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193B1 -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193B1
KR101297193B1 KR1020060082494A KR20060082494A KR101297193B1 KR 101297193 B1 KR101297193 B1 KR 101297193B1 KR 1020060082494 A KR1020060082494 A KR 1020060082494A KR 20060082494 A KR20060082494 A KR 20060082494A KR 101297193 B1 KR101297193 B1 KR 10129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late
sepa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936A (ko
Inventor
박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193B1/ko
Priority to CN2007100922644A priority patent/CN101135868B/zh
Priority to US11/733,378 priority patent/US7746368B2/en
Publication of KR20080019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23Retainers of the pad-type, e.g. friction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3Modifying electric properties
    • B65H2301/5133Removing electrostatic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3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acting on performance of handling machine
    • B65H2301/532Modifying characteristics of surface of parts in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301/5321Removing electrostatic charge generated at sai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급지동작 중 발생되는 정전기를 그라운드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급지카세트;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급지카세트에 업/다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롤러; 상기 급지카세트에 설치되어 상기 픽킹된 인쇄매체를 낱장 분리시키는 분리유닛; 및 상기 녹업 플레이트와 분리유닛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 그라운드시키는 그라운드유닛;을 포함한다.
급지, 인쇄매체, 정전기, 방전, 대전, 플레이트, 그라운드, 접지.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A PAPER SUPPLING DEVIC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급지카세트에 제 1 그라운드부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조립도,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분리유닛에 제 2 그라운드부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b는 도 3a의 조립도, 그리도,
도 5는 도 3b의 V-V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본체 110: 급지카세트
120: 녹업 플레이트 130: 픽업롤러
140: 분리유닛 141: 마찰패드
142: 지지홀더 143: 보호플레이트
150: 그라운드유닛 160: 제 1 그라운드부
161: 제 1 그라운드부 몸체 162: 그라운드부재
163: 연결부재 170: 제 2 그라운드부
171: 제 2 그라운드부 몸체 172: 코일스프링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재된 인쇄매체를 낱장으로 픽킹하여 이송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 화상을 인쇄매체에 형성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유닛, 전사유닛, 정착유닛 및 배지유닛 등이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적재된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부로 급지시키는 급지장치를 구비하며, 그 일 예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급지장치는 급지카세트(10), 상기 급지카세트(10)에 대하여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20), 상기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롤러(30) 및 상기 픽업롤러(30)와 마주하여 인쇄매체를 낱장 분리시키는 마찰패드(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여기서, 상기 마찰패드(41)는 지지홀더(42)에 의해 지지되어 급지카세트(10)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홀더(42)에는 계속되는 인쇄매체의 급지로 인해 마찰패 드(41)가 마모됨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플레이트(43)가 마찰패드(41)보다 앞서서 인쇄매체의 선단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녹업 플레이트(20)에 지지되는 인쇄매체는 픽업롤러(30)에 의해 픽킹되어 보호플레이트(43)와 마찰패드(41)를 경유함으로써, 낱장으로 분리되어 이송된다.
그런데, 상기 인쇄매체는 재질 특성상 전하를 띄며, 이로 인해, 인쇄매체와 이를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20)의 사이에서 정전기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30)와 인쇄매체 사이에서도 마찰 대전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녹업 플레이트(20)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에는 녹업 플레이트(20)와 보호플레이트(43)의 사이가 가까워져 방전에 의한 정전기 발생 비율이 높아진다.
이러한 급지동작 중의 정전기 발생은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같은 정전기에 취약한 부분으로 전이되어 고장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화상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급지동작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그라운드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화 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급지카세트;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급지카세트에 업/다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롤러; 상기 급지카세트에 설치되어 상기 픽킹된 인쇄매체를 낱장 분리시키는 분리유닛; 및 상기 녹업 플레이트와 분리유닛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 그라운드시키는 그라운드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라운드유닛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녹업 플레이트를 그라운드 연결시키는 제 1 그라운드부; 및 상기 분리유닛과 제 1 그라운드부를 그라운드 연결시키는 제 2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그라운드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그라운드 연결되는 연결날개를 가지고 상기 급지카세트에 설치되는 제 1 그라운드부 몸체; 상기 급지카세트에 마련된 그라운드홀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그라운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로부터 절곡 연장된 그라운드부재; 및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와 상기 제 2 그라운드부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로부터 연장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 그라운드부는, 상기 분리유닛에 그라운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 2 그라운드부 몸체; 및 상기 제 2 그라운드부 몸체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를 탄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분리유닛은, 상기 인쇄매체를 마찰에 의해 낱장 분리시키는 마찰패드; 상기 마찰패드를 지지하는 지지홀더; 및 상기 마찰패드의 마모 방지를 위해 상기 마찰패드보다 앞서서 상기 픽킹된 인쇄매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홀더에 설치되는 보호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운드유닛은 상기 보호플레이트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급지카세트(110), 녹업 플레이트(120), 픽업롤러(130), 분리유닛(140) 및 그라운드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급지카세트(110)는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공간을 가지고 화상형성장치 본체(100, 도 5 참고)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0)는 급지된 인쇄매체에 소정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일련의 부품들이 내장되며, 이러한 기술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녹업 플레이트(120)는 상기 급지카세트(110)에 설치되어 인쇄매체를 지지한다. 이 녹업 플레이트(120)는 인쇄매체의 적재량에 따라 상기 급지카세트(110)에 대하여 업/다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120a)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녹업 플레이트(120)와 급지카세트(110) 사이에 탄성부재(120a)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픽업롤러(130)는 상기 녹업 플레이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킹한다. 상기 픽업롤러(130)는 상기 녹업 플레이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최상단과 접촉하여 픽킹한다. 이러한 픽업롤러(130)의 기술구성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분리유닛(140)은 상기 급지카세트(110)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130)에 의해 픽킹된 인쇄매체를 낱장으로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유닛(140)은 복수매의 인쇄매체가 동시에 픽킹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100) 내부로 급지되는 중송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분리유닛(140)은 마찰패드(141), 지지홀더(142) 및 보호플레이트(143)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패드(141)는 상기 픽킹된 인쇄매체를 마찰에 의해 낱장 분리시킨다. 상기 지지홀더(142)는 상기 마찰패드(141)를 지지하여 상기 급지카세트(110)에 설치시킨다.
상기 보호플레이트(143)는 상기 마찰패드(141)의 마모 방지를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마찰패드(141)보다 앞서서 상기 픽킹된 인쇄매체의 선단과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홀더(142)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패드(141)는 재질 특성에 의해 픽킹된 인쇄매체의 선단과 반복 접촉될 경우 마모되어 중송방지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금속재질의 보호플레이트(143)가 마찰패드(141)보다 앞서서 픽킹되는 인쇄매체의 선단과 접촉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인쇄매체의 파손과 잼 발생과 같은 급지불량도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리유닛(14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후크(140a)를 구비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11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후크홈(110d)에 걸림 고정된다.
상기 그라운드유닛(150)은 상기 녹업 플레이트(120)와 분리유닛(140)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0)로 그라운드 연결시키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부(160)(17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그라운드부(160)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와 녹업 플레이트(120)를 그라운드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그라운드부(16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그라운드부 몸체(161), 그라운드부재(162) 및 연결부재(16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161)는 상기 녹업 플레이트(12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20a)와 그라운드 연결되는 연결날개(161a)를 가지고 급지카세트(110)의 안착부(110a)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161)는 상기 급지카세트(110)의 안착부(110a)에 마련되는 고정홈(110c)에 억지 끼움에 의해 고정된다. 이는,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161)가 나사와 같은 금속재질에 의해 급지카세트(110)에 고정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그라운드 간섭을 고려함이다.
상기 연결날개(161a)는 상기 탄성부재(120a)와 대응되는 위치 및 갯수로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20a)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녹업 플레이트(120)를 지지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므로, 상기 연결날개(161a)도 한 쌍인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그라운드부재(162)는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161)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와 제 1 그라운드부 몸체(161)를 그라운드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그라운드부재(162)는 도 3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지카세트(110)에 관통 형성되는 그라운드홀(110b)을 통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161)와 상기 제 2 그라운드부(170)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161)로부터 절곡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161), 연결날개(161a), 그라운드부재(162) 및 연결부재(163)는 일체로 형성되어 그라운드 연결된다.
상기 제 2 그라운드부(170)는 상기 분리유닛(140)과 제 1 그라운드부(160)를 그라운드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2 그라운드부(17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그라운드부 몸체(171) 및 코일스프링(172)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그라운드부 몸체(171)는 상기 분리유닛(140)의 보호플레이트(143)와 그라운드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홀더(142)의 배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그라운드부 몸체(171)에는 상기 지지홀더(142)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돌기(142a)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홀(173)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그라운드부 몸체(171)도 금속재질의 고정수단에 의한 그라운드 간섭없이 분리유닛(140)의 지지홀더(142)에 억지 끼움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그라운드부 몸체(171)와 보호플레이트(143)가 분해 및 조립성을 고려하여 별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2 그라운드부 몸체(171)가 보호플레이트(143)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코일스프링(172)은 상기 제 2 그라운드부 몸체(171)와 제 1 그라운드부(160)의 연결부재(163) 사이를 탄력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는, 상기 코일스프링(172)이 상기 제 1 및 제 2 그라운드부(160)(170)를 항시 그라운드 연결시키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그라운드부(160)와 제 2 그라운드부(170)가 하나의 그라운드를 형성하여 급지동작 중 발생되었던 정전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100)로 그라운드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홀더(142)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 2 그라운드부(170)와 달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 1 그라운드부(160)를 별도의 커버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녹업 플레이트(120)와 인쇄매체 사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는 녹업 플레이트(12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20a)를 통해 그라운드 연결된 제 1 그라운드부(160)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130)와 인쇄매체 사이에서의 마찰 대전에 의한 정전기도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를 통해 제 1 그라운드부(160)로 전달된다.
상기 녹업 플레이트(120)와 보호플레이트(143) 사이에서 급지동작 중 발생되는 정전기는 보호플레이트(143)와 그라운드 연결된 제 2 그라운드부(170)를 통해 제 1 그라운드부(160)로 전달된다.
이렇게 제 1 그라운드부(160)로 전달된 정전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110)에 마련된 그라운드홀(110b)을 통해 그라운드부재(162)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에 접촉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 본체(100)로 최종 그라운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급지동작 중에 발생되었던정전기가 그라운드유닛을 통해 화상형성장치 본체로 그라운드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발생된 정전기가 제어부를 간섭하거나 화상불량을 야기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유닛이 하나의 그라운드를 형성하도록 상기 녹업 플레이트와 보호플레이트를 연결함으로써, 그라운드효율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급지카세트;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급지카세트에 업/다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롤러;
    상기 급지카세트에 설치되어 상기 픽킹된 인쇄매체를 낱장 분리시키는 분리유닛; 및
    상기 녹업 플레이트와 분리유닛에 동시에 그라운드 연결되어, 상기 녹업 플레이트와 분리유닛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 그라운드시키는 그라운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그라운드유닛은 상기 녹업 플레이트 및 분리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바닥부 사이에서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유닛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녹업 플레이트를 그라운드 연결시키는 제 1 그라운드부; 및
    상기 분리유닛과 제 1 그라운드부를 그라운드 연결시키는 제 2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운드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그라운드 연결되는 연결날개를 가지고 상기 급지카세트에 설치되는 제 1 그라운드부 몸체;
    상기 급지카세트에 마련된 그라운드홀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그라운드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로부터 절곡 연장된 그라운드부재; 및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와 상기 제 2 그라운드부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 그라운드부 몸체로부터 연장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서장치의 급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라운드부는,
    상기 분리유닛에 그라운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 2 그라운드부 몸체; 및
    상기 제 2 그라운드부 몸체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를 탄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상기 인쇄매체를 마찰에 의해 낱장 분리시키는 마찰패드;
    상기 마찰패드를 지지하는 지지홀더; 및
    상기 마찰패드의 마모 방지를 위해 상기 마찰패드보다 앞서서 상기 픽킹된 인쇄매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홀더에 설치되는 보호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운드유닛은 상기 보호플레이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1020060082494A 2006-08-29 2006-08-29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10129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494A KR101297193B1 (ko) 2006-08-29 2006-08-29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CN2007100922644A CN101135868B (zh) 2006-08-29 2007-04-03 成像设备的介质供应装置
US11/733,378 US7746368B2 (en) 2006-08-29 2007-04-10 Medium supply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494A KR101297193B1 (ko) 2006-08-29 2006-08-29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936A KR20080019936A (ko) 2008-03-05
KR101297193B1 true KR101297193B1 (ko) 2013-08-16

Family

ID=3915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494A KR101297193B1 (ko) 2006-08-29 2006-08-29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46368B2 (ko)
KR (1) KR101297193B1 (ko)
CN (1) CN1011358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0023A1 (en) 2010-03-26 2011-09-29 Marina Biotech, Inc. Nucleic acid compounds for inhibiting survivin gene expression uses thereof
WO2011133584A2 (en) 2010-04-19 2011-10-27 Marina Biotech, Inc. Nucleic acid compounds for inhibiting hras gene expression and uses thereof
JP5743068B2 (ja) * 2011-03-08 2015-07-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ヘッドモジュール及び液体噴射装置
CN104252110B (zh) * 2013-06-25 2017-06-13 株式会社理光 纸分离机构、给纸单元以及图像形成装置
JP6153404B2 (ja) * 2013-07-12 2017-06-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32188B2 (ja) * 2015-07-30 2018-05-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6276339A (zh) * 2016-08-29 2017-01-04 合肥菲力姆数码科技有限公司 医用打印机分纸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243U (ja) * 1992-03-13 1993-10-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H06263266A (ja) * 1993-03-15 1994-09-20 Hitachi Ltd 給紙カセットの嵌合方式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8668A (ja) * 1995-05-25 1996-12-03 Brother Ind Ltd 熱転写式プリント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ァクシミリ装置
US6149147A (en) * 1997-10-08 2000-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pickup device in paper feeding cassette
KR100449022B1 (ko) * 2002-08-21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의 급지장치
JP3849798B2 (ja) * 2004-09-09 2006-11-22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60076568A (ko) * 2004-12-29 200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243U (ja) * 1992-03-13 1993-10-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H06263266A (ja) * 1993-03-15 1994-09-20 Hitachi Ltd 給紙カセットの嵌合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936A (ko) 2008-03-05
CN101135868A (zh) 2008-03-05
US20080055386A1 (en) 2008-03-06
US7746368B2 (en) 2010-06-29
CN101135868B (zh)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193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101521076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EP2952460B1 (en) Sheet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871067B2 (en) Paper cassette feeder for easily removing paper ja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910418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30062682A (ko) 화상형성장치
JP6618265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737864B2 (en) Grounding configuration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6009183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57432A (ja) シート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4113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601720B2 (ja) 接地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着脱式ユニット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100402796B1 (ko) 정전기 제거수단을 구비한 급지장치
JP4974299B2 (ja) 給紙カセットの接地構造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2024012620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462445B2 (ja) 静電気除去機構
JP2020122815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4741988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11113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KR101253571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JP2012040796A (ja) 電装ボックスのカバー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37641A (ja) 給紙装置、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920003492B1 (ko) 복사기용 급지 카세트장치
JP2020122813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KR100529323B1 (ko) 용지 소음 감쇄 수단이 구비된 인쇄기의 급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