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379A -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 Google Patents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379A
KR20140030379A KR1020120093821A KR20120093821A KR20140030379A KR 20140030379 A KR20140030379 A KR 20140030379A KR 1020120093821 A KR1020120093821 A KR 1020120093821A KR 20120093821 A KR20120093821 A KR 20120093821A KR 20140030379 A KR20140030379 A KR 20140030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ttribute
mode
pointer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연
고상혁
명지혜
이치훈
이혜미
김유란
박현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0379A/ko
Priority to US13/945,229 priority patent/US20140059499A1/en
Priority to EP13181866.8A priority patent/EP2717149A3/en
Priority to CN201310379096.2A priority patent/CN103631518B/zh
Priority to CN201910255333.1A priority patent/CN109871167A/zh
Publication of KR2014003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379A/ko
Priority to US15/414,987 priority patent/US201701318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을 이용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고, 호버링 입력 발생 위치의 속성에 따라 포인터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METHOD FOR PROVIDING GUIDE IN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의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펜을 이용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여 호버링 입력 발생 위치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의 발달로 다양한 입력 수단을 인식하는 기술 및 입력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상에 텍스트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등의 입력 모드를 제공하거나 입력에 대응하는 팝업 메뉴를 제공하는 등 한 가지 입력에 응답하여 여러 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단말에서는 해당 위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발생시켜 입력에 대응하는 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진 후에야, 입력에 대하여 어떤 모드가 제공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위치를 선택하여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해당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어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미리 확인할 수 없어 불편함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펜을 이용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고, 호버링 입력 발생 위치의 속성에 따라 포인터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은,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 및 디지타이저 펜을 포함하는 펜에 의한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의 존재 여부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위치가 텍스트 또는 드로잉의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위치가 상기 입력 속성에 대응하면, 상기 입력 속성에 따라 텍스트 포인터 또는 드로잉 포인터를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로잉 포인터를 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위치가 드로잉의 입력 속성에 대응하면, 펜 모드 및 지우개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모드가 펜 모드인 경우, 드로잉 펜의 종류, 굵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펜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펜 속성 및 상기 지우개 모드에 대응하여, 펜 속성 포인터 또는 지우개 포인터를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위치가 스크롤, 패닝, 객체 이동, 화면 분할 영역 변경 및 객체 크기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 속성에 대응하면, 상기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반투명 효과, 팝업 효과, 애니메이션 효과, 슬라이드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성의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모드 변경에 대한 설정 정보를 로드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를 기초로 변경된 모드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은,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수단에 구비되는 버튼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 변경은, 상기 속성이 드로잉 입력 속성인 경우, 드로잉 펜의 종류, 굵기, 색상 변경 및 펜 모드와 지우개 모드 간 모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에 구비되는 버튼의 조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수단이 펜일 때,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성은, 정보 표시, 텍스트 또는 드로잉 입력, 스크롤, 패닝, 객체 이동, 화면 분할 영역 변경, 객체 크기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의 존재 여부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위치가 텍스트 또는 드로잉의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 위치가 상기 입력 속성에 대응하면, 상기 입력 속성에 따라 텍스트 포인터 또는 드로잉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위치가 드로잉의 입력 속성에 대응하면, 펜 모드 및 지우개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 모드가 펜 모드인 경우, 드로잉 펜의 종류, 굵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펜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펜 속성 및 상기 지우개 모드에 대응하여, 펜 속성 포인터 또는 지우개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위치가 스크롤, 패닝, 객체 이동, 화면 분할 영역 변경 및 객체 크기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동작 속성에 대응하면, 상기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속성의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모드 변경에 대한 설정 정보를 로드하고, 상기 설정 정보를 기초로 변경된 모드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은,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수단에 구비되는 버튼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 변경은, 상기 속성이 드로잉 입력 속성인 경우, 드로잉 펜의 종류, 굵기, 색상 변경 및 펜 모드와 지우개 모드 간 모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은, 사용자의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여 해당 위치의 현재 동작 모드 또는 사용 가능한 동작 모드를 미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모드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은, 모드 전환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미리 모드를 확인함으로써, 불필요한 모드 전환을 방지하여 단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입력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호버링 입력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속성 판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성 판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속성 판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속성 모드 변경에 따른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펜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단말로써,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 노트 패드(Note Pad), 와이브로(Wibro) 단말, 타블렛 PC(Tablet PC) 등의 일반적인 전자 단말뿐만 아니라,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모든 장치를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입력부(110)는 터치 센서(111) 및 전자기 센서(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1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111)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111)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감지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부(14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터치 센서(111)는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 센서(111)는 사용자의 인체(예를 들어, 손)나 물리적인 도구 등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현 방식에 따라 터치 센서(111)는 직접 터치뿐만 아니라, 일정한 거리 내의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전자기 센서(112)는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기 센서(112)는 자기장을 유도하는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기 센서(112)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에너지 변화를 일으키는 공진 회로가 포함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기 센서(112)는 공진 회로를 포함한 물체로써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 등을 포함하는 펜일 수 있다. 전자기 센서(112)는 단말(100)에 직접 접촉하는 입력뿐만 아니라 단말(100)에 근접하게 이루어지는 근접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기 센서(112)를 위한 입력을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은 키, 버튼, 다이얼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키, 버튼, 다이얼 등의 조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자기장의 에너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 센서(112)는 입력 수단의 키, 버튼, 다이얼 등의 조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터치 센서(111), 및 전자기 센서(112)를 입력 패드 상에 실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입력 패드 상에 터치 센서(111)가 필름 형태로 부착되거나, 패널 형태로 결합된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10)는 전자기 센서(112)를 이용하는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또는 EMI(Eletro Magnetic Interference) 방식의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입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표시부(14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입력 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터치 센서(111)를 구비하는 입력 패드를 포함하고 표시부(140)와 결합된 TSP(Touch Screen Panel)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10)는 전자기 센서(112)를 구비하는 입력 패드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 표시부(140)와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110)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제1 입력 패드(110a) 및 제2 입력 패드(1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 패드(110a) 및 제2 입력 패드(110b)는 터치 센서(111), 압력 센서(112)를 구비하는 터치 패드, 압력 패드이거나, 전자기 센서(113)를 구비하는 전자기 패드, EMR 패드일 수 있다. 제1 입력 패드(110a) 및 제2 입력 패드(110b)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 수단에 대응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입력 수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입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패드(110a)는 터치 패드로써 인체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제2 입력 패드(110b)는 EMR 패드로써 펜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제1 입력 패드(110a) 및 제2 입력 패드(110b) 각각에서 발생하는 다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펜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패드는 펜에 구비되는 키, 버튼 또는 조그 다이얼 등의 조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표시부(14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 패드(110a) 및 제2 입력 패드(110b)는 표시부(140)의 하층에 위치함으로써, 표시부(140)에 표시된 아이콘, 메뉴, 버튼 등을 통하여 발생하는 입력을 제1 입력 패드(110a) 및 제2 입력 패드(110b)를 통하여 감지하도록 한다. 표시부(140)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입력 패드와 결합하는 TSP 패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입력부(110)와 표시부(140)의 결합된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입력부(110)를 구성하는 입력 패드의 종류 및 개수, 입력 패드와 표시부(140)의 상하층 위치 등은 단말(100)의 제조 기술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호버링 입력의 발생 위치, 입력 수단, 입력 수단에 구비되는 버튼 등의 조작 상태를 기초로, 호버링 입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하여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펜을 이용한 호버링 입력이 감지되면, 호버링 입력의 발생 위치의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면,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를 판단하고,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속성을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의 속성이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 텍스트 또는 드로잉의 입력 속성, 스크롤, 패닝, 객체 이동, 화면 분할 영역 변경 및 객체 크기 변경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가 드로잉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 경우, 펜 모드 및 지우개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력 모드가 펜 모드인 경우, 드로잉 펜의 종류, 굵기, 색상을 포함하는 펜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130)는 단말(100)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사용자 입력 및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터치 입력, 근접 입력, 압력 입력 및 각 입력이 발생한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30)는 각 입력을 발생시킨 입력 수단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에 따른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드로잉 입력 동작 수행 시, 사용자 설정 또는 초기값 설정에 따른 드로잉 펜의 종료, 굵기, 색상 등을 포함하는 펜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현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가이드 정보를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입력부(110)를 구성하는 터치 센서(111) 및/또는 전자기 센서(112)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는 표시부(140)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입력 위치의 속성이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포인터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40)는 입력 위치의 속성이 텍스트 또는 드로잉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포인터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40)는 입력 위치의 속성이 스크롤, 패닝, 객체 이동, 화면 분할 영역 변경 및 객체 크기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 경우, 각각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포인터를 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100)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가이드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다(1100).
호버링 입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로부터 근접한 거리에서 입력 수단이 특정 위치에 머물러 있는 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입력부(110)는 터치 센서(111) 또는 전자기 센서(112)를 통하여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다. 여기서, 터치 센서(111)는 인체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전자기 센서(112)는 스타일러스 펜 및 디지타이저 펜을 포함하는 펜을 이용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인체 또는 펜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면, 이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입력 신호는 호버링 입력의 발생 위치, 입력 수단 및 입력 수단에 구비되는 버튼 등의 조작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부(110)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수단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펜 입력에 의한 호버링 입력에 대하여, 펜에 구비되는 키, 버튼, 조그 다이얼 등의 조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기초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다. 제어부(120)는 입력 신호를 기초로 호버링 입력의 발생 및 호버링 입력에 대한 발생 위치, 입력 수단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입력 신호를 기초로 호버링 입력에 대한 발생 위치(10) 및 호버링 입력에 대한 입력 수단은 펜(20)이고, 펜에 구비되는 버튼(30)이 눌려진 상태에서 발생한 것임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스타일러스 펜 및 디지타이저 펜을 포함하는 펜에 의한 호버링 입력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표시 제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펜에 구비되는 버튼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여 표시 제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펜이 아닌 입력 수단에 의한 호버링 입력이 감지되면,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특정 기능의 실행, 통화 수신/발신, 메시지 송신, 문자 입력, 페이지 전환, 멀티 미디어 재생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호버링 입력이 펜에 의한 입력 또는 펜에 구비되는 버튼을 누른 상태의 펜에 의한 입력인 경우에, 표시 제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어부(120)는 인체 등 다른 입력 수단에 의한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여 가이드 제공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펜에 의한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를 판단한다(1200).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기초로 호버링 입력이 발생한 입력 위치를 판단한다. 입력 위치는 단말(100)의 표시부(140)를 평면으로 하는 2차원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속성을 판단한다(1300).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 특성을 기초로 속성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가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 텍스트 또는 드로잉을 입력하는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가 스크롤, 패닝, 객체 이동, 화면 분할 영역 변경 및 객체 크기 변경 속성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의 속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속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현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이 발생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표시부(140) 상의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각각의 동작 정보 또는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제작자, 공급자 또는 단말(100)의 제조시에 제조되어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또는 별도로 단말(100)에 제공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한다(1400).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의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포인터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포인터를 반투명 효과, 팝업창 효과, 애니메이션, 슬라이드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따라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력 위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속성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한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정보 표시 속성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상술한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1300)에서 입력 위치가 정보 표시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1311).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되어야 할 임의의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표시 정보는, 예를 들어, 가이드 정보, 메뉴, 알림 또는 경고 정보 등일 수 있다. 표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가 정보 표시 속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표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가 정보 표시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위치가 정보 표시 속성에 대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포인터를 로드할 수 있다(1312). 제1 포인터는 입력 위치에서 표시할 정보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포인터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정보 표시 동작에 대응하여, 표시될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특정 형태, 특정 색상, 특정 이미지 등에 대응하는 제1 포인터를 로드할 수 있다. 제1 포인터를 구성하는 형태, 색상, 이미지 등은 단말(100)의 제조 시에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포인터일 수 있다.
입력 위치가 정보 표시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2 포인터를 로드할 수 있다(1313). 제2 포인터는 입력 위치에서 표시할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포인터로, 일반적인 대기 상태의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일 수 있다. 제2 포인터는 제1 포인터와 서로 다른 형태, 색상, 이미지로 구성되는 포인터이다. 제2 포인터를 구성하는 형태, 색상, 이미지는 단말(100)의 제조 시에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제1 포인터와 서로 다르게 설정된 포인터일 수 있다.
속성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120)는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정보 표시 속성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로드된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입력 위치가 정보 표시 속성에 대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포인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제1 포인터는 속이 빈 원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입력 위치가 정보 표시 속성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2 포인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b를 참조하면, 제2 포인터는 속이 꽉 찬 원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포인터는 제1 포인터와 서로 다른 형태, 색상 또는 이미지로 구성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될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표시된 포인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실제로 입력을 발생시켜 해당 위치에 정보가 표시되기 전이라도, 단말(100)에 입력 수단을 근접시키는 호버링 입력을 통해 정보가 표시될 것인지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정보 표시 속성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상술한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1300)에서 입력 위치가 텍스트 또는 드로잉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1321).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에서 텍스트 입력이 가능한지 또는 드로잉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입력 위치가 텍스트 또는 드로잉 입력 속성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은, 예를 들어,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가 문자 메시지 입력, 메일 작성, 메모 입력, 전화 번호 입력 등 텍스트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의 입력 위치에 대응될 때 가능할 수 있다.
드로잉 입력은, 예를 들어,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가 그림 그리기, 메모 입력, 일기 작성, 드로잉을 포함하는 화면 캡쳐 등 드로잉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의 입력 위치에 대응될 때 가능할 수 있다.
입력 위치가 텍스트 또는 드로잉 입력 속성에 대응하면,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가 텍스트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322).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에서 텍스트 입력이 가능할 때, 입력 위치를 텍스트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위치가 텍스트 입력 속성에 대응하면, 제어부(120)는 텍스트 포인터를 로드할 수 있다(1323).
텍스트 포인터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에서 텍스트 입력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포인터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텍스트 입력 속성에 대응하여, 텍스트 입력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특정 형태, 특정 색상, 특정 이미지 등에 대응하는 텍스트 포인터를 로드할 수 있다. 텍스트 포인터를 구성하는 형태, 색상, 이미지 등은 단말(100)의 제조 시에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포인터일 수 있다.
입력 위치가 텍스트 입력 속성에 대응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가 드로잉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324).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에서 드로잉 입력이 가능할 때, 입력 위치를 드로잉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위치가 드로잉 입력 속성에 대응하면, 제어부(120)는 입력 모드가 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325).
드로잉 입력의 경우, 제어부(120)는 펜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드로잉을 입력하고, 지우개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된 드로잉을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드로잉 입력의 종료 시에 모드 설정 상태,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설정 상태 또는 초기값에 의한 모드 설정 상태를 기초로 입력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 모드의 상태는 저장부(130)에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입력 모드가 펜 모드인 경우, 제어부(120)는 펜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1326).
제어부(120)는 드로잉 펜의 종류, 굵기, 색상 등을 포함하는 펜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펜의 속성은 드로잉 입력의 종료 시 설정 상태, 사용자에 의한 설정 상태 또는 초기값에 의한 설정 상태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펜의 속성은 저장부(130)에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펜의 속성에 대응하는 펜 속성 포인터를 로드할 수 있다(1327).
제어부(120)는 펜의 속성에 대응하는 형태, 색상, 굵기, 질감 등에 대응하는 펜 속성 포인터를 로드할 수 있다. 펜 포인터를 구성하는 형태, 색상, 굵기, 질감 등은 드로잉 모드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의 정보 또는 해당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된 포인터 데이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입력 모드가 펜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120)는 지우개 모드에 대응하는 지우개 포인터를 로드할 수 있다(1328).
지우개 모드에 대응하는 지우개 포인터는 지우개에 대응하는 특정 형태, 특정 색상, 특정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지우개 포인터를 구성하는 형태, 색상 이미지는 드로잉 모드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의 정보 또는 해당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된 포인터 데이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술한 텍스트 포인터, 펜 속성 포인터 및 지우개 포인터를 각각 서로 다른 형태, 굵기 및 이미지로 구성된다.
속성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120)는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텍스트 또는 드로잉 입력 속성에 따라 로드된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입력 위치가 텍스트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텍스트 포인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8a를 참조하면, 텍스트 포인터는 'I'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위치가 드로잉 입력 속성에 대응하고, 현재 입력 모드가 펜 모드인 경우, 제어부(120)는 펜 속성에 대응하는 펜 속성 포인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8b를 참조하면, 펜 속성 포인터는 펜의 속성에 따른 질감, 굵기 및 펜의 속성에 따른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현재 입력 모드가 지우개 모드인 경우, 제어부(120)는 지우개 포인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8c를 참조하면, 지우개 포인터는 지우개를 형상화한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에 대응하여 텍스트 또는 드로잉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표시된 포인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실제로 입력을 발생시켜 해당 위치에 입력을 위한 자판 또는 드로잉 툴 등이 실행되지 않더라도, 단말(100)에 입력 수단을 근접시키는 호버링 입력을 통해 텍스트 또는 드로잉 입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동작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상술한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1300)에서 입력 위치가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1331).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가 스크롤 또는 패닝 동작이 수행되는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객체가 있는지 여부,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가 분할된 화면의 분할 크기 변경을 위한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지 여부 또는 객체의 크기 변경을 위한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입력 위치가 스크롤, 패닝, 객체 이동, 화면 분할 영역 변경 및 객체 크기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입력 위치가 동작 속성에 대응하면, 제어부(120)는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로드할 수 있다(1332).
제어부(120)는 동작 속성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크롤 또는 패닝 가능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객체의 이동 가능한 방향, 화면 분할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방향 및 객체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표시부(140) 상에 전체 콘텐츠의 일부가 표시되어 화면이 상하로 스크롤 가능한 경우, 동작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화면이 좌우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 동작의 방향을 분할된 화면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좌우 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20)가 동작의 방향을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 속성의 판단 과정에서 특정 방향에 대한 동작의 정보를 획득 가능한 경우, 상기의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동작 속성 또는 동작 속성의 방향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로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동작 속성 또는 동작 속성의 방향에 따라 특정 형태, 특정 색상, 특정 이미지로 구성되는 포인터를 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술한 동작 속성 각각에 대한 포인터는 동작 속성 또는 동작 속성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 굵기 및 이미지로 구성된다.
속성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120)는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10a를 참조하면, 입력 위치가 스크롤 가능한 위치에 대응할 때, 제어부(120)는 스크롤 가능한 방향을 지시하는 이미지로 구성되는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표시부(140) 상에 전체 콘텐츠의 일부가 표시되어 화면이 좌우로 가능한 경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스크롤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스크롤 인디케이터(40)를 함께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도 10b를 참조하면, 입력 위치가 패닝 가능한 위치에 대응할 때, 제어부(120)는 입력 위치에 대응하여 패닝 가능한 방향을 지시하는 이미지로 구성되는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에서 터치 입력, 근접입력 또는 압력 입력 등이 감지되면,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스크롤 또는 패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입력 위치가 이동 가능한 객체의 위치에 대응할 때, 제어부(120)는 객체 이동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구성되는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포인터는 객체의 이동이 가능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입력 위치가 분할된 화면의 영역을 변경 가능한 위치에 대응할 때, 제어부(120)는 화면 분할 영역 변경이 가능함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로 구성되는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포인터는 영역 변경이 가능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입력 위치가 특정 객체의 크기를 변경 가능한 위치에 대응할 때, 제어부(120)는 객체 크기 변경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구성되는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포인터는 객체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포인터를 반투명 효과, 팝업 효과, 애니메이션 효과, 슬라이드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모드 변경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500).
입력부(110)는 감지된 호버링 입력의 입력 수단에 구비되는 버튼의 조작 상태 변경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호버링 입력의 입력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입력 신호를 분석한 결과, 펜 입력에 의한 호버링 입력에 대하여 펜에 구비되는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모드 변경 입력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드 변경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 설정 모드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1600).
사용자 설정 모드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수단 조작에 대응하여 펜의 종류, 굵기 또는 색상을 변경하도록 하는 펜 속성 모드 변경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설정 모드는, 호버링 입력의 입력 수단 조작에 대응하여 펜 모드와 지우개 모드가 모드를 전환하도록 하는 모드 변경일 수 있다. 사용자 설정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한 순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한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각각의 모드에 대응하는 포인터는 서로 다른 형태, 색상, 이미지로 구성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설정 모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설정 모드가 사용자에 의하셔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디폴트 설정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폴트 설정 모드는 단말(100)의 제조 시에 설정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설정 모드가 존재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른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1710).
제어부(120)는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라 특정 형태, 특정 색상 또는 특정 이미지로 구성되는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포인터를 구성하는 형태, 색상,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설정 모드가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모드 변경 입력이 감지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변경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포인터는 서로 다른 형태, 색상, 이미지로 구성된다.
사용자 설정 모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디폴트 설정 모드에 따른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1720).
추가로,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800).
입력부(110)는 감지된 호버링 입력이 계속해서 유지됨에 따라, 주기적으로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호버링 입력이 종료되면 입력부(110)는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더 이상 생성하지 않고, 제어부(120)로 전송하지 않는다. 입력부(110)로부터 입력 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호버링 입력의 종료가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포인터의 표시를 삭제할 수 있다(270).
제어부(120)는 호버링 입력의 종료에 따라, 포인터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표시부

Claims (20)

  1.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 및 디지타이저 펜을 포함하는 펜에 의한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의 존재 여부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위치가 텍스트 또는 드로잉의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위치가 상기 입력 속성에 대응하면, 상기 입력 속성에 따라 텍스트 포인터 또는 드로잉 포인터를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포인터를 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위치가 드로잉의 입력 속성에 대응하면, 펜 모드 및 지우개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모드가 펜 모드인 경우, 드로잉 펜의 종류, 굵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펜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펜 속성 및 상기 지우개 모드에 대응하여, 펜 속성 포인터 또는 지우개 포인터를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위치가 스크롤, 패닝, 객체 이동, 화면 분할 영역 변경 및 객체 크기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 속성에 대응하면, 상기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를 반투명 효과, 팝업 효과, 애니메이션 효과, 슬라이드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의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모드 변경에 대한 설정 정보를 로드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를 기초로 변경된 모드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은,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수단에 구비되는 버튼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은,
    상기 속성이 드로잉 입력 속성인 경우, 드로잉 펜의 종류, 굵기, 색상 변경 및 펜 모드와 지우개 모드 간 모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11.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에 구비되는 버튼의 조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수단이 펜일 때,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정보 표시, 텍스트 또는 드로잉 입력, 스크롤, 패닝, 객체 이동, 화면 분할 영역 변경, 객체 크기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버링 입력에 대응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의 존재 여부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위치가 텍스트 또는 드로잉의 입력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 위치가 상기 입력 속성에 대응하면, 상기 입력 속성에 따라 텍스트 포인터 또는 드로잉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위치가 드로잉의 입력 속성에 대응하면, 펜 모드 및 지우개 모드를 포함하는 입력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 모드가 펜 모드인 경우, 드로잉 펜의 종류, 굵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펜 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펜 속성 및 상기 지우개 모드에 대응하여, 펜 속성 포인터 또는 지우개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위치가 스크롤, 패닝, 객체 이동, 화면 분할 영역 변경 및 객체 크기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동작 속성에 대응하면, 상기 동작 속성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속성의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모드 변경에 대한 설정 정보를 로드하고, 상기 설정 정보를 기초로 변경된 모드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은,
    상기 호버링 입력의 입력 수단에 구비되는 버튼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은,
    상기 속성이 드로잉 입력 속성인 경우, 드로잉 펜의 종류, 굵기, 색상 변경 및 펜 모드와 지우개 모드 간 모드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20093821A 2012-08-27 2012-08-27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KR20140030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821A KR20140030379A (ko) 2012-08-27 2012-08-27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13/945,229 US20140059499A1 (en) 2012-08-27 2013-07-18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13181866.8A EP2717149A3 (en) 2012-08-27 2013-08-27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201310379096.2A CN103631518B (zh) 2012-08-27 2013-08-27 移动终端和用于移动终端的显示控制
CN201910255333.1A CN109871167A (zh) 2012-08-27 2013-08-27 移动终端和用于移动终端的显示控制方法
US15/414,987 US20170131865A1 (en) 2012-08-27 2017-01-25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omagnetic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821A KR20140030379A (ko) 2012-08-27 2012-08-27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379A true KR20140030379A (ko) 2014-03-12

Family

ID=4908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821A KR20140030379A (ko) 2012-08-27 2012-08-27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40059499A1 (ko)
EP (1) EP2717149A3 (ko)
KR (1) KR20140030379A (ko)
CN (2) CN1098711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048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전자 펜 포인터를 표시하는 방법
WO2022050604A1 (ko) * 2020-09-07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인 에어 제스처를 처리하는 방법
WO2022114834A1 (ko) * 2020-11-27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에어 포인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2149A (ja) * 2014-02-28 2015-09-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6411067B2 (ja) * 2014-05-13 2018-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方法
KR20160012410A (ko) * 2014-07-24 201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출력 제어 방법
CN105335054B (zh) * 2014-07-31 2019-02-15 国际商业机器公司 列表显示控制方法和设备
USD770470S1 (en) * 2014-09-02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70019956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입력제어 방법
US10881713B2 (en) 2015-10-28 2021-01-05 Ath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control with prompt and feedback
US10248284B2 (en) * 2015-11-16 2019-04-02 Ath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control with prompt and feedback
CN105930004B (zh) * 2016-04-22 2019-05-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使用模式的识别方法及装置
JP6903999B2 (ja) * 2017-03-29 2021-07-1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CN108536407B (zh) * 2018-03-02 2019-09-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文本显示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09857503B (zh) * 2019-01-25 2023-04-07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页面交互效果自适应方法、装置与电子设备
USD971951S1 (en) * 2021-03-18 2022-12-06 Onward Medical N.V.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5373553A (zh) * 2021-05-19 2022-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3434060A (zh) * 2021-05-31 2021-09-2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光标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0872B2 (en) * 2002-03-25 2006-10-10 Microsoft Corporation Organizing, editing, and rendering digital ink
US7259752B1 (en) * 2002-06-28 2007-08-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electronic ink
US6867786B2 (en) * 2002-07-29 2005-03-15 Microsoft Corp. In-situ digital inking for applications
US7058902B2 (en) * 2002-07-30 2006-06-06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on-object context menus
US7659890B2 (en) * 2004-03-19 2010-02-09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for electronic highlighter pens and mousing devices
US7728825B2 (en) * 2005-03-22 2010-06-01 Microsoft Corporation Targeting in a stylus-based user interface
US7499058B2 (en) * 2005-04-22 2009-03-03 Microsoft Corporation Programmatical access to handwritten electronic ink in a tree-based rendering environment
US20060267966A1 (en) * 2005-05-24 2006-11-30 Microsoft Corporation Hover widgets: using the tracking state to extend capabilities of pen-operated devices
US10078414B2 (en) * 2007-03-29 2018-09-18 Apple Inc. Cursor for presenting information regarding target
KR101487528B1 (ko) * 2007-08-17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090132919A1 (en) * 2007-11-15 2009-05-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ending Hover Help to Hover Help for a User Interface
US8184096B2 (en) * 2007-12-04 2012-05-22 Apple Inc. Cursor transitions
JP5532300B2 (ja) * 2009-12-24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20110219321A1 (en) * 2010-03-02 2011-09-08 Microsoft Corporation Web-based control using integrated control interface having dynamic hit zones
US9019275B2 (en) * 2010-10-01 2015-04-28 Lucid Software, Inc. Manipulating graphical objects
US20120210261A1 (en) * 2011-02-11 2012-08-16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changing graphical object input tools
JP2012247938A (ja) * 2011-05-26 2012-12-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54076B2 (en) * 2012-03-15 2014-02-18 Nokia Corporation Touch screen hover input handl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048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전자 펜 포인터를 표시하는 방법
US12079399B2 (en) 2020-08-04 2024-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nic pen pointer thereof
WO2022050604A1 (ko) * 2020-09-07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인 에어 제스처를 처리하는 방법
WO2022114834A1 (ko) * 2020-11-27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에어 포인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12079400B2 (en) 2020-11-27 2024-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pointer of stylus pen i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31518A (zh) 2014-03-12
EP2717149A2 (en) 2014-04-09
US20170131865A1 (en) 2017-05-11
CN109871167A (zh) 2019-06-11
EP2717149A3 (en) 2017-01-04
US20140059499A1 (en) 2014-02-27
CN103631518B (zh)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0379A (ko)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CN107657934B (zh) 用于显示图像的方法和移动设备
JP5721662B2 (ja) 入力受付方法、入力受付プログラム、及び入力装置
US102751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sor control and text selection and editing based on gesture-based touch inputs received in a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AU2014208041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to input unit
CA2856209C (en) Touch-sensitiv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40026723A (ko) 휴대 장치의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US9395823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 thereof
EP2770422A2 (en) Method for providing a feedback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nd a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130169570A1 (en)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deletion controlling method
KR20140108993A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10041915A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US9298364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KR2014003383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20150055292A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입력 처리 방법
EP2738658A2 (en)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960776A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10085189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US20130159934A1 (en) Changing idle screens
KR2015001743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입력을 이용한 객체 편집 방법
KR102323440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01652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19531A (ko) 홈 화면의 오브젝트 메뉴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