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668B1 -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668B1
KR101296668B1 KR1020130060506A KR20130060506A KR101296668B1 KR 101296668 B1 KR101296668 B1 KR 101296668B1 KR 1020130060506 A KR1020130060506 A KR 1020130060506A KR 20130060506 A KR20130060506 A KR 20130060506A KR 101296668 B1 KR101296668 B1 KR 101296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ensor
barge
tub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엔아이에스컨설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아이에스컨설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아이에스컨설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12Refl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20Antenna or mast

Abstract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포스트에 대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플랫폼과,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에 클램핑된 클램프와 로드선단이 연결되어 상기 플랫폼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작동실린더를 구비하는 바지선에서 플랫폼의 수평위치를 확인하고 수평을 유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외측테두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체수용관과, 한쌍의 분기관으로부터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두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연결관을 갖추어 서로 인접하는 유체수용관사이를 연통연결하면서 상기 수두관에 일정높이의 수위를 형성하도록 유체가 채워지는 측정부 ; 상기 플랫폼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수두관의 상부에 조립되는 캡에 센서부재를 갖추어 상기 수두관에서의 수위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 및 상기 센서부에 검출되는 수위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플랫폼을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플랫폼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작동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상하작동시키는 제어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Device for Checking a Level Position of Platform and Blocking a Level of Platform in Self-Elevating Barge}
본 발명은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에 구비되는 플랫폼의 수평위치를 확인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바지선에서 다양한 작업활동이 이루어지는 플랫폼을 수평하게 설치하고, 수평상태의 유지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시추, 연구 등을 위해 바지선을 띄워 해상의 작업위치에 고정시킨 후 작업하게 되는데, 이러한 바지선 중 연안 해역이나 내륙의 하천, 강 등의 수역에서 해저 또는 하저의 지층을 굴착하거나 해상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파일(Pile)을 박는데 주로 이용되는 것이 승강식 바지선(Self-Elevating Platform)이다.
이러한 승강식 바지선은 작업도구를 배치하고 작업자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과, 이 플랫폼을 수상에 띄워 지지하는 적어도 4개의 포스트로 구성된다.
특히, 플랫폼은 포스트에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파지되는데, 이를 위해 포스트와 대응되는 플랫폼의 측면에는 클램프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는 플랫폼의 사방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옮겨가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클램프는 포스트를 따라 플랫폼을 상하로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플랫폼을 수면으로부터 원하는 높이로 이격시켜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69350호(2010.07.02.)에는 각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포스트에 대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플랫폼과,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에 클램핑된 클램프와 로드선단이 연결되어 상기 플랫폼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작동실린더를 포함하는 바지선을 개시하고 있다. .
즉, 이러한 승강식 바지선은 대략 사각판형상의 작업대인 플랫폼의 모서리 각부에 1개씩, 총 4개의 강재레그인 포스트를 구비하고, 플랫폼의 크기 및 포스트 길이에 따라 작업가능 수심 및 규격이 결정되는데 이러한 플랫폼의 크기는 약 한 변의 길이가 대략 10~30m인 정사각형이고, 무게는 약 30~80ton 이다.
강재레그인 포스트는 1본당 12m기준으로 대략 1ton의 무게를 가지며 해저면 바닥에 설치되어 플랫폼을 작업위치에 고정시키는 지지대 역할을 하며, 작동실린더 및 크램프는 유압을 이용하여 작업위치에 고정된 플랫폼을 해수면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해상작업조건에 맞게 플랫폼을 셋팅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플랫폼 승강식 바지선은 조석(물때) 및 기상여건(파랑, 파고)에 관계없이 24시간 작업 가능한 잇점이 있으나, 해수면 위로 플랫폼을 부상한 상태에서 고정시킨 후 작업하는 바지선 특성상 셋팅시나 작업 중 또는 계류 및 정박시 바지선의 플랫폼을 수평하게 설치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지선의 전도침몰을 방지하는 핵심 안전요소라 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 연안은 매우 연약한 점성토가 해저면을 피복하여 덮고 있기 때문에 중량물인 바지선 자체무게와, 플랫폼 위에서 행해지는 각종의 다양한 작업활동에 의한 동하중 및 바람 및 파도 등과 같은 외부의 기후영향 등으로 인하여 플랫폼의 셋팅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약한 점성토 해저면에 설치된 4개의 포스트가 서로 다르게 가라앉게 되는 부등침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지선의 부등침하로 인한 전도침몰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바지선의 설치시나 설치 후 작업시 또는 작업 완료 후 정박 시에 바지선의 수평유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재까지는 작업자의 육안확인 또는 육상 소형건축물 평탄화 작업 등에서 사용되는 소형 수평계로서 바지선의 수평설치 여부를 가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정성적이고, 작업자의 경험, 숙련도, 주관에 따라 달라지는 부정확한 방법으로 바지선의 수평설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설치단계에서의 미세한 기울어짐을 측정할 수 없었고, 또한 작업진행시에는 포스트의 부등침하가 서서히 진행되는 특성으로 인해 작업자의 지각으로는 기울어짐의 정량측량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작업완료 후 정박된 바지선은 파도높이를 고려해 해수면과의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야 하나, 기울어진 채로 정박된 바지선의 플랫폼은 한쪽 바닥면이 해수면과 가까워져, 파도가 기울어진 바지선의 플랫폼 바닥면을 강타하여 바지선이 전도, 침몰,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바지선에서 다양한 작업활동이 이루어지는 플랫폼을 수평하게 설치하고, 수평상태의 유지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를 제공하고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포스트에 대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플랫폼과,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에 클램핑된 클램프와 로드선단이 연결되어 상기 플랫폼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작동실린더를 구비하는 바지선에서 플랫폼의 수평위치를 확인하고 수평을 유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외측테두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체수용관과, 한쌍의 분기관으로부터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두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연결관을 갖추어 서로 인접하는 유체수용관사이를 연통연결하면서 상기 수두관에 일정높이의 수위를 형성하도록 유체가 채워지는 측정부 ; 상기 플랫폼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수두관의 상부에 조립되는 캡에 센서부재를 갖추어 상기 수두관에서의 수위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 및 상기 센서부에 검출되는 수위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플랫폼을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플랫폼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작동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상하작동시키는 제어부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랫폼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유체수용관이 삽입배치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단면상을 갖는 복수개의 지지브라켓의 하부면을 위치고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랫폼의 하부면에는 복수개의 유체수용관이 삽입배치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단면상을 갖는 복수개의 지지브라켓의 개방된 상부를 위치고정하고, 상기 연결관의 수두관은 상기 플랫폼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수용관은 투명한 소재의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두관을 통한 수위변화를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형광물질이 포함된 형광유체로 채워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부재는 상기 수두관에 채워지는 유체의 수위면으로 조사되는 빛이나 송신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1센서와, 상기 수위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이나 초음파를 수광하거나 수신하여 도달시간을 측정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수두관에는 상기 제1센서에 제공되는 빛이나 초음파을 제2센서측으로 반사하고, 부상력을 갖추어 수위면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반사시트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플랫폼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플랫폼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랫폼의 초기설치시 정밀한 수평셋팅이 가능하여 플랫폼에서의 안전한 작업활동이 가능해지는 한편, 플랫폼에서의 작업 중 다양한 내,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포스트의 부등침하로 인한 플랫폼의 수평변화상태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2) 해수면상에 설치되는 플랫폼의 수평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랫폼의 편심에 의한 바지선의 전도와 같은 1차 사고 및 바지선의 전도에 기인하는 2차적인 해상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상시추시 파일의 수직도가 관건인 해상시추 조사자료를 정밀하게 수행하여 작업성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에 채용되는 센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포스트(20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플랫폼(202)과,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201)에 클램핑된 상,하부클램프(203a,203b)중 상부클램프(203b)와 로드선단이 연결되어 플랫폼(202)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복수개의 작동실린더(204)를 구비하는 통상적인 바지선(200)에서 상기 플랫폼(202)의 수평위치를 확인하면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측정부(110),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110)는 지층을 굴착하거나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파일을 박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도구를 배치하고 작업자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202)의 각변인 외측테두리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유체수용관(111)을 복수개 구비한다.
이러한 유체수용관(111)은 대략 사각판상의 플랫폼(202)에 구비되는 4개의 외측테두리에 맞추어 4개의 유체수용관이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기 플랫폼의 형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202)의 각 변인 테두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유체수용관(111)들은 플랫폼(202)의 승하강작동을 위해서 각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작동실린더와 같은 구조물이나 플랫폼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작업도구와의 간섭이 없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202)의 각 모서리부에서 대략 직각으로 만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유체수용관(111)의 각 단부는 좌우한쌍의 분기관(112,113)으로부터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두관(114)을 갖는 연결관(115)을 매개로 하여 서로 연통연결된다.
상기 플랫폼(202)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연결관(115)을 매개로 연통연결되는 유체수용관(111)에는 상기 수두관(114)의 일정높이까지 수위를 형성하도록 일정량의 유체가 채워지게 되고, 상기 수두관(114)외부면에 형성된 눈금부(114a)을 통하여 유체의 수위 및 그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202)의 상부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체수용관(111)이 삽입배치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단면상을 갖는 복수개의 지지브라켓(118)의 하부면을 용접방식으로 일체로 구비하거나 볼트방식에 의해서 교체가능하도록 위치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202)의 하부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체수용관(111)이 삽입배치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단면상을 갖는 복수개의 지지브라켓(118a)의 개방된 상부를 용접방식에 의해서 일체로 구비하거나 볼트방식에 의해서 교체가능하도록 위치고정하고, 상기 연결관(115)의 수두관(114)은 상기 플랫폼(202)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랫폼(202)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118)에 유체수용관(111)이 배치되는 경우, 손상된 유체수용관의 파손시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관리유지가 간편해지는 잇점이 있으며, 상기 플랫폼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다른 지지브라켓(118a)에 유체수용관(111)이 배치되는 경우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플랫폼(202)의 상부면에서의 구조물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수용관(111)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두관(114)을 통해 노출되는 유체의 수위변화를 작업자의 육안확인 및 야간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형광물질이 포함된 형광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포스트가 조립되는 플랫폼(202)의 각 모서리부마다 대응 배치되는 수두관(114)의 상부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캡(123)을 갖추고, 상기 캡에는 상기 포스트의 부등침하시 발생하는 플랫폼의 기울어짐에 기인하는 수두관에서의 수위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센서부재는 상기 수두관(114)에 채워지는 유체의 수위면으로 조사되는 빛이나 송신되는 초음파와 같은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센서(121)와, 상기 수위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이나 초음파와 같은 검출신호를 수광하거나 수신하여 검출신호의 도달시간을 측정하는 제2센서(122) 및 상기 제2센서(122)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안테나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센서(121,122)는 수위면에 반사되는 검출신호의 형태에 따라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로 이루어지거나 일정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송신센서와 수신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캡(123)은 상기 수두관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개방시 유체를 보충할 수 있는 한편,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방지할 수 있는 덮개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두관(114)에는 상기 제1센서(121)에 제공되는 빛이나 초음파와 같은 검출신호를 제2센서(122)측으로 반사하고, 부상력을 갖추어 수위면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반사시트(12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포스트(201)와 대응하는 각 수두관(114)마다 구비된 센서부(120)에서 측정되는 수위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플랫폼(202)의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부등침하에 의하여 기울어진 플랫폼을 수평로 전환시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플랫폼(202)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작동실린더(204) 중 어느 하나를 상승시키거나 하강 작동시키는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지선(200)의 플랫폼(202)이 우측으로 부등침하가 발생하게 되어 도면상 좌우측의 포스트사이에 일정크기의 높이차(h)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좌측 수두관(114)내의 유체수위는 플랫폼의 수평상태에 측정되는 초기의 기준수위면(H0)에서 하방으로 낮아지게 되는 하강수위면(H1)을 갖게 되는 반면에 우측 다른 수두관(114)내의 유체수위는 상방으로 높아지게 되는 상승수위면(H2)를 갖게 된다.
이는 플랫폼(202)의 우측단이 하방으로 낮아지는 경사이동에 의해서 복수개의 연결관(115)을 매개로 연결된 유체수용관내의 유체가 경사도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전체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상기 플랫폼(202)이 좌측으로 부등침하되면, 우측 포스트와 대응하는 수두관내 수위면은 높아지고 좌측 포스트와 대응하는 다른 수두관의 수위면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두관(114)의 상부에 조립되는 캡(123)에 설치된 제1센서(121)로부터 발생하는 초음파 또는 빛와 같은 검출신호가 초단위로 발생되어 수위면측으로 방사되고, 방사된 검출신호가 변화된 수위면 또는 반사시트(125)에서 반사되어 제2센서(122)에 수신되어 기록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센서(122)에서 수신되어 기록된 신호는 원격송신수단인 안테나를 통해 플랫폼에 구비되는 제어부(130)에 전송된 다음, 전송된 검출신호는 자료처리 및 변환 과정을 거쳐 수위차값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플랫폼의 수평상태시 상기 수두관의 기준수위면(H0)에서 검출되는 검출신호의 기준값인 도달거리 또는 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플랫폼(200)의 기울어짐 발생시 상기 수두관의 하강수위면(H1) 또는 상승수위면(H2)에서 검출되는 검출신호의 측정값인 변화된 도달거리 또는 시간과 상기 기준값을 근거로 하여 서로 비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에서 비교되는 기준값과 측정값에 의해서 해당하는 플랫폼의 수평상태 및 부등침하에 의한 기울짐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하강수위면을 갖는 수두관과 대응하는 포스트에 배치된 작동실린더의 상승작동 또는 상강수위면을 갖는 수두관과 대응하는 다른 포스트에 배치된 다른 작동실린더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부등침하에 의해서 일측으로 기울어진 플랫폼(202)은 상기 작동실린더(204)의 상승 또는 하강작동에 의해서 수평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플랫폼의 수평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작동실린더의 구동은 중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201)마다 대응배치되는 작동실린더에 의한 플랫폼의 상하이동을 위한 하부 클램프에 대한 클램핑 및 언클램핑은 등록특허 10-0969350호에 개시된 내용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의 수평상태에서 얻어지는 기준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플랫폼의 각 모서리마다 구비된 수두관의 센서부에서 전송되는 측정값에 의해서 플랫폼의 어느 모서리와 대응하는 포스트가 어느 정도 침하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등침하가 발생되어 수위차인 수평유지변화가 발생되면 작업자에게 포스트의 부등침하 발생을 쉽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에 설치된 부저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켜 플랫폼이 기울어졌다는 것을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측정부 111 : 유체수용관
112,113 : 분기관 114 : 수두관
115 : 연결관 120 : 센서부
121 : 제1센서 122 : 제2센서
123 : 캡 124 : 안테나
125 : 반사시트 130 : 제어부
200 : 바지선 201 : 포스트
202 : 플랫폼 203a,203b : 클램프
204 : 작동실린더

Claims (6)

  1. 복수개의 포스트에 대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플랫폼과,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에 클램핑된 클램프와 로드선단이 연결되어 상기 플랫폼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작동실린더를 구비하는 바지선에서 플랫폼의 수평위치를 확인하고 수평을 유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외측테두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체수용관과, 한쌍의 분기관으로부터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두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연결관을 갖추어 서로 인접하는 유체수용관사이를 연통연결하면서 상기 수두관에 일정높이의 수위를 형성하도록 유체가 채워지는 측정부 ;
    상기 플랫폼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수두관의 상부에 조립되는 캡에 센서부재를 갖추어 상기 수두관에서의 수위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 및
    상기 센서부에 검출되는 수위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플랫폼을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플랫폼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작동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상하작동시키는 제어부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유체수용관이 삽입배치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단면상을 갖는 복수개의 지지브라켓의 하부면을 위치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하부면에는 복수개의 유체수용관이 삽입배치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단면상을 갖는 복수개의 지지브라켓의 개방된 상부를 위치고정하고, 상기 연결관의 수두관은 상기 플랫폼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수용관은 투명한 소재의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두관을 통한 수위변화를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형광물질이 포함된 형광유체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는 상기 수두관에 채워지는 유체의 수위면으로 조사되는 빛이나 송신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1센서와, 상기 수위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이나 초음파를 수광하거나 수신하여 도달시간을 측정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두관에는 상기 제1센서에 제공되는 빛이나 초음파을 제2센서측으로 반사하고, 부상력을 갖추어 수위면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반사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
KR1020130060506A 2013-05-28 2013-05-28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 KR101296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506A KR101296668B1 (ko) 2013-05-28 2013-05-28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506A KR101296668B1 (ko) 2013-05-28 2013-05-28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668B1 true KR101296668B1 (ko) 2013-08-14

Family

ID=4922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506A KR101296668B1 (ko) 2013-05-28 2013-05-28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66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3006A (zh) * 2015-08-24 2015-12-23 安徽农业大学 用于工作台的测平和调平装置
KR101629481B1 (ko) * 2016-01-12 2016-06-10 서광기연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레벨링장치
KR101629477B1 (ko) * 2016-01-12 2016-06-21 서광기연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905454B1 (ko) 2018-07-06 2018-11-28 (주)명일정공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KR20200079715A (ko) 2018-12-26 2020-07-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볼타입 잭업 시스템의 중량저감을 위한 클램프의 형상 설계 구조
KR20210151590A (ko) 2020-06-05 2021-12-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울기 센서와 온 오프 밸브를 이용한 유압구동 플랫폼 수평제어 장치
KR102645338B1 (ko) * 2023-06-07 2024-03-08 롯데건설 주식회사 해저공간 플랫폼 승강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579A (ja) * 1996-07-25 1998-02-10 Kajima Corp 函体の曳航制御方法
EP2275341A2 (en) * 2009-07-17 2011-01-19 In novo d.o.o. Jack-up pontoon
KR20110043144A (ko) * 2009-10-21 2011-04-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롤 모션 억제 기능을 가지는 선박
KR101255767B1 (ko) * 2011-10-17 2013-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흘수 계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579A (ja) * 1996-07-25 1998-02-10 Kajima Corp 函体の曳航制御方法
EP2275341A2 (en) * 2009-07-17 2011-01-19 In novo d.o.o. Jack-up pontoon
KR20110043144A (ko) * 2009-10-21 2011-04-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롤 모션 억제 기능을 가지는 선박
KR101255767B1 (ko) * 2011-10-17 2013-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흘수 계측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3006A (zh) * 2015-08-24 2015-12-23 安徽农业大学 用于工作台的测平和调平装置
KR101629481B1 (ko) * 2016-01-12 2016-06-10 서광기연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레벨링장치
KR101629477B1 (ko) * 2016-01-12 2016-06-21 서광기연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905454B1 (ko) 2018-07-06 2018-11-28 (주)명일정공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KR20200079715A (ko) 2018-12-26 2020-07-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볼타입 잭업 시스템의 중량저감을 위한 클램프의 형상 설계 구조
KR20210151590A (ko) 2020-06-05 2021-12-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울기 센서와 온 오프 밸브를 이용한 유압구동 플랫폼 수평제어 장치
KR102645338B1 (ko) * 2023-06-07 2024-03-08 롯데건설 주식회사 해저공간 플랫폼 승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668B1 (ko)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
CN107034931B (zh) 钢管桩垂直度检测装置及深水钢管桩施工方法
CN111998839B (zh) 一种基于逆作法的支撑柱定位及垂直度检测系统
JP2011117803A (ja) 鋼管の建入誤差の測定方法、鋼管
CN104912093B (zh) 一种深水桩基定位、导向结构的施工方法
KR101356757B1 (ko) 지하매설용 상하수도관의 침하계측장치
KR100976766B1 (ko) 해양표지물 설치를 위한 수중 돌출암 측량 방법 및 이를이용한 지반조사와 기초부 시공방법
CN113482068A (zh) 基坑支护自动化监测系统
CN203270585U (zh) 抛石整平装置
CN103924574A (zh) 抛石整平装置
KR101205576B1 (ko) 불규칙한 해저면에서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파일 설치 장치
JP5648311B2 (ja) 逆打ち支柱の鉛直精度計測システム
JP5332943B2 (ja) 鋼管の鉛直精度測定用ターゲット及びその設置方法
JP2012251827A (ja) 鋼管の建入誤差の測定方法、鋼管
KR102306839B1 (ko) 수상 지지축 설치방법
KR101944897B1 (ko) 관입 깊이 측정장치 및 그가 적용된 파일
CN112127380A (zh) 一种浅海海上升压站导管架基础调平方法
CN112284301B (zh) 带有伸缩式圆管柱圆心自定位的垂直度检测系统
CN115683505A (zh) 一种基于北斗卫星的桥梁健康检测系统
KR101864746B1 (ko) 해양구조물
CN204690772U (zh) 一种深水桩基定位、导向结构
JP2009127259A (ja) キーエレメント工法による沈埋函の最終接合方法
KR101854268B1 (ko) 해양구조물
JP2006207151A (ja) 地盤支持力試験方法及びその装置
CN218713356U (zh) 一种四桩导管架的基础钢管桩水下沉桩的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