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251B1 -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251B1
KR101300251B1 KR1020110095256A KR20110095256A KR101300251B1 KR 101300251 B1 KR101300251 B1 KR 101300251B1 KR 1020110095256 A KR1020110095256 A KR 1020110095256A KR 20110095256 A KR20110095256 A KR 20110095256A KR 101300251 B1 KR101300251 B1 KR 101300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roller
toner
metal blade
bracke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587A (ko
Inventor
최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닉스
Priority to KR102011009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2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0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with bias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롤러 상에 적층되는 토너의 적층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는, 브라켓, 전압을 인가받아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전기 대전시키기 위해 현상롤러에 접하도록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금속 블레이드 및 현상롤러에 접하여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마찰 대전시키기 위해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2 금속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는 제 1 금속 블레이드로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의 적층 두께를 1차로 규제하고, 제 2 금속 블레이드로 토너의 적층 두께를 2차로 규제하므로,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Toner regulation device for developing roller and develop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상롤러 상에 적층되는 토너의 적층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신호에 따라 용지와 같은 인쇄매체 상에 흑백화상이나 컬러화상을 현상시키는 장치로,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 등이 있다. 이러한 각종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 방식으로는 감광체에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그 위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인쇄매체로 옮기는 전자사진 방식과,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 표면에 액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젯 방식이 대표적이다.
이 중에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일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빔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만들어낸 후, 이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한다.
도 1은 종래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드럼 형태의 감광체(10), 감광체(10)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한 대전기(20), 빔 조사를 통해 감광체(10)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장치(30), 감광체(10)에 토너를 부착하여 감광체(10)의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롤러(40), 인쇄매체로 감광체(10)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롤러(50),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장치(60)를 포함한다. 이 밖에도 화상형성장치에는 토너 화상을 용융시켜서 인쇄매체에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현상롤러(40)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저장통(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급롤러(80)를 통해 토너를 공급받는다. 공급롤러(80)에 의해 현상롤러(40)에 부착되는 토너는 규제 블레이드(90)에 의해 그 적층 높이가 규제된다.
현상롤러(40)의 표면에 얇고 균일하고 일정한 전하량으로 대전된 토너층을 만들기 위해서는 규제 블레이드(90)가 현상롤러(40)에 대하여 정밀한 선접촉 압력을 갖고 접촉해야 한다. 규제 블레이드(90)는 그 끝단이 현상롤러(40)의 표면에 일정한 선압으로 접촉함으로써 현상롤러(40) 상에 적층되는 토너의 양을 조절하고 현상롤러(40) 상에 부착되는 토너를 대전시킨다.
규제 블레이드로 현상롤러에 부착된 토너를 대전시킬 때 현상롤러에 부착된 토너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대전시키기는 어렵다. 이것은 토너의 입자 크기 차이, 토너와 규제 블레이드의 접촉 여부, 토너와 규제 블레이드의 접촉 시간 차이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현상롤러를 통해 감광체로 운반되는 토너는 대전량의 차이를 나타내게 되며, 대전되지 않은 것과 대전량을 잃은 것이 존재하게 된다. 대전량이 적절하지 못한 토너는 감광체에 부착되지 못하고 폐토너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폐토너는 자원낭비와 환경폐기물 발생으로 이어지며, 화상형성장치의 유지 비용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의 적층 두께를 얇고 균일하게 규제하고 토너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대전시킴으로써 화상 품질을 향상시키고 폐토너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는, 감광체에 토너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에 접하여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의 적층 두께를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브라켓,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전기 대전시키기 위해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금속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여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마찰 대전시키기 위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2 금속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는 상기 브라켓을 통해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제 2 금속 블레이드는 상기 브라켓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의 길이는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의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지 않는 끝단 쪽에는 토너가 통과할 수 있는 토너 배출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의 자유장은 상기 제 2 금속 블레이드의 자유장보다 긴 것이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는, 토너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갖는 토너 저장통, 감광체에 토너를 부착하여 상기 감광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토너 저장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토너 저장통 내에 설치되는 공급롤러 및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의 적층 두께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토너층 규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층 규제장치는, 상기 토너 저장통에 고정되는 브라켓,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전기 대전시키기 위해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금속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여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마찰 대전시키기 위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2 금속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는 상기 현상롤러에 의한 토너 운반 경로상 상기 제 2 금속 블레이드보다 상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는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에 의한 1차 대전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제 2 금속 블레이드에 의한 2차 대전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는 제 1 금속 블레이드로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의 적층 두께를 1차로 규제하고, 제 2 금속 블레이드로 토너의 적층 두께를 2차로 규제하므로,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토너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는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제 1 금속 블레이드로 1차 대전시킨 후 제 2 금속 블레이드로 2차 대전시키므로, 토너를 균일하게 대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버려지는 폐토너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는 제 1 금속 블레이드가 전기 대전 방식을 취하고, 제 2 금속 블레이드가 마찰 대전 방식을 취하여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다른 방식으로 두 번 대전시킨다. 마찰 대전 방식은 전기 대전 방식에 비해 대전 세기가 작으므로, 제 2 금속 블레이드는 1차 대전 과정을 거친 토너를 과대전시키지 않으면서 1차 대전시에 대전량이 부족한 토너나 대전량을 잃은 토너에 대전량을 보충해 준다. 따라서 토너의 과대전 또는 부족한 대전으로 인한 화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의 제 1 금속 블레이드가 현상롤러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의 제 2 금속 블레이드가 현상롤러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며 토너(T)에 의한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신호에 따라 빔을 조사하기 위한 노광장치(30), 현상장치(100)가 형성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롤러(50),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장치(60), 인쇄매체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융시켜서 인쇄매체에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현상장치(100)는 노광장치(30)로부터 빔을 조사받아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110), 감광체(110)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한 대전기(120), 감광체(110)에 토너(T)를 부착하기 위한 현상롤러(130), 현상롤러(130)에 토너(T)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140), 토너(T)가 저장되는 저장실(151)을 갖는 토너 저장통(150),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의 적층 두께를 규제하는 토너층 규제장치(160)를 포함한다. 토너 저장통(150)의 내부에는 저장실(151)에 저장되는 토너(T)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55)가 설치된다.
현상롤러(130)는 감광체(110)와의 사이에 일정한 현상 닙(nip)이 형성되도록 감광체(11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감광체(1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롤러(130)의 표면에는 토너(T)가 부착되고, 현상롤러(130) 표면의 토너(T)는 현상 닙에서 감광체(110)로 이동하여 감광체(110)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인쇄가 시작되면, 노광장치(30)가 화상 신호에 따라 대전기(120)에 의해 일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110)의 표면에 빔을 주사하여 감광체(110)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감광체(110)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면 현상롤러(130)가 감광체(110)에 토너(T)를 부착하여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한다. 감광체(110) 표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전사롤러(50)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매체 표면으로 전사되고, 정착유닛이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해 가시화상을 인쇄매체 표면에 정착시킨다.
이러한 전자사진 방식에 의한 인쇄과정에 있어서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은 화상의 화질과 토너(T)의 사용효율 등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현상롤러(130)에 적층되는 토너(T)의 양은 정밀하게 규제되어야 하고, 그 역할을 토너층 규제장치(160)가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토너층 규제장치(160)는 토너 저장통(150) 일측에 고정되는 브라켓(161), 현상롤러(130)에 접할 수 있도록 브라켓(161)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금속 블레이드(162) 및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를 포함한다. 이러한 토너층 규제장치(160)는 두 개의 금속 블레이드(162)(164)가 현상롤러(130)에 접하여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T)의 적층 두께를 규제하고,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T)를 대전시킨다. 제 1 금속 블레이드(162)는 전원공급장치(6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으며 현상롤러(130)에 의한 토너 운반 경로상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보다 상류에 배치된다.
따라서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T)는 그 적층 두께가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에 의해 1차로 규제된 후,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에 의해 2차로 규제된다. 또한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T)는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에 의해 1차로 전기 대전된 후,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에 의해 2차로 마찰 대전된다.
브라켓(161)은 제 1 금속 블레이드(162) 및 제 2 금속 블레이드(164)가 적절한 선압을 유지하면서 현상롤러(130)에 접할 수 있도록 제 1 금속 블레이드(162) 및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를 지지한다. 또한 브라켓(161)은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에 전원공급장치(60)의 전압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브라켓(161)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브라켓(161)은 CR강판이나 E.G.I강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 금속 블레이드(162)는 스테인리스스틸 등 전류가 통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 1 금속 블레이드(162)는 현상롤러(130)에 접하여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T)의 적층 두께를 1차로 규제함과 동시에, 브라켓(161)을 통해 전원공급장치(60)의 전압을 인가받아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T)를 1차로 전기 대전시킨다. 제 1 금속 블레이드(162)는 레이저 용접 등 브라켓(1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결합 방법으로 브라켓(161)에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상롤러(130)에 토너(T)가 부착되어 형성되는 토너층은 제 1 금속 블레이드(162) 및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에 의해 그 두께가 두 번 규제되므로, 1차 토너층 규제시 토너층의 두께가 정밀하게 규제될 필요는 없다. 즉, 1차 토너층 규제시 토너층의 두께는 다소 두껍게 조절된다. 이것은 보다 많은 토너(T)가 현상롤러(130)에 부착되어 대전되도록 함으로써 현상롤러(130)를 통해 감광체(110)에 공급되는 토너의 양이 부족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금속 블레이드(162)가 토너층을 두껍게 규제할 수 있도록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의 선압은 낮게 설정된다. 이를 위해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의 자유장(L1)은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의 자유장(L2)보다 길게 설계된다. 예컨대,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의 자유장(L1)은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의 자유장(L2)의 두 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 금속 블레이드(162)는 현상롤러(130)와의 미접촉 부위가 생기지 않도록 현상롤러(130)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의 양쪽 끝단 쪽, 구체적으로 현상롤러(130)의 양 끝단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토너 배출홈(163)이 마련된다. 토너 배출홈(163)은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와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의 사이 공간에서 현상롤러(130)로부터 이탈하는 토너(T)를 공급롤러(140) 쪽으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토너 배출홈(163)을 통해 공급롤러(140) 쪽으로 이동하는 토너(T)는 공급롤러(140)에 의해 다시 현상롤러(130)에 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는 스테인리스스틸 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는 현상롤러(130)에 접하여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T)의 적층 두께를 2차로 규제함과 동시에,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T)를 2차로 마찰 대전시킨다.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는 본딩 열융착 등 브라켓(161)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결합 방법을 통해 브라켓(161)에 결합된다. 즉, 브라켓(161)과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의 사이에는 절연부재(167)가 배치되며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에는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는 브라켓(161)의 끝단으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된 연장부(165)와 연장부(165)의 끝단에 마련되는 절곡부(166)를 구비한다. 절곡부(166)의 하부 끝단이 현상롤러(130)에 접하여 토너(T)의 적층 두께를 규제하고, 토너(T)를 마찰 대전시킨다.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는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에 의해 1차로 규제된 토너층의 두께를 더욱 정밀하게 규제한다. 이를 위해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의 선압은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의 선압보다 높게 설정되고,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의 자유장(L2)은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의 자유장(L1)보다 짧다.
도면에는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와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의 배치 각도가 수직인 것으로 나타나있으나,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와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는 현상롤러(130)의 다른 위치에서 각각 접하는 조건하에서 그 배치 각도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와 제 2 금속 블레이드(164) 각각의 구조나, 브라켓(161)과의 결합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160)는 제 1 금속 블레이드(162)로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T)의 적층 두께를 1차로 규제하고,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로 토너(T)의 적층 두께를 2차로 규제하므로,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T)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토너(T)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160)는 현상롤러(130)에 부착되는 토너(T)를 제 1 금속 블레이드(162)로 1차 대전시킨 후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로 2차 대전시키므로, 토너(T)를 균일하게 대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버려지는 폐토너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제 1 금속 블레이드(162)의 대전 방식은 전기 대전 방식이고, 제 2 금속 블레이드(164)의 대전 방식은 마찰 대전 방식으로 서로 다르다. 마찰 대전 방식은 전기 대전 방식에 비해 대전 세기가 작으므로, 제 2 금속 블레이드(164)는 1차 대전 과정을 거친 토너(T)를 과대전시키지 않으면서 1차 대전시에 대전량이 부족한 토너(T)나 대전량을 잃은 토너(T)에 대전량을 보충해 준다. 따라서 토너(T)의 과대전 또는 부족한 대전으로 인한 화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30 : 노광장치 50 : 전사롤러
60 : 전원공급장치 100 : 현상장치
110 : 감광체 120 : 대전기
130 : 현상롤러 140 : 공급롤러
150 : 토너 저장통 155 : 교반기
160 : 토너층 규제장치 161 : 브라켓
162, 164 : 제 1, 2 금속 블레이드 163 : 토너 배출홈
165 : 연장부 166 : 절곡부

Claims (7)

  1. 감광체에 토너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에 접하여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의 적층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에 있어서,
    브라켓;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전기 대전시키기 위해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금속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여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마찰 대전시키기 위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2 금속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는 상기 브라켓을 통해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제 2 금속 블레이드는 상기 브라켓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2. 삭제
  3. 감광체에 토너를 부착하는 현상롤러에 접하여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의 적층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에 있어서,
    브라켓;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전기 대전시키기 위해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금속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여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마찰 대전시키기 위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2 금속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의 길이는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의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지 않는 끝단 쪽에는 토너가 통과할 수 있는 토너 배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의 자유장은 상기 제 2 금속 블레이드의 자유장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5. 토너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갖는 토너 저장통;
    감광체에 토너를 부착하여 상기 감광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토너 저장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토너 저장통 내에 설치되는 공급롤러; 및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의 적층 두께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토너층 규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층 규제장치는,
    상기 토너 저장통에 고정되는 브라켓,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전기 대전시키기 위해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금속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롤러에 접하여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를 마찰 대전시키기 위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2 금속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는 상기 브라켓을 통해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제 2 금속 블레이드는 상기 브라켓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는 상기 현상롤러에 의한 토너 운반 경로상 상기 제 2 금속 블레이드보다 상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되는 토너는 상기 제 1 금속 블레이드에 의한 1차 대전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제 2 금속 블레이드에 의한 2차 대전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삭제
KR1020110095256A 2011-09-21 2011-09-21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 KR101300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256A KR101300251B1 (ko) 2011-09-21 2011-09-21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256A KR101300251B1 (ko) 2011-09-21 2011-09-21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587A KR20130031587A (ko) 2013-03-29
KR101300251B1 true KR101300251B1 (ko) 2013-08-26

Family

ID=4818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256A KR101300251B1 (ko) 2011-09-21 2011-09-21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3138B2 (ja) * 2016-10-24 2020-07-15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1005A (ja) * 1997-11-25 1999-06-18 Hitachi Ltd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
KR100602264B1 (ko) * 2004-01-19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현상제층 규제 블레이드를 갖는 화상형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1005A (ja) * 1997-11-25 1999-06-18 Hitachi Ltd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
KR100602264B1 (ko) * 2004-01-19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현상제층 규제 블레이드를 갖는 화상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587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1832B2 (en) Thermal fix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298848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626044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US11256194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335664B2 (en)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0866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device
KR101300251B1 (ko) 현상롤러의 토너층 규제장치 및 이를 갖는 현상장치
US10088776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incorporating same
JP6252267B2 (ja) 画像形成装置
US9031472B2 (en) Developing device with a developer conveying member having paddles connecting spiral blades at one circumferential posi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a developing device
JP5629713B2 (ja)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15310B2 (ja) 定着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081337B2 (en) Fixing device ensuring smooth delivery of sheet
JP2015022311A (ja) 複数の接触点で調量を行う帯電ブレード
US8494418B2 (en)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816921B1 (en)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277498B2 (ja) 画像形成装置
JP6601327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28316B2 (ja) 画像形成装置
JP4470925B2 (ja) 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12320B2 (ja)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052186A (ja) 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639023B2 (en) Developing assemb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388805B2 (ja) 複数の帯電ブレードを有する現像装置
JP4269617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