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535B1 -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 Google Patents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535B1
KR101300535B1 KR1020120139959A KR20120139959A KR101300535B1 KR 101300535 B1 KR101300535 B1 KR 101300535B1 KR 1020120139959 A KR1020120139959 A KR 1020120139959A KR 20120139959 A KR20120139959 A KR 20120139959A KR 101300535 B1 KR101300535 B1 KR 10130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ush rod
silicon
cartridge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혁
오성진
Original Assignee
안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혁 filed Critical 안혁
Priority to KR102012013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535B1/ko
Priority to PCT/KR2013/010095 priority patent/WO20140882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96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supplied from a rigid removable cartridge having no active dispensing means, i.e. the cartridge requiring cooperation with means of the handtool to expel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7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a piston as pressure exerting means, or of the co-operating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05C17/010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with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glazing
    • E04F21/30Putty squeezers or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을 신속하게 재장전할 수 있으며, 길이가 다르거나 내부에 잔존 실리콘 양이 다른 실리콘도 신속하게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건의 고장 시 수동으로 사용하거나, 실리콘의 배출을 수동으로 보조해줄 수 있는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홀더가 구비된 몸체; 상기 카트리지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카트리지 홀더의 내측에 설치되며, 하부에 치합 기어가 형성되며, 단면이 반원형상을 이루는 푸쉬로드와, 상기 푸쉬로드의 전단에서 실리콘 카트리지의 누름판을 가압해주는 가압판과, 상기 푸쉬로드의 후단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이 포함된 조작로드; 상기 치합 기어와 치합되어 구동원을 공급해주어 상기 치합 기어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주는 구동부; 및 상기 몸체의 외측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몸체;가 포함되어, 조작로드의 푸쉬로드를 회전시켜 푸쉬로드의 치합 기어와 제1기어의 치합을 해제시켜 신속하게 조작로드를 후진 이동 시키고, 실리콘 카트리지를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ELECTROMOTION SILICONE GUN CAPABLE OF RAPID LODING}
본 발명은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을 신속하게 재장전할 수 있으며, 길이가 다르거나 내부에 잔존 실리콘 양이 다른 실리콘도 신속하게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건의 고장 시 수동으로 사용하거나, 실리콘의 배출을 수동으로 보조해줄 수 있는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은 각종 건축 자재간의 마무리 접합, 틈새의 밀폐, 모서리 마감, 방수 및 부재 상호간의 신축, 진동, 변형을 흡수 완하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리콘은 실란트의 일종으로, 실란트의 종류에는 부틸실란트, 아크릴실란트, 우레탄실란트, 실리콘실란트 등이 있지만, 통칭하여 실리콘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실리콘은 몇 가지 규격화된 제품으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용기 내부에 실리콘을 충전하고, 타측에 슬라이드 이동되는 누름판이 형성된 카트리지 형태의 제품이 대표적이다. 카트리지 내부에는 일정량의 실리콘이 충전되어 있고, 실리콘을 모두 배출하면 다른 카트리지로 교체해줘야 한다.
아울러 카트리지 형태의 실리콘을 가압하는데 전용 공구인 실리콘 건을 사용 한다. 실리콘 건은 대개 실리콘 카트리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와, 결합부에 결합된 실리콘 카트리지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막대와, 이 가압막대와 연결된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리콘 카트리지를 결합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가압막대를 전진시켜 실리콘 카트리지에 압력을 가하여 실리콘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최근에는 실리콘 건에 전동 모터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실리콘을 배출시켜줄 수 있는 전동 실리콘 건도 유통되고 있다. 이 전동 실리콘 건은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실리콘 카트리지를 가압하는 가압막대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실리콘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수동식 실리콘 건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손잡이를 수동으로 후퇴시키기 때문에 장전시 푸쉬로드를 후진하는 시간이 적게 걸리지만, 기존의 전동식 실리콘건의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손잡이가 후퇴하기 때문에 그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실용공보 제20-1997-0009900호에는 가압막대가 모터의 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수동으로 후퇴시킬 수 있는 '실란트 건'이 개시되어 있으나, 여전히 실리콘 카트리지를 교체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동 실리콘 건에 이상이 생겼을 때 사용이 어려우며, 길이가 다른 실리콘 카트리지 또는 내부에 잔존 실리콘 양이 다른 실리콘 카트리지의 장착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20-1997-0009900 U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을 가압하는 푸쉬로드를 신속하게 후퇴 및 전진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리콘을 신속하게 재장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가 다르거나 내부에 잔존 실리콘 양이 다른 실리콘도 신속하게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푸쉬로드가 치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하여, 실리콘건이 고장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리콘의 배출을 수동으로 보조해줄 수 있는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카트리지(10)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홀더(110)가 구비된 몸체(100);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를 관통하여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의 내측에 설치되고, 단면이 반원형상을 이루며 하부에 치합 기어(212)가 형성되는 푸쉬로드(210)와, 상기 푸쉬로드(210)의 전단에서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누름판(12)을 가압해주는 가압판(220)과, 상기 푸쉬로드(210)의 후단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230)이 포함된 조작로드(200); 상기 치합 기어(212)와 치합되어 구동원을 공급해주어 상기 치합 기어(212)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주는 구동부(300); 및 상기 몸체(100)의 외측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몸체(400);가 포함되되,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치합 기어(212)의 하부에서 상기 치합 기어(212)와 치합되는 제1기어(310)와, 상기 제1기어(310)와 축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1기어(310)와 치합되는 제2기어(320)와, 상기 제2기어(320)를 회전시켜주는 모터(33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조작몸체(400)는 내부에 상기 구동부(300)를 수용하는 수용부(410)와, 후단에서 상기 푸쉬로드(21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부(420)와, 하부에는 상기 구동부(300)와 연결되어 그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손잡이(43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치합 기어(212)와 상기 제1기어(310)는 상기 핸들(230)의 회전에 의해 치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관통부(420)는 횡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며, 상기 푸쉬로드(210)의 후단이 상기 관통부(420)에 가이드되어 좌우로 움직여 상기 제1기어(310)와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의 치합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관통부(420)의 상부에는 상기 푸쉬로드(210)의 상부를 눌러 상기 푸쉬로드(21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 시 그 움직임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500)가 더 포함되되,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푸쉬로드(210)를 감싸주는 그래버(510)와, 상기 그래버(5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그래버(510)에 탄성력을 부여해주는 탄성부재(52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1기어(310)는 일방향 기어(312)와 양방향 기어(314)가 포함되고, 상기 일방향 기어(312)와 상기 양방향 기어(314) 사이에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이 설치되되, 상기 일방향 기어(312)는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치합되며, 상기 양방향 기어(314)는 상기 제2기어(320)와 치합되어, 상기 푸쉬로드(210)가 수동으로 전진 이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조작로드(200)의 푸쉬로드(210)를 회전시켜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의 치합을 해제시켜 신속하게 조작로드(200)를 후진 이동 시키고, 실리콘 카트리지(10)를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조작로드(200)의 푸쉬로드(210)의 회전없이 좌 또는 우로 틀어줌으로써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의 치합을 해제시켜 신속하게 조작로드(200)를 후진 이동 시키고, 실리콘 카트리지(10)를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푸쉬로드(210)가 전진 이동 될 때 상기 가이드부(500)의 그래버(510)가 상기 푸쉬로드(210)를 감싸며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눌러 주기 때문에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의 치합 견고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푸쉬로드(210)가 후진 이동 될 때는 상기 푸쉬로드(210)의 후단이 관통부(420)의 하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치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로드(210)를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더욱 신속하게 상기 푸쉬로드(210)를 후진 이동 시키고, 실리콘 카트리지(10)를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모터(330)를 조작하여 실리콘을 배출함과 동시에 수동으로 핸들(230)을 밀어주어 실리콘이 배출되는 것을 보조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하려는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내부에 빈 공간이 있을 경우에도 수동으로 조작로드(200)를 밀어주어 신속하게 실리콘 배출을 위해 밀착할 수 있으며, 갑작스런 전동 실리콘 건의 고장이나, 배터리의 방전 등으로 인하여 실리콘건의 구동이 어려울 때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가 치합된 상태에서도 수동으로 밀어주어 실리콘을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정면 기준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윗면 기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나타낸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나타낸 후면 기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주요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정면 기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은 실리콘 카트리지로 명명하였지만, 점성을 갖는 유동액을 포함하는 것은 어떤 카트리지던 관계없고, 기재의 편의상 실리콘으로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윗면 기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1 및 도 4에서 조작로드(200)와 구동부(300)의 일부 구성을 확대도로 도시하였으며, 해당 확대도 중 가압판(22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은, 실리콘 카트리지(10)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홀더(110)가 구비된 몸체(100)와,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의 내측에 설치되며, 하부에 치합 기어(212)가 형성되며, 단면이 반원형상을 이루는 푸쉬로드(210)와, 가압판(220)과 핸들(230)이 포함된 조작로드(200)와, 상기 치합 기어(212)와 치합되어 구동원을 공급해주는 구동부(300)와, 상기 몸체(100)의 외측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몸체(4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치합 기어(212)와 치합되는 제1기어(310)와, 상기 제1기어(310)와 축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1기어(310)와 치합되는 제2기어(320)와, 상기 제2기어(320)에 동력을 공급해주는 모터(330)가 더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조작몸체(400)는 내부에 상기 구동부(300)를 수용하는 수용부(410)와, 후단에 상기 푸쉬로드(210)가 전진 또는 후진 운동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부(420)과, 하부에는 상기 구동부(300)와 연결되어 그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손잡이(4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몸체(1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중앙에는 실리콘 카트리지(10)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홀더(110)가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의 전단에는 카트리지 노즐(14)이 삽입될 수 있는 카트리지 노즐 관통공(120)이 관통 형성되고, 후단에는 조작로드(200)의 푸쉬로드(210)가 관통되며, 전진 또는 후진 운동시 가이드 될 수 있는 제1통공(130) 및 제2통공(140)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는 실리콘 카트리지(10)의 교체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는 일부가 절개되 실리콘 카트리지(10)를 교체할 때 실리콘 카트리지(10)을 카트리지 홀더(110)의 상부로 밀어올릴 수 있도록 교체공(112)이 관통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100)는 실리콘 카트리지(10)를 쉽게 수용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실리콘 카트리지(10)의 규격에 맞게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조작로드(200)는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에 내측에서 전진 또는 후진 이동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치합 기어(212)가 형성되며, 단면이 반원형상을 이루는 푸쉬로드(210)와, 상기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누름판(12)를 가압해주는 가압판(220)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230)이 포함된다.
상기 푸쉬로드(210)는 상기 몸체(100)의 제1통공(130) 및 제2통공(140)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카트리지 홀더(110)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한다.
아울러 상기 푸쉬로드(210)의 하부에는 전 길이에 걸쳐 치합 기어(212)가 형성된다. 상기 치합 기어(212)는 구동부(300)의 제1기어(310)와 치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기어(310)로부터 구동원을 공급받아, 상기 푸쉬로드(21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판(220)은 상기 푸쉬로드(210)의 전단에 고정되는 원형의 판 부재로 상기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누름판(12)을 직접 가압하여 상기 실리콘 카트리지(10) 내부에 충전된 실리콘이 카트리지 노즐(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해준다.
상기 핸들(230)은 상기 푸쉬로드(220)의 후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치합 기어(212)와 치합되어 구동원을 공급해주는 것으로, 상기 치합 기어(212)와 치합되는 제1기어(310)와, 상기 제1기어(310)와 축각이 직각을 이루게 치합되는 제2기어(320) 및 상기 제2기어(320)를 회전시켜주는 모터(330)가 포함된다.
상기 제1기어(310)는 상기 치합 기어(212)의 하부에서 상기 치합 기어(212)와 치합되는 원형 기어로 피니언 기어, 스퍼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310)는 상기 제2기어(3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치합 기어(212)에 구동력을 전달해주며, 상기 치합 기어(212)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 시켜준다. 즉 상기 제1기어(31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치합 기어(212)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기어(320)는 상기 제1기어(310)와 축각이 직각을 이루는 원통형 기어로 웜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320)는 모터(330)의 축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330)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2기어(320)는 상기 제1기어(310)와 축각이 직각을 이루도록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기어(32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상기 제1기어(31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330)는 상기 제2기어(320)에 축이 고정된 것으로 전력을 배터리(440)로부터 인가받고, 정/역회전 동작 여부를 조작몸체(400)로부터 제어받는다.
상기 조작몸체(400)는 상기 구동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후단측에 설치된다. 상기 조작몸체(400)는 내부에 상기 구동부(300)를 수용하는 수용부(410)와, 후단에서 상기 푸쉬로드(21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부(420)와, 조작손잡이(430) 및 상기 구동부(300)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배터리(440)가 포함된다.
상기 수용부(410)는 구동부(30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상기 모터(330)를 고정해주는 거치홀(412)과, 상기 제1기어(310)의 축 역할을 하는 기어축(414)이 포함된다.
상기 관통부(420)는 상기 수용부(410)의 후단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푸쉬로드(210)가 삽입되어,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통과된다.
상기 조작손잡이(430)는 상기 수용부(410)의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조작레버(432)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조작손잡이(430)를 잡고, 상기 조작레버(432)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33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레버(432)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레버(432)를 후단 측을 향하여 당기면 상기 모터(330)가 정회전된다. 이때, 상기 조작레버(432)에 반대로 전단 측을 향하여 밀면 상기 모터(330)가 역회전 되는 기능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40)는 상기 수용부(410)의 후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330)에 전기를 공급해준다.
한편 상기 배터리(440)의 충전을 위하여 상기 조작손잡이(430) 하부에 충전단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설명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실리콘 카트리지(10)의 사용
실리콘 카트리지(10)를 몸체(100)의 카트리지 홀더(110)에 장착한 후 조작손잡이(430)의 조작레버(432)를 당겨 모터(330)를 회전시키면, 상기 모터(330)의 축과 연결된 제2기어(320) 및 제1기어(310)가 축방향이 바뀌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기어(310)와 치합된 푸쉬로드(210)의 치합기어(212)가 전진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푸쉬로드(210)가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의 내부에서 전진이동하게 되고, 상기 푸쉬로드(210)의 전단에 고정된 가압판(220)이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누름판(12)을 가압하게 되며, 카트리지 노즐(14)을 통해 실리콘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후 상기 조작레버(432)를 조작하여 실리콘 카트리지(10) 내부에 충전된 실리콘이 모두 배출시켜 준다.
실리콘 카트리지(10)의 교체
사용자는 푸쉬로드(210)가 카트리지 홀더(110)에 전단에 머무른 상태에서, 푸쉬로드(210)의 후단에 고정된 핸들(230)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의 치합이 해제되며, 상기 푸쉬로드(210)가 반원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치합 기어(212)가 형성되지 않은 반원의 평면 부분이 상기 제1기어(310)와 이격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핸들(230)을 자신의 몸 안쪽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푸쉬로드(210)의 평면이 상기 제1기어(310)의 이끝과 평행한 상태로 이격되어 상기 212)와 제1기어(310)의 치합이 해제되며, 푸쉬로드(210)가 미끄러지면서 신속하게 사용자의 몸 안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푸쉬로드(210)가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의 후단에 이를 때까지 잡아당긴 후(도 4 참조) 새로운 실리콘 카트리지(10)를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에 장착한 다음 다시 앞서 설명했던 방법으로 실리콘 카트리지(10) 내부의 실리콘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로써, 조작로드(200)의 푸쉬로드(210)를 회전시켜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의 치합을 해제시켜 신속하게 조작로드(200)를 후진 이동 시키고, 실리콘 카트리지(10)를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및 작용을 포함하며,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조작몸체(400)의 관통부(420)의 형상에 변화를 준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 실시예 1과 중복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상기 실시예1의 설명으로 갈음하며, 차이점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상기 도 6에서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은, 관통부(420)가 횡으로 넓게 형성되며, 푸쉬로드(210)의 후단이 상기 관통부(420)에 가이드되어 좌우로 움직여 제1기어(310)와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의 치합이 해제된다.
상기 관통부(420)는 횡 방향으로 넓게 관통형성되어, 푸쉬로드(210)의 후단이 상기 관통부(420)에 가이드되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부(420)의 양단은 라운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푸쉬로드(2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설명한다.
실리콘 카트리지(10)의 교체
사용자는 푸쉬로드(210)가 카트리지 홀더(110)에 전단에 머무른 상태에서, 푸쉬로드(210)의 후단에 고정된 핸들(230)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약 30 내지 60도 틀어준다. 그러면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의 치합이 해제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핸들(230)을 자신의 몸 안 쪽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가 상기 제1기어(310)와 치합이 해제된 상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사용자의 몸 안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푸쉬로드(210)가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의 후단에 이를 때까지 잡아당긴 후(도 5 참조) 새로운 실리콘 카트리지(10)를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에 장착한 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리콘 카트리지(10) 내부의 실리콘을 외부로 배출시켜주게 된다.
이로써, 조작로드(200)의 푸쉬로드(210)의 회전없이 좌 또는 우로 틀어줌으로써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의 치합을 해제시켜 신속하게 조작로드(200)를 후진 이동 시키고, 실리콘 카트리지(10)를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은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및 작용을 포함하며,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조작몸체(400)의 관통부(420) 상부에 가이드부(500)가 결합되는 고정부(45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50)에 고정되어 푸쉬로드(21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 할 때 움직임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500)가 더 포함된다는 차이가 있다. 상기 실시예 1과 중복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상기 실시예1의 설명으로 갈음하며, 차이점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나타낸 후면 기준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은, 관통부(420)의 상부에서 푸쉬로드(210)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때 그 움직임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500)가 더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푸쉬로드(210) 감싸주는 그래버(510)와, 상기 그래버(510)에 탄성력을 부여해주는 탄성부재(5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푸쉬로드(210)의 상부에서 위에서 아래로 상기 푸쉬로드(210)를 눌러주고, 상기 푸쉬로드(210)의 이동시 움직임을 가이드 해주는 그래버(510)와, 상기 그래버(5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그래버(510)가 상하로 이동할 때 탄성력을 부여해주는 탄성부재(520)가 포함된다.
상기 그래버(510)는 원형 링 형상으로 상기 푸쉬로드(210)의 둘레를 감싸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450)는 상기 관통부(420)의 상부에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520)가 삽입되는 고정홈(45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20)는 상기 그래버(510)가 출입하는 고정부(450)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으로 상기 그래버(510)가 상하 운동할 때 상기 그래버(510)에 탄성력을 부여해준다.
한편, 상기 관통부(420)의 형상은 종방향으로 넓게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210)가 위 아래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설명한다.
실리콘 카트리지(10)의 교체
사용자는 푸쉬로드(210)가 카트리지 홀더(110)에 전단에 머무른 상태에서, 푸쉬로드(210)의 후단에 고정된 핸들(230)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의 치합이 해제되며, 상기 푸쉬로드(210)가 반원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치합 기어(212)가 형성되지 않은 반원의 평면 부분이 상기 제1기어(310)와 이격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푸쉬로드(210)의 후단을 윗 방향으로 들어올려주거나 또는 수동으로 올려주지 않아도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가 형성되지 않은 평면 부분이 제1기어(310)의 이와 닿아 지렛대의 원리로 제1기어(310)의 중심과 푸쉬로드(210)의 중심거리가 멀어진다. 즉 중심부가 고정된 제1기어(310)에 비해 종방향의 관통부(420)에 끼워지는 푸쉬로드(210)가 밀려 올라가면서 가이드부(500)의 탄성부재(520)가 수축되고 상기 푸쉬로드(210)와, 상기 푸쉬로드(210)의 둘레를 감싸고 있던 그래버(510)가 동시에 관통부(420)의 하부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핸들(230)을 자신의 몸 안 쪽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가 없는 평면이 상기 제1기어(310)와 접촉되고, 결과적으로 이가 맞물려 있지 않기 때문에 제1기어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기 푸쉬로드(210)가의 미끄러지면서 신속하게 사용자의 몸 안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푸쉬로드(210)가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의 후단에 이를 때까지 잡아당긴 후 새로운 실리콘 카트리지(10)를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에 장착한 후 다시 상기 핸들(320)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돌려준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52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그래버(510)가 상기 푸쉬로드(210)를 아래 방향으로 눌러주게 되고,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의 치합이 견고하게 이뤄지게 된다.
이로써, 상기 푸쉬로드(210)가 전진 이동 될 때 상기 가이드부(500)의 그래버(510)가 상기 푸쉬로드(210)의 둘레를 감싸며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눌러 주기 때문에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의 치합 견고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푸쉬로드(210)가 후진 이동 될 때는 상기 푸쉬로드(210)의 후단이 관통부(420)의 하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치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로드(210)를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더욱 신속하게 상기 푸쉬로드(210)를 후진 이동 시키고, 실리콘 카트리지(10)를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4는 상기 실시예 1, 2 및 3의 구성 및 작용을 포함하며, 상기 실시예 1, 2 및 3과 달리 제1기어(310)에 일방향 기어(312)와 양방향 기어(314) 그리고 상기 일방향 기어(312)와 양방향 기어(314)의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이 더 포함된다는 차이가 있다.
상기 실시예 1, 2 및 3과 중복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상기 실시예1, 2 및 3의 설명으로 갈음하며, 차이점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주요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정면 기준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8에서 몸체(100) 및 조작몸체(40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은 제1기어(310)에 일방향 기어(312)와 양방향 기어(314)가 더 포함되고, 상기 일방향 기어(312)와 상기 양방향 기어(314) 사이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이 설치된다.
상기 일방향 기어(312)는 원형 기어로 피니언 기어나 스퍼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기어(312)는 푸쉬로드(210)의 하부에서 치합 기어(212)와 치합된다.
상기 양방향 기어(314)는 원통형 기어로 피니언 기어 또는 스퍼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기어(314)는 제2기어(320)와 치합된다.
즉 상기 일방향 기어(312)와 상기 양방향 기어(314)는 다단 스퍼 기어로 구성되되,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배치된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은 상기 일방향 기어(312)와 상기 양방향 기어(314) 사이에 내장된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은 정해진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부하가 걸리는 기계요소이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은 정회전할 때는 부하가 걸리지 아니하지만 역회전 할 때는 부하가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의 부하가 걸리는 회전 방향을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방향 기어(312)와 상기 양방향 기어(314)는 동일 기어축(미도시)을 사용하며 상기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을 통해 동력이 전달된다.
즉 상기 푸쉬로드(210)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진 이동 시키면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맞물린 일방향 기어(312)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상기 일방향 기어(312)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을 통해 상기 양방향 기어(314)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헛돌면서 상기 푸쉬로드(210)가 상기 양방향 기어(314)의 영향 없이 독립적으로 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제2기어(320)가 모터(33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경우 상기 제2기어(320)의 구동력이 상기 양방향 기어(314)에 전달되고, 상기 양방향 기어(314)는 그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방향 기어(314)와 연결되어 있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은 일방향 기어(312)에 부하를 걸어주고, 상기 일방향 기어(31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푸쉬로드(210)가 같이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의 작용을 설명한다.
실리콘 카트리지(10)의 사용
실리콘 카트리지(10)를 몸체(100)의 카트리지 홀더(110)에 장착한 후 조작손잡이(430)의 조작레버(432)를 당겨 모터(330)를 회전시키면, 상기 모터(330)의 축과 연결된 제2기어(320) 및 양방향 기어(314)가 축방향이 바뀌어 회전하게 되고,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은 일방향 기어(312)에 부하를 전달해주고, 상기 일방향 기어(312)와 치합된 푸쉬로드(210)의 치합기어(212)가 전진 이동 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푸쉬로드(210)가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의 내부에서 전진이동하게 되고, 상기 푸쉬로드(210)의 전단에 고정된 가압판(220)이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누름판(12)을 가압하게 되며, 카트리지 노즐(14)을 통해 실리콘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내부에 충전된 실리콘을 배출할수록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내부 압력이 강해지고, 실리콘 배출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 실리콘 건을 위로 향한채 실리콘 배출을 할 경우 실리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때 모터(330)를 조작하여 실리콘을 배출함과 동시에 수동으로 핸들(230)을 밀어주어 실리콘이 배출되는 것을 보조해줄 수 있다.
실리콘 카트리지(10)의 교체 및 배출
사용자는 푸쉬로드(210)가 카트리지 홀더(110)에 전단에 머무른 상태에서, 푸쉬로드(210)의 후단에 고정된 핸들(230)을 자신의 몸 바깥 방향으로 그대로 밀어준다. 그러면 일방향 기어(312)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일방향 기어(312)와 연결된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은 헛돌면서 부하를 양방향 기어(314)에 전달해주지 못하게 된다.
그에 따라 모터(330)를 사용하지 않고도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누름판(12)에 가압판(220)을 수동으로 밀착시킬 수 있으며, 수동으로 핸들(230)을 밀어서 실리콘을 배출시켜 줄 수도 있다.
아울러 교체하려는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내부에 남은 실리콘 양이 작을 경우,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누름판(12)이 실리콘 카트리지(10)의 전방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쉬로드(210)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밀어주어 가압판(220)을 신속하게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누름판(12)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교체하려는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내부에 빈 공간이 있을 경우에도 수동으로 조작로드(200)를 밀어주어 신속하게 실리콘 배출을 위해 밀착할 수 있으며, 갑작스런 전동 실리콘 건의 고장이나, 배터리의 방전 등으로 인하여 실리콘건의 구동이 어려울 때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제1기어(310)가 치합된 상태에서도 수동으로 밀어주어 실리콘을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실리콘 카트리지 12 : 누름판 14 : 카트리지 노즐
100 : 몸체
110 : 카트리지 홀더 120 : 카트리지 노즐 관통공
130 : 제1통공 140 : 제2통공
200 : 조작로드
210 : 푸쉬로드 212 : 치합 기어
220 : 가압판 230 : 핸들
300 : 구동부
310 : 제1기어
312 : 일방향 기어 314 : 양방향 기어
316 :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320 : 제2기어 330 : 모터
400 : 조작몸체
410 : 수용부 412 : 거치홀 414 : 기어축
420 : 관통부 430 : 조작손잡이 432 : 조작레버
440 : 배터리 450 : 고정부 452 : 고정홈
500 : 가이드부
510 : 그래버 520 : 탄성부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실리콘 카트리지(10)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홀더(110)가 구비된 몸체(100);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를 관통하여 상기 카트리지 홀더(110)의 내측에 설치되고, 단면이 반원형상을 이루며 하부에 치합 기어(212)가 형성되는 푸쉬로드(210)와, 상기 푸쉬로드(210)의 전단에서 실리콘 카트리지(10)의 누름판(12)을 가압해주는 가압판(220)과, 상기 푸쉬로드(210)의 후단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230)이 포함된 조작로드(200);
    상기 치합 기어(212)와 치합되어 구동원을 공급해주어 상기 치합 기어(212)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주는 구동부(300); 및
    상기 몸체(100)의 외측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몸체(400);가 포함되되,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치합 기어(212)의 하부에서 상기 치합 기어(212)와 치합되는 제1기어(310)와, 상기 제1기어(310)와 축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1기어(310)와 치합되는 제2기어(320)와, 상기 제2기어(320)를 회전시켜주는 모터(33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조작몸체(400)는 내부에 상기 구동부(300)를 수용하는 수용부(410)와, 후단에서 상기 푸쉬로드(21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부(420)와, 하부에는 상기 구동부(300)와 연결되어 그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손잡이(43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치합 기어(212)와 상기 제1기어(310)는 상기 핸들(230)의 회전에 의해 치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420)는 횡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며, 상기 푸쉬로드(210)의 후단이 상기 관통부(420)에 가이드되어 좌우로 움직여 상기 제1기어(310)와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의 치합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420)의 상부에는 상기 푸쉬로드(210)의 상부를 눌러 상기 푸쉬로드(21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 시 그 움직임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500)가 더 포함되되,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푸쉬로드(210)를 감싸주는 그래버(510)와, 상기 그래버(5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그래버(510)에 탄성력을 부여해주는 탄성부재(52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310)는 일방향 기어(312)와 양방향 기어(314)가 포함되고, 상기 일방향 기어(312)와 상기 양방향 기어(314) 사이에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316)이 설치되되,
    상기 일방향 기어(312)는 상기 푸쉬로드(210)의 치합 기어(212)와 치합되며, 상기 양방향 기어(314)는 상기 제2기어(320)와 치합되어, 상기 푸쉬로드(210)가 수동으로 전진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8. 삭제
KR1020120139959A 2012-12-05 2012-12-05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KR10130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59A KR101300535B1 (ko) 2012-12-05 2012-12-05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PCT/KR2013/010095 WO2014088221A1 (ko) 2012-12-05 2013-11-08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59A KR101300535B1 (ko) 2012-12-05 2012-12-05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535B1 true KR101300535B1 (ko) 2013-09-02

Family

ID=4945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959A KR101300535B1 (ko) 2012-12-05 2012-12-05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0535B1 (ko)
WO (1) WO20140882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64Y1 (ko) 2014-08-17 2016-05-04 최범진 글루건의 토출관 보조 밀대
KR101869297B1 (ko) 2017-10-17 2018-06-20 홍선표 자동 실리콘 압출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999Y1 (ko) * 2002-02-15 2002-05-09 문성훈 전동식 실리콘 분사기
KR200393480Y1 (ko) * 2005-05-18 2005-08-22 조기정 전동,수동 겸용 실리콘 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102A (ko) * 2003-06-03 2004-12-10 김순기 전동 실리콘건
KR200406080Y1 (ko) * 2005-10-24 2006-01-20 이정숙 실리콘 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999Y1 (ko) * 2002-02-15 2002-05-09 문성훈 전동식 실리콘 분사기
KR200393480Y1 (ko) * 2005-05-18 2005-08-22 조기정 전동,수동 겸용 실리콘 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64Y1 (ko) 2014-08-17 2016-05-04 최범진 글루건의 토출관 보조 밀대
KR101869297B1 (ko) 2017-10-17 2018-06-20 홍선표 자동 실리콘 압출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8221A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4733B1 (en) Powered internal feed roller
US6540113B2 (en) Fluid dispenser particularly adapted for hand-held operation
US4615469A (en) Electrically powered squeezer for dispensing a viscous substance
EP2564942B1 (en) Powered dispensing tool
RU2014113407A (ru) Перезаряжаемый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инъектор
KR101300535B1 (ko) 급속 장전이 가능한 전동 실리콘건
US5503307A (en) Quick release automatic electric caulking gun
US20110129794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dental composition
US20110068130A1 (en) Dispensing device
EP2636457B1 (en) Caulking guns
JP5501783B2 (ja) コーキングガン
US9981233B2 (en) Portable mixer and dispenser for multi-component substances
US20180008999A1 (en) Power operated dispensing tool
TWI569888B (zh) 用於多成份匣的分配裝置
JP6763890B2 (ja) 穿刺装置
KR101232286B1 (ko)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전동 실리콘 토출건
JP2009096556A (ja) 絞り出し装置
EP2213382B1 (en) Device for applying paste products
JP5794505B2 (ja) 二種類の歯科用麻酔液入りカートリッジ兼用電動注射器
EP3167956A1 (en) Dispenser and mixer for disposable cartridges
GB2477764A (en) Dispensing device
AU2001269391A1 (en) Fluid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