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146B1 -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146B1
KR101298146B1 KR1020120117465A KR20120117465A KR101298146B1 KR 101298146 B1 KR101298146 B1 KR 101298146B1 KR 1020120117465 A KR1020120117465 A KR 1020120117465A KR 20120117465 A KR20120117465 A KR 20120117465A KR 101298146 B1 KR101298146 B1 KR 10129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illuminance sensor
sensor
guide rail
line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림
Original Assignee
광전자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전자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전자정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28Control of working procedures; Failure detection; Spectral bandwidth calc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42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 G01M11/025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by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test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2Screens moving during proj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도, 명암비 등과 같은 프로젝터의 광특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는 프로젝터의 빛이 조사되는 투사영역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투사영역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제1 조도 센서;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제1 조도 센서의 전면에 수직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조도 센서를 좌우 수평방향 및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는 제1 센서 홀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 홀더 어셈블리는 제1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 조도 센서를 잡아주는 제1 센서홀더와, 상기 제1 센서 홀더와 상기 제1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센서홀더의 좌우 회전을 위한 회전 중심축이 되는 제1 수직축과, 상기 제1 센서홀더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조도 센서의 전후방 회전을 위한 회전 중심축이 되는 제1 수평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Measuring Device for Optical Characteristics of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도, 명암비 등과 같은 프로젝터의 광특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는 TV, VCR, DVD 플레이어, PC, 캠코더 등의 각종 영상 기기들에 연결되어 이들의 신호를 입력받아 렌즈를 통해 확대한 영상을 스크린상에 투사하여 나타내주는 장비이다.
상기 프로젝터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크게 영상을 만들어 내는 소자의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프로젝터('빔 프로젝터'라고도 함), LCD(액정; 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터,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 LED 프로젝터(Light Emitting Diode)로 구분된다.
이러한 프로젝터에 의해 스크린에 투영되는 화면은 중앙부에 비해 주변부의 밝기 등이 떨어지기 때문에 프로젝터의 조도, 명암비 등과 같은 광특성은 일반적인 광원과 다른 방식으로 측정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의 조도 단위로는 미국표준협회(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에서 지정한 단위인 안시 루멘(ANSI Lumen)이 사용되는데, 상기 안시 루멘은 스크린에 투사되는 일정크기의 백색 화면(통상 40인치)을 9개의 동일한 사각형으로 나누고 각 사각형의 중앙부에 조도 센서를 고정설치하여 해당지점으로 조사되는 프로젝터의 밝기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내는 방식으로 측정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프로젝터의 광특성을 측정하는 방식은 상기와 같이 결정되는 위치에 조도 센서가 고정설치되므로 프로젝터에 의해 스크린에 투영되는 화면크기가 변화되어 측정위치가 변화되면 조도 센서를 변화된 측정위치에 다시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도, 명암비와 같은 프로젝터의 광특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빛이 조사되는 투사영역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투사영역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제1 조도 센서;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제1 조도 센서의 전면에 수직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조도 센서를 좌우 수평방향 및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는 제1 센서 홀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 홀더 어셈블리는 제1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 조도 센서를 잡아주는 제1 센서홀더와, 상기 제1 센서 홀더와 상기 제1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센서홀더의 좌우 회전을 위한 회전 중심축이 되는 제1 수직축과, 상기 제1 센서홀더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조도 센서의 전후방 회전을 위한 회전 중심축이 되는 제1 수평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투사영역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투사영역과, 하측에 위치하는 제3 투사영역과, 상기 제1 투사영역과 상기 제3 투사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투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는 상기 제2 투사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제2 조도 센서; 그리고 상기 제3 투사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제3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조도센서 및 상기 제3 조도 센서도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이 전면에 수직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좌우 수평방향 및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투사영역에는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한쌍의 제1 리니어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제1 리니어 유닛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제1 리니어 유닛에 각각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리니어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조도 센서는 상기 제2 리니어 유닛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투사영역에는 수평방향으로 제3 리니어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조도 센서는 상기 제3 리니어 유닛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투사영역에는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한쌍의 제4 리이어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제4 리니어 유닛 사이에는 양단이 제4 리니어 유닛에 각각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리니어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제3 조도 센서는 상기 제5 리니어 유닛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 리니어 유닛은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각각 설치되어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한쌍의 제1 캐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리니어 유닛은 양단이 상기 한쌍의 제1 캐리지에 각각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이동하는 제2 캐리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조도 센서는 상기 제2 캐리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리니어 유닛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제3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제3 캐리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조도 센서는 상기 제3 캐리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4 리니어 유닛은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4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각각 설치되어 제4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한쌍의 제4 캐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5 리니어 유닛은 양단이 상기 한쌍의 제4 캐리지에 각각 결합되는 제5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5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제5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이동하는 제5 캐리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조도 센서는 상기 제5 캐리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3 캐리지의 상면에는 제2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 브라켓에는 제2 수직축에 의해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는 제2 센서 홀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조도 센서는 제2 센서 홀더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 수평축에 결합되어 제2 수평축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5 캐리지의 상면에는 제3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3 고정 브라켓에는 제3 수직축에 의해 상기 제3 고정 브라켓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3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는 제3 센서 홀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3 조도 센서는 제3 센서 홀더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3 수평축에 결합되어 제3 수평축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부에는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분광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의 투사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프로젝터는 거치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거치대는 이동형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상면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다양한 종류의 프로젝터가 고정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는 조도 센서가 좌우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전방으로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이 조도 센서의 전면에 수직하게 입사되도록 할 수 있어 정확한 광특성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는 3개의 조도 센서가 프로젝터의 빛이 조사되는 투사영역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측정위치가 결정되면 조도 센서가 해당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므로 종래와 같이 조도 센서를 다시 설치하지 않고도 화면크기를 자유롭게 변경시키면서 프로젝터의 광특성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는 조도 센서로 프로젝터의 밝기를 측정함과 동시에 분광기로 프로젝터의 스펙트럼을 동시에 측정하여 프로젝터의 광원으로 LED와 같은 유색광원이 사용될 때 조도 센서의 측정치가 가지는 색오차를 보정하여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프레임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메인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메인프레임에 스크린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도 센서의 설치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거치대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메인프레임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메인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메인프레임에 스크린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는 메인프레임(100)과, 제1 조도 센서(200)와, 제2 조도 센서(300)와, 제3 조도 센서(400)와, 거치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다수개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사각틀 구조를 이루어 프로젝터(P)의 빛이 조사되는 투사영역(S1,S2,S3)을 형성한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케이스(910)에 감겨져 있다가 메인프레임(100)의 투사영역에 펼쳐지는 스크린(900)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900)은 150인치의 프로젝터 영상이 투영될 수 있도록 150인치 이상의 크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부에는 메인프레임(1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120)와, 메인프레임(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레그(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조도 센서(200)는 상기 투사영역을 가로방향으로 3등분하여 형성되는 제1, 2, 3 투사영역(S1,S2,S3)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1 투사영역(S1)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투사영역(S1)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프로젝터(P)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한다.
상기 제2 조도 센서(300)는 상기 제1, 2, 3 투사영역(S1,S2,S3) 중 중앙에 위치하는 제2 투사영역(S2)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투사영역(S2)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프로젝터(P)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한다.
상기 제3 조도 센서(400)는 상기 제1, 2, 3 투사영역(S1,S2,S3) 중 하측에 위치하는 제3 투사영역(S3)에 설치되며, 상기 제3 투사영역(S3)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프로젝터(P)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제1, 2, 3 조도 센서(200,300,400)가 종래와 같이 특정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제1, 2, 3 투사영역(S1,S2,S3)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면, 프로젝터(P)가 스크린(S)에 투영하는 화면크기가 변화되어 프로젝터(P)의 밝기를 측정할 위치가 변화될 경우에도 제1, 2, 3 조도 센서(200,300,400)를 변화된 위치로 이동시켜주면 되므로 상기 제1, 2, 3 조도센서(200,300,400)를 이용해 프로젝터(P)의 화면크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조도, 명암비와 같은 프로젝터(P)의 광특성을 신속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제1 조도 센서(200)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투사영역(S1)에는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한쌍의 제1 리니어 유닛(510)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제1 리니어 유닛(510) 사이에는 양단이 제1 리니어 유닛(510)에 각각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리니어 유닛(520)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조도 센서(200)는 상기 제2 리니어 유닛(520)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2 리니어 유닛(520)이 제1 리니어 유닛(510)을 따라 수평이동하고, 제1 조도 센서(200)가 제2 리니어 유닛(520)을 따라 수직이동하면 제1 조도 센서(200)의 수평 및 수직이동이 자연히 이루어지므로 제1 조도 센서(200)는 제1 투사영역(S1) 내의 모든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니어 유닛(510)은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1 가이드 레일(511)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511)에 각각 설치되어 제1 가이드 레일(511)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한쌍의 제1 캐리지(Carriage)(5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리니어 유닛(520)은 양단이 상기 한쌍의 제1 캐리지(512)에 각각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레일(521)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521)에 설치되어 제2 가이드 레일(521)을 따라 수직이동하는 제2 캐리지(5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조도 센서(200)는 상기 제2 캐리지(522)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캐리지(512)가 모터(M)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제1 가이드 레일(511)을 따라 이동하면 제1 캐리지(512)에 양단이 결합된 제2 가이드 레일(521)이 제1 가이드 레일(511)을 따라 수평이동하게 되어 제1 조도 센서(20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며, 또한 제2 캐리지(522)가 제2 가이드 레일(521)을 따라 수직이동하면 상기 제2 캐리지(522)에 결합된 제1 조도 센서(200)의 수직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조도 센서(300)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2 투사영역(S2)에는 수평방향으로 제3 리니어 유닛(530)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조도 센서(300)는 제3 리니어 유닛(53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조도 센서(300)는 제1 조도 센서(200)와 달리 제2 투사영역(S2)내에서 수평이동만을 하게 되는데, 이는 이하 설명할 턴테이블(720)의 높이를 조절하여 프로젝터(P)가 제2 조도 센서(300)와 동일 높이에서 빛을 조사하도록 하면 제2 투사영역(S2)에서 프로젝터(P)의 밝기를 측정할 위치는 제2 조도 센서(30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제2 조도 센서(300)는 수평이동만으로 정해진 측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2 투사영역(S2) 내에 상술한 제2 리니어 유닛(520)과 같은 장치를 설치하여 제2 조도 센서(300)가 수평이동뿐만 아니라 수직이동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리니어 유닛(530)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가이드 레일(531)과, 상기 제3 가이드 레일(531)에 설치되어 제3 가이드 레일(531)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제3 캐리지(5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조도 센서(300)는 상기 제3 캐리지(532)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캐리지(532)가 모터(M)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제3 가이드 레일(531)을 따라 이동하면 제3 캐리지(532)에 결합된 제2 조도 센서(30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 조도 센서(400)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3 투사영역(S3)에는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한쌍의 제4 리니어 유닛(540)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제4 리니어 유닛(540) 사이에는 양단이 제4 리니어 유닛(540)에 각각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리니어 유닛(550)이 설치되며, 상기 제3 조도 센서(400)는 상기 제5 리니어 유닛(550)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5 리니어 유닛(550)이 제4 리니어 유닛(540)을 따라 수평이동하고, 제3 조도 센서(400)가 제5 리니어 유닛(550)을 따라 수직이동하면 자연히 제3 조도 센서(400)의 수평 및 수직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제3 조도 센서(400)는 제3 투사영역(S3)내의 모든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리니어 유닛(540)은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4 가이드 레일(541)과, 상기 제4 가이드 레일(541)에 각각 설치되어 제4 가이드 레일(541)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한쌍의 제4 캐리지(5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5 리니어 유닛(550)은 양단이 상기 한쌍의 제4 캐리지(542)에 각각 결합되는 제5 가이드 레일(551)과, 상기 제5 가이드 레일(551)에 설치되어 제5 가이드 레일(551)을 따라 수직이동하는 제5 캐리지(552)로 이루어지지며, 상기 제3 조도 센서(400)는 상기 제5 캐리지(552)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4 캐리지(542)가 모터(M)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제4 가이드 레일(541)을 따라 이동하면 제4 캐리지(542)에 양단이 결합된 제5 가이드 레일(551)이 제4 가이드 레일(541)을 따라 수평이동하게 되어 제3 조도 센서(400)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며, 또한 제5 캐리지(552)가 제5 가이드 레일(551)을 따라 수직이동하면 상기 제5 캐리지(552)에 결합된 제3 조도 센서(400)의 수직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특정위치에서 프로젝터의 광특성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조도 센서의 전면부로 프로젝터(P)의 빛이 수직하게 입사되도록 한 후 조도 센서를 좌우 5°간격으로 회전시키면서 프로젝터의 빛을 측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2, 3 투사영역(S1,S2,S3) 내의 측정위치로 이동한 제1, 2, 3 조도 센서(200,300,400)는 프로젝터(P)에서 조사되는 빛이 전면부에 수직하게 입사되도록 좌우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전방으로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도 센서의 설치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광특성 장치는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제1 조도 센서(200)의 전면에 수직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조도 센서(200)를 좌우 수평방향 및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는 제1 센서 홀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서 홀더 어셈블리는 제1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제1 조도 센서(200)를 잡아주는 제1 센서홀더(230)와, 상기 제1 센서홀더(230)와 상기 제1 고정브라켓(2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센서홀더(230)의 좌우 회전을 위한 회전 중심축이 되는 제1 수직축(220)과, 상기 제1 센서홀더(23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조도 센서(200)의 전후방 회전을 위한 회전 중심축이 되는 제1 수평축(240)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제1 센서 홀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고정브라켓(2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축(2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모터와, 상기 제1 수평축(24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도 센서(200)가 좌우 수평방향 및 전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캐리지(522)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고정 브라켓(21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브라켓(210)에는 상기 제1 수직축(220)에 의해 상기 제1 고정 브라켓(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직축(2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 센서 홀더(2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조도 센서(200)는 상기 제1 센서 홀더(23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수평축(24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평축(24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직축(22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센서 홀더(230)가 회전하면 제1 조도 센서(200)의 좌우 수평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조도 센서(200)가 제1 수평축(24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1 조도 센서(200)의 전후방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광특성 장치는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이 제2 조도 센서(300) 및 제3 조도센서(400)의 전면에 수직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조도 센서(300) 및 상기 제3 조도센서(400)를 각각 좌우 수평방향 및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는 제2 센서 홀더 어셈블리 및 제3 센서 홀더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센서 홀더 어셈블리 및 상기 제3 센서 홀더 어셈블리는 상술한 상기 제1 센서 홀더 어셈블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조도 센서(300)가 좌우 수평방향 및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캐리지(532)의 상면에는 제2 고정 브라켓(310)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 브라켓(310)에는 제2 수직축(320)에 의해 상기 제2 고정 브라켓(3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수직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센서 홀더(3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조도 센서(300)는 제2 센서 홀더(33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 수평축(340)에 결합되어 제2 수평축(34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 조도 센서(400)가 좌우 수평방향 및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5 캐리지(552)의 상면에는 제3 고정 브라켓(410)이 설치되고, 상기 제3 고정 브라켓(410)에는 제3 수직축(420)에 의해 상기 제3 고정 브라켓(4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3 수직축(4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센서 홀더(4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조도 센서(400)는 제3 센서 홀더(43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3 수평축(440)에 결합되어 제3 수평축(44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3 조도 센서(200,300)의 좌우 수평방향 및 전방 회전을 위한 제2, 3 고정 브라켓(310,410), 제2, 3 수직축(320,420), 제2, 3 센서 홀더(330,430), 제2, 3 수평축(340,440) 구조는 이미 설명한 제1 고정 브라켓(210), 제1 수직축(220), 제1 센서 홀더(230), 제1 수평축(24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상기 제1, 2, 3 조도 센서(200,300,400)의 회전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단부에는 프로젝터(P)에서 조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분광기(6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광기(600)에서 측정되는 스펙트럼은 조도 센서로 LED와 같은 스펙트럼의 폭이 좁은 유색광원을 측정할 때 발생하는 색오차를 보정하는데 이용된다. 즉, LED가 프로젝터의 광원으로 사용될 경우 조도 센서로 프로젝터의 빛을 측정하면 색오차가 발생하여 안시 루멘 등과 같은 프로젝터의 광특성 값을 정확히 산출하기 어렵게 되는데, 이때 분광기(600)로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별도로 측정하면 색오차를 보정해줄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분광기(600)를 이용하여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스펙트럼 이외에도 색좌표, 연색성, 색온도, 첨두파장 등과 같은 다양한 분광특성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거치대(700)는 메인프레임(100)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프로젝터(P)가 고정설치되는 장치로서, 이동형 레일(800)에 설치되어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1 참조)
도 6은 도 1의 거치대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대(7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레일(800)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이동블록(710)과, 접철식 높이조절장치(730)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710)의 상면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이동블록(710)을 이동형 레일(800)을 따라 수평이동시켜 프로젝터(P)와 메인프레임(100) 사이 즉, 프로젝터(P)와 스크린(9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접철식 높이조절장치(730)를 이용하여 턴테이블(7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로젝터(P)가 특정높이에서 빛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P)와 메인프레임(100) 사이의 간격 및 턴테이블(720)의 높이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형 레일(800)의 측면에는 눈금자(820)가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이동블럭(710)의 측면에도 턴테이블(720)까지 연장되는 눈금자(71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텐테이블(720)에는 다양한 종류의 프로젝터(P)가 다수개 고정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턴테이블(P)을 회전시켜 가면서 각 프로젝터의 광특성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810은 이동형 레일(8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형 레일(800)에 설치되는 거치대(7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레그(810)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를 이용해 프로젝터의 조도, 명암비 등과 같은 광특성을 측정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젝터(P)가 스크린(900)에 일정크기의 화면을 투영하면 화면을 분할하여 프로젝터의 밝기를 측정할 위치를 결정하고, 스크린(900)을 제거한 후 제1, 2, 3 조도 센서(200,300,400)를 측정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 3 조도 센서(200,400)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2 캐리지(512,522) 및 제4, 5 캐리지(542,552)의 수평 및 수직이동에 의해 제1, 3 투사영역(S1,S3)내에 있는 측정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조도 센서(300)는 턴테이블(720)의 높이를 조절하여 프로젝터(P)가 제2 조도 센서(300)와 동일 높이에서 빛을 조사하도록 할 경우 제3 캐리지(542)에 의한 수평이동만으로 측정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2, 3 조도 센서(200,300,400)를 수평방향 및 전방으로 회전시켜 전면부에 프로젝터(P)의 빛이 수직하게 입사되도록 한 후 상기 조도 센서들을 각각 좌우 5°간격으로 회전시키면서 프로젝터(P)의 빛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로부터 안시 루멘, 명암비 등과 같은 프로젝터의 광특성 값을 산출한다.
한편, 상기 제1, 2, 3 조도 센서(200,300,400)에 의해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가 측정될 때 분광기(600)에 의해 스펙트럼, 색좌표, 연색성, 색온도, 첨두파장 등과 같은 프로젝터의 분광특성 역시 함께 측정될 수 있으며, 분광기(600)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스펙트럼은 프로젝터(P)의 광원으로 LED와 같은 유색광원이 사용될 때 조도 센서가 측정하는 데이터가 가지는 색오차를 보정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특정 화면크기에 대한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이 완료되면 화면크기를 변경시키고,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화면크기에 따른 프로젝터의 광특성을 순차적으로 측정한다.
물론, 턴테이블(720)에 다양한 종류의 프로젝터(P)를 고정설치하여 턴테이블(P)을 회전시키면서 각 프로젝터(P)에 대한 광특성을 연속적으로 측정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프로젝터(P)가 설치되는 거치대(700)를 이동형 레일(800)을 따라 수평이동시켜 프로젝터(P)와 스크린(9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은 그 범위가 전술된 바에 한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고, 그 균등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메인프레임 S1,S2,S3: 제1, 2, 3 투사영역
110,810: 레그 120: 바퀴
130,140,150: 케이블 베어 200: 제1 조도 센서
210: 제1 고정 브라켓 220: 제1 수직축
230: 제1 센서 홀더 240: 제1 수평축
300: 제2 조도 센서 310: 제2 고정 브라켓
320: 제2 수직축 330: 제2 센서 홀더
340: 제2 수평축 400: 제3 조도 센서
410: 제3 고정 브라켓 420: 제3 수직축
430: 제3 센서 홀더 440: 제3 수평축
510,520,530,540,550: 제1, 2, 3, 4, 5 리니어 유닛
511,521,531,541,551: 제1, 2, 3, 4, 5 가이드 레일
512,522,532,542,552: 제1, 2, 3, 4, 5 캐리어
600: 분광기 700: 거치대
710: 이동블록 711,820: 눈금자
720: 턴테이블 730: 접철식 높이조절장치
800: 이동형 레일 P: 프로젝터
910: 케이스 900: 스크린

Claims (12)

  1. 프로젝터의 빛이 조사되는 제1, 2, 3투사영역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제1 투사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제1 조도 센서;
    상기 제2 투사영역 내에서 수평이동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제2 조도 센서;
    상기 제3 투사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제3 조도 센서;
    이동형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상면에 높이 조절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다양한 종류의 프로젝터가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각 프로젝터의 광특성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거치대;
    상기 이동형 레일에 설치되는 상기 거치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형 레일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그;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간격 및 상기 턴테이블의 높이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형 레일의 측면 및 상기 이동블록의 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눈금자;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제1 조도 센서의 전면에 수직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조도 센서를 좌우 수평방향 및 전후방으로 회전시키는 제1 센서 홀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 홀더 어셈블리는 제1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 조도 센서를 잡아주는 제1 센서 홀더와, 상기 제1 센서 홀더와 상기 제1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센서홀더의 좌우 회전을 위한 회전 중심축이 되는 제1 수직축과, 상기 제1 센서홀더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조도 센서의 전후방 회전을 위한 회전 중심축이 되는 제1 수평축을 가지며,
    상기 제2 조도센서 및 상기 제3 조도 센서는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이 전면에 수직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좌우 수평방향 및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사영역에는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한쌍의 제1 리니어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제1 리니어 유닛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제1 리니어 유닛에 각각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리니어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조도 센서는 상기 제2 리니어 유닛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사영역에는 수평방향으로 제3 리니어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조도 센서는 상기 제3 리니어 유닛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투사영역에는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한쌍의 제4 리이어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제4 리니어 유닛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제4 리니어 유닛에 각각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 리니어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제3 조도 센서는 상기 제5 리니어 유닛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니어 유닛은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각각 설치되어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한쌍의 제1 캐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리니어 유닛은 양단이 상기 한쌍의 제1 캐리지에 각각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이동하는 제2 캐리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조도 센서는 상기 제2 캐리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리니어 유닛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제3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제3 캐리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조도 센서는 상기 제3 캐리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리니어 유닛은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4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각각 설치되어 제4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한쌍의 제4 캐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5 리니어 유닛은 양단이 상기 한쌍의 제4 캐리지에 각각 결합되는 제5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5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제5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이동하는 제5 캐리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조도 센서는 상기 제5 캐리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캐리지의 상면에는 제2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 브라켓에는 제2 수직축에 의해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는 제2 센서 홀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조도 센서는 제2 센서 홀더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 수평축에 결합되어 제2 수평축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캐리지의 상면에는 제3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3 고정 브라켓에는 제3 수직축에 의해 상기 제3 고정 브라켓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3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는 제3 센서 홀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3 조도 센서는 제3 센서 홀더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3 수평축에 결합되어 제3 수평축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분광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12. 삭제
KR1020120117465A 2012-10-22 2012-10-22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KR10129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65A KR101298146B1 (ko) 2012-10-22 2012-10-22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65A KR101298146B1 (ko) 2012-10-22 2012-10-22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146B1 true KR101298146B1 (ko) 2013-08-20

Family

ID=4922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465A KR101298146B1 (ko) 2012-10-22 2012-10-22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1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7228A (zh) * 2015-08-25 2015-11-18 公安部上海消防研究所 消防照明灯具连续照度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9115689A (zh) * 2018-10-10 2019-01-01 鲁东大学 一种地物双向反射率室内测量装置
KR20190118316A (ko) 2018-04-10 2019-10-18 한국광기술원 조명 성능 측정장치
KR102107185B1 (ko) * 2018-12-07 2020-05-28 에코엘이디(주) Led들의 광특성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led바의 광특성 검사장치
KR20210039667A (ko) * 2019-10-02 2021-04-12 재단법인 한국조명아이씨티연구원 조명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검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1727A (ja) 2004-04-21 2005-11-04 Seiko Precision Inc プロジェクタ装置および画像補正方法
JP2006038810A (ja) 2004-07-30 2006-02-09 Canon Inc 光学系性能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9508122A (ja) 2005-09-12 2009-02-26 トリンブル イエナ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測量装置を使用して測量データを供給する方法
JP2009122414A (ja) 2007-11-15 2009-06-04 Seiko Epson Corp 可動式スクリー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1727A (ja) 2004-04-21 2005-11-04 Seiko Precision Inc プロジェクタ装置および画像補正方法
JP2006038810A (ja) 2004-07-30 2006-02-09 Canon Inc 光学系性能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9508122A (ja) 2005-09-12 2009-02-26 トリンブル イエナ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測量装置を使用して測量データを供給する方法
JP2009122414A (ja) 2007-11-15 2009-06-04 Seiko Epson Corp 可動式スクリーン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7228A (zh) * 2015-08-25 2015-11-18 公安部上海消防研究所 消防照明灯具连续照度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190118316A (ko) 2018-04-10 2019-10-18 한국광기술원 조명 성능 측정장치
KR102074574B1 (ko) 2018-04-10 2020-02-06 한국광기술원 조명 성능 측정장치
CN109115689A (zh) * 2018-10-10 2019-01-01 鲁东大学 一种地物双向反射率室内测量装置
CN109115689B (zh) * 2018-10-10 2024-02-09 鲁东大学 一种地物双向反射率室内测量装置
KR102107185B1 (ko) * 2018-12-07 2020-05-28 에코엘이디(주) Led들의 광특성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led바의 광특성 검사장치
KR20210039667A (ko) * 2019-10-02 2021-04-12 재단법인 한국조명아이씨티연구원 조명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검사 방법
KR102298076B1 (ko) * 2019-10-02 2021-09-03 재단법인 한국조명아이씨티연구원 조명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검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146B1 (ko) 프로젝터의 광특성 측정장치
CN103064246B (zh) 一种摄像头模组测试平台
CN108760765A (zh) 一种基于侧视相机拍摄的表面损伤缺陷检测装置及方法
JP6462823B2 (ja) 画像検査装置
JP6230434B2 (ja) 画像検査装置、画像検査方法及び画像検査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429026B2 (ja) 左右投射方向自動調整装置を有するプロジェクタ
CN205664783U (zh) 一种基于双远心镜头的视觉测量装置
JP2000512462A (ja) 電子表示装置のための検査および調整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検査装置
CN110044305B (zh) 玻璃曲率检测装置及玻璃曲率检测方法
JP6516453B2 (ja) 画像測定装置及び測定装置
CN106444257B (zh) 光阀接收光斑的调整方法及装置、系统
JP4396582B2 (ja) 光学装置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60549A (ja) 照度出力装置、輝度出力装置及び画像投影装置
JP6191019B2 (ja) 投影装置及び投影方法
JP6234253B2 (ja) 画像検査装置、画像検査方法及び画像検査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4441141B (zh) 一种激光投影仪空间散斑对比度测量方法及装置
KR102074574B1 (ko) 조명 성능 측정장치
JP5217093B2 (ja)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0643976B1 (ko) 조명 광학 유닛의 제조 방법, 조명 광학 유닛의 제조장치,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명 광학 유닛 및프로젝터
CN110149506A (zh) 图像投影检测设备及图像投影检测方法
JP6123244B2 (ja) 画像表示装置
JP6263510B2 (ja) 立体表示装置の校正デバイス
JP2006038810A (ja) 光学系性能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
CN221100045U (zh) 一种整车灯光测量系统
CN204128498U (zh) 增强型影像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