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964B1 -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방법 - Google Patents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964B1
KR101299964B1 KR1020110126632A KR20110126632A KR101299964B1 KR 101299964 B1 KR101299964 B1 KR 101299964B1 KR 1020110126632 A KR1020110126632 A KR 1020110126632A KR 20110126632 A KR20110126632 A KR 20110126632A KR 101299964 B1 KR101299964 B1 KR 10129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cony
wall
string
living room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530A (ko
Inventor
류형규
정민호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9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06B3/483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folding upward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2Partitio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독주택, 빌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에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존재하는 분할벽체를 수직하게 접철되는 구조를 가지는 가변식 벽체로 구성함으로써, 필요시에는 분할벽체를 접어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가 없도록 하여 발코니도 거실 공간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발코니를 거실과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분할벽체를 펼쳐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1)를 배치하되; 상기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1)는, 상,하가 접혀서 서로 포개지는 접철식 분할벽체(10)와; 끈 감김봉(32)과; 회전부재(44)과, 일단은 상기 끈 감김봉(32)에 결속되고 타단은 끈 감김봉(32)을 출발하여 상기 제3회전롤러(62)를 지나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롤러(60)를 지난 후 상기 회전부재(44)을 지나서 상기 끈 감김봉(32)에 결속되는 폐합형 배치를 가지는 작동 끈(3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끈 감김봉(32)을 돌려 상기 작동 끈(31)을 감아서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를 상,하로 접어서 포개지도록 한 후,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를 발코니 천정에 수납함으로써, 거실과 발코니 사이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확장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방법{Wall Assembly for Expandable Balcony, and Method for Expanding Balcony using such Wall Assembly}
본 발명은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단독주택, 빌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에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존재하는 분할벽체를 수직하게 접철되는 구조를 가지는 가변식 벽체로 구성함으로써, 필요시에는 분할벽체를 접어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가 없도록 하여 발코니도 거실 공간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발코니를 거실과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분할벽체를 펼쳐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택에는 거실과 구분되는 공간으로서 발코니가 존재하며, 거실과 발코니는 "분할벽체"에 의해 구분되어 있는데, 거실을 더 넓게 사용하기 위하여 소위 "발코니 확장" 작업을 통해서 거실과 발코니를 구획하는 "분할벽체"를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분할벽체는 창틀을 가지는 창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발코니는 그 자체로도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거실과 발코니를 구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경우도 많다. 그렇지만 종래와 같이 거실과 발코니 사이의 "분할벽체"를 완전히 제거하게 되면, 정작 필요할 때 거실과 발코니를 구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690659호에는 분할벽체에 해당하는 창틀을 발코니 외벽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서 발코니 공간을 거실 공간의 일부로 활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창틀 즉, 분할벽체를 그대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이동과정에서 거실창이 전도될 위험이 크다. 또한 분할벽체가 발코니 외벽의 앞에 여전히 존재하게 되므로, 그만큼 발코니의 넓이를 잠식하게 되어 거실 공간의 확장 효과가 크지 않게 되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90659호(2007. 03. 12. 공고)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단독주택, 빌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에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존재하는 벽체를 가변식으로 구성하여 필요할 때에는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가 없도록 하여 발코니도 거실 공간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발코니를 거실과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벽체를 펼쳐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되, 벽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벽체가 전도될 위험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제거된 벽체가 발코니의 영역을 잠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거실 공간의 확장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래의 과제 해결 수단 부분은 관례적으로 특허청구범위 내용을 반복하여 기재하는 것이므로, 별도로 검토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단이 수직하게 상승하면서 상,하로 접혀져서 서로 포개지는 접철식 분할벽체를 포함하는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를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를 상,하로 접어서 포개지도록 한 후,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를 발코니 천정에 수납함으로써, 거실과 발코니 사이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확장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는, 상부벽체와 하부벽체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상부벽체와 상기 하부벽체는 힌지부로 연결되어 있어 있으며; 상기 하부벽체의 하단 측면에는 제1회전롤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벽체의 상단 측면에는 제3회전롤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는, 발코니의 천정에 매달려 구비되어 작동 끈을 감거나 풀어주는 끈 감김봉과; 상기 끈 감김봉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작동 끈이 걸쳐지는 회전판과; 일단은 상기 끈 감김봉에 결속되고 타단은 끈 감김봉을 출발하여 상기 제3회전롤러를 지나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롤러를 지난 후 상기 회전판을 지나서 상기 끈 감김봉에 결속되는 폐합형 배치를 가지는 작동 끈과;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벽체의 하단이 수직상승하게 하는 수직가이드 레일과; 상기 하부벽체의 하단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수직이동하는 삽입이동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끈 감김봉을 돌려 상기 작동 끈이 상기 끈 감김봉에 감겨져 길이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가 접혀서 상부벽체와 하부벽체가 서로 포개지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는, 상부벽체와 하부벽체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상부벽체와 상기 하부벽체는 힌지부로 연결되어 있어 있으며; 상기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는, 발코니의 천정에 매달려 구비되어 작동 끈을 감거나 풀어주는 끈 감김봉과; 상기 끈 감김봉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작동 끈이 걸쳐지는 회전판과; 일단은 상기 끈 감김봉에 결속되고 타단은 끈 감김봉을 출발하여 상기 회전판을 지나서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 끈과;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벽체의 하단이 수직상승하게 하는 수직가이드 레일과; 상기 하부벽체의 하단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수직이동하는 삽입이동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끈 감김봉을 돌려 상기 작동 끈이 상기 끈 감김봉에 감겨져 길이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가 접혀서 상부벽체와 하부벽체가 서로 포개지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발코니 확장방법에 사용되는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할 때에는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가 없도록 하여 발코니도 거실 공간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발코니를 거실과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벽체를 펼쳐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면서도, 접철식 분할벽체(10)가 발코니의 천정으로 접히게 되어 있으므로, 벽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벽체가 전도될 위험이 전혀 없으며, 더 나아가 제거된 벽체가 발코니의 영역을 잠식하지 않게 되어, 거실 공간의 확장 효과가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발코니와 거실을 구분하게 되는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발코니와 거실을 구분하게 되는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각각 도 3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법에 따라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를 접어서 발코니를 확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코니와 거실을 구분하게 되는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를 바라보는 각도를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각각 도 10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법에 따라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를 접어서 발코니를 확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발코니와 거실을 구분하게 되는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1)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1)는,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로 구성되어 있는 접철식 분할벽체(10)와, 상기 분할벽체(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가이드 레일(20)과,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를 접히게 하거나 펼치게 하기 위하여 작동 끈(31)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끈 인양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는,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로 분할되어 있되, 상기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는 힌지부(13)로 연결되어 있어, 힌지부(13)가 꺾이면서 접혀져서 상기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상,하로 접혀지게 된다. 상기 상부벽체(11)의 상단은, 천정에 설치되는 제1회전행어부재(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접철식 분할벽체(10)가 설치된 위치에서 건물 내부의 천정에 제1회전행어부재(4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벽체(11)의 상단이 상기 제1회전행어부재(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벽체(11)의 상단이 제1회전행어부재(41)에 결합되어 천정에 매달린 상태로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가 수직하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것처럼, 발코니의 확장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부벽체(11)의 상단이 제1회전행어부재(41)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의 측면에는 수직가이드 레일(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하부벽체(12)의 측면으로 삽입이동부(120)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삽입이동부(120)가 수직가이드 레일(20)의 오목한 레일부에 삽입되어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발코니의 확장이 필요하게 되어 하부벽체(12)가 접히면서 상승할 때, 상기 삽입이동부(120)는 상기 수직가이드 레일(20)의 레일부에 끼워진 채로 수직하게 이동한다. 이러한 수직가이드 레일(20)과 삽입이동부(120)는 접철식 분할벽체(10)의 일측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접철식 분할벽체(1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발코니의 천정에는 상기 제1회전행어부재(41)와 나란하게 이웃하여 제2회전행어부재(42)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행어부재(42)에는 작동 끈(31)을 감게 되는 끈 감김봉(3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끈 감김봉(32)이 길게 연장된 봉 봉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작동 끈(31)이 감기는 위치에 직경이 확장되어 있는 감김부재(37)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속적이지 않고 단속적인 형태로 제작된 제2회전행어부재(42)에 끈 감김봉(32)이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발코니의 천정에는 상기 끈 감김봉(32)을 회전시키는 모터(M)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M)와 끈 감김봉(32) 사이에는 체인이 연결되어 있어 체인에 의해 모터(M)의 회전력이 끈 감김봉(32)에 전달되어 끈 감김봉(32)이 회전하게 된다. 거실과 반대되는 방향 즉, 외측 창문 방향으로는 상기 제2회전행어부재(42)와 이웃하여 제3회전행어부재(4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회전행어부재(43)에는 작동 끈(31)이 걸쳐지게 되는 회전부재(44)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3회전행어부재(43)에 횡봉(4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횡봉(45)에 상기 회전부재(44)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속적으로 배치된 제3회전행어부재(43)에 개별적으로 회전부재(44)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작동 끈(31)은 일단이 상기 끈 감김봉(32)에 결속되어 있으며, 작동 끈(31)의 타단은 끈 감김봉(32)에서부터 상기 회전부재(44)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재(44)에 걸쳐진 후 상기 하부벽체(12) 또는 힌지부(13)에 연결된다. 상기 작동 끈(31)은 접철식 분할벽체(31)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의 개소에 존재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작동 끈(31)이 접철식 분할벽체(31)의 폭 방향으로 2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작동 끈(31)이 존재하므로, 상기 회전부재(44) 역시 작동 끈(31)의 갯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존재하게 된다. 작동 끈(31)은 강재 와이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작동 끈(31)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 9는 각각 도 3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법에 따라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를 접어서 발코니를 확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편의상 도 4 내지 도 9에서는 편의상 수직가이드 레일(2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우선 도 4는 거실과 발코니 사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가 수직하게 펼쳐져서 직립해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 끈(31)의 타단 즉, 끈 감김봉(32)으로부터 출발하여 회전부재(44)의 외면을 감은 작동 끈(31)의 타단은 천정 부분을 가로지른 후, 사용자가 붙잡기 편한 위치로 늘어뜨려져 있게 된다. 늘어뜨려진 작동 끈이 발코니 공간에서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부벽체(11)에 끈 걸림부재(110)를 설치하여 작동 끈(31)이 걸립부재(110)에 걸쳐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접철식 분할벽체(10)를 제거하여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가 없도록 하여 발코니도 거실 공간의 일부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작동 끈(31)의 타단을 힌지부(13)에 결속한다. 반드시 작동 끈(31)의 타단이 결속되는 위치가 반드시 힌지부(13)일 필요는 없으며, 힌지부(13)에 근접한 위치라면 하부벽체(12)에 상기 작동 끈(31)의 타단을 결속할 수도 있다. 도 5는 이와 같이 작동 끈(31)의 타단을 힌지부(13)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벽체(12)의 상단에 결속한 상태를 보여준다.
후속하여 모터(M)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2회전행어부재(42)에 매달려 있는 끈 감김봉(32)이 회전하면서 작동 끈(31)을 감게 된다. 그에 따라 작동 끈(31)이 당겨지면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부(13)가 거실과 반대 방향 즉, 외측 창문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하부벽체(12) 하단의 측면에 돌출 구비된 상기 삽입이동부(120)가 상기 수직가이드 레일(20)의 레일부에 끼워져 있으므로, 삽입이동부(120)가 위로 상승하도록 이동하면서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서로 접혀지기 시작한다. 도 7 및 도 8에는 각각 작동 끈(31)이 끈 감김봉(32)에 더욱 감겨져서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더 접혀지는 상태가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최종적으로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서로 마주하도록 완전하게 포개지게 되면, 거실과 발코니는 완전히 통해져서 하나의 공간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의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서로 포개져서 발코니의 천정에 수납되므로, 공간 활용 효율이 매우 커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서로 포개져서 접철식 분할벽체(10)가 발코니의 천정에 수납된 상태에서, 다시 거실과 발코니를 구획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끈 감김봉(32)을 회전시켜, 감겨져 있던 작동 끈(31)을 풀어낸다. 그에 따라 도 9의 상태, 도 8의 상태, 그리고 도 7의 상태의 순서로 접철식 분할벽체(10)가 펼쳐지게 되고, 후속하여 도 6 및 도 5에 도시된 상태를 거쳐 결국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일직선을 이루는 완전 펼침상태가 되어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벽체가 다시 만들어지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9에는 각각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코니와 거실을 구분하게 되는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를 바라보는 각도를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각각 도 12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법에 따라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를 접어서 발코니를 확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부벽체(12)의 하단에서 측면에는 작동 끈이 걸쳐져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도르래의 원판과 같이 회전하게 되는 제1회전롤러(60)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벽체(12)의 하단에서 삽입이동부(120)가 돌출되는 위치에 상기 제1회전롤러(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1회전롤러(60)로부터 삽입이동부(120)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작동 끈(31)이 접철식 분할벽체(10)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므로, 상기 하부벽체(12)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제1회전롤러(60) 역시 하부벽체(12)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이와 같이 회전하게 되는 회전롤러는 하부벽체(12)의 상단에도 구비된다. 즉, 힌지부(13)의 바로 아래쪽 위치에서 하부벽체(12)의 상단 양측에도 제2회전롤러(61)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벽체(11)의 상단에서도 양측에 추가적인 제3회전롤러(62)가 구비된다.
도 10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 끈(31)이 배치되는 형상을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 끈(31)의 일단은 끈 감김봉(32)에 결속되어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끈 감김봉(32)에는 작동 끈(31)의 양단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끈 결합부재(38)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끈 결합부재(38)가 끈 감김봉(32)에 구비되면, 상기 작동 끈(31)의 일단은 상기 끈 결합부재(38)에 고정된다. 작동 끈(31)의 타단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거실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부벽체(11)의 상단을 넘어가서 상부벽체(11)의 상단에 구비된 제3회전롤러(62)의 외부에 걸쳐진 후, 계속하여 수직하게 연장되어 하부벽체(12)의 하단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60)의 외부를 감게 된다. 제1회전롤러(60)의 외부를 감은 작동 끈(31)의 타단은 다시 상승하여 상기 제3회전행어부재(43)에 구비된 회전부재(44)의 외부를 감은 후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끈 감김봉(32)에 결속되어 고정된다. 끈 결합부재(38)가 끈 감김봉(32)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작동 끈(31)의 타단은 상기 끈 결합부재(38)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동 끈(31)은 폐합형 배치를 가지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서 접철식 분할벽체(10)가 접철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거실과 발코니 사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가 수직하게 펼쳐져서 직립해있는 상태에서, 작동 끈(31)은, 양단이 끈 감김봉(32)에 고정되고 중간 부분은 제3회전롤러(62)와, 제1회전롤러(60)와, 회전부재(44)에 순차적으로 걸쳐진 폐합된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접철식 분할벽체(10)가 직립한 상태에서, 작동 끈(31)이 발코니 영역에 늘어뜨려져 있지 않도록,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벽체(11)에 끈 걸림부재(110)를 설치하여 작동 끈(31)이 걸립부재(110)에 걸쳐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접철식 분할벽체(10)를 제거하여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가 없도록 하여 발코니도 거실 공간의 일부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모터(M)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모터(M)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제2회전행어부재(42)에 매달려 있는 끈 감김봉(32)이 도 15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끈 감김봉(32)에는 작동 끈(31)의 양단이 모두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끈 감김봉(32)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작동 끈(31)이 모두 화살표 C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폐합된 배치를 가지는 작동 끈(31)의 전체 길이가 축소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벽체(12)에 구비된 삽입이동부(120)가 상기 수직가이드 레일(20)의 레일부에 끼워진 상태로 위로 상승하도록 이동하면서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서로 접혀지기 시작한다.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서로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접철식 분할벽체(10)를 발코니 방향으로 살짝 밀어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끈 감김봉(32)이 계속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작동 끈(31)이 끈 감김봉(32)에 더욱 감겨지면서 폐합된 작동 끈(31)의 길이가 더욱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더 접혀지게 된다. 이 때 하부벽체(12)의 상단에 구비된 제2회전롤러(61)도 상기 작동 끈(31)에 닿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서로 마주하도록 완전하게 포개지게 되면, 거실과 발코니는 완전히 통해져서 하나의 공간을 이루게 된다.
특히, 도 10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서로 포개지도록 접철되어 있는 상태의 접철식 분할벽체(10)를, 하나의 폐합되어 있는 작동 끈(31) 감싸고 있는 상태이므로, 발코니의 천정에 포개져 있는 접철식 분할벽체(10)가 더욱 안전하게 천정에 매달려 있게 된다. 또한 작동 끈(31)을 이용하여 접철식 분할벽체(10)를 접철하거나 또는 수직하게 직립시키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필요할 때에는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가 없도록 하여 발코니도 거실 공간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발코니를 거실과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벽체를 펼쳐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면서도, 접철식 분할벽체(10)가 발코니의 천정으로 접히게 되어 있으므로, 벽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벽체가 전도될 위험이 전혀 없으며, 더 나아가 제거된 벽체가 발코니의 영역을 잠식하지 않게 되어, 거실 공간의 확장 효과가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1: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10: 접철식 분할벽체
20: 수직가이드 레일
30: 작동 끈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로 분할되어 있되, 상기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는 힌지부(13)로 연결되어 있어, 힌지부(13)에서 꺾이고 하단이 수직하게 상승하면서 상,하로 접혀서 서로 포개지는 접철식 분할벽체(1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벽체(12)의 하단 양 측면에는 제1회전롤러(6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13)의 아래쪽 위치에서 하부벽체(12)의 상단 양 측면에는 제2회전롤러(6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벽체(11)의 상단 양 측면에는 제3회전롤러(62)가 구비되어 있고;
    발코니의 천정에 매달려 구비되어 작동 끈(31)을 감거나 풀어주는 끈 감김봉(32)과; 상기 끈 감김봉(32)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부재(44)와; 일단은 상기 끈 감김봉(32)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끈 감김봉(32)을 출발하여 거실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상부벽체(11)의 상단을 넘어가서 상기 제3회전롤러(62)의 외부에 걸쳐진 후, 계속하여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롤러(60)의 외부를 감싼 다음에 다시 상승하여 상기 회전부재(44)의 외부를 감은 후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끈 감김봉(32)에 결속되어 고정되어 폐합형 배치를 가지는 작동 끈(31)과;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벽체(12)의 하단이 수직상승하게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 레일(20)을 포함하고 있으며;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경계가 없도록 할 때에는, 끈 감김봉(32)이 작동 끈(31)을 감아 작동 끈(31)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켜서,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서로 접혀져서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서로 마주하도록 완전하게 포개지게 하고, 상기 작동 끈(31)이 제1회전롤러(60)와 제3회전롤러(62)와 제2회전롤러(61)의 외면을 감아서, 하나의 폐합되어 있는 작동 끈(31)이 상부벽체(11)와 하부벽체(12)가 서로 포개지도록 접철되어 있는 채로 감싸고 있는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접철식 분할벽체(10)를 발코니 천정에 수납시킴으로써, 거실과 발코니 사이를 연통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5. 삭제
  6. 삭제
KR1020110126632A 2011-11-30 2011-11-30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방법 KR10129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632A KR101299964B1 (ko) 2011-11-30 2011-11-30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632A KR101299964B1 (ko) 2011-11-30 2011-11-30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530A KR20130060530A (ko) 2013-06-10
KR101299964B1 true KR101299964B1 (ko) 2013-08-26

Family

ID=48858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632A KR101299964B1 (ko) 2011-11-30 2011-11-30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9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475A (en) * 1977-01-28 1978-02-21 Building Components Research, Inc. Collapsible room module construction and method of assembly
JPH02186091A (ja) * 1989-01-13 1990-07-20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動壁
KR100674129B1 (ko) * 2005-11-28 2007-01-30 홍신기 용적가변형 구조물
KR100690659B1 (ko) * 2006-08-31 2007-03-12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가변형 거실 창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475A (en) * 1977-01-28 1978-02-21 Building Components Research, Inc. Collapsible room module construction and method of assembly
JPH02186091A (ja) * 1989-01-13 1990-07-20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動壁
KR100674129B1 (ko) * 2005-11-28 2007-01-30 홍신기 용적가변형 구조물
KR100690659B1 (ko) * 2006-08-31 2007-03-12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가변형 거실 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530A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69205B (zh) 一种中空玻璃内置遮阳装置
JP2005533948A (ja) 格納式自動回転ブラインド
CN104884725B (zh) 幕装置的滑动引导框部
US2906323A (en) Combined awning and shutter construction
EP2888429A1 (en) Blind system
US20100270457A1 (en) Drum support for window shade
KR101299964B1 (ko) 발코니 확장용 수직 접철식 분할벽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코니 확장방법
US20100314052A1 (en) Roller Shade System Having a Pleated Fabric
JP5586931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20120076049A (ko) 블라인드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101021936B1 (ko) 과수원 우박 피해 경감 시스템
CN102644438B (zh) 隐藏式爬梯
EP1619348A1 (en) Cloth venetian blind
WO2007085533A1 (en) Device for obscuring apertures in buildings
KR20110011573U (ko) 허니컴 쉐이드
CN207110638U (zh) 一种帐篷及其斜边连接件
KR100622316B1 (ko) 접철식 철망 지지장치
CN208364018U (zh) 一种直角蜂巢帘装置
JP3471636B2 (ja) 開閉装置の開閉体施工方法及びその施工装置
KR101239285B1 (ko) 빨래건조대
JP6408387B2 (ja) ハニカムスクリーン装置の昇降機構
JP4396837B2 (ja) 日除け及び雨避け用の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4430527B2 (ja) ブラインド
JP5361676B2 (ja) カムク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間仕切り装置及び二重スクリーン日射遮蔽装置
KR200473188Y1 (ko) 와이어 창문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