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013B1 -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 - Google Patents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013B1
KR101298013B1 KR1020120012084A KR20120012084A KR101298013B1 KR 101298013 B1 KR101298013 B1 KR 101298013B1 KR 1020120012084 A KR1020120012084 A KR 1020120012084A KR 20120012084 A KR20120012084 A KR 20120012084A KR 101298013 B1 KR101298013 B1 KR 101298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section
extrusion
shape
section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946A (ko
Inventor
정효태
최병학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013B1/ko
Priority to PCT/KR2013/000992 priority patent/WO2013119054A1/ko
Publication of KR2013009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5/00Profiling tools for metal extruding
    • B21C25/08Dies or mandrels with section variable during extruding, e.g. for making tapered work; Controlling var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1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starting from material of particular form or shape, e.g. mechanically pre-tr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01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to improve the material properties, e.g. lateral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6Mak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재의 집합조직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출장치 및 이러한 압출장치를 이용하는 압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투입된 피압출재를 압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배출하는 압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압출재의 형상을 한정하기 위한 압출구멍은 압출방향에 수직인 단면형상이 상기 압출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 부분은 상기 압출방향에 수직인 제1단면과 상기 제1단면에 대해 압출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단면의 단면형상이 서로 상이하며, 동일한 기준면에 대해 상기 제2단면은 대칭을 이루나 상기 제1단면은 비대칭을 이루는, 압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Extraction apparatus and extraction method}
본 발명은 피압출재를 압축하여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압출재를 제조하는 압출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료의 집합조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에 대한 것이다.
압출방법은 판재 가공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압출과정에서 재료의 변형과 더불어 재료의 집합조직이 변화될 수 있다. 재료의 집합조직은 그 재료의 물성, 예컨대 성형성 또는 자기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금속 재료는 그 결정 구조에 따라서 고유의 슬립계를 갖고 있고, 이 금속 재료의 성형성은 이 슬립계의 작용 여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슬립계의 작용 여부는 그 금속 재료의 집합조직(texture)과 크게 관련된다.
본 발명은 압출재의 집합조직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과제는 예시적으로 제시되었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과제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투입된 피압출재를 압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배출하는 압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압출재의 형상을 한정하기 위한 압출구멍은 압출방향에 수직인 단면형상이 상기 압출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 부분은 상기 압출방향에 수직인 제1단면과 상기 제1단면에 대해 압출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단면의 단면형상이 서로 상이하며, 동일한 기준면에 대해 상기 제2단면은 대칭을 이루나 상기 제1단면은 비대칭을 이루는, 압출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단면과 제2단면간의 사이는 압출방향을 따라 그 단면형상이 상기 제1단면의 단면형상으로부터 상기 제2단면의 단면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면의 단면형상은 다각형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단면의 단면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피압출재를 압출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배출하는 압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압출재를 가압하여 단면형상이 압출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는 압출구멍을 통해 배출하되, 상기 테이퍼 부분은 상기 압출방향에 수직인 제1단면과 상기 제1단면에 대해 압출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단면의 단면형상이 서로 상이하며, 동일한 기준면에 대해 상기 제2단면은 대칭을 이루나 상기 제1단면은 비대칭을 이루는, 압출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피압출재와 상기 피압출재를 압출하여 제조한 압출재는 서로 다른 집합조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피압출재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마그네슘(Mg), 티타늄(Ti), 지르코늄(Zr), 아연(Zn), 알루미늄(Al), 구리(Cu) 및 철(F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철(Fe)의 합금은 주철, 탄소강, 고속도강, 규소강판(Fe-Si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을 이용하면, 피압출재의 집합조직을 제어하여 압출재의 성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판재 형상의 압출재는 상온에서도 전단변형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배치된 슬립계(slip system)를 갖게 됨에 따라 종래에 얻지 못했던 우수한 상온 성형성 등과 같은 우수한 재료물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발명의 압출방법에 이용되는 압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압출장치의 테이퍼 부분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테이퍼 부분의 단면 형상을 압출방향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피압연재의 형상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조밀충진육방정(hexagonal closed packed; HCP) 구조의 슬립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HCP 구조의 결정방위에 따른 슬립계의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HCP 구조의 (0001) 극점도 내에 도 5의 시편들의 극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집합조직(texture)은 다결정 재료의 결정립들(crystalline grains)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집합조직은 텍스처 또는 텍스쳐로 불릴 수도 있고, 그 명칭에 의해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재료가 갖는 집합조직은 절대적인 개념보다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된다. 즉, 어떤 재료가 소정 방향의 집합조직을 갖는다는 것은 그 재료의 상당부분의 결정립들이 그 방향의 집합조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 그 재료의 모든 결정립들이 그 방향의 집합조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피압출재는 압출이 수행되는 대상을 의미하고, 압출재는 피압출재로부터 압출이 완료되어 목적하는 형상으로 변경된 대상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압출장치(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출장치(100)는 피압출재를 장입하기 위한 컨테이너(110)가 제공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피압출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구멍(115)을 가진다.
스템(stem, 120)은 피압출재를 컨테이너(110) 내로 밀어 넣어 압축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압출재의 효과적인 압축을 위해서, 스템(120)의 외형은 컨테이너(110)의 내부구멍(115)의 형상에 맞추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템(120)의 외형은 내부구멍(115)의 형상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피압출재의 일부분이 컨테이너(110) 내에서 압축되지 않고 잔류할 수 있다. 스템(120)은 램(ram) 또는 압축기와 같이 불릴 수도 있고, 그 용어 및 형상에 의해서 이 실시예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이스(130)는 스템(120) 반대편의 컨테이너(110)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템(120), 컨테이너(110) 및 다이스(130)는 일렬로, 예컨대 도 1의 x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x축 방향이 피압출재의 압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변형된 예에서, 스템(120), 컨테이너(110) 및 다이스(130)가 일렬로 배열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압출 방향은 주로 다이스(130)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이스(130)는 피압출재의 압출 형상을 한정하는 압출 구멍(135)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압출 구멍(135)은 단면형상이 가변되는 테이퍼 부분(134)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단면형상은 압출방향(즉, 도 1의 x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을 의미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단면형상의 정의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압출 구멍(135)은 테이퍼 부분(134)의 후단에 단면형상이 압출방향을 따라 일정한 고정부분(132)을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분(132)은 테이퍼 부분(134) 부분에서 그 형상이 변형된 피압출재가 최종적으로 압출재로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한정한다.
예를 들어, 고정부분(132)의 단면이 원형을 가질 경우 압출재는 봉 형상을 가진다.
다른 예로서 고정 부분(132)의 단면이 판재의 단면 형상을 가질 경우 압출재는 판재 형상을 가진다. 도 2에는 고정 부분(132)의 단면이 판재의 단면 형상을 가질 경우의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이때 도 2에서 xy 평면은 압출재의 판면 방향이 되고, z축 방향은 압출재의 두께 방향이 되고, x축 방향은 압출재의 길이 방향이 되고, y축 방향은 압출재의 폭 방향이 될 수 있다.
테이퍼 부분(134)은 압출방향(즉, 도 1의 x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압출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압출구멍(135)의 내부 형상의 여러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4에 개념적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할 제1단면 및 제2단면은 피압출재를 수용할 수 있는 압출장치 내의 임의의 내부공간에 있어 압출방향에 수직한 가상의 단면으로서, 각각 압출방향을 따라 이격된 단면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피압출재는 개념적으로 제1단면으로 투입되어 제2단면으로 배출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압출 구멍(135) 중 그 폭이 가변되는 테이퍼 부분(134)에서 제1단면 및 제2단면을 정의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테이퍼 부분(134)이 시작되는 면을 제1단면, 테이퍼 부분이 종료되는 면을 제2단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단면 및 제2단면을 도 2 내지 도 4에 각각 도면부호 (112) 및 (113)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제2단면(113)은 테이퍼 부분(134)이 종료되는 면이면서 동시에 고정 부분(132)이 시작되는 면일 수 있다.
이때 제1단면(112) 및 제2단면(113)은 서로 상이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제1단면(112)은 단면형상이 삼각형 형상이며 제2단면(113)은 단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때 제1단면(112)의 단면적에 비해 제2단면(113)의 단면적은 더 작은 값을 갖는다.
테이퍼 부분(134)의 내부공간은 그 단면형상이 제1단면(112)의 단면형상인 삼각형으로부터 제2단면(113)의 단면형상인 직사각형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나타낸다.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테이퍼 부분(134)에서의 단면형상의 변화를 제1단면(112)로부터 제2단면(113)에 이르기까지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테이퍼 부분(134)의 단면형상은 압출방향을 따라 제1단면(112)의 삼각형에서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결국 제2단면(113)의 직사각형 형태가 된다.
이때 제1단면(112)의 단면적에 비해 제2단면(113)의 단면적이 작은 값을 가짐에 따라 테이퍼 부분(134)은 그 내면이 제1단면(112)로부터 제2단면(113)까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1단면(112)이 각각 오각형 및 반원 형태이고 제2단면(113)이 모두 직사각형인 압출구멍(135)의 내부 형상이 나타나 있다. 이외에도 제1단면(112) 및 제2단면(113)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서 상술한 기하학적 비대칭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단면(112)은 삼각형, 오각형 이외의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반원 형태는 타원 형태로 포함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는 제1단면(112) 및 제2단면(113)을 연결하는 테이퍼 부분(134)도 상술한 제1단면(112) 및 제2단면(113)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그 외면이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곡률이 없는 면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등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컨테이너(110)의 내부구멍(115)의 단면은 제1단면(112)과 같은 다각형 또는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컨테이너(110) 내부로 투입되는 피압출재도 이러한 내부구멍(115)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서 다각형 또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a, 6b 및 6c에는 각각 삼각형, 오각형 및 반원의 단면형상을 가진 빌렛형상의 피압연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형상의 피압출재는 소재의 일부에만 소성가공을 하거나 절삭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금형 또는 몰드에 주조하여 제조된 주조재일 수 있다. 이러한 주조재의 예로서 단면이 다각형 형상인 몰드를 이용한 연속주조로 제작한 것일 수 있다.
컨테이너(110) 내부로 투입된 피압출재는 스템(120)에 의해 압출 구멍(135)의 제1단면(112)로 투입되며, 테이퍼 부분(134)에서 압축되어 제2단면(113)을 통해 고정부분(132)으로 배출된 후, 고정부분(132)의 단면 형성에 따라 소정의 형상, 예를 들어 판재로 최종 압출성형된다.
이때 제2단면(113)의 단면형상은 특정한 기준면에 대해 대칭을 이루게 되는 반면, 동일한 기준면에 대해 제1단면(112)의 단면형상은 비대칭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단면(113)의 단면형상은 기준면 S에 대해 상하가 대칭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반면 제1단면(112)의 단면형상은 기준면 S에 대해 상하가 서로 비대칭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1단면(112)과 제2단면(113)의 기준면 S에 대한 대칭성의 차이로 기인하여 테이퍼 부분(134)에서 압축성형되는 피압연재는 비대칭적인 전단변형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압출장치에 의하여 판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비대칭적인 요소가 없어 압출판재의 폭방향(도 2의 y 방향)으로는 전단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압출방향(도 2의 x방향)으로만 전단변형이 이루어짐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압출장치(100)에 의할 경우에는 압출판재의 압출방향 및 폭방향(도 2의 x 및 y 방향)의 복합 비대칭 전단변형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압출장치(100)를 이용한 압출방법에 의할 경우, 비대칭적인 전단변형으로 인해 압출성형된 압출재는 피압출재와 비교할 때 상이한 집합조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집합조직의 변화로 인해 압출재는 피압출재에 비해 더 우수한 성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압출조건에서 성형성이 나쁜 피압출재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압출장치(100)를 이용하여 압출함으로써 그 집합조직을 변형하여 성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압출장치(100)에 투입되는 피압출재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압출재는 집합조직을 갖는 다양한 금속 또는 그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또는 금속합금은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조밀충진육방정(hexagonal closed-packed; HCP), 면심입방정(face centered cubic; FCC), 체심입방정(body centered cubic; BCC)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피압출재는 마그네슘(Mg), 티타늄(Ti), 지르코늄(Zr), 아연(Zn), 알루미늄(Al), 구리(Cu), 철(Fe) 등과 같은 금속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철 합금의 경우 주철, 탄소강, 고속도강, 규소강판(Fe-Si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피압출재의 금속 원소 또는 금속 구조는 예시적으로 제시되었고, 이 실시예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피압출재로써 조밀충진육방정(HCP) 구조를 갖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예로 들어 비대칭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으로 압출된 판재의 특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HCP구조를 갖는 금속으로는 마그네슘(Mg), 아연(Zn), 지르코늄(Zr), 티타늄(Ti) 등을 들 수 있다.
도 7은 조밀충진육방정(hexagonal closed packed; HCP) 구조의 슬립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HCP 구조의 결정방위에 따른 슬립계의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HCP 구조의 (0001) 극점도 내에 도 7의 A, B, C, D 결정의 극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HCP 구조를 갖는 금속의 가공 시 주로 {0001}<1120>의 기저면 슬립계(basal plane slip system)와 {1010}<1120> 프리즘 슬립계(prismatic slip system), {1011}<1120> 피라미드 슬립계(piramidal slip system) 등의 제한적인 슬립계와 쌍정계(twin system)가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HCP 구조를 갖는 금속은 그 제한적인 슬립계로 인해서 상온에서 성형성이 좋지 않다.
이러한 HCP 구조를 갖는 금속의 경우, 상온에서 기저면 슬립계 이외의 변형기구에 대한 임계분해전단응력(critical resolved shear stress)값은 기저면 슬립계의 임계분해전단응력에 비해 매우 크다. 따라서 기저면 슬립계를 중심으로 슬립계의 배치가 HCP 구조의 상온 성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시편(A)과 같이 기저면 슬립계가 압출재의 판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ND 방향에 수직한 경우) 또는 제2 및 제3시편들(B, C)과 같이 기저면 슬립계가 판면 방향(RD 방향)에 수직하거나 횡축방향(TD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온에서의 성형성이 열악하게 된다. 이는 압출재의 성형 시 주변형 방향(예컨대, ND, RD 및 TD 방향)과 기저면 슬립계가 서로 수직하거나 수평을 이루게 되어 외부응력에 대해 기저면 슬립계의 작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반면, 제4시편(D)과 같이 기저면 슬립계가 슬립면 및 슬립방향 면에서 주변형 방향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재료의 변형이 용이해져 상온 성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압출장치에 의할 시 HCP 구조의 금속 또는 합금,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을 피압출재로 압출하는 경우, 테이퍼 부분(134)에서의 기하학적 비대칭 구조에 기인된 전단변형의 비대칭에 의해 마그네슘 합금의 슬립계 중 전단변형에 유리한 상기 제4시편(D)과 같이 배치되는 분포가 증가되도록 집합조직이 변형된다. 따라서 종래의 압출방법에 비해 성형성의 현저한 향상이 일어나게 된다.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0: 압출장치 110: 컨테이너
115: 내부구멍 120: 스템
130: 다이스 132: 고정부분
134: 테이퍼 부분 135: 압출 구멍
112: 제1단면 113: 제2내면

Claims (9)

  1. 투입된 피압출재를 압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배출하는 압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압출재의 형상을 한정하기 위한 압출구멍은 압출방향에 수직인 단면형상이 상기 압출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 부분은 상기 압출방향에 수직인 제1단면과 상기 제1단면에 대해 압출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단면의 단면형상이 서로 상이하며, 동일한 기준면에 대해 상기 제2단면은 대칭을 이루나 상기 제1단면은 비대칭을 이루고,
    상기 제1단면과 상기 제2단면은 서로 상이한 종류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압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면과 제2단면간의 사이는 압출방향을 따라 그 단면형상이 상기 제1단면의 단면형상으로부터 상기 제2단면의 단면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압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면의 단면형상은 직사각형을 제외한 다각형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인, 압출장치.
  4. 제3에 있어서, 상기 제2단면의 단면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인, 압출장치.
  5. 피압출재를 압출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배출하는 압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압출재를 가압하여 단면형상이 압출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는 압출구멍을 통해 배출하되,
    상기 테이퍼 부분은 상기 압출방향에 수직인 제1단면과 상기 제1단면에 대해 압출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단면의 단면형상이 서로 상이하며, 동일한 기준면에 대해 상기 제2단면은 대칭을 이루나 상기 제1단면은 비대칭을 이루고,
    상기 제1단면과 상기 제2단면은 서로 상이한 종류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압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출재와 상기 피압출재를 압출하여 제조한 압출재는 서로 다른 집합조직을 가지는, 압출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출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압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마그네슘(Mg), 티타늄(Ti), 지르코늄(Zr), 아연(Zn), 알루미늄(Al), 구리(Cu) 및 철(F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하는, 압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철(Fe)의 합금은 주철, 탄소강, 고속도강, 규소강판(Fe-Si 합금)을 포함하는, 압출방법.
KR1020120012084A 2012-02-07 2012-02-07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 KR101298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84A KR101298013B1 (ko) 2012-02-07 2012-02-07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
PCT/KR2013/000992 WO2013119054A1 (ko) 2012-02-07 2013-02-07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84A KR101298013B1 (ko) 2012-02-07 2012-02-07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946A KR20130090946A (ko) 2013-08-16
KR101298013B1 true KR101298013B1 (ko) 2013-08-26

Family

ID=4894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084A KR101298013B1 (ko) 2012-02-07 2012-02-07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8013B1 (ko)
WO (1) WO20131190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975B1 (ko) 2015-11-10 2015-12-31 구제율 금속의 연속 압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70605C1 (ru) * 2014-08-14 2015-1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ТАНКИН" (ФГБОУ ВПО МГТУ "СТАНК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нального углового прессования
RU2570606C1 (ru) * 2014-08-14 2015-1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ТАНКИН" (ФГБОУ ВПО МГТУ "СТАНК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нального углового прессования
DE102020128163B3 (de) * 2020-10-27 2022-02-17 Helmholtz-Zentrum Hereon Gmbh Formwerkzeug und Verfahren zum Strangpressen von metallischen Werkstoff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17B1 (ko) * 2010-05-18 2011-09-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칭 압출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압출재, 비대칭 압출용 다이스 및 비대칭 압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8859B2 (ja) * 1995-04-24 2004-11-17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可変断面押出用ダイスおよび可変断面押出成形方法
KR100364043B1 (ko) * 2000-06-10 2002-12-11 진인태 임의의 단면형상을 가진 금속곡관과 금속곡봉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3096549A (ja) * 2001-09-25 2003-04-03 Kenji Azuma 機械的性質及び衝撃延性に優れた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17B1 (ko) * 2010-05-18 2011-09-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칭 압출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압출재, 비대칭 압출용 다이스 및 비대칭 압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975B1 (ko) 2015-11-10 2015-12-31 구제율 금속의 연속 압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946A (ko) 2013-08-16
WO2013119054A1 (ko)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817B1 (ko) 비대칭 압출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압출재, 비대칭 압출용 다이스 및 비대칭 압출장치
KR101274502B1 (ko) 비대칭 압출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압출재, 비대칭 압출용 다이스 및 비대칭 압출장치
KR101298013B1 (ko)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
KR101327411B1 (ko) 비대칭 구조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Zheng et al. Study on size effect affected progressive microforming of conical flanged parts directly using sheet metals
CN103879086B (zh) 一种镁铝多层复合板材及其加工方法
US20160108505A1 (en) Method for producing starting material for cutting
JP5374993B2 (ja) マグネシウム合金成形体、及びマグネシウム合金成形体の製造方法
CN108772430B (zh) 一种镁合金薄板带坯挤压装置及挤压成型方法
CN105290300A (zh) 一种底盘偏心螺母的冷镦工艺及成型异形孔的模具结构
JP6113805B2 (ja) 高強度マグネシウム合金材料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マグネシウム合金製の棒材
US9925581B2 (en) Process of manufacturing wrenches
JP2003245712A (ja) 押出加工用金型、微細組織金属材料の製造装置、及び微細組織金属材料の製造方法
JP2017171964A (ja) マグネシウム合金焼結ビ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147927A (zh) 一种制备块体超细晶金属的等通道变形模具
KR101274504B1 (ko) 비대칭 가공장치, 비대칭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공재
SE439064B (sv) Forfarande for att framstella en pansarbrytande projektil
CN102172662A (zh) 镁合金薄板带坯挤压模具
CN211276481U (zh) 一种成品率高的圆形镁合金铸件
KR102111275B1 (ko) 웜기어용 전조가공을 위한 금형
JP2004027320A (ja) 塑性加工用塊状マグネシウム合金材料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2004285429A (ja) 押出材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4358489A (ja) カップ状成形品の鍛造成形方法
US2014013762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old Tube
JP5892212B2 (ja) マグネシウム合金板、マグネシウム合金部材、及びマグネシ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