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102B1 -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102B1
KR101297102B1 KR1020110100779A KR20110100779A KR101297102B1 KR 101297102 B1 KR101297102 B1 KR 101297102B1 KR 1020110100779 A KR1020110100779 A KR 1020110100779A KR 20110100779 A KR20110100779 A KR 20110100779A KR 101297102 B1 KR101297102 B1 KR 101297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drying
space
heat source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601A (ko
Inventor
조성욱
Original Assignee
조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욱 filed Critical 조성욱
Priority to KR102011010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1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and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eing in relative motion, e.g. of vibration
    • F26B3/2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and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eing in relative motion, e.g. of vibration the movement being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가열온도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적용될 수 있게 가열하여 원료에 함유된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원료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항상 일정한 건조환경을 조성하며 유지함을 제공하도록, 내부가 원료건조공간과 열원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열원공간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는 건조탱크와; 상기 건조탱크의 열원공간을 향해 매설되고 상기 열원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봉과; 상기 건조탱크의 원료건조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유입된 원료를 고르게 교반하는 회전스크류와; 상기 회전스크류가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Dryer for Synthetic Resin Raw Material}
본 발명은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가열온도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적용될 수 있게 가열하여 원료에 함유된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원료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항상 일정한 건조환경을 조성하며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제품을 성형하는 산업현장에서는 미립자 또는 알갱이로 된 합성수지 원료를 보관하였다가 작업시 필요한 양만큼 성형기에 공급하여 제품화하는데, 합성수지는 흡수성이 우수하여 보관중 대기 중에 노출될 경우 일정한 양의 수분을 함유하므로 성형기에 공급하기 전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종래 합성수지 원료의 제습을 위해 사용된 건조장치의 사용방식으로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합성수지 원료에 공급하는 열풍건조방식과, 챔버 내에 합성수지 원료를 넣고서 가열하여 제습하는 가열건조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공기에 의해 가열하는 열풍건조방식의 건조장치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35915호에는 합성수지원료가 수용된 호퍼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열기 공급통과, 상기 열기 공급통에 내장되는 히터와, 상기 열기 공급통 내에 외부공기를 흡입 송풍하도록 설치되는 송풍기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열기 공급통은 상기 공급호퍼를 향하여 수평하게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열기 공급통의 외측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구에 지지시켜서 그 열기 공급통 내에 삽입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송풍기는 상기 히터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상기 열기 공급통의 길이방향 중간에 연결 설치하여 시설의 유지관리가 편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호퍼용 합성수지원료 건조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건조장치는 제습기의 구성인 열기 공급통, 히터, 송풍기 등의 구조를 별도로 구성하여 가열공기를 순환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어 비경제적이고, 송풍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작업환경이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가열건조방식의 건조장치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79-0001131호에는 두겹으로된 원통형의 동체내부 연소실에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약간 좁게 약 25°경사각으로 형성된 폭이 넓은 원형스크류를 입설하여 저부 베벨기어로서 풀리에 연결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나선상의 격판으로된 열선회로를 형성하여 건조실 내부의 열손실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원료 건조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건조장치는 열선회로를 향해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공급원인 오일버너를 하부 한쪽에 설치하여 가열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연소실의 상부와 하부에 건조온도차가 발생하고 연소실 하부 중에서도 오일버너로부터 가열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면서 합성수지 원료에 영향을 미쳐 원료가 열손상을 입으며, 이는 원료가 서로 붙어 뭉치거나 부분적으로 타게 됨은 물론 연소실 하부 벽면에 눌어붙는 현상이 발생하여 원료의 질을 현저히 낮추고, 연소실 내부에 눌어붙은 원료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장치의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전반적으로 건조장치의 수명을 단축하고 원료를 향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온도를 맞춰 건조환경을 조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료의 수용공간으로부터 구분된 공간을 구비하여 유체를 수용하고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가열수단을 매설하여 구성하므로, 간단한 구조를 이룸은 물론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원료를 향한 내부 가열온도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적용되어 항상 일정하면서도 최적의 건조환경을 조성하며, 이는 원료가 타거나 눌어붙는 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질을 높임은 물론 원료의 제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는 내부가 원료건조공간과 열원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열원공간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는 건조탱크와; 상기 건조탱크의 열원공간을 향해 매설되고 상기 열원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봉과; 상기 건조탱크의 원료건조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유입된 원료를 고르게 교반하는 회전스크류와; 상기 회전스크류가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탱크는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원료건조공간과 열원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이 형성된다.
상기 건조탱크는 외부로부터 상기 원료건조공간으로 원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덮개로부터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입부와, 상기 원료건조공간의 하부에 원료를 건조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가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실린더가 설치되는 배출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건조탱크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열원공간의 한쪽에 연통하여 미세하게 소실되는 유체를 보충하는 유체보조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히터봉은 상기 열원공간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복수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스크류는 상기 건조탱크의 원료건조공간에 상하 수직으로 위치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서로 연계하여 나선형을 형성되는 스크류날개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단에 축 연결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한쪽에 구비되고 풀리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에 의하면, 건조탱크의 내부공간을 구분하여 원료건조공간과 열원공간으로 구획하고 원료를 교반하는 회전스크류와 열원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도록 둘레를 따라 복수의 히터봉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원료가 수용된 원료건조공간의 내부온도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지하여 수용된 모든 원료에 동일한 건조환경을 제공하고, 일정한 온도가 전체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원료가 부분적으로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고품질의 원료를 제공하고 원료에 대한 제습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는 건조탱크에 히터봉과 회전스크류가 설치된 구성으로 간단한 구조를 이루어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 소음이 없어 작업환경을 개선함은 물론 설비의 유지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배출수단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체보조공급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본 발명은 내부가 원료건조공간과 열원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열원공간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는 건조탱크와; 상기 건조탱크의 열원공간을 향해 매설되고 상기 열원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봉과; 상기 건조탱크의 원료건조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유입된 원료를 고르게 교반하는 회전스크류와; 상기 회전스크류가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탱크는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원료건조공간과 열원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탱크는 외부로부터 상기 원료건조공간으로 원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덮개로부터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입부와, 상기 원료건조공간의 하부에 원료를 건조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가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실린더가 설치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탱크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열원공간의 한쪽에 연통하여 미세하게 소실되는 유체를 보충하는 유체보조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봉은 상기 열원공간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복수로 구성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스크류는 상기 건조탱크의 원료건조공간에 상하 수직으로 위치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서로 연계하여 나선형을 형성되는 스크류날개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단에 축 연결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한쪽에 구비되고 풀리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탱크(10)와, 히터봉(20)과, 회전스크류(30)와, 구동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탱크(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원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밀폐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건조탱크(10)는 도 1에서처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1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8)은 골조를 이루는 지지체로서, 가로세로로 여러 개의 프레임이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외부로부터 상기 건조탱크(10)의 결합구조가 감춰지도록 외벽(18a)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건조탱크(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가 원료를 건조하도록 수용하는 원료건조공간(11)과 상기 원료건조공간(11)을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열원공간(13)으로 구획된다.
상기 건조탱크(10)의 내부를 상기 원료건조공간(11)과 열원공간(13)으로 구획함에는 상기 건조탱크(10)의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격벽(12)을 형성한다.
상기 격벽(12)은 상기 건조탱크(10)의 외부 벽면으로부터 그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원료건조공간(11)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원료가 수용되는 반면, 상기 열원공간(13)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된다.
상기 열원공간(13)에 수용되는 유체로는 열전달성이 우수한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열원공간(13)에는 열이 전달되는 오일이 채워지고 상기 히터봉(20)에서 발생하는 열이 전달되어 상기 원료건조공간(11)을 오일열을 통해 가열한다.
상기 열원공간(13)에 수용되는 오일에는 연료유(예를 들면, 경유 또는 등유 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탱크(10)는 상면이 개폐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건조탱크(10)의 상면에는 상기 원료건조공간(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유입부(15)가 구성된다. 즉, 상기 원료건조공간(11)을 향해 원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유입구(15a)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5a)를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15b)가 구성된다.
상기 유입부(15)는 상기 건조탱크(10)의 상면에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건조탱크(10)의 하부에는 상기 원료건조공간(11)에 연통하여 원료를 건조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6a)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6a)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원료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배출부(16)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16)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6a)를 개폐가능하도록 배출수단(17)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수단(17)은 상기 배출부(16)를 향해 상기 지지프레임(18)에 고정 설치되고, 가이드판(17a)과 실린더(17b)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17a)은 판재형상을 이루고, 상기 배출구(16a)를 개폐하도록 좌우로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결합한다.
상기 실린더(17b)는 상기 지지프레임(18)에 한쪽이 설치되고 로드의 신장운동을 통해 상기 가이드판(17a)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수단(17)은 원료의 건조작업시 상기 실린더(17b)의 로드가 전방으로 신장하는 것을 통해 상기 가이드판(17a)을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16a)를 폐쇄시키고, 원료의 건조작업을 마친 후에는 상기 실린더(17b)의 로드를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해 상기 가이드판(17a)을 이동시켜 원료가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배출구(16a)를 개방시킨다.
상기 건조탱크(1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열원공간(13)에 연통하는 구조를 이뤄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체보조공급부(1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체보조공급부(19)는 상기 건조탱크(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소정 양의 유체가 담길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열원공간(13)의 한쪽에 연통하여 상기 열원공간(13)에서 미세하게 소실되는 유체를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체보조공급부(19)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열원공간(13)에 항시 충분한 유체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원료건조공간(11)을 항상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여 원료를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히터봉(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에는 길게 연장하여 전기에너지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발산하도록 상기 건조탱크(10)의 상면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히터봉(20)은 상기 건조탱크(10)의 열원공간(13)을 향해 수직으로 매설되고, 상기 열원공간(13)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여 온도를 높이므로 상기 원료건조공간(11)의 원료를 건조한다.
상기 히터봉(20)은 220V의 전력을 사용하고, 2KW의 전력량을 나타내도록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히터봉(20)은 상기 열원공간(13)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복수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터봉(20)을 상기 건조탱크(10)의 상면에 40°마다 한 개씩 총 9개를 설치하여 발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봉(20)에 의한 발열을 통해 상기 원료건조공간(11)에는 160~180℃의 가열온도가 적용된다.
상기 회전스크류(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료건조공간(11)의 내부에 유입된 원료를 고르게 교반하도록 상기 건조탱크(10)의 원료건조공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스크류(30)는 상기 건조탱크(10)의 원료건조공간(11)에 상하 수직으로 위치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둘레를 따라 상하 서로 연계하여 형성되는 스크류날개(33)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날개(33)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는 나선형을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날개(33)의 회전반경은 상기 원료건조공간(11)의 내벽면에 근접한 크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회전스크류(30)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인가하는 것으로, 기어부(41)와 구동모터(4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회전스크류(30)의 구동 유무는 물론 상기 회전스크류(30)가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제어가능한 제어컨트롤러(55)를 설치하여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40)의 기어부(41)는 상기 회전스크류(30)의 하단에 축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구동모터(43)는 상기 지지프레임(18)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41)의 한쪽에 풀리(45)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상기 건조탱크(10)의 배출구(16a)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부(15)의 덮개(15b)를 개방하고 상기 원료건조공간(11)에 건조할 원료를 충분히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부(15)를 폐쇄한 후 건조작업을 개시한다.
이후 제어컨트롤러(55)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하므로 상기 구동부(40)의 구동모터(43)를 가동시키고, 상기 구동모터(43)로부터 동력이 상기 기어부(41)를 거쳐 상기 회전축(31)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스크류(30)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어컨트롤러(55)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히터봉(20)에도 전력이 공급되어 발열하고, 상기 히터봉(20)을 통해 상기 열원공간(13)에 수용된 유체가 가열되면서 상기 원료건조공간(11)을 일정한 가열온도로 유지하므로 상기 회전스크류(30)로부터 교반되는 원료를 가열하여 건조하게 된다.
이어 건조작업을 마친 원료는 상기 배출부(16)의 배출수단(17)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배출수단(17)의 실린더(17b)가 작동하여 상기 가이드판(17a)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므로 상기 배출구(16a)를 개방하고, 상기 배출부(16)를 통해 최종적으로 제습이 완료된 원료가 배출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에 의하면, 건조탱크의 내부공간을 구분하여 원료건조공간과 열원공간으로 구획하고 원료를 교반하는 회전스크류와 열원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도록 둘레를 따라 복수의 히터봉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원료가 수용된 원료건조공간의 내부온도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지하여 수용된 모든 원료에 동일한 건조환경을 제공하고, 일정한 온도가 전체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원료가 부분적으로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고품질의 원료를 제공하고 원료에 대한 제습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건조탱크에 히터봉과 회전스크류가 설치된 구성으로 간단한 구조를 이루어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 소음이 없어 작업환경을 개선함은 물론 설비의 유지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건조탱크 11 : 원료건조공간 12 : 격벽
13 : 열원공간 15 : 유입부 15a : 유입구
15b : 덮개 16 : 배출부 16a : 배출구
17 : 배출수단 17a : 가이드판 17b : 실린더
18 : 지지프레임 18a : 외벽 19 : 유체보조공급부
20 : 히터봉 30 : 회전스크류 31 : 회전축
33 : 스크류날개 40 : 구동부 41 : 기어부
43 : 구동모터 45 : 풀리 55 : 제어컨트롤러

Claims (7)

  1. 내부가 원료건조공간과 열원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열원공간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는 건조탱크와;
    상기 건조탱크의 상기 열원공간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복수로 매설되어 구성되고 상기 열원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봉과;
    상기 건조탱크의 원료건조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유입된 원료를 고르게 교반하는 회전스크류와;
    상기 회전스크류가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탱크는,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원료건조공간과 열원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탱크는, 외부로부터 상기 원료건조공간으로 원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덮개로부터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입부와, 상기 원료건조공간의 하부에 원료를 건조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가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실린더가 설치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탱크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열원공간의 한쪽에 연통하여 소실되는 유체를 보충하는 유체보조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크류는, 상기 건조탱크의 원료건조공간에 상하 수직으로 위치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서로 연계하여 나선형을 형성되는 스크류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단에 축 연결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한쪽에 구비되고 풀리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KR1020110100779A 2011-10-04 2011-10-04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KR10129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779A KR101297102B1 (ko) 2011-10-04 2011-10-04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779A KR101297102B1 (ko) 2011-10-04 2011-10-04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601A KR20130036601A (ko) 2013-04-12
KR101297102B1 true KR101297102B1 (ko) 2013-08-20

Family

ID=4843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779A KR101297102B1 (ko) 2011-10-04 2011-10-04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448B1 (ko) * 2015-02-26 2016-12-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챔버기류형 건조장치
CN117139344B (zh) * 2023-09-12 2024-04-09 四川云华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连续化多层热解反应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533A (ja) * 1984-01-26 1985-08-21 Lion Eng Kk 除湿装置
JPH06114834A (ja) * 1991-05-08 1994-04-26 Takagi Ind Co Ltd 真空加熱方式による合成樹脂粉粒体の除湿乾燥装置
KR200182470Y1 (ko) * 1999-12-08 2000-05-15 우일기 합성수지재 원료 교반기
KR20030046198A (ko) * 2001-12-05 2003-06-12 최영호 폐찌꺼기의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533A (ja) * 1984-01-26 1985-08-21 Lion Eng Kk 除湿装置
JPH06114834A (ja) * 1991-05-08 1994-04-26 Takagi Ind Co Ltd 真空加熱方式による合成樹脂粉粒体の除湿乾燥装置
KR200182470Y1 (ko) * 1999-12-08 2000-05-15 우일기 합성수지재 원료 교반기
KR20030046198A (ko) * 2001-12-05 2003-06-12 최영호 폐찌꺼기의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601A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433B1 (ko) 톱밥 건조 장치
CN204682412U (zh) 一种茶叶搅拌烘干设备
KR101297102B1 (ko) 합성수지 원료 건조장치
CN105737548A (zh) 热管式滚筒烘干机
CN112378212A (zh) 一种基于物联网控制的茶叶搅拌烘干装置
CN208100829U (zh) 一种混合干燥搅拌机
CN216708020U (zh) 一种聚丙烯酰胺装置后处理工序除湿设备
KR101853273B1 (ko)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CN204911289U (zh) 晾床辅料添加机
CN209197377U (zh) 一种染料快速干燥装置
CN105972957A (zh) 塑料粒子烘干装置
CN205766997U (zh) 一种塑料粒子干燥机
CN205784366U (zh) 塑料粒子烘干装置
CN219103565U (zh) 一种运用循环热风机的石膏生产用气流干燥机
CN111359492A (zh) 一种用于多合金铸造的混料机及其工作方法
CN111623608A (zh) 一种建筑材料用循环烘干装置
CN216115159U (zh) 一种环保的新材料色母粒干燥装置
CN215337345U (zh) 一种湿粉料干燥设备
CN216977404U (zh) 一种应用于生物肥料生产的烘干炉
CN219776196U (zh) 一种聚丙烯生产用原料干燥装置
CN110230920A (zh) 一种节能型农业谷物快速干燥处理装置
CN219020182U (zh) 一种烟叶干燥设备
CN208936678U (zh) 一种用于煮茧加工的高效烘干装置
CN220922984U (zh) 一种黑色母粒烘干机
KR101130663B1 (ko) 기류와 교반에 의한 복합형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