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180B1 -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180B1
KR101299180B1 KR1020110127684A KR20110127684A KR101299180B1 KR 101299180 B1 KR101299180 B1 KR 101299180B1 KR 1020110127684 A KR1020110127684 A KR 1020110127684A KR 20110127684 A KR20110127684 A KR 20110127684A KR 101299180 B1 KR101299180 B1 KR 101299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obile terminal
input
reduction ratio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397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감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감성
Priority to KR102011012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1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패턴을 입력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터치 화면에 손가락이나 전용 터치펜을 터치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문자나 그림을 입력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휴대 단말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이를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여 입력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입력 패턴의 크기를 축소시켜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에 제약받음이 없이 원하는 패턴을 고정밀하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PATTERN IN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패턴을 입력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의 특정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어 움직일 때 이를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여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 적합한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휴대 단말들에는 단말의 부가 서비스 기능으로서 화면(터치 패널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자 또는 그림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메모 기능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러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문자 또는 그림 등을 입력하여 휴대 단말에 저장하거나 혹은 자신이 원하는 다른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휴대 단말에서의 메모 서비스를 위한 문자, 그림 등의 입력은 손가락에 의한 화면 터치 또는 전용 터치펜을 이용한 화면 터치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6425호(공개일 : 2010. 09. 02.)
그러나, 휴대 단말의 화면(터치 패널 또는 터치스크린)에 손가락이나 전용 터치펜을 터치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문자나 그림을 입력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은 휴대 단말의 화면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많은 글씨를 입력하거나 혹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그림 등을 그리는 데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전용 터치펜을 이용하는 종래 방식의 경우, 화면을 터치하기 위한 전용 터치펜을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화면의 크기로 볼 때 전용 터치펜의 펜촉이 결코 작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교한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휴대 단말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될 때 이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와, 상기 접촉 팁이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이를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와,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입력 패턴을 추출하는 패턴 추출 블록과, 추출된 상기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는 패턴 비율 결정 블록과,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상기 입력 패턴의 크기를 축소시켜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패턴 크기 조절 블록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휴대 단말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상기 움직임을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입력 패턴을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상기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와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전체 크기가 상기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상기 입력 패턴의 크기를 축소시켜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휴대 단말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될 때 이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와, 상기 접촉 팁이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이를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와,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입력 패턴을 추출하는 패턴 추출 블록과, 추출된 상기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는 패턴 비율 결정 블록과,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상기 입력 패턴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패턴 크기 조절 블록과, 크기가 축소된 입력 패턴을 무선 송출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휴대 단말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상기 움직임을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입력 패턴을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상기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와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전체 크기가 상기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그 배율이 조절되는 상기 입력 패턴을 무선 송출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이를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여 입력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입력 패턴의 크기를 축소시켜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에 제약받음이 없이 원하는 패턴을 고정밀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패턴 입력 장치를 휴대 단말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에 패턴을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결정되는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할 때 표시 패널 내 화면을 이동시키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에 패턴을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결정되는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할 때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 내 화면을 이동시키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휴대 단말의 화면(터치 패널 또는 터치스크린)에 손가락이나 전용 터치펜을 터치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문자나 그림을 입력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휴대 단말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이를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여 입력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입력 패턴의 크기(화면 크기)를 축소시켜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메모리에 저장한다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목적으로 하는 바를 실현함으로써 종래 방식에서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화면 자동 이동으로 인식하여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내 화면을 일정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또는 최대 축척율)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 가능하며, 입력 패턴은, 예컨대 문자 패턴 또는 그림 패턴 등이 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이를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여 입력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의 크기보다 클 때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그 배율이 조절되는 입력 패턴을 무선 송출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하는 기술사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기기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기 선택된 다른 휴대 단말이 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 간의 통신은, 예컨대 IrDA, WiFi, RF,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혹은 휴대 단말과 다른 휴대 단말 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예컨대, 2G, 3G, 4G 등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접촉 감지 센서(102), 동작 인식 센서(104), 패턴 추출 블록(106),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 패턴 크기 조절 블록(110), 패턴 저장 블록(112), 메모리(114), 화면 이동 제어 블록(116), 표시 블록(1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촉 감지 센서(102)는, 일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202)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접촉 팁(206)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될 때 이를 감지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감지되는 접촉 감지신호는 패턴 추출 블록(106)으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접촉 팁(206)이 그 표면에 접촉되는 물체는, 예컨대 책상, 바닥, 손, 벽 등과 같이 휴대 단말(202)의 접촉 팁(206)을 접촉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될 수 있다.
또한, 동작 인식 센서(104)는, 예컨대 움직임 감지 센서, 위치 감지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휴대 단말(202)에 내장되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202)의 접촉 팁(206)을 물체의 표면에 접촉시켜 움직일 때 이를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며, 여기에서 인식되는 움직임 패턴으로 패턴 추출 블록(106)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2는 본 발명의 패턴 입력 장치를 휴대 단말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휴대 단말 사용자가 접촉 팁(206)을 물체의 표면에 접촉시킬 때 접촉 감지 센서(102)가 이를 감지하여 패턴 추출 블록(106)으로 전달하고, 휴대 단말(202)을 움직여 접촉 팁(206)을 통해 문자(예컨대, 한글, 한문, 영어, 불어, 독일어, 일어 등)를 쓰거나 기하학적 모양 등의 그림을 그릴 때 동작 인식 센서(104)가 이를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여 패턴 추출 블록(106)으로 전달한다. 도 2에 있어서, 미설명번호 204는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접촉 감지 센서(102)와 동작 인식 센서(104)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휴대 단말이 패턴 입력 모드로 실행될 때 도시 생략된 제어 블록(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동작 전원 공급 상태)되고, 패턴 입력 모드가 종료될 때 비활성화(동작 전원 차단 상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음에, 패턴 추출 블록(106)은, 예컨대 특징 벡터 등을 이용하는 문자 또는 패턴 인식 알고리즘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접촉 감지 센서(102)로부터 접촉 감지신호가 전달될 때, 동작 인식 센서(104)로부터 전달되는 인식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입력 패턴(예컨대, 문자 패턴, 그림 패턴 등)을 추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추출되는 입력 패턴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로서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으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패턴 추출 블록(106)은 입력 패턴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은 전달된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와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를 비교하는데, 비교 결과 전체 크기가 표시 패널 크기보다 작으며, 입력 패턴 데이터를 표시 블록(118)으로 전달하여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또한 패턴 저장 블록(112)으로 전달하여 메모리(114)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는 입력 패턴을 표시 패널의 화면으로 구성했을 때의 전체 화면 크기를 의미한다.
또한,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은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또는 패턴 축척율)을 결정하여 패턴 크기 조절 블록(110) 및 화면 이동 제어 블록(116)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패턴 축소 비율(패턴 축척율)은, 예컨대 최대 축소 비율을 1/10 또는 1/20까지로 하여 수 내지 수십 단계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것은 개개인의 시력 차에 따른 시인성을 고려하여 휴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즉,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은 접촉 팁을 통해 입력된 입력 패턴(예컨대, 문자 패턴, 그림 패턴 등)의 크기를 체크하여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표시 패널(204)의 한 화면으로 모두 들어가지(구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때 해당 입력 패턴의 크기를 표시 패널(204)의 한 화면으로 구성 가능한 정도의 적당한 크기로 축소시키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여 패턴 크기 조절 블록(110)으로 전달한다.
다음에, 패턴 크기 조절 블록(110)은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입력 패턴의 크기를 조절(즉, 축소)하고, 이를 통해 한 화면 내에서 그 크기가 축소된 입력 패턴 데이터를 표시 블록(118)으로 전달하여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또한 패턴 저장 블록(112)으로 전달하여 메모리(114)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즉, 패턴 크기 조절 블록(110)은,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으로부터 전달되는 패턴 축소 비율에 의거하여, 접촉 팁(206)을 통해 써지는 문자가 표시 패널(204)의 한 화면을 벗어나면서 많아질수록 문자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축소시키고, 또한 접촉 팁(206)을 통해 그리는 그림의 크기가 표시 패널(204)의 한 화면을 벗어나면서 커질수록 그림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축소(예컨대, 9/10, 8/10, 7/10, 6/10, 5/10, 4/10, 3/10, 2/10, 1/10 축소 등)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문자, 그림 등의 크기 축소는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까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패턴 저장 블록(112)은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으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패턴 또는 패턴 크기 조절 블록(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패턴(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그 배율이 조절된 입력 패턴)을 메모리(114)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블록(118)은, 예컨대 LCD 패널, LED 패널 또는 OLED 패널 등과 표시 패널과 패널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으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패턴 또는 패턴 크기 조절 블록(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패턴(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그 배율이 조절된 입력 패턴)을 표시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화면 이동 제어 블록(116)은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으로부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전달될 때,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또는 최대 축척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 체크 결과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화면 자동 이동으로 인식하여 그에 상응하는 화면 이동 신호(예컨대, 접촉 팁을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화면 이동 신호 등)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되는 화면 이동 신호를 표시 블록(118)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표시 블록(118)에서는 화면 이동 제어 블록(116)으로부터 화면 이동 신호가 전달될 때 표시 패널의 화면을 좌, 우, 상, 하, 좌상 대각, 우상 대각, 좌하 대각, 우하 대각 등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 사용자들은 휴대 단말의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을 물체의 표면에 접촉시켜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움직임을 실행하여 원하는 문자, 그림 등을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표시하면서 입력할 수 있으며, 문자의 많음 또는 그림의 크기 등에 따라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문자, 그림 등의 크기를 축소하여 표시함으로써, 보다 많은 문자 혹은 복잡한 그림(큰 그림)을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서 한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패턴 입력 장치를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 사용자들에게 문자, 그림 등의 패턴을 입력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에 패턴을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 사용자가 문자, 그림 등의 패턴 입력을 위해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모드를 실행시키면(단계 302), 도시 생략된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접촉 감지 센서(102)와 동작 인식 센서(104)는 활성화 상태, 즉 접촉 감지 또는 동작 인식을 위한 동작 전원의 공급 상태로 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 사용자는 휴대 단말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을 물체의 표면에 접촉시켜 움직이는 행위를 통해 원하는 문자를 쓰거나 그림 등을 그릴 수가 있는데(단계 304, 306), 동작 인식 센서(104)에서는 휴대 단말의 움직임(즉, 접촉 팁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여 패턴 추출 블록(106)으로 전달한다.
이에 응답하여, 패턴 추출 블록(106)에서는 예컨대 특징 벡터 등을 이용하는 문자 또는 패턴 인식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동작 인식 센서(104)로부터 전달되는 인식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입력 패턴(예컨대, 문자 패턴, 그림 패턴 등)을 추출한 후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으로 전달한다(단계 308). 여기에서,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으로 전달되는 입력 패턴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일 수 있다.
이어서,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에서는 전달된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와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를 비교하는데(단계 310), 여기에서의 비교 결과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표시 패널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처리는 단계(312)로 진행되며, 그 결과 표시 블록(118) 내 표시 패널에는 그 크기가 축소되지 않은 입력 패턴이 디스플레이되고 메모리(114)에는 해당 입력 패턴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에서,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는 입력 패턴을 표시 패널의 한 화면으로 구성했을 때 전체 화면 크기를 의미한다.
상기 단계(310)에서의 비교 결과,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표시 패널의 크기보다 크면, 화면 비율 결정 블록(108)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또는 패턴 축척율)을 결정, 즉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표시 패널의 한 화면으로 모두 들어가지(구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때 해당 입력 패턴의 크기를 표시 패널의 한 화면으로 구성 가능한 정도의 적당한 크기로 축소시키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여 패턴 크기 조절 블록(110)으로 전달한다(단계 314).
이어서, 패턴 크기 조절 블록(110)에서는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입력 패턴의 크기를 조절(즉, 축소)한 후(단계 316), 패턴 저장 블록(112)과 표시 블록(118)으로 전달하며, 그 결과 한 화면 내에서 그 크기가 축소된 입력 패턴 데이터는 표시 패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메모리(114)에 저장된다(단계 318).
따라서, 본 발명은 문자, 그림 등의 패턴이 입력이 점진적으로 진행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입력 패턴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조절(축소)시킴으로써, 휴대 단말 사용자가 휴대 단말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을 이용하여 입력한 문자, 그림 등의 패턴을 표시 패널의 한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예의 발명은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할 때 표시 패널의 화면을 이동시키면서 입력 패턴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결정되는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할 때 표시 패널 내 화면을 이동시키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패턴 비율 결정 블록(108)을 통해 결정되는 패턴 축소 비율은 화면 이동 제어 블록(116)으로 전달되는데(단계 402), 화면 이동 제어 블록(116)에서는 전달된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또는 최대 축척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며(단계 404),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의 처리(즉, 화면 이동을 위한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여기에서,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것은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입력 패턴에 대해 축소의 여지가 더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404)에서의 체크 결과,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 이동 제어 블록(116)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화면 이동 신호를 발생하여 표시 블록(118)으로 전달한다(단계 406). 여기에서,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하였다는 것은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입력 패턴을 더 이상 축소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표시 블록(118)에서는 화면 이동 제어 블록(116)으로부터 제공되는 화면 이동 신호에 의거하여 표시 패널의 화면을 좌, 우, 상, 하, 좌상 대각, 우상 대각, 좌하 대각, 우하 대각 등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게 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접촉 감지 센서(502), 동작 인식 센서(504), 패턴 추출 블록(506), 패턴 비율 결정 블록(508), 패턴 크기 조절 블록(510), 패턴 저장 블록(512), 메모리(514), 화면 이동 제어 블록(516), 표시 블록(518)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5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촉 감지 센서(502), 동작 인식 센서(504), 패턴 추출 블록(506), 패턴 비율 결정 블록(508), 패턴 크기 조절 블록(510), 패턴 저장 블록(512), 메모리(514) 및 표시 블록(518)은 도 3에 도시된 대응하는 각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동일한 구성부재를 나타낸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이들 구성부재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패턴 비율 결정 블록(508)은 전달된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와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를 비교하여,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표시 패널 크기보다 작을 때, 입력 패턴 데이터를 표시 블록(518)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520)으로 전달하고, 패턴 크기 조절 블록(510)은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입력 패턴의 크기를 조절(즉, 축소)하고, 이를 통해 한 화면 내에서 그 크기가 축소된(배율이 조절된) 입력 패턴 데이터를 표시 블록(518)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520)으로 전달하는 점에서 도 1의 실시 예와 차이를 갖는다.
다음에,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520)은 패턴 비율 결정 블록(508)으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패턴 또는 패턴 크기 조절 블록(510)으로부터 전달되는 크기가 축소된(배율이 조절된) 입력 패턴을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도시 생략된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 변환되는 데이터 신호는 외부 기기가 인접하는 주변 영역에 있는 주변 휴대 단말인 것이라고 가정할 때, 예컨대 IrDA, WiFi, RF, 블루투스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기기는 휴대 단말 사용자가 기 지정(선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휴대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주변에 있는 주변 휴대 단말 사용자에게 자신이 접촉 팁을 이용하여 작성하거나 그리는 문자, 그림 등의 패턴을 자신의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을 통해 보면서 실시간으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가 원거리에 있는 원격 휴대 단말인 것이라고 가정할 때, 변환된 데이터 신호는 휴대 단말과 원격 휴대 단말 간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예컨대, 2G, 3G, 4G 등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무선 송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간의 무선 송출을 위해서는 휴대 단말과 원격 휴대 단말 간에 미리 데이터 통신 호가 연결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예컨대 서울에 있는 휴대 단말 사용자가 원격지(예컨대, 부산)에 있는 원격 휴대 단말 사용자에게 자신이 접촉 팁을 이용하여 작성하거나 그리는 문자, 그림 등의 패턴을 자신의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을 통해 보면서 실시간으로 전송해 줄 수 있다.
그리고, 화면 이동 제어 블록(516)은 패턴 비율 결정 블록(508)으로부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전달될 때,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또는 최대 축척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화면 이동 제어로 인식하여 그에 상응하는 화면 이동 메시지(예컨대, 접촉 팁을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화면 이동 메시지 등)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되는 화면 이동 메시지(또는 화면 이동 신호)는 표시 블록(518)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52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520)에서는 화면 이동 제어 블록(516)으로부터 전달되는 화면 이동 메시지를 무선 송출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기기(예컨대, 주변 또는 원격 휴대 단말) 측으로 무선 송출하며, 그 결과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 내 화면은 좌, 우, 상, 하, 좌상 대각, 우상 대각, 좌하 대각, 우하 대각 등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 패턴(문자, 그림 등)을 외부 기기로 실시간 무선 송출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패턴을 모두 입력하고, 입력이 완료된 이후에 전송 아이콘 또는 버튼을 클릭하거나(주변 휴대 단말로의 전송) 혹은 입력이 완료된 이후에 원격 휴대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또는 선택)한 후 호출 아이콘 또는 버튼을 클릭하는(원격 휴대 단말로의 전송) 방식으로 입력 패턴을 외부 기기(다른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휴대 단말 사용자의 전송 조작 지령이 발생될 때,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이 데이터 변환 및 무선 송출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패턴 입력 장치를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 사용자들에게 문자, 그림 등의 패턴을 입력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에 패턴을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2 내지 610 및 단계 614 내지 616의 각 과정에서의 프로세스는 도 3에 도시된 대응하는 단계 302 내지 310 및 단계 314 내지 316의 각 과정에서의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이들 단계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상기 단계(610)에서의 비교 결과,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표시 패널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처리는 단계(612)로 진행되며, 그 결과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520)에서는 패턴 비율 결정 블록(508)으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패턴을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단계 612), 이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도시 생략된 안테나를 통해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한다(단계 620).
이때, 도 6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패턴 비율 결정 블록(508)에서는 입력 패턴을 패턴 저장 블록(512)과 표시 블록(518)으로도 전달하며, 그 결과 입력 패턴은 메모리(514)에 저장됨과 동시에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단계(610)에서의 비교 결과,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표시 패널의 크기보다 커 패턴 비율 결정 블록(508)이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고, 패턴 크기 조절 블록(510)이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입력 패턴의 크기를 축소(조절)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520)으로 전달하면,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520)에서는 패턴 크기 조절 블록(510)으로부터 전달되는 크기가 축소(조절)된 입력 패턴을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단계 618), 이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도시 생략된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출한다(단계 620).
여기에서, 변환된 데이터 신호의 무선 송출은, 외부 기기가 인접하는 주변 영역에 있는 주변 휴대 단말일 때, 예컨대 IrDA, WiFi, RF, 블루투스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또한 외부 기기가 원거리에 있는 원격 휴대 단말일 때, 휴대 단말과 원격 휴대 단말 간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예컨대, 2G, 3G, 4G 등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패턴 크기 조절 블록(510)에서는 그 크기가 축소된(배율이 조정된) 입력 패턴을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520) 뿐만 아니라 패턴 저장 블록(512)과 표시 블록(518)으로도 전달하며, 그 결과 그 크기가 축소된 입력 패턴은 메모리(514)에 저장됨과 동시에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에, 본 실시 예의 발명은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할 때 외부 기기에 구비된 표시 패널의 화면을 이동시키면서 입력 패턴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결정되는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할 때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 내 화면을 이동시키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2 내지 706의 각 과정에서의 프로세스는 도 4에 도시된 대응하는 단계 402 내지 406의 각 과정에서의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이들 단계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화면 이동 제어 블록(516)에서 발생된 화면 이동 메시지가 전달되면,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520)에서는 전달된 화면 이동 메시지를 무선 송출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 후 외부 기기 측으로 무선 송출하며(단계 708), 그 결과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 내 화면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때, 도 7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화면 이동 제어 블록(516)에서는 화면 이동 신호를 표시 블록(518)으로도 전달하며, 그 결과 표시 블록(518)에서는 화면 이동 제어 블록(516)으로부터 제공되는 화면 이동 신호에 의거하여 표시 패널의 화면을 좌, 우, 상, 하, 좌상 대각, 우상 대각, 좌하 대각, 우하 대각 등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게 될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접촉 팁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 패턴(문자, 그림 등)을 외부 기기로 실시간 무선 송출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패턴을 모두 입력하고, 입력이 완료된 이후에 전송 아이콘 또는 버튼을 클릭하거나(주변 휴대 단말로의 전송) 혹은 입력이 완료된 이후에 원격 휴대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또는 선택)한 후 호출 아이콘 또는 버튼을 클릭하는(원격 휴대 단말로의 전송) 방식으로 입력된 패턴을 외부 기기(다른 휴대 단말)로 일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2, 502 : 접촉 감지 센서 104, 504 : 동작 인식 센서
106, 506 : 패턴 추출 블록 108, 508 : 패턴 비율 결정 블록
110, 510 : 패턴 크기 조절 블록 112, 512 : 패턴 저장 블록
114, 514 : 메모리 116, 516 : 화면 이동 제어 블록
118, 518 : 표시 블록 520 :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

Claims (25)

  1. 휴대 단말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될 때 이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와,
    상기 접촉 팁이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이를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와,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입력 패턴을 추출하는 패턴 추출 블록과,
    추출된 상기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는 패턴 비율 결정 블록과,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상기 입력 패턴의 크기를 축소시켜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패턴 크기 조절 블록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입력 패턴 또는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그 배율이 조절된 입력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패턴 저장 블록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할 때, 이를 화면 자동 이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화면을 일정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화면 이동 제어 블록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 가능한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5. 휴대 단말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움직임을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패턴 추출 블록을 통해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입력 패턴을 추출하는 과정과,
    패턴 비율 결정 블록을 통해 추출된 상기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와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전체 크기가 상기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상기 패턴 비율 결정 블록이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패턴 크기 조절 블록이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상기 입력 패턴의 크기를 축소시켜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패턴 저장 블록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상기 입력 패턴 또는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그 배율이 조절된 입력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화면 이동 제어 블록이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화면 이동 제어 블록이 이를 화면 자동 이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화면을 일정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 가능한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턴은,
    문자 패턴 또는 그림 패턴인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10. 휴대 단말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될 때 이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와,
    상기 접촉 팁이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이를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와,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입력 패턴을 추출하는 패턴 추출 블록과,
    추출된 상기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가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는 패턴 비율 결정 블록과,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상기 입력 패턴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패턴 크기 조절 블록과,
    크기가 축소된 입력 패턴을 무선 송출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입력 패턴 또는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그 배율이 조절된 입력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패턴 저장 블록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입력 패턴 또는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그 배율이 조절된 입력 패턴을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블록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에 대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할 때, 그에 상응하는 화면 이동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하는 화면 이동 제어 블록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 가능한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다른 휴대 단말인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출은,
    IrDA, WiFi, RF,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출은,
    상기 휴대 단말과 다른 휴대 단말 간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행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18. 휴대 단말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접촉 팁이 물체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움직임을 가질 때,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움직임을 움직임 패턴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패턴 추출 블록을 통해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입력 패턴을 추출하는 과정과,
    패턴 비율 결정 블록을 통해 추출된 상기 입력 패턴의 전체 크기와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전체 크기가 상기 표시 패널 크기보다 클 때, 상기 패턴 비율 결정 블록이 그에 상응하는 패턴 축소 비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에 따라 그 배율이 조절되는 상기 입력 패턴을 무선 송출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이 상기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패턴 저장 블록이 상기 입력 패턴 또는 상기 배율이 조절된 입력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표시 블록이 상기 입력 패턴 또는 상기 배율이 조절된 입력 패턴을 상기 휴대 단말의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로의 변환 및 상기 외부 기기로의 무선 송출은,
    휴대 단말 사용자에 의한 전송 조작 지령이 발생될 때 실행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화면 이동 제어 블록이 상기 결정된 패턴 축소 비율이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에 대해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화면 이동 제어 블록이 이를 화면 자동 이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 패널 내 화면을 일정 간격만큼 이동시키기 위한 화면 이동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 이동 제어 블록이 상기 생성된 화면 이동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무선 송출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축소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 가능한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기 선택된 다른 휴대 단말인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25. 제 18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턴은,
    문자 패턴 또는 그림 패턴인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방법.
KR1020110127684A 2011-12-01 2011-12-01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299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84A KR101299180B1 (ko) 2011-12-01 2011-12-01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84A KR101299180B1 (ko) 2011-12-01 2011-12-01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97A KR20130061397A (ko) 2013-06-11
KR101299180B1 true KR101299180B1 (ko) 2013-08-22

Family

ID=4885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684A KR101299180B1 (ko) 2011-12-01 2011-12-01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055B1 (ko) * 2015-04-28 2021-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기반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정적 패턴을 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042A (ko) * 2000-12-23 2002-07-02 구자홍 문자 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60009607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맥퀸트전자 문자, 패턴 및 리듬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KR20100062899A (ko) * 2008-12-02 2010-06-10 (주)지란지교소프트 터치 패턴을 이용한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032351B1 (ko) 2010-10-27 2011-05-02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터치 입력 방식의 패턴 인식 및 링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042A (ko) * 2000-12-23 2002-07-02 구자홍 문자 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60009607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맥퀸트전자 문자, 패턴 및 리듬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KR20100062899A (ko) * 2008-12-02 2010-06-10 (주)지란지교소프트 터치 패턴을 이용한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032351B1 (ko) 2010-10-27 2011-05-02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터치 입력 방식의 패턴 인식 및 링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97A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845B1 (ko)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090964B1 (ko)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0539904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 사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및 그 사용 방법
US8577100B2 (en) Remote input method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US94363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cursor in an electronic device
US1028206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an interface based on touch operations
US942395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50370448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04932809B (zh) 用于控制显示面板的装置和方法
EP27704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JP2013238935A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KR102206373B1 (ko)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140030379A (ko)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9374547B2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20150007088A1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KR102102663B1 (ko)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US201400157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attachable/detachable pen
KR20150043109A (ko) 오브젝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10126100A1 (en) Method of providing gui for guiding start position of user operation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JP201405640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4013079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디스플레이 및 터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299180B1 (ko) 휴대 단말의 패턴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236673A1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