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409B1 - 통화 차단기 - Google Patents

통화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409B1
KR101298409B1 KR1020087013247A KR20087013247A KR101298409B1 KR 101298409 B1 KR101298409 B1 KR 101298409B1 KR 1020087013247 A KR1020087013247 A KR 1020087013247A KR 20087013247 A KR20087013247 A KR 20087013247A KR 101298409 B1 KR101298409 B1 KR 10129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line
period
call
incom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511A (ko
Inventor
케네스 맥피터스
Original Assignee
케네스 맥피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네스 맥피터스 filed Critical 케네스 맥피터스
Publication of KR20080075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Abstract

신호 회선 상으로 통화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팩시밀리 기계로 통화를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기기가 제공된다. 기기는 신호 회선 상에서 착신 전화를 감지하고, 만일 통화 가능한 기간에 수신된다면, 착신 전화를 장치에 연결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그러나 만일 통화 가능한 기간 이외의 기간에 수신된다면, 착신 전화가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기는 통화 가능한 기간 이외의 기간에 감지된 제1 착신 전화가 장치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 결과 통화 가능한 기간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gure R1020087013247
제어 유닛, 레큘레이터, 전원 공급 장치, 스위치, 팩스, 링 감지 유닛, 소켓

Description

통화 차단기{CALL INTERCEPTOR}
본 발명은 통화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독점적인 것은 아니지만, 팩시밀리(facsimile) 메시지들(transmissions)의 차단(interception)에 관한 것이다.
요구받지도 않고 원하지도 않은 팩시밀리 메시지들(때때로 "스팸(spam)" 또는 "정크(junk)" 메시지로 언급된다)의 수신은 문제가 되고 있다. 스팸 메시지들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팩스 번호에 연속하여 전화를 하는 자동화된 기계에 의해 다수의 수령인들(recipients)에게 전달된다. 만일 통화중이거나, 응답이 없거나 또는 기타 다른 사용 불가능한 회선(line)에 상기 기계가 연결된다면, 지정 통화(particular call)를 포기하고 다음 팩스 번호로 이동한다. 포기된 통화는 일반적으로 이후에 다시 시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신호 회선(signal line) 상에서 통화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device)로 통화를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기기(apparatus)를 제공한다. 상기 기기는 신호 회선 상에서 착신 전화(incoming call)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means), 및 만일 통화 가능한 기간에 수신된다면 상기 착신 전화가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고, 만일 상기 통화 가능한 기간 이외의 기간에 수신된다면 상기 착신 전화가 상기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화 가능한 기간은 통화 가능한 기간 이외의 대기 시간(quiescent period) 이후 제1 착신 전화의 수신에 응답하여 개시된다(initiated).
신호 회선을 연결(making)하거나 또는 끊음(breaking)으로써 그리고/또는 수신 장치가 통화중(busy)이거나 또는 다르게는 사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착신 전화를 전송하는 장치로 신호 회선 상에 전송될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기기는 선택적으로 착신 전화를 차단(block)할 수 있다(그 결과 신호 회선을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없다).
제1 착신 전화를 감지하고 이에 응답하여, 신호 회선이 정상적으로 연결되고 (즉, 적어도 착신 전화가 수신되도록 허용된다), 그리고 신호 회선이 연결되지 않는 (즉, 신호 회선을 끊거나 또는 통화중(busy)/사용 불가능 신호를 회선 상에 전송함으로써 적어도 착신 전화는 차단된다) 정상적으로 통화 가능한 상태(normally enabled state)를 기기는 채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신호 회선이 단지 통화 가능한 기간 동안에만 사용 가능한 정상적으로 통화 불가능한 상태(normally disabled state)를 기기는 채용할 수 있다.
기기는 신호 회선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끊기 위한 스위칭 장치(switching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신호 회선 상의 통화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 통화를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신호 회선 상에서 착신 전화를 감지하는 단계; 만일 통화 가능한 기간에 수신된다면, 상기 착신 전화가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및 만일 상기 통화 가능한 기간 이외의 기간에 수신된다면 상기 착신 전화가 상기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만일 통화 가능한 기간 동안에 통화가 수신되었고 허용되었다면, 신호 회선은 상기 통화가 종료됐다는 것을 기기가 판단할 때까지 연결된다. 이것은 신호 활성화(signal activity) 또는 신호 회선 상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특징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고,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들은 뒤따르는 특정 실시예들의 기재 및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를 통하여 그리고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내도록 사용된 첨부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기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의 기기의 특정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 및
도 3은 도 1의 기기의 대안적인 특정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면들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으로 도시된, 통화를 차단하기 위한 기기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기기(10)는 통화 수신 장치, 예를 들어 팩시밀리 기계(12)와 같은 형태의 통화 수신 장치(call receiving device)와 소켓(socket)(14) 사이에 연결가능하다. 소켓(14)은 연결 지점(connection point)을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s network)(미 도시), 예를 들어 범용 표준 전화 네트워크(public standard telephone network (PSTN)) 및/또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로 제공한다. 따라서, 팩시밀리 기계(12) 또는 다른 장치는 다른 팩시밀리 기계들과 같은 다른 장치들(미 도시)로 또는 다른 장치들로부터 통화 또는 메시지들을 전송 및 수신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교차(cross)시킬 수 있다. "통화(calls)"라는 용어는 하나의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까지 임의의 데이터 전송(any data transmission)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본 실시예는 팩시밀리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화 수신 장치가 팩시밀리 기계를 필수적으로 포함할 필요가 없으며, 차단될 수 있은 회선, 특히 PSTN 회선 또는 이동(핸드폰) 통신 네트워크(mobile(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회선 상에서 통화 또는 데이터 전송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수신 장치는 전화기 또는 컴퓨팅 장치(computing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통화 수신 장치는 발신 통화(outgoing calls)가 가능하다.
사용중에 있어서, 통화는 신호 회선(15)을 통하여 소켓(14)과 장치(12) 사이로 전송된다. 일반적인 통화는 전기적 신호의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신호 회 선(15)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적 신호 케리어들(carriers) 또는 케이블들(cables)로 제공된다. 소켓(14)이 PSTN에 연결되는 경우, 회선(15)은 일반적으로 와이어들(wires)(4) 또는 케리어들(16)을 포함하는 전기적 케이블로 제공된다. 사용 동안, 회선(15)은 장치(12)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장치들 중 임의의 하나 사이에 신호 경로(signal path)의 한 부분을 제공한다. 여기서 설명된 예들에서, 회선(15)은 종래의 팩스/전화 회선으로 가정될 수 있다.
종래에는, 팩스 회선은 소켓(14)과 팩스 기계(12) 사이에 직접 연결된 케이블로 제공된다. 기기(10)가 설치되면, 회선(15)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기기(10)를 통하여 팩스 기계(12)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선(15)은 제1 케이블에 의해 소켓(14)과 기기(10) 사이 및 제2 케이블에 의해 기기(10)와 팩스 기계(12) 사이에 연결되며, 또한 기기(10) 스스로 회선(15)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기기(10)가 사용 중에는 신호 회선의 한 부분을 제공하는 신호 케리어들(16)을 포함하는 것은 도 2 및 3으로부터 알 수 있다. 회선(15)은 제1 연결 장치(first connector)(19)와 제2 연결 장치(21) 사이 및 사용중인 소켓(14)에 연결된 제1 연결 장치(19)와 사용중인 장치(12)에 연결된 제2 연결 장치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기기(1)는 스위칭 장치(18)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스위칭 장치(18)는 기기(10)가 설치되는 경우, 회선(15)에 결합된다. 열림 상태(open state)에서는, 스위칭 장치(18)는 회선을 끊음으로써, 그 결과 팩스 기계(12)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팩스 기계(12)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방지한다. 닫힘(close) 상태에 서는, 스위칭 장치(18)는 회선을 연결시켜 통화가 팩스 기계(12)로 전달되게 하거나 또는 팩스 기계(12)에 의해 수신되게 한다.
도 2는 스위칭 장치(18)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스위칭 장치(18)는 신호 릴레이 장치(signal relay device)(24)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스위치 콘택들(switch contacts)(22)을 포함한다. 종래의 4-와이어 팩스 회선(4-wire fax line)을 위하여, 각각의 스위치 콘택(22)은 와이어들(16)에 결합된다. 각각의 스위치 콘택(22)은 릴레이 장치(24)의 상태에 따라 각각의 와이어(16)를 연결하거나 또는 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스위치 콘택(22)은 그들 소유의 각각의 릴레이 장치(미 도시)에 의해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 유닛(26)은 스위칭 장치(18)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릴레이(24)에 적당한 전압(예를 들어 5볼트)을 인가하여 전류를 통하게 하고, 0볼트를 적용하여 전류가 통하지 않게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24)에 전류를 통하게 하거나 통하지 않게 함으로써, 제어 유닛(26)은 스위칭 장치(18)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위칭 장치(18)는 정상적인 닫힘 상태를 채용하고, 그래서 소비 전력(power consumption)을 감소시키기 위해, 릴레이(24)는, 전류가 흐르는 상태가 스위칭 콘택(22)의 닫힘 상태에 해당하고,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는 열림 상태에 해당하도록 편리하게 배치된다.
제어 유닛(26)은 적당하게 프로그램된 마이크로-콘트롤러(micro-controller)를 적절하게 포함하지만, 그러나 임의의 다른 적당한 데이터 프로세서(processor), 콘트롤러 또는 디지털 로직 회로(digital logic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 직하게는, 제어 유닛(26)은 편리하게 제어가능한 미리 프로그램 가능한(pre-programmable) 타이머(timer)(미 도시)와 같은 타이머를 포함하거나 또는 타이머와 결합될 수 있다.
기기(10)는 링(ring) 또는 회선 상태 감지 유닛(line status detection unit)(30)을 더 포함한다. 감지 유닛(30)은 현재의 상태, 특히 착신 또는 발신 전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회선(15)에 결합된다. 편리하게는, 이는 와이어들(16) 상에서의 전압들 또는 전류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감지 유닛(30)이 착신 전화를 감지하면, 감지 유닛(30)은 신호(예를 들어, 단안정 펄스(monostable pulse) 또는 반복적인 펄스 열(repetitive pulse train))를 제어 유닛(26)으로 전송하여 제어 유닛(26)으로 하여금 착신 전화에 대비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감지 유닛(30)은 회선(15)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착신 전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착신 전화와 발신 전화를 감지하고 구별하며, 착신 전화 또는 발신 전화가 감지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유닛(26)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회선(15) 상에서 각각의 신호(예를 들어 전류 및/또는 전압) 특성들을 인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 전화는 일반적으로 회선(15) 상에서 오실레이팅 신호(oscillating signal)를 생성하며, 반면에 발신 전화는 기계(12)가 온-훅 상태(on-hook state)로부터 오프-훅 상태(off-hook state)까지 전달하는 것처럼 회선(15) 상에서 싱글 스텝 전압 변경(single step voltage change)에 의해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감지 유닛(30)은 회선(15) 상에서 감지된 신호를 나타내는 제어 유닛(26)으로 신호를 전송하며, 제어 유닛(26)은 그들의 프로그램에 따라 감지 유닛(3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판단한다(interpret).
기기(10)는 하나 이상의 베터리들(batteries) 또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파생된 절연된 AC 메인들(isolated AC mains)로부터 얻을 수 있는 그들 소유의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32)를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전원 공급이 기기(10)의 적어도 일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도 1의 예에 있는 제어 유닛(26) 및 스위칭 장치(18))에 제공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도록 전압 레귤레이터(34)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에 있어서, 스위칭 장치(18)는 정상적인 닫힘 상태(normally closed state)를 채용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통화는 팩스 기계(12)로부터 전송되고 팩스 기계(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대기 시간(통화 가능한 기간 이외의 기간) 이후에 제1 착신 통화가 감지 유닛(30)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 유닛(26)에 통보되고, 그리고 착신 전화가 팩스 기계(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기 전에 스위칭 장치(18)로 하여금 열리도록 한다. 그 결과, 스위칭 장치(18)가 열렸기 때문에, 착신 전화가 팩스 기계(12)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통화를 연결하는 기계는 팩스 기계(12)가 사용할 수 없거나, 그렇지 않으면 응답이 없거나 또는 통화중(engaged)이라는 것으로 판단하여 시도된 통화를 포기한다.
그런 다음, 제어 유닛(26)은 스위칭 장치(18)로 하여금 닫힘 상태를 채용하도록 한다. 미리 예정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조절할 수 있는 그 이후의 시간을 위하여, 제어 유닛(26)은 착신 전화를 막는 동작을 하지 않도록 프로그램된다. 제어 유닛(26)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착신 전화가 팩스 기계(12)에 연결할 수 있는 시간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26) 및 타이머는 스위칭 장치(18)가 닫힘 상태로 유지되고, 착신 전화가 팩스 기계(12)로 연결할 수 있는 통화 가능한 기간을 동시에 생성한다.
감지 유닛(30)이 발신 전화를 감지하면, 제어 유닛(26)은 동작할 필요가 없으며, 발신 전화는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미 도시), 스위칭 장치(18)는 정상적인 열림 상태를 채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은 초기 통화가 차단된 후 한정된 기간 동안 스위칭 장치(18)를 닫도록, 그리고 언제든지 발신 전화가 감지될 수 있도록 스위치 장치를 닫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착신 전화가 허용될 수 있는 시간은 종래의 팩스 기계를 위한 일반적인 재발신 기간(re-dial period)보다는 더 길게 설정되지만, 그러나 일반적인 자동화된 "스팸" 또는 정크 팩스 기계를 위한 재발신 기간보다는 길지 않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팩스 기계들은 일반적으로 대략 3분 이후에 통화중이거나 또는 사용 불가능한 번호로 재발신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26)은 예를 들어, 약 5분 후에 착신 전화를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팩스 기계(12)로 진정한 메시지(genuine message)의 전송을 시도한다고 가정된 종래의 팩스 기계가 팩스 기계(12)의 번호를 재발신할 때, 착신 전화는 바로 팩스 기계(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스위칭 장치(18)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만일 사용자가 손으로 팩스 기계의 번호를 재발신한다면, 재전송 전화(re- sent call)가 수신될 수 있다. 그러나, 자동화된 "스팸" 팩스 기계는 일반적으로 긴 시간 후에, 즉 아마 한 시간 또는 그 이상의 시간 후에 재발신한다. 따라서, 스팸 기계가 재발신할 때, 그들의 통화는 대기 시간 이후의 제1 착신 전화와 마찬가지로 다시 처리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스위칭 장치(18)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착신 전화가 허용될 수 있는 시간은 예를 들어, 1분 내지 10분 사이로 바람직하게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일단 착신 전화가 기계(12)와 연결되면, 통화 종료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어기(26)는 감지기(30)를 통하여 회선(15)을 모니터한다. 이것은 착신 전화가 수신된 이후에 회선(15) 상에서 대기 상태(즉, 신호 활성화되지 않음(absence of signal activity))를 감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통화중 멈춤(pause)을 통화 종료로 해석하여 통화 종료를 잘못 감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제어기는 회선상의 활성이 적어도 미리 예정된 기간 동안 중지된(ceased) 경우 통화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만 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만일, 허용된 통화가 착신 전화가 허용된 시간 보다 더 길게 지속한다면, 제어기(26)는 허용된 통화가 끝난 후에 감지된 다음 통화를 차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26)는, 착신 전화에 허용된 시간이 종료했는지 아니면 그렇지 않든지 상관없이, 허용된 통화가 끝난 후에 감지된 다음 통화를 차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지 유닛(30)의 특정 실시예는 예를 통하여 보여진다. 감지기(30)는 와이어들(16) 상에 존재하는 신호들을 감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와이어들(16)로 회선(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감지기(30)는 광-절연기(opto- isolator)(40)에 의하여 제어 유닛(26)에 결합되어, 감지기(30)가 제어기(26)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동안, 감지된 회선 신호들이 제어 유닛(26)과 통신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참조 번호 10'으로 표시된 통화 차단을 위한 기기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기기(10')는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기기(10)와 유사하다. 그러나, 기기(10')는 릴레이 스위치들보다 더 나은 FET(Field Effect Transistor) 스위치들(142)을 포함하는 대안적인 스위칭 장치(18')를 적용한다. 기기(10')는 기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어느 하나의 장치(10, 10')는 스위칭 장치(18, 18')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LED와 같은 램프(lam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3에서, 종래의 전기적 및 전자적 기호들(symbols) 및 표시(notation)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전기적 및 전자적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도 2 및 3에서 제공된 임의의 구성 요소의 값들(values)은 예를 통해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2 및 3에서 보여진 특정 회로들은 도 1의 기기가 어떻게 구현되는지 및 대안적인 구현들(alternative implementations)이 가능한지의 예로서 제공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위칭 장치(18)는 착신 전화를 막기 위하여 회선(15)을 끊는 것처럼 표현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미 도시), 이것은 기기가 다른 편리 한 방법으로 착신 전화를 막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는 회선(15)을 통하여 회선(15)이 통화중이거나 또는 반대로 사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착신 전화의 발송인(sender)에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제어 유닛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통화중이거나 또는 사용 불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알려주는 전기적 신호들을 그들 상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장치는 회선(15)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장치는 팩스/전화 응답 기계(fax/telephone answering machine)의 그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회선(15) 상에 오디오 또는 비디오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아직까지는, 기기(10)는 예를 들어, 팩스 기계(12)가 통화를 팩킹-업(packing up)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팩스 기계(12)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막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하는 팩스 기계는 팩스 기계(12)가 그들의 통화에 응답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 위에서 파악된 실시예에서, 상술한 스위칭 장치들(18, 18')과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스위칭 장치를 장치가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만약 그들이 통화 가능한 기간에 수신된다면, 통화가 장치와 연결되도록 허용될 수 있는 24시간의 시계 사이클(clock cycle)에서 각각의 시간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화 가능한 기간을 생성하도록 기기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팩시밀리 메시지들의 환경(context)으로서 설명되었지만, 그러나 예를 들어 전화로 통화 또는 문서들(texts)을 차단할 수 있는 다른 장치들(applications)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modified) 및 변화(varied)될 수 있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9)

  1. 신호 회선 상에서 통화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 통화를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신호 회선 상에서 착신 전화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 및
    통화 가능한 기간(enabled time period)에 수신되면 상기 착신 전화가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통화 가능한 기간 이외의 기간에 수신되면 상기 착신 전화가 상기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는, 상기 통화 가능한 기간 이외의 기간에 감지된 모든 첫 번째 착신 전화가 상기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후에 모든 착신 전화가 허용되는 동안 상기 통화 가능한 기간을 개시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착신 전화가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통화 가능한 기간 동안에는 상기 신호 회선을 연결하고, 상기 통화 가능한 기간 이외의 기간에는 상기 신호 회선을 끊도록 배치된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감지 수단이 허용된 착신 전화들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때에만 상기 신호 회선을 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호 회선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리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콘택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콘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리어가 끊기거나 또는 연결되는 각각의 상태의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 사이에서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상기 신호 회선 상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신호는 상기 장치가 착신 전화를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신호 회선이 통화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오디오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수단은 상기 통화 가능한 기간 이외의 기간에 제1 착신 전화의 감지에 응답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신호 회선 상에서 신호들을 모니터하고, 상기 신호 회선 상에서 감지된 신호들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하도록 배치된 감지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감지 기기는 상기 신호 회선 상에서 전기적 신호들을 감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착신전화가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통화 가능한 기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거나 또는 결합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착신 전화가 상기 신호 회선 상에서 감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하나 이상의 광-절연기(opto-isolator)에 의해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어 유닛으로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착신 전화가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통화 가능한 기간 동안에는 상기 신호 회선을 연결하고, 상기 통화 가능한 기간 이외의 기간에는 상기 신호 회선을 끊도록 배치된 스위칭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위칭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화 수신 장치는 팩시밀리 기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회선은 범용 표준 전화 네트워크 회선(PSTN) 또는 이동(핸드폰) 전화 네트워크 회선과 같은 전화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사용중에는 상기 신호 회선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케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9. 삭제
KR1020087013247A 2005-11-02 2006-11-01 통화 차단기 KR101298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522358.1A GB0522358D0 (en) 2005-11-02 2005-11-02 Call interceptor
GB0522358.1 2005-11-02
PCT/EP2006/010498 WO2007051609A1 (en) 2005-11-02 2006-11-01 Call intercep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511A KR20080075511A (ko) 2008-08-18
KR101298409B1 true KR101298409B1 (ko) 2013-08-20

Family

ID=3551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247A KR101298409B1 (ko) 2005-11-02 2006-11-01 통화 차단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121273B2 (ko)
EP (1) EP1985103B1 (ko)
JP (1) JP4616393B2 (ko)
KR (1) KR101298409B1 (ko)
CN (1) CN101300823B (ko)
AU (1) AU2006310761B2 (ko)
CA (1) CA2668173C (ko)
EA (1) EA011840B1 (ko)
GB (1) GB0522358D0 (ko)
HK (1) HK1124195A1 (ko)
WO (1) WO2007051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6570D0 (en) 2008-04-11 2008-05-14 Mcfeeters Kenneth D Improved call interceptor
CN105100366B (zh) 2015-07-13 2018-03-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骚扰电话号码确定方法、装置和系统
CN105391855B (zh) * 2015-10-29 2018-11-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来电处理方法及装置
JP6881185B2 (ja) * 2017-09-25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4224A (en) * 1997-04-07 1998-10-14 Mitel Corp Method of call screen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388A (en) * 1994-01-31 1995-11-14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blocking incoming telephone calls
US6700957B2 (en) 1998-12-07 2004-03-02 Curio, Ltd. Caller ID system with retransmitted caller ID information
US6442249B1 (en) 1999-05-11 2002-08-27 John T. Miller, Jr. Telephone call screening unit
FR2799080A1 (fr) * 1999-09-27 2001-03-30 Christian Albert Maur Verhille Dispositif de controle d'acces distant a une installation telephonique
US20040071292A1 (en) * 2000-01-18 2004-04-15 Simpson Claude O. Automated prefix dialing system
US7155001B2 (en) * 2001-10-24 2006-12-26 Sbc Properties, L.P.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ng and monitoring telephone calls
US20040001576A1 (en) * 2002-06-26 2004-01-01 Wang Li K. Selective answering system
DE20213466U1 (de) * 2002-09-02 2003-03-06 Kuntze Jan W Zeitschaltuhr zur Regelung des Faxempfanges ohne Unterbrechung der notwendigen Spannungsversorgung
US7480065B1 (en) * 2004-03-05 2009-01-20 Callwave, Inc. Facsim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CN1614978A (zh) * 2004-11-30 2005-05-11 杨红兵 手机根据时间范围过滤来电的一种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4224A (en) * 1997-04-07 1998-10-14 Mitel Corp Method of call scre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511A (ko) 2008-08-18
EP1985103B1 (en) 2014-08-13
EA200801147A1 (ru) 2008-10-30
AU2006310761A1 (en) 2007-05-10
WO2007051609A8 (en) 2008-05-29
JP4616393B2 (ja) 2011-01-19
AU2006310761B2 (en) 2012-03-08
CA2668173A1 (en) 2007-05-10
HK1124195A1 (en) 2009-07-03
US20080292083A1 (en) 2008-11-27
WO2007051609A1 (en) 2007-05-10
EA011840B1 (ru) 2009-06-30
JP2009515390A (ja) 2009-04-09
CN101300823B (zh) 2011-04-13
EP1985103A1 (en) 2008-10-29
CN101300823A (zh) 2008-11-05
GB0522358D0 (en) 2005-12-07
US8121273B2 (en) 2012-02-21
CA2668173C (en)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0970B1 (en) LAN phone system with automatic fallback for power or network failure
JPH04233890A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制御装置の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298409B1 (ko) 통화 차단기
US8515034B2 (en) Call interceptor
HUT58171A (en) Arrangement for matching telephone or telefax sets to telecommunication line
US709249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2805724B2 (ja) 電話交換装置
JP3091065B2 (ja) ノーリンギングによりデータ伝送を行う通信装置
JP2982686B2 (ja) 構内交換機
JP264636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回線切換方式
RU2127026C1 (ru) Способ распознавания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ых телефонных каналов в средствах связи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EP0331531A2 (en) Telephone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2015195496A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66944B1 (ko) 각종 디지털 가입자 회선 시스템에서 착신시 발생되는고주파 신호 제거 장치
JP2018186393A (ja) 通信端末装置
JPH05110742A (ja) 外部接続端子付きフアクシミリ装置
JPH05316553A (ja) 電話交換装置の内線インターフェイス
JPH0856285A (ja) 画像通信装置
JP2000165550A (ja) ノ―リンギング通信装置
JPH07177253A (ja) データ疑似受信機能付電話機
JPH10322470A (ja) モデム及びモデムシステム
JPH0744717B2 (ja) 自動選択着信装置
JPH068598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式
EP1247393A1 (en) Device for telephone line disengagement following the reception of a call waiting
JPH06244905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