축물 지붕용 아치형 채광기
JP6351996B2 (ja)
JP5380345B2 (ja)
US20150128516A1 (en) Dual pitched, square, low profile, galvanized metal roof flashing for rigid tubular daylighting systems.
JP5428062B2 (ja) モニター屋根およびモニター屋根内部の反射光路形成方法
KR101498551B1 (ko) 조립식 지붕에 태양전지 모듈 설치를 위한 마운팅 구조체
EP3361145B1 (en) Daylighting structure
KR101186785B1 (ko) 차양장치
KR20200001804U (ko) 채광용 패널을 이용한 지붕 구조
US20210277658A1 (en) Extruded convex plastic panel with standing seams for roof structures
KR101522419B1 (ko) 채광창
KR101691137B1 (ko) 기둥을 이용한 자연채광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
JP6693717B2 (ja) 屋根構造および建物
JP2015105557A (ja) 屋根架構における採光構造
JP5923706B2 (ja) 採光装置
RU82248U1 (ru) Профиль рамы купола зенитного фонаря
JP2020148006A (ja) 簡易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