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492B1 -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492B1
KR101297492B1 KR1020120011125A KR20120011125A KR101297492B1 KR 101297492 B1 KR101297492 B1 KR 101297492B1 KR 1020120011125 A KR1020120011125 A KR 1020120011125A KR 20120011125 A KR20120011125 A KR 20120011125A KR 101297492 B1 KR101297492 B1 KR 10129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cancer
cancer patient
back plate
frame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069A (ko
Inventor
예성준
방영봉
하성환
황순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4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49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64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radiation treatment in response to monitoring
    • A61N5/1069Target adjustment, e.g. moving the patien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2Upper body, e.g.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with mechanical surface adaptations
    • A61G13/129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with mechanical surface adaptations having alignment devices for the patient's bod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7Means for immobilizing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방암 환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받침대(12)가 구비된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11)에 대해 각도 조절 가능하고 유방암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받침대(22) 및 유방암 환자의 팔을 지지하는 복수의 관절부가 구비된 등판(21)과, 상기 엉덩이 받침대(12), 등판(21), 머리 받침대(22), 복수의 관절부(31,32)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의 고유값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유방암 환자 자세의 고유값을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 입력시 상기 저장부가 저장한 유방암 환자의 정보를 제공받아 유방암 환자 자세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엉덩이 받침대(12), 등판(21), 머리 받침대(22), 복수의 관절부(31,32)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는 유방암 환자 자세 설정이 용이하고 일정기간 동안 매일 진행되는 방사선 분할 치료시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 입력만으로 최초 설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가 자동으로 설정되므로 방사선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Patient holder device for radiation treatment}
본 발명은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시 유방암 환자가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는 유방 절제 수술 후 국소 재발을 방지하고 생명을 연장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방사선 치료를 요하는 경우는 유방보존수술을 시행한 경우,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등이 해당된다.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을 종양에 조사해 종양 조직을 제거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방사선 치료는 6~7주에 걸쳐서 매일 진행된다.
양질의 방사선 치료를 위해서는 방사선 치료를 할 때마다 유방암 환자가 방사선 치료기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해야하고 또, 방사선이 조사되는 동안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377526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시 유방암 환자가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방암 환자가 갖는 자세에 해당되는 자유도별 고유값들을 컴퓨터가 저장하고 제어하여 유방암 환자 자세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방암 환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받침대가 구비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 각도 조절 가능하고 유방암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받침대 및 유방암 환자의 팔을 지지하는 복수의 관절부가 구비된 등판과, 상기 엉덩이 받침대, 등판, 머리 받침대, 복수의 관절부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의 고유값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유방암 환자 자세의 고유값을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 입력시 상기 저장부가 저장한 유방암 환자의 정보를 제공받아 유방암 환자 자세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엉덩이 받침대, 등판, 머리 받침대, 복수의 관절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엉덩이 받침대 및 상기 머리 받침대는 상기 베이스판 및 상기 등판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 조절하는 제1 및 제2이동수단에 의해 움직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판 및 상기 등판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랙기어와, 상기 엉덩이 받침대 및 상기 머리 받침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 및 상기 등판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랙기어와 맞물리는 제1 및 제2피니언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관절부는 팔의 상박을 지지하는 한 쌍의 상박 관절부, 팔의 하박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박 관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박 관절부는 팔의 상박이 안착되는 홀드부재와, 상기 홀드부재가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등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병진수단, 상기 제1프레임을 제2프레임에 대해 각도 조절시키는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된 회전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원통기어와, 상기 원통기어와 맞물리는 평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병진수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4랙기어와, 상기 제4랙기어와 맞물리는 제4피니언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5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아치형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5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5랙기어와,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5랙기어와 구름접촉되는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등판은 등판 경사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 각도 조절 가능하다.
상기 등판 경사조절수단은 상기 등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등판이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재와, 상기 등판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6피니언기어와, 상기 등판의 타측과 대응되는 베이스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6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6랙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 및 저장부는 회전식 또는 직선식 절대값 엔코더이다.
본 발명의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는 2자유도 이상으로 자유도가 높아 유방암 환자 자세 설정이 용이하며, 유방암 환자가 갖는 자세에 해당되는 자유도별 고유값들을 컴퓨터가 저장하고 제어하므로 일정기간 동안 매일 진행되는 방사선 분할 치료시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 입력만으로 최초 설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가 자동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유방암 환자가 방사선 치료기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게 하고, 방사선이 조사되는 동안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게 하여 양질의 방사선 치료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감속기를 구비하여 구동모터의 제어 성능을 높이고 브레이크를 구비하여 구동모터의 전원을 끄고도 기설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가 유지되게 하므로 방사선 치료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엉덩이 받침대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머리 받침대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상박 관절부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상박 관절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8은 상박 관절부를 병진운동시키는 병진수단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9는 상박 관절부를 각도 조절시키는 각도조절수단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0은 등판을 경사 조절하는 등판 경사조절수단을 보인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는, 유방암 환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 받침대(12)가 구비된 베이스판(11)과, 베이스판(11)에 설치되며, 베이스판(11)에 대해 각도 조절 가능하고 유방암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받침대(22) 및 유방암 환자의 팔을 지지하는 복수의 관절부(31,32)가 구비된 등판(21)을 포함한다.
방사선 치료시 유방암 환자는 엉덩이 받침대(12), 등판(21), 머리 받침대(22), 관절부(31,32)의 움직임 조절에 의해 유방암 환자 자세 설정이 이루어지며, 최초 설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는 고유값으로 저장되었다가 다음 치료시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 입력만으로 자동 복귀되어 유방암 환자 자세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베이스판(11) 및 등판(21)은 실질적으로 유방암 환자가 누워 지지되는 판이다. 베이스판(11) 및 등판(21)은 대략 사각판 형태이나 디자인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가 채용 가능하다.
엉덩이 받침대(12)는 유방암 환자가 베이스판(11) 및 등판(21)에 누운 상태에서 엉덩이를 지지하여 유방암 환자가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엉덩이 받침대(12)는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대략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머리 받침대(22)는 유방암 환자가 베이스판(11) 및 등판(21)에 누운 상태에서 유방암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여 유방암 환자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머리 받침대(22)는 유방암 환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목에 대응되는 상면이 상부로 볼록하고 머리에 대응되는 상면이 하부로 함몰된 곡선 형태를 갖는다.
엉덩이 받침대(12) 및 머리 받침대(22)는 각각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에 의해 움직임 가능하다.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은 유방암 환자의 체형에 따라 엉덩이 받침대(12), 머리 받침대(22)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은 베이스판(11) 및 등판(21)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랙기어(14,24)와, 엉덩이 받침대(12) 및 머리 받침대(22)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랙기어(14,24)와 맞물리는 제1 및 제2피니언기어(15,2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피니언기어(15,25)가 제1 및 제2랙기어(14,24)와 맞물려 이동함에 의해 엉덩이 받침대(12) 및 머리 받침대(22)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은 구동모터, 엔코더, 감속기, 브레이크를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은 제1 및 제2피니언기어(15,25)와 축결합되어 제1 및 제2피니언기어(15,25)를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구동모터(16,26)와 제1 및 제2피니언기어(15,25)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엔코더(17,27)와 제1 및 제2구동모터(16,26)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1 및 제2감속기(18,28)와, 제1 및 제2구동모터(16,26)의 작동을 정지하는 제1 및 제2브레이크(19,29)를 더 구비한다.
제1 및 제2엔코더(17,27)는 제1 및 제2피니언기어(15,25)가 움직인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이다. 제1 및 제2엔코더(17,27)로 인크리멘털 엔코더(incremental encoder)와 앱솔류트 엔코더(absolute encoder)를 사용하며, 이는 제1 및 제2피니언기어(15,25)가 움직인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한다. 제1 및 제2엔코더(17,27)는 제1 및 제2구동모터(16,26)의 제어 성능을 높인다.
제1 및 제2브레이크(19,29)는 제1 및 제2감속기(18,28)의 출력측에 구비되어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엉덩이 받침대(12) 및 머리 받침대(22)가 기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절부(31,32)는 팔의 상박을 지지하는 한 쌍의 상박 관절부(31)와 팔의 하박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박 관절부(32)를 포함한다.
상박 관절부(31)는 사람의 체형에 따른 위치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하박 관절부(32)는 팔의 하박을 지지하는 역할만 할 수 있다.
상박 관절부(31)는 등판(21)의 상부 양측으로 배치되고, 하박 관절부(32)는 상박 관절부(31)보다 더 상부측으로 배치된다. 상박 관절부(31)와 하박 관절부(32)가 배치된 상태는 유방암 환자가 베이스판(11) 및 등판(21)에 누웠을 때 팔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방사선 치료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치료부위에만 정확하게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팔은 상부를 향하여 조사되는 방사선과의 간섭을 방지해야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박 관절부(31)는 홀드부재(33), 제1 및 제2프레임(37)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수단(41), 병진수단(51), 각도조절수단(61)을 구비한다.
홀드부재(33)는 팔의 상박이 안착되는 부분이며, 오목한 아치형상으로 되어 팔의 상박이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1프레임(35)에 홀드부재(33)가 고정되고, 제1프레임(35)은 제2프레임(3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홀드부재(33)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35)이 등판(21)의 상면에 수평으로 배치된 제2프레임(37)에 대해 회동 가능하여 상박 관절부(31)가 각도조절되며, 제2프레임(37)이 회전수단(41), 병진수단(51)에 의해 회전운동, 병진운동되어 상박 관절부(31)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회전수단(41)은 제2프레임(37)의 회전을 위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41)은 제2프레임(37)에 결합된 회전부재(42)의 하부에 설치된 원통기어(43)와, 원통기어(43)와 맞물리는 평기어(44)를 포함한다. 평기어(44)가 결합된 기어축(46)에는 기어 제어를 위한 제3구동모터(46), 제3엔코더(47), 제3감속기(48), 제3브레이크(49)가 결합된다. 제3구동모터(46), 제3엔코더(47), 제3감속기(48), 제3브레이크(49)의 역할은 앞서 기술한 제1구동모터(16), 제1엔코더(17), 제1감속기(18), 제1브레이크(19)의 역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프레임(37)의 회전은 평기어(44)의 회전에 의해 원통기어(43)가 회전하여 수행된다.
병진수단(51)은 제2프레임(37)을 등판(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5, 도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진수단(51)은 제2프레임(37)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4랙기어(53)와, 제4랙기어(53)와 맞물리는 제4피니언기어(54)를 포함한다. 제4피니언기어(54)의 회전에 의해 제4랙기어(53)가 맞물려 이동하면서 제2프레임(37)이 등판(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4피니언기어(54)가 결합된 기어축(미도시)에는 기어 제어를 위한 제4구동모터(56), 제4엔코더(57), 제4감속기(58), 제4브레이크(59)가 결합된다. 제4구동모터(56), 제4엔코더(57), 제4감속기(58), 제4브레이크(59)의 역할은 앞서 기술한 제1구동모터(16), 제1엔코더(17), 제1감속기(18), 제1브레이크(19)의 역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프레임(37)의 길이방향 이동은 제4피니언기어(54)와 맞물리는 제4랙기어(53)에 의해 수행된다.
각도조절수단(61)은 제1프레임(35)을 제2프레임(37)에 대해 각도 조절시켜 상박 관절부(3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도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수단(61)은 제1프레임(35)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5피니언기어(64)와, 제1프레임(35)과 제2프레임(37)을 아치형상으로 연결하여 제5피니언기어(64)와 맞물리는 제5랙기어(63)와, 제1프레임(35)에 구비되며 제5랙기어(63)와 구름접촉되는 롤러(62)를 포함한다.
제5피니언기어(64)가 결합된 기어축(6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어 제어를 위한 제5구동모터, 제5엔코더, 제5감속기, 제5브레이크가 결합되어 있다.
롤러(62)는 제5랙기어(63)의 기어 반대편과 구름접촉하여 제5피니언기어(64)와 맞물리는 제5랙기어(63)를 지지하여 제1프레임(35)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제1프레임(35)과 제2프레임(37)은 경첩 또는 힌지를 이용하여 연결됨으로써 회동 가능한 구조로 된다. 제1프레임(35)의 각도조절은 제5피니언기어(64)가 아치형상의 제5랙기어(63)와 맞물려 이동하면서 수행된다.
등판(21)은 베이스판(11)에 대해 각도 조절 가능하다. 등판(21)의 각도 조절은 유방암 환자 자세 설정을 위한 것으로, 등판 경사조절수단(71)에 의해 수행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 경사조절수단(71)은 등판(21)의 일측에 설치되어 등판(21)이 베이스판(1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재(72)와, 등판(21)의 타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6피니언기어(74)와, 등판(21)의 타측과 대응되는 베이스판(11)에 설치되어 제6피니언기어(74)와 맞물리는 제6랙기어(7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6피니언기어(74)가 결합된 기어축(75)에는 기어 제어를 위한 제6구동모터(76), 제6엔코더(77), 제6감속기(78), 제6브레이크(79)가 결합된다.
등판 경사 조절은 등판(21)에 설치된 제6피니언기어(74)가 베이스판(11)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6랙기어(73)와 맞물려 이동하면서 수행된다.
즉,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 회전수단(41), 병진수단(51), 각도조절수단(61), 등판 경사조절수단(71)의 작동에 의해 엉덩이 받침대(12), 머리 받침대(22), 상박 관절부(31), 등판(21)의 움직임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 회전수단(41), 병진수단(51), 각도조절수단(61), 등판 경사조절수단(71)은 방사선 조사시 간섭받지 않는 곳에 설치하여 방사선 조사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는 측정부, 저장부,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측정부는 엉덩이 받침대(12), 등판, 머리 받침대(22), 상박 관절부(31)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의 고유값을 측정한다. 여기서, 유방암 환자 자세의 고유값은 사람의 체형에 따른 각도와 위치가 해당된다. 측정부가 측정한 유방암 환자 자세의 고유값은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로 저장부에 저장된다.
측정부, 저장부는 회전수단(41), 병진수단(51), 각도조절수단(61), 등판 경사조절수단(71) 각각에 구비된 인크리멘털 엔코더와 앱솔루트 엔코더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저장부와 연결된 컴퓨터일 수 있다. 제어부는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 입력시 저장부가 저장한 유방암 환자의 정보를 제공받아 유방암 환자 자세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엉덩이 받침대(12), 머리 받침대(22), 상박 관절부(31), 등판(2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에 의한 엉덩이 받침대(12), 머리 받침대(22), 상박 관절부(31), 등판(21)의 움직임 제어는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 회전수단(41), 병진수단(51), 각도조절수단(61), 등판 경사조절수단(71) 각각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제어부는 매일 진행되는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분할 치료시 저장부에 저장된 유방암 환자 자세의 고유값 정보를 제공받아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 회전수단(41), 병진수단(51), 각도조절수단(61), 등판 경사조절수단(71)을 각각 작동시켜 최초 설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가 자동으로 설정되게 한다.
이는 유방암 환자가 방사선 치료기에 대해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방사선 치료의 효율과 정확도를 높인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유방암 환자 자세를 설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매일 진행되는 방사선 분할 치료시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 입력만으로 최초 설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방사선 치료가 계획된 유방암 환자가 내원하면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이하, "고정장치"라 함)에 유방암 환자를 눕힌다. 유방암 환자가 고정장치에 누우면 유방암 환자의 엉덩이는 엉덩이 받침대(12)에 지지되고, 머리는 머리 받침대(22)에 위치되며, 팔은 상박이 상박 관절부(31), 팔의 하박이 하박 관절부(32)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을 동작시켜 유방암 환자의 엉덩이, 머리 등이 편안한 위치가 되게 한 후, 회전수단(41), 병진수단(51), 각도조절수단(61)을 작동시켜 팔의 상박 위치를 조절하고, 등판 경사조절수단(71)을 작동시켜 등판(21)의 경사도를 조절한다.
이때, 유방암 환자 자세 설정은 유방암 환자의 체형 및 종양 부위를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방사선 치료는 정확하게 종양 부위에 방사선을 조사해야 하므로 종양 위치를 잘 고정하고 정밀하게 계산해 조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때, 상박 관절부(31)는 2자유도 이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유방암 환자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는데 보다 용이하다.
이후, 유방암 환자의 자세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된 자세를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로 입력하여 저장한다. 그러면 설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는 전산화되어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로 저장부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방사선 조사가 시작된다. 치료시간은 대략 15~25분 정도 소요되며, 방사선 치료가 종료되면 유방암 환자는 퇴원하면 된다.
이 후, 상기 유방암 환자가 방사선 치료를 위해 다시 내원하면 고정장치에 유방암 환자를 눕히고 팔의 상박과 하박이 상박 관절부(31)와 하박 관절부(32)에 위치되게 한 후, 상기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유방암 환자의 병록번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유방암 환자 자세의 고유값 정보를 제공받아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 회전수단(41), 병진수단(51), 각도조절수단(61), 등판 경사조절수단(71)을 각각 작동시켜 최초 설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가 자동으로 설정되게 한다.
이때, 제어부(80)는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 회전수단(41), 병진수단(51), 각도조절수단(61), 등판 경사조절수단(71) 각각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엉덩이 받침대(12), 머리 받침대(22), 상박 관절부(31), 등판(21)이 최초 설정된 유방암 환자 자세 위치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이동수단(13,23), 회전수단(41), 병진수단(51), 각도조절수단(61), 등판 경사조절수단(71)은 각 구동모터의 출력축 혹은 감속기의 출력축에 구비된 브레이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엉덩이 받침대(12), 머리 받침대(22), 상박 관절부(31), 등판(21)이 기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에 제어부(80)가 측정부 및 저장부 즉, 엔코더의 정보를 제공받아 구동모터, 감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였다.
상술한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는 매일매일 방사선 치료를 하는 동안 유방암 환자가 방사선 치료기에 대하여 항상 일정하게 위치되게 하고, 방사선이 조사되는 동안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게 하여 양질의 치료가 가능하게 한다.
즉, 종양 주변의 정상조직에 도달하는 방사선량을 최소화하고 종양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최대로 하여,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방사선 치료의 효율과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방암 환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유방암 환자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며 방사선 치료를 요하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베이스판 12:엉덩이 받침대
21:등판 22:머리 받침대
13,23:제1 및 제2이동수단 14,24:제1 및 제2랙기어
15,25:제1 및 제2피니언기어 16,26:제1 및 제2구동모터
17,27:제1 및 제2엔코더 18,28:제1 및 제2감속기
19,29:제1 및 제2브레이크 31,32:상박 관절부, 하박 관절부
33:홀드부재 35,37:제1 및 제2프레임
41:회전수단 43:원통기어
44:평기어 45,65:기어축
46,56:제3,제4구동모터 47,57:제3,제4엔코더
48,58:제3,제4감속기 49,59:제3,제4브레이크
51:병진수단 53:제4랙기어
54:제4피니언기어 61:각도조절수단
63:제5랙기어 64:제5피니언기어
71:등판 경사조절수단 73:제6랙기어
74:제6피니언기어 75:기어축
76:제6구동모터 77:제6엔코더
78:제6감속기 79:제6브레이크
80:제어부

Claims (11)

  1. 환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며 움직임이 가능한 엉덩이 받침대;
    상기 환자의 등을 지지하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등판;
    상기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움직임이 가능한 머리 받침대;
    상기 환자의 팔을 지지하며 움직임이 가능한 관절부;
    상기 엉덩이 받침대, 상기 등판, 상기 머리 받침대, 상기 관절부의 움직임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상기 엉덩이 받침대, 상기 등판, 상기 머리 받침대, 상기 관절부가 고정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
    상기 엉덩이 받침대, 상기 등판, 상기 머리 받침대, 상기 관절부가 고정된 위치 정보를 환자의 병록번호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종양 부위가 방사선 치료에 적합한 위치가 되도록 상기 엉덩이 받침대, 상기 등판, 상기 머리 받침대, 상기 관절부의 움직임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환자 자세를 설정하고 고정하며, 상기 엉덩이 받침대, 상기 등판, 상기 머리 받침대, 상기 관절부가 고정된 위치는 상기 측정부가 측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해당 환자의 병록번호로 저장하며,
    이 후, 상기 제어부는 해당 환자의 병록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엉덩이 받침대, 상기 등판, 상기 머리 받침대, 상기 관절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에 대응되게 움직이고 정지시켜 해당 환자의 자세가 기설정된 자세와 동일한 자세가 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대는 상기 등판에 연결되는 베이스판에 구비되고,
    상기 머리받침대는 상기 등판에 구비되며,
    상기 엉덩이 받침대 및 상기 머리 받침대는 상기 베이스판 및 상기 등판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 조절하는 제1 및 제2이동수단에 의해 움직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판 및 상기 등판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랙기어와,
    상기 엉덩이 받침대 및 상기 머리 받침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 및 상기 등판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랙기어와 맞물리는 제1 및 제2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팔의 상박을 지지하는 한 쌍의 상박 관절부,
    팔의 하박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박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박 관절부는
    팔의 상박이 안착되는 홀드부재와,
    상기 홀드부재가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등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병진수단,
    상기 제1프레임을 제2프레임에 대해 각도 조절시키는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된 회전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원통기어와,
    상기 원통기어와 맞물리는 평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병진수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4랙기어와,
    상기 제4랙기어와 맞물리는 제4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5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아치형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5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5랙기어와,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5랙기어와 구름접촉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등판은 등판 경사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 각도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등판 경사조절수단은
    상기 등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등판이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재와,
    상기 등판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6피니언기어와,
    상기 등판의 타측과 대응되는 베이스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6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6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회전식 또는 직선식 절대값 엔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KR1020120011125A 2012-02-03 2012-02-03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KR10129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25A KR101297492B1 (ko) 2012-02-03 2012-02-03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25A KR101297492B1 (ko) 2012-02-03 2012-02-03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069A KR20130090069A (ko) 2013-08-13
KR101297492B1 true KR101297492B1 (ko) 2013-08-16

Family

ID=4921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125A KR101297492B1 (ko) 2012-02-03 2012-02-03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4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2078A (zh) * 2015-10-10 2016-01-13 郭哲 一种髋关节蛙式位x线检查辅助装置
KR101714938B1 (ko) 2015-12-31 2017-03-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시 환자 고정이 가능한 복셀형 카우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 방법
KR20210055299A (ko) 2019-11-07 2021-05-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시 사용되는 적외선 마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1118B1 (es) 2017-02-10 2019-07-31 Servicio Andaluz De Salud Dispositivo de inmovilización para radioterapia
CN108720865B (zh) * 2018-06-22 2024-04-12 南京佩全超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前臂放射诊断的固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555B1 (ko) * 2006-06-20 2007-10-30 (주)한맥테크놀로지 피동적 운동 및 물리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555B1 (ko) * 2006-06-20 2007-10-30 (주)한맥테크놀로지 피동적 운동 및 물리치료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2078A (zh) * 2015-10-10 2016-01-13 郭哲 一种髋关节蛙式位x线检查辅助装置
CN105232078B (zh) * 2015-10-10 2019-04-23 郭哲 一种髋关节蛙式位x线检查辅助装置
KR101714938B1 (ko) 2015-12-31 2017-03-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시 환자 고정이 가능한 복셀형 카우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 방법
KR20210055299A (ko) 2019-11-07 2021-05-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시 사용되는 적외선 마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069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492B1 (ko) 방사선 치료용 유방암 환자 고정장치
JP6538631B2 (ja) 粒子線医療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DK2303128T3 (en) Dental care and imaging apparatus
US8739334B2 (en) Iso-roll table
WO2013125146A1 (ja) 患者傾動装置付きカウチ
WO2016044966A1 (zh) 一种多角度运动治疗床
CN102548612B (zh) 具有可旋转的治疗头的直线运动学系统
JPH0349265B2 (ko)
WO2013060220A1 (zh) 4d立体定位放射治疗装置
CN201115703Y (zh) 放射治疗床
CN203379504U (zh) 一种适用于固定式强子束的360度治疗装置
CN106512238B (zh) 一种用于粒子放疗的坐姿固定装置
CN104689489A (zh) 直线摆臂式机器人治疗床
CN201115704Y (zh) 放射科用平台
CN104307114A (zh) 五自由度o型臂放射治疗系统
JP2006528013A (ja) 治療用バース
CN203539610U (zh) 强子治疗室
CN203425388U (zh) 强子治疗室
TW201317033A (zh) 自動化美容治療設備
US20150248945A1 (en) Apparatus to emit therapeutic radiations
JP2007289675A (ja) マニピュレータの移動構造及び手術支援ロボット
CN214965745U (zh) 一种肿瘤定位装置
CN204121623U (zh) 五自由度o型臂放射治疗系统
CN114948551A (zh) 一种辅助于食道狭窄扩张装置
RU87353U1 (ru) Реабилитационная кроват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