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411B1 - 비대칭 구조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 Google Patents

비대칭 구조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411B1
KR101327411B1 KR1020120012083A KR20120012083A KR101327411B1 KR 101327411 B1 KR101327411 B1 KR 101327411B1 KR 1020120012083 A KR1020120012083 A KR 1020120012083A KR 20120012083 A KR20120012083 A KR 20120012083A KR 101327411 B1 KR101327411 B1 KR 101327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extruded material
extruded
shape
extrus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945A (ko
Inventor
정효태
최병학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411B1/ko
Priority to PCT/KR2013/000995 priority patent/WO2013119057A1/ko
Publication of KR2013009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01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to improve the material properties, e.g. lateral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1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starting from material of particular form or shape, e.g. mechanically pre-tr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재의 집합조직을 현저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압출방법 및 이러한 압출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출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피압출재를 압출구멍을 통해 밀어내어 압출재를 형성하는 압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출구멍은 그 폭이 가변되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압출구멍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기준면에 대칭인 제1내면 및 제2내면을 가지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피압출재는 상기 제1내면에 의해 전단응력이 인가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내면에 의해 전단변형을 받는 제2영역이 상기 기준면에 대해 비대칭을 이루는, 압출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비대칭 구조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Extraction method using a material with asymmetric structure.}
본 발명은 재료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료의 집합조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출방법 및 이러한 압출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출재에 관한 것이다.
압출방법은 판재 가공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압출과정에서 재료의 변형과 더불어 재료의 집합조직이 변화될 수 있다. 재료의 집합조직은 그 재료의 물성, 예컨대 성형성 또는 자기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금속 재료는 그 결정 구조에 따라서 고유의 슬립계를 갖고 있고, 이 금속 재료의 성형성은 이 슬립계의 작용 여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슬립계의 작용 여부는 그 금속 재료의 집합조직(texture)과 크게 관련된다.
본 발명은 압출재의 집합조직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출방법 및 이러한 압출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출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는 예시적으로 제시되었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과제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피압출재를 압출구멍을 통해 밀어내어 압출재를 형성하는 압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출구멍은 그 폭이 가변되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압출구멍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기준면에 대칭인 제1내면 및 제2내면을 가지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피압출재는 상기 제1내면에 의해 전단응력이 인가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내면에 의해 전단변형을 받는 제2영역이 상기 기준면에 대해 비대칭을 이루는, 비대칭 형상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피압출재는 상기 압출구멍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할 시 상기 압출재는 상기 피압출재와 다른 집합조직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피압출재는 금속을 포함하며, 이러한 금속은 조밀충진육방정(HCP), 면심입방정(FCC) 또는 체심입방정(BCC) 구조를 가지며, 예를 들어 상기 압출재는 마그네슘(Mg), 티타늄(Ti), 지르코늄(Zr), 아연(Zn), 알루미늄(Al), 구리(Cu) 및 철(F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Fe)의 합금은 주철, 탄소강, 고속도강, 규소강판(Fe-Si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출방법을 이용하면, 피압출재의 집합조직을 제어하여 압출재의 성형성 등과 같은 재료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판재 형상의 압출재는 상온에서도 전단변형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배치된 슬립계(slip system)를 갖게 됨에 따라 종래에 얻지 못했던 우수한 상온 성형성등과 같은 우수한 재료물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출방법에 이용되는 압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압출장치 내에 피압출재가 장입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3c는 피압출재와, 테이퍼 부분의 투입구 및 고정 부분의 투입구를 모두 동시에 압출방향(x 방향)에 수직한 단면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압출방법의 일 실시예에 이용되는 피압출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조밀충진육방정(hexagonal closed packed; HCP) 구조의 슬립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HCP 구조의 결정방위에 따른 슬립계의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HCP 구조의 (0001) 극점도 내에 도 5의 시편들의 극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집합조직(texture)은 다결정 재료의 결정립들(crystalline grains)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집합조직은 텍스처 또는 텍스쳐로 불릴 수도 있고, 그 명칭에 의해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재료가 갖는 집합조직은 절대적인 개념보다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된다. 즉, 어떤 재료가 소정 방향의 집합조직을 갖는다는 것은 그 재료의 상당부분의 결정립들이 그 방향의 집합조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 그 재료의 모든 결정립들이 그 방향의 집합조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피압출재는 압출이 수행되는 대상을 의미하고, 압출재는 피압출재가 압출이 완료되어 목적하는 형상으로 변경된 대상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압출방법에 이용되는 압출장치(100)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압출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출장치(100)는 피압출재를 장입하기 위한 컨테이너(110)가 제공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피압출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내부 구멍(115) 및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피압출재 및 컨테이너(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이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스템(stem, 120)은 피압출재를 컨테이너(110) 내로 밀어 넣어 압축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압출재의 효과적인 압축을 위해서, 스템(120)의 외형은 컨테이너(110)의 내부 구멍(115)의 형상에 맞추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템(120)의 외형은 내부 구멍(115)의 형상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피압출재의 일부분이 컨테이너(110) 내에서 압축되지 않고 잔류할 수 있다. 스템(120)은 램(ram) 또는 압축기와 같이 불릴 수도 있고, 그 용어 및 형상에 의해서 이 실시예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이스(130)는 스템(120) 반대편의 컨테이너(110)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템(120), 컨테이너(110) 및 다이스(130)는 일렬로, 예컨대 도 1의 x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x축 방향이 피압출재의 압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변형된 예에서, 스템(120), 컨테이너(110) 및 다이스(130)가 일렬로 배열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압출 방향은 주로 다이스(130)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이스(130)는 피압출재의 압출 형상을 한정하는 압출 구멍(135)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압출 구멍(135)은 그 폭이 가변되는 테이퍼 부분(134)을 가질 수 있으며, 테이퍼 부분(134)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테이퍼 부분(134)을 한정하는 내면(142, 143)을 가진다. 이때 내면(142, 143)은 압출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출 구멍(135)의 중심축(A)을 포함하는 기준면에 대해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1내면(142) 및 제2내면(1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내면(142) 및 제2내면(143)은 압출 구멍(135)을 통과하는 피압출재에 대해 전단응력을 가해 전단변형을 일으키는 면으로 작용한다.
한편 압출 구멍(135)은 테이퍼 부분(134)의 후단에 그 폭이 일정한 고정 부분(1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 부분(132)은 테이퍼 부분(134) 부분에서 그 형상이 변형된 피압출재가 최종적으로 압출재로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한정한다.
이에 피압출재는 이러한 다이스(130) 내의 압출 구멍(135)을 통과하면서 테이퍼 부분(134)의 제1내면(142) 및 제2내면(143)에 의해 전단응력이 인가되면서 전단변형이 일어나며 형상이 변화되는 과정을 거쳐 최종 고정 부분(132)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압출재로 성형된다.
예를 들어, 고정 부분(132)의 단면이 원형을 가질 경우 압출재는 봉 형상을 가진다.
다른 예로서 고정 부분(132)의 단면이 판재의 단면 형상을 가질 경우 압출재는 판재 형상을 가진다. 도 2에는 고정 부분(132)의 단면이 판재의 단면 형상을 가질 경우의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이때 도 2에서 xy 평면은 압출재의 판면 방향이 되고, z축 방향은 압출재의 두께 방향이 되고, x축 방향은 압출재의 길이 방향이 되고, y축 방향은 압출재의 폭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압출장치(100)에 장입되는 피압출재는 압출 구멍(135)과의 기하학적인 관계에서 비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피압출재가 컨테이너(110)의 내부공간(115)에 장착되어 스템(120)에 의해 밀려 압출 구멍(135)과 접촉될 시, 테이퍼 부분(134)의 제1내면(142)에 의해 전단변형이 일어나는 영역과 제2내면(143)에 의해 전단변형이 일어나는 영역이 압출 구멍(135)의 중심축(A)을 포함하는 기준면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을 이루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방법을 설명한다.
도 2에는 컨테이너(110)의 내부공간(115)에 비대칭 구조의 피압출재(50)가 장입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에는 피압출재(50)와, 테이퍼 부분(134)의 투입구(134a) 및 고정 부분(132)의 투입구(도 2의 132a)를 모두 동시에 압출방향(x 방향)에 수직한 단면으로 표현한 도면이 나타나 있다. 한편 도 3a의 도면부호 (B)는 압출구멍(135)의 중심축(A)을 포함하는 기준면을 나타낸다.
압출장치(100)는 도 1과 같이 스템(120), 컨테이너(110) 및 다이스(130)가 일렬로 x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경우, x 방향이 압출방향이 된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테이퍼 부분(134)의 투입구(134a) 및 고정 부분(132)의 투입구(132a)는 압출방향(x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모두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짐에 비해 피압출재(50)는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빌렛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수직한 단면이 테이퍼 부분(134)의 투입구(134a) 및 고정 부분(132)의 투입구(132a)를 연결하는 제1내면(142) 및 제2내면(143)은 압출구멍(135)의 중심축(A)을 포함하는 기준면(B)을 기준으로 각각 하부 및 상부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반면, 피압출재(50)는 동일한 기준면(B)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의 형상이 비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피압출재(50)는 비대칭 구조를 갖는 피압출재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는 상태에서 스템(120)을 이용하여 컨테이너(110) 내의 피압출재(50)를 압축하면, 피압출재(50)는 테이퍼 부분(134)의 투입구(134a)에 투입된 후 고정 부분(132)의 투입구(132a)로 진입되기까지의 과정 중에 삼각형의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소성 변형된다.
이때 피압출재(50) 하부의 밑변 영역(50a)에는 제1내면(142)에 의해 전단응력이 인가되며 상부 꼭지점 영역(50b)에는 테이퍼 부분(134)의 제2내면(143)에 의해 전단응력이 인가된다. 이렇게 제1내면(142) 및 제2내면(143)에 의해 전단응력이 가해지는 영역을 각각 제1영역(50a) 및 제2영역(50b)로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영역(50a) 및 제2영역(50b)은 기준면(B)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가지며, 대칭 구조를 가지는 제1내면(142) 및 제2내면(143)에 의해 전단응력을 받는바, 이러한 피압출재(50) 및 압출구멍(135)간의 기하학적으로 비대칭에 기인하여 피압출재(50)의 소성 변형 과정 중에 전단변형의 비대칭이 유도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압출방법에 의하여 판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비대칭적인 요소가 없어 압출판재의 폭방향(도 2의 y 방향)으로는 전단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압출방향(도 2의 x방향)으로만 전단변형이 이루어짐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압출장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압출판재의 압출방향 및 폭방향(도 2의 x 및 y 방향)의 복합 비대칭 전단변형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전단변형의 비대칭이 유도된 피압출재(50)는 고정 부분(132)에 의해 형상이 한정되며 최종 압출재로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피압출재(50)의 비대칭 형상에 기인하여 유도된 전단변형의 비대칭에 의해 압출재(60)의 집합조직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출재(60)의 집합조직은 피압출재(50)의 집합조직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압출조건에서 성형성이 나쁜 피압출재(50)의 경우, 그 집합조직을 변형하여 압출함으로써 압출재(60)의 성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압출방법에 따르면, 피압출재(50)의 장입 단계 및 피압출재(50)의 압축 단계는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압출재(50)가 다이스(130) 내로 바로 장입되어 다이스 (130) 내에서 압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압출재(50)의 장입 단계, 압축 단계 및 압출 단계가 서로 구분되지 않고 일련의 압출 단계로 지칭될 수도 있다.
한편, 피압출재는 상술한 비대칭 구조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삼각형 이외의 다른 다각형 또는 반원의 단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반원은 타원형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서 도 3b에는 다각형의 예로서 5각형이 나타나 있으며, 도 3c에는 반원 형상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4a 내지 4c에는 각각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단면 형상을 가지는 빌렛형상의 피압출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형상의 피압출재(50)는 소재의 일부에만 소성가공을 하거나 절삭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금형 또는 다이에 주조하여 제조된 주조재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비대칭 압출방법은 도 1 및 도 2의 압출장치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그 범위가 이러한 장치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비대칭 압출방법들에 따라 제조된 압출재는 이후 그 두께를 더 얇게 하기 위해서 위 비대칭 압출절차를 반복적으로 거치거나 또는 압연 절차를 더 거칠 수도 있다.
한편 피압출재(50)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압출재(50)는 집합조직을 갖는 다양한 금속 또는 그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또는 금속합금은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조밀충진육방정(hexagonal closed-packed; HCP), 면심입방정(face centered cubic; FCC), 체심입방정(body centered cubic; BCC)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피압출재(50)는 마그네슘(Mg), 티타늄(Ti), 지르코늄(Zr), 아연(Zn), 알루미늄(Al), 구리(Cu), 철(Fe) 등과 같은 금속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철 합금의 경우 주철, 탄소강, 고속도강, 규소강판(Fe-Si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피압출재(50)의 금속 원소 또는 금속 구조는 예시적으로 제시되었고, 이 실시예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피압출재(50)로써 조밀충진육방정(HCP) 구조를 갖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예로 들어 비대칭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으로 압출된 판재의 특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HCP구조를 갖는 금속으로는 마그네슘(Mg), 아연(Zn), 지르코늄(Zr), 티타늄(Ti) 등을 들 수 있다.
도 5는 조밀충진육방정(hexagonal closed packed; HCP) 구조의 슬립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HCP 구조의 결정방위에 따른 슬립계의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HCP 구조의 (0001) 극점도 내에 도 5의 A, B, C, D 결정의 극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HCP 구조를 갖는 금속의 가공 시 주로 {0001}<1120>의 기저면 슬립계(basal plane slip system)와 {1010}<1120> 프리즘 슬립계(prismatic slip system), {1011}<1120> 피라미드 슬립계(piramidal slip system) 등의 제한적인 슬립계와 쌍정계(twin system)가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HCP 구조를 갖는 금속은 그 제한적인 슬립계로 인해서 상온에서 성형성이 좋지 않다.
이러한 HCP 구조를 갖는 금속의 경우, 상온에서 기저면 슬립계 이외의 변형기구에 대한 임계분해전단응력(critical resolved shear stress)값은 기저면 슬립계의 임계분해전단응력에 비해 매우 크다. 따라서 기저면 슬립계를 중심으로 슬립계의 배치가 HCP 구조의 상온 성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시편(A)과 같이 기저면 슬립계가 압출재의 판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ND 방향에 수직한 경우) 또는 제2 및 제3시편들(B, C)과 같이 기저면 슬립계가 판면 방향(RD 방향)에 수직하거나 횡축방향(TD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온에서의 성형성이 열악하게 된다. 이는 압출재의 성형 시 주변형 방향(예컨대, ND, RD 및 TD 방향)과 기저면 슬립계가 서로 수직하거나 수평을 이루게 되어 외부응력에 대해 기저면 슬립계의 작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반면, 제4시편(D)과 같이 기저면 슬립계가 슬립면 및 슬립방향 면에서 주변형 방향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재료의 변형이 용이해져 상온 성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할 시 HCP 구조의 금속 또는 합금,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을 피압출재로 압출하는 경우, 기하학적 비대칭 구조에 기인된 전단변형의 비대칭에 의해 마그네슘 합금의 슬립계 중 전단변형에 유리한 상기 제4시편(D)과 같이 배치되는 분포가 증가되도록 집합조직이 변형된다. 따라서 종래의 압출방법에 비해 성형성의 현저한 향상이 일어나게 된다.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50: 피압출재 100: 압출장치
110: 컨테이너 115: 내부공간
120: 스템 130: 다이스
132: 고정 부분 134: 테이퍼 부분
135: 압출 구멍 142: 제1내면
143: 제2내면

Claims (7)

  1. 피압출재를 압출구멍을 통해 밀어내어 압출재를 형성하는 압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출구멍은 그 폭이 가변되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압출구멍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기준면에 대칭인 제1내면 및 제2내면을 가지는 테이퍼 부분과 상기 테이퍼 부분의 후단에 그 폭이 일정한 고정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피압출재는 상기 압출구멍과 기하학적으로 비대칭인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압출되기 전 상기 압출구멍과 접촉될 시, 상기 제1내면에 의해 전단 변형이 일어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내면에 의해 전단 변형이 일어나는 제2영역이 상기 기준면에 대해 비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피압출재는 상기 압출구멍과의 기하학적으로 비대칭인 구조를 가짐에 기인하여, 상기 테이퍼 부분의 투입구에 투입된 후 상기 고정부분의 투입구로 진입되기 전까지의 과정 중에 소성변형되면서, 상기 기준면에 대해 대칭 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1내면 및 제2내면에 의해 상기 기준면에 대해 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이 각각 전단 응력을 받음에 따라 전단 변형의 비대칭이 유도되며,
    상기 전단 변형의 비대칭이 유도된 상기 피압출재는 상기 고정부분에 의해 형상이 한정되며 최종 압출재로 배출되는, 비대칭 형상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출재는 상기 압출구멍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인, 비대칭 형상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출재 및 상기 압출재는 서로 상이한 집합조직을 가지는, 비대칭 형상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재는 상기 피압출재와 다른 집합조직을 가지는, 비대칭 형상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출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비대칭 형상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출재는 마그네슘(Mg), 티타늄(Ti), 지르코늄(Zr), 아연(Zn), 알루미늄(Al), 구리(Cu) 및 철(F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하는, 비대칭 형상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철(Fe)의 합금은 주철, 탄소강, 고속도강, 규소강판(Fe-Si 합금)을 포함하는, 비대칭 형상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KR1020120012083A 2012-02-07 2012-02-07 비대칭 구조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KR101327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83A KR101327411B1 (ko) 2012-02-07 2012-02-07 비대칭 구조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PCT/KR2013/000995 WO2013119057A1 (ko) 2012-02-07 2013-02-07 비대칭 구조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83A KR101327411B1 (ko) 2012-02-07 2012-02-07 비대칭 구조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945A KR20130090945A (ko) 2013-08-16
KR101327411B1 true KR101327411B1 (ko) 2013-11-08

Family

ID=4894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083A KR101327411B1 (ko) 2012-02-07 2012-02-07 비대칭 구조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7411B1 (ko)
WO (1) WO20131190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942A (ko) 2022-01-19 2023-07-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출용 빌렛의 형상 제어를 통한 고특성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7653A (zh) * 2017-09-22 2017-11-24 南昌航空大学 金属挤压平锥模
CN111922565B (zh) * 2020-08-10 2022-07-05 广州花都通用集团有限公司 一种扶手电梯主驱动焊接机
CN113231484A (zh) * 2021-04-21 2021-08-10 江苏大学 一种齿轮微织构控流冷挤压成形模具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17B1 (ko) * 2010-05-18 2011-09-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칭 압출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압출재, 비대칭 압출용 다이스 및 비대칭 압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8859B2 (ja) * 1995-04-24 2004-11-17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可変断面押出用ダイスおよび可変断面押出成形方法
KR100364043B1 (ko) * 2000-06-10 2002-12-11 진인태 임의의 단면형상을 가진 금속곡관과 금속곡봉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3096549A (ja) * 2001-09-25 2003-04-03 Kenji Azuma 機械的性質及び衝撃延性に優れた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17B1 (ko) * 2010-05-18 2011-09-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칭 압출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압출재, 비대칭 압출용 다이스 및 비대칭 압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942A (ko) 2022-01-19 2023-07-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출용 빌렛의 형상 제어를 통한 고특성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945A (ko) 2013-08-16
WO2013119057A1 (ko)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817B1 (ko) 비대칭 압출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압출재, 비대칭 압출용 다이스 및 비대칭 압출장치
KR101274502B1 (ko) 비대칭 압출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압출재, 비대칭 압출용 다이스 및 비대칭 압출장치
Guo et al. Enhanced microstructure homogene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Z31 magnesium alloy by repetitive upsetting
KR101327411B1 (ko) 비대칭 구조의 피압출재를 이용한 압출방법
CN102803533B (zh) 镁合金片
KR101298013B1 (ko) 압출장치 및 압출방법
JP5374993B2 (ja) マグネシウム合金成形体、及びマグネシウム合金成形体の製造方法
US20160108505A1 (en) Method for producing starting material for cutting
CN104245180B (zh) 锻造方法及锻造用模具
JP6113805B2 (ja) 高強度マグネシウム合金材料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マグネシウム合金製の棒材
Li et al. New extrusion method for reducing load and refining grains for magnesium alloy
JP3771203B2 (ja) マグネシウム合金製板材の深絞り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体
Rosochowska et al. FE simulation of micro-extrusion of a conical pin
Du et al. Recrystallization behavior and texture evolution on extrusion connection process of Mg/Al alloys thickness-oriented bonding sheet
JP2017171964A (ja) マグネシウム合金焼結ビ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Poerschke The Effects of forging on the microstructure and tensile properties of magnesium alloys AZ31 and ZK60
CN101147927A (zh) 一种制备块体超细晶金属的等通道变形模具
CN211276481U (zh) 一种成品率高的圆形镁合金铸件
KR101495500B1 (ko) 냉간 압연시 향상된 연성을 가지는 복합판재, 이를 이용한 냉간압연방법, 이를 이용한 압연판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압연판재
JP2010111883A (ja) 高加工性マグネシウム合金
JP2004027320A (ja) 塑性加工用塊状マグネシウム合金材料およびその加工方法
KR20120135695A (ko) 비대칭 가공장치, 비대칭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공재
JP5892212B2 (ja) マグネシウム合金板、マグネシウム合金部材、及びマグネシ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JPWO2010010965A1 (ja) Mg基合金冷間加工部材
JP2012020326A (ja) 熱間バルジ成形用ポートホール押出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