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835B1 - 차량 연비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연비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835B1
KR101298835B1 KR1020110094962A KR20110094962A KR101298835B1 KR 101298835 B1 KR101298835 B1 KR 101298835B1 KR 1020110094962 A KR1020110094962 A KR 1020110094962A KR 20110094962 A KR20110094962 A KR 20110094962A KR 101298835 B1 KR101298835 B1 KR 101298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trim
fuel economy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412A (ko
Inventor
이문환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8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차량의 연비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차량의 트렁크에 적재된 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의 제1 연비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짐이 제거되었을 경우 예상되는 제2 연비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연비 및 제2 연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운전자에게 트렁크 내부 짐의 유무에 따른 연비 변화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짐의 제거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연비 향상과 배기 가스 저감에 따른 환경 오염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연비 알림 장치{Apparatus for informing a driver of a fuel efficiency of a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 연비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트렁크에 적재된 짐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짐의 무게와 연비와의 상관 관계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운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이에 대한 운전자들에 대한 관심도 크게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의 경우 차량 가격, 안정성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는 크게 대중화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휘발유 또는 디젤 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총 주행 저항은 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 저항과 기관 회전력 및 동력 전달계의 효율 등의 상호 관계로부터 주행 성능, 속도, 등판 능력, 가속 능력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차량 연비의 경우 차량의 용도, 배기량, 화물의 적재 상태, 주행 조건, 주행 속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연비는 배기량과 차량 무게, 구조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도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승용차의 경우 연비를 저하시키는 원인 중 하나가 트렁크에 적재된 짐의 하중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트렁크 내부의 짐이 연비를 저하시킨다는 사실은 인지하고 있으나, 실제로 트렁크에 불필요한 짐들이 많이 적재된 상태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운전자들 역시 이를 인지하고는 있으나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트렁크 내부의 짐을 정리하거나 치우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트렁크 내부에 적재된 짐으로 인한 연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트렁크 내부의 짐이 연비에 주는 영향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차량 연비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 연비 알림 장치는 차량의 차체 구조물과 트렁크를 구성하는 트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트렁크에 적재된 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의 제1 연비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짐이 제거되었을 경우 예상되는 제2 연비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연비 및 제2 연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트림은 상기 차체 구조물에 탄성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상기 차체 구조물에 고정되는 센서 본체와 상기 센서 본체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트림은 상기 탄성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 또는 탄성체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트림을 상기 차체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클램프들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들은 상기 차체 구조물에 탄성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트림을 상기 차체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클램프들과, 상기 트림과 상기 클램프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 다수의 탄성 부재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측정된 짐의 중량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의 트렁크 내부에 불필요하게 적재된 짐의 중량과 이를 제거할 경우 발생되는 연비 변화량을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트렁크 내부의 짐을 제거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운전자가 상기 트렁크 내부의 짐을 제거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켜 경제 운전이 실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배기 가스에 의한 환경 오염 등을 감소시키는 이차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비 알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센서의 장착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센서의 장착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센서의 장착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센서의 장착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인 단면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들은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영역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들은 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비 알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연비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트렁크(102) 내부에 적재된 짐(미도시)의 하중에 의해 차량 연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짐의 제거에 의해 예상되는 차량의 연비 변화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트렁크(102) 내부의 짐을 제거하도록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연비 알림 장치(100)는 차량의 트렁크(102) 내부에 적재된 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차체 구조물(104)과 상기 트렁크(102)를 구성하는 트림(106) 사이에는 다수의 센서들(110), 예를 들면, 4개의 센서들(11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들(110)로는 압력 센서 또는 중량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110)는 측정된 짐의 중량에 의해 변화되는 차량 연비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들(110)은 차량의 트립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120)는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 즉 상기 트렁크(102)에 짐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의 제1 연비와, 상기 트렁크(102) 내부의 짐이 제거되었을 경우 예상되는 제2 연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산부(120)는 상기 센서들(110)에 의해 측정된 짐의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연비와 제2 연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120)는 디스플레이 유닛(13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운전자에게 상기 제1 연비 및 제2 연비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운전자로 하여금 상기 트렁크(102) 내부의 짐을 제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상기 센서들(110)에 의해 측정된 짐의 중량을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운전자가 상기 짐을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센서의 장착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110)는 상기 차량의 차체 구조물(104)과 상기 트렁크를 구성하는 트림(10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드셀과 같은 센서(110)가 상기 차량의 차체 구조물(104)에 볼트,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트림(106)은 상기 센서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센서의 장착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트림(106)은 상기 차체 구조물(104)에 탄성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트림(106) 상부에 적재되는 짐에 의해 상기 트림(106) 및 상기 센서들(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트림(106) 상부에 적재되는 짐의 하중이 매우 큰 경우 차량의 주행 도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트림(106) 또는 센서들(110)에 상기 짐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므로 이에 의해 상기 트림(106) 또는 센서들(110)이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트림(106)이 상기 차체 구조물(104)에 탄성적으로 장착될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트림(106) 또는 센서들(110)에 인가되는 충격이 크게 완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110)는 상기 차체 구조물(104)에 볼트,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들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센서 본체(110A)와 상기 센서 본체(110A) 상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1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트림(106)은 상기 탄성 부재(110B)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탄성 부재(110B)는 스프링 또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탄성체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센서의 장착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트림(106)은 다수의 클램프들(140)에 의해 상기 차체 구조물(104)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프들(140)은 상기 차체 구조물(104)에 탄성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110)는 상기 차체 구조물(104)에 볼트,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클램프(140)는 스프링, 탄성체 블록 등과 같은 탄성 부재(142)를 이용하여 상기 차체 구조물(104)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림(106)에는 상기 탄성 부재들(142)에 의한 복원력이 인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센서들(110)에는 상기 트림(106) 상에 적재된 짐의 중량과 상기 탄성 부재들(142)에 의한 복원력이 함께 작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산부(120)는 상기 센서들(110)에 의한 측정 신호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들(142)의 복원력 인자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짐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센서의 장착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트림(106)은 다수의 클램프들(150)에 의해 상기 차체 구조물(104)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프들(150)과 상기 트림(106) 사이에는 탄성 부재들(15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2)는 스프링 또는 탄성체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110)와 클램프(150)는 상기 차체 구조물에 볼트,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152)는 상기 트림(104)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클램프(150)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서 기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상기 연산부(120)는 상기 센서들(110)에 의한 측정 신호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들(152)의 복원력 인자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짐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운전자는 트렁크(102) 내부에 적재된 짐의 중량 뿐만 아니라 상기 짐을 제거함으로써 실제로 차량의 연비가 어느 정도 개선되는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짐의 제거에 대한 충분한 동기 부여를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의 트렁크(102) 내부에 불필요하게 적재된 짐을 제거할 수 있도록 운전자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연비 향상에 따른 경제 운전 실현 및 배기 가스 저감에 따른 환경 오염 감소 등의 효과를 충분히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차량 연비 알림 장치 102 : 트렁크
104 : 차체 구조물 106 : 트림
110 : 센서 110A : 센서 본체
110B : 탄성 부재 120 : 연산부
130 : 디스플레이 유닛 140,150 : 클램프
142,152 : 탄성 부재

Claims (8)

  1. 차량의 차체 구조물과 트렁크를 구성하는 트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트렁크에 적재된 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의 제1 연비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짐이 제거되었을 경우 예상되는 제2 연비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연비 및 제2 연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연비 알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은 상기 차체 구조물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비 알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차체 구조물에 고정되는 센서 본체와 상기 센서 본체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림은 상기 탄성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비 알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 또는 탄성체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비 알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을 상기 차체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클램프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들은 상기 차체 구조물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비 알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을 상기 차체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클램프들; 및
    상기 트림과 상기 클램프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 다수의 탄성 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비 알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측정된 짐의 중량을 추가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비 알림 장치.
KR1020110094962A 2011-09-21 2011-09-21 차량 연비 알림 장치 KR101298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62A KR101298835B1 (ko) 2011-09-21 2011-09-21 차량 연비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62A KR101298835B1 (ko) 2011-09-21 2011-09-21 차량 연비 알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12A KR20130031412A (ko) 2013-03-29
KR101298835B1 true KR101298835B1 (ko) 2013-08-23

Family

ID=4818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962A KR101298835B1 (ko) 2011-09-21 2011-09-21 차량 연비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6226B2 (en) 2017-06-02 2020-04-28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7588A (zh) * 2020-01-22 2021-07-23 奥迪股份公司 用于车辆的提醒系统、包括其的车辆及相应方法和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5629A (ja) * 1984-12-27 1986-07-15 Isuzu Motors Ltd 車両の運行管理装置
JP2008064036A (ja) * 2006-09-07 2008-03-21 Denso Corp 燃料消費率向上装置
JP2009013938A (ja) * 2007-07-06 2009-01-22 Fujitsu Ten Ltd 燃費評価装置および燃費評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5629A (ja) * 1984-12-27 1986-07-15 Isuzu Motors Ltd 車両の運行管理装置
JP2008064036A (ja) * 2006-09-07 2008-03-21 Denso Corp 燃料消費率向上装置
JP2009013938A (ja) * 2007-07-06 2009-01-22 Fujitsu Ten Ltd 燃費評価装置および燃費評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6226B2 (en) 2017-06-02 2020-04-28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12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53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oad surface conditions
US20180188332A1 (en) User interface for vehicle and/or battery life based on state of health
WO2017080471A1 (zh) 综合车辆的数据测算、监控、监视、处理的方法及系统
WO2016074600A1 (zh) 车辆运行监控、监视、数据处理、超载监控的方法及系统
WO2017012575A1 (zh) 综合车辆的数据测算、监控、监视、处理的方法及系统
KR101316017B1 (ko) 차량의 에코 운전 안내 방법 및 장치
US20120116606A1 (en) Range display apparatus
JP2007314044A5 (ko)
CN102870270A (zh) 用于车辆中的量程计算的系统及方法
JP6253466B2 (ja) 車両用燃料タンクの残燃料量検出装置
US8229610B2 (en) Deceleration-running evaluating device
CN103707878A (zh) 基于行程规划的混合动力控制方法及系统
KR101298835B1 (ko) 차량 연비 알림 장치
Amjad et al. Impact of real world driving pattern and all-electric range on battery sizing and cost of plug-in hybrid electric two-wheeler
KR20140060751A (ko) 전기자동차의 주행가능 거리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CN201756098U (zh) 一种多功能车载智能仪器
WO2021059950A1 (ja) 車載報知装置、報知プログラム、及び演算装置
KR20190125745A (ko) 화물차량의 적재량 측정장치 및 방법
JP5929695B2 (ja) 運転診断装置、運転診断方法、プログラム及び媒体
JP6179952B2 (ja) 車両状態判定装置、車両状態判定プログラム及び荷重検出装置
EP2688783A1 (en) Motor vehicl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0239684A (ja) 航続可否予測システム
KR101012859B1 (ko) 차량 관리 방법
CN113390648A (zh) 动力总成悬置隔振率测试系统及方法
KR101944789B1 (ko)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