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454B1 -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454B1
KR101905454B1 KR1020180078552A KR20180078552A KR101905454B1 KR 101905454 B1 KR101905454 B1 KR 101905454B1 KR 1020180078552 A KR1020180078552 A KR 1020180078552A KR 20180078552 A KR20180078552 A KR 20180078552A KR 101905454 B1 KR101905454 B1 KR 101905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latform
gripping
barg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용
이형원
Original Assignee
(주)명일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일정공 filed Critical (주)명일정공
Priority to KR1020180078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이 큰 대용량의 승강식 부선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100)에 고정되며 내부에 포스트(10)가 관통하도록 수용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몸체(2)와; 내부에 상기 포스트(10)가 관통하도록 수용하는 또 다른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2)의 상부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구동몸체(3)와;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을 연결하면서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하여 상기 구동몸체(3)를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다수의 승강실린더(4)와;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을 파지하거나 해제하도록 된 파지수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1)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5)은,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된 파지로드(51)와, 상기 파지로드(51)를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파지실린더(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스트(10)에는, 상기 파지로드(51)의 단부가 진입하여 결속 및 해제되도록 된 결속요부(11)가 형성되는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와 포스트 외면에 파지수단을 위한 파지브라켓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가 포스트 에 설치된 파지 브라켓을 이용해 자유로이 진퇴할수 있도록 제공한다.

Description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HOLDING DEVICE FOR A ELEVATING OF JACK-UP BARGE}
본 발명은,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을 해저바닥에 고정된 포스트에 고정하는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의 표면을 안정적이면서 확고하게 파지하여, 포스트에 대하여 플랫폼이 승하강되는 동작을 구현할 때,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특히, 중량이 큰 대용량의 승강식 부선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시추, 연구 등을 위해 바지선 등과 같은 부선을 띄워 해상의 작업위치에 고정시킨 후 작업하게 된다.
이러한 바지선 중 연안 해역이나 내륙의 하천, 강 등의 수역에서 해저 또는 하저의 지층을 굴착하거나 해상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파일(Pile) 형태의 포스트를 박는데 주로 이용되는 것이 승강식 바지선(Self-elevating barge)이다.
이와 같은 승강식 바지선은, 작업도구를 배치하고 작업자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과, 이 플랫폼을 수상에 띄워 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포스트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플랫폼은 포스트에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파지되는데, 이를 위해 포스트와 대응되는 플랫폼에는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에서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는, 상기 플랫폼의 사방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옮겨가며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는 상기 포스트를 따라 상기 플랫폼을 상하로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랫폼을 수면으로부터 원하는 높이로 이격시켜 위치시키게 된다.
한편, 통상적인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는,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17319호(명칭: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볼식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2003.03.20.)에서 공지된 공보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저의 바닥에 직립되게 고정되는 포스트를 에워싸며 플랫폼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상하 한 쌍의 환형가이드와, 상기 환형가이드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환형가이드에서 선회되면서 조여들거나 벌어져서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플랫폼을 상기 포스트에 고정시키는 클램핑부재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에서 클램핑부재는, 하나는 환형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환형가이드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선회가능하게 상기 환형가이드에 힌지로 결합된 한쌍의 반원형 연결부재와, 각각의 상기 연결부재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상기 포스트에 밀착되는 다수의 상기 치조부 및, 상기 환형가이드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반원형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선회가능한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된 상기 연결부재쪽으로 밀어 상기 포스트에 상기 치조부를 밀착시키는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력을 이용하여 가동되는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된 상기 연결부재를 향하여 밀어서 상기 포스트에 상기 치조부를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플랫폼을 상기 포스트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50162호(명칭: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2014.04.2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해저면에 착지 가능하도록 승강식 다리가 삽입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승강하우징이 형성된 부유식 바지선을 포함하는 잭업바지선; 및 상기 부유식 바지선에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교각부; 상기 회전교각부 상면에 설치된 해상교량 하우징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전되는 해상교량 회전힌지부;와 상기 해상교량 회전힌지부 전면부에 설치된 압출식거더;를 포함하는 해상교량;을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압출식거더는 내측 압출식거더를 포함하도록 제작되어 해상교량 회전힌부에 의하여 해저로도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60506호(명칭: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2013.05.2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포스트에 대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플랫폼과, 상기 복수개의 포스트에 클램핑된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와 로드선단이 연결되어 상기 플랫폼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작동실린더를 구비하는 바지선에서 플랫폼의 수평위치를 확인하고 수평을 유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외측테두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체수용관과, 한쌍의 분기관으로부터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두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연결관을 갖추어 서로 인접하는 유체수용관사이를 연통연결하면서 상기 수두관에 일정높이의 수위를 형성하도록 유체가 채워지는 측정부; 상기 플랫폼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수두관의 상부에 조립되는 캡에 센서부재를 갖추어 상기 수두관에서의 수위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검출되는 수위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플랫폼을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플랫폼의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작동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상하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수평위치 및 수평상태 확인장치를 가지는 승강식 바지선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05874호(명칭: 바지선의 승강장치/2013.01.1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선체, 잭하우스, 레그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지선을 승강시키는 바지선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그파이프는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 외주면상에 4개 열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레그파이프 외주면 주위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실린더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실린더블록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실린더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제1, 2실린더블록 각각은 상기 레그파이프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레그핀, 상기 레그핀을 지지하되 중앙에는 레그핀이 관통되는 관통공과 그 양쪽 하부에 실린더로드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 평판재형상의 레그핀브라켓과, 상기 레그핀브라켓의 체결공에 각각 실린더로드 선단이 연결되는 2개의 실린더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체에는 고정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조립체 저부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결합되는 바지선의 승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87681호(명칭: 바지선의 승하강장치/2011.08.3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선체와, 잭 하우스와, 레그 파이프가 구비된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잭 하우스의 상,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레그 파이프의 상, 하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하는 상, 하부 트레벌스와, 상기 상,하부 트레벌스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 트레벌스를 각각 상, 하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는 복수 개의 리프팅 실린더와, 상기 상, 하부 트레벌스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레그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상, 하부 트레벌스를 레그 파이프에 록킹 및 해제하는 복수 개의 록킹수단이 구성된 바지선의 승하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50162호(2014.04.25.)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60506호(2013.05.2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05874호(2013.01.1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87681호(2011.08.3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식 바지선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들은, 소용량의 승강식 부선에는 적합하게 적용할 수는 있으나, 대용량의 승강식 부선에서는, 홀딩장치에 걸리는 하중이 매우 커 적용 하는데 있어서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대용량의 승강식부선의 자체하중에 따른 압력에 의해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에 파지력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못하여 포스트에 대한 플랫폼의 승하강구동시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스트의 표면을 안정적이면서 확고하게 파지하여, 포스트에 대하여 플랫폼이 승하강되는 동작을 구현할 때,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특히, 중량이 큰 대용량의 승강식 부선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는,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에 고정되며 내부에 포스트가 관통하도록 수용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몸체와; 내부에 포스트가 관통하도록 수용하는 또 다른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구동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구동몸체을 연결하면서 상기 고정몸체에 대하여 상기 구동몸체를 직선왕복운동시키어 승강시키도록 된 다수의 승강실린더들과;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구동몸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을 파지하거나 해제하도록 된 다수의 파지수단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구동몸체들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된 파지로드와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파지로드를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파지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스트에는, 상기 파지로드의 단부가 진입하여 결속 및 해제되도록 된 결속요부가 형성되되; 상기 포스트의 결속요부는, 상기 포스트의 길이방향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는 것과 또한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가 포스트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포스트에 돌출되게 파지브라켓을 홀딩장치와 결합하기위하여 일정간격으로 설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는, 포스트의 표면을 파지하는 파지압력을 부여하는 파지실린더에 의해 진퇴되는 파지로드가 결속요홈에 결속되면서 포스트의 표면을 안정적이면서 확고하게 파지하여, 포스트에 대하여 플랫폼이 승하강되는 동작을 구현할 때,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특히, 포스트에 대한 고부하의 파지압력을 적합하게 형성함으로써, 대용량의 부선에 안정적으로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를 구성하는 파지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1)은,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100)을 포스트(10)에 고정시키고 상기 포스트(10)를 따라 승강시키는 것에 적용된다.
즉, 상기 포스트(10)에 대하여 상기 플랫폼(100)을 승강시키어 원하는 높이에 배치 및 고정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1)는,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100)에 고정되며 내부에 포스트(10)가 관통하도록 수용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몸체(2)와; 내부에 포스트(10)가 관통하도록 수용하는 또 다른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2)의 상부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구동몸체(3)와;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을 연결하면서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하여 상기 구동몸체(3)를 직선왕복운동시키어 승강시키도록 된 다수의 승강실린더(4)들과;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을 파지하거나 해제하도록 된 다수의 파지수단(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플랫폼(100)의 모서리부위에서 관통되면서 직립배치되는 각각의 상기 포스트(10)들을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의 내부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에 에워싸듯이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수단(5)들이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을 각각 파지한 후, 상기 승강실린더(4)들의 구동에 따른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한 상기 구동몸체(3)의 승강을 통해 상기 포스트(10)에 대한 상기 플랫폼(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몸체(2)의 하단에는, 상기 포스트(10)를 에워싸면서 고정지지하도록 상기 관통공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플랫폼(100)의 모서리부위에 각각 배치되어 고정되는 고정베이스(6)들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상기 고정베이스(6)들을 통해 상기 고정몸체(2)들을 상기 플랫폼(100)에 각각 고정하여, 상기 포스트(10) 상에서 수직상으로 이동하는 각각의 상기 고정몸체(2)들의 승강에 따라 상기 플랫폼(100)이 동시에 그 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10)에 대한 각각의 상기 고정몸체(2)들의 위치조절에 따라 상기 플랫폼(10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1)에서,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은, 중앙에 상기 포스트(10)가 관통하면서 수용되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파지수단(5)들과 상기 승강실린더(4)들이 각각 결합된 '도우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파지수단(5)들과 상기 승강실린더(4)들은, 관통공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어 상기 포스트(10)에 대하여 수평상으로 다수의 파지부위에 대하여 파지압력이 균등하게 부여되어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1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1)에서, 상기 파지수단(5)은,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들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된 파지로드(51)와 미도시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파지로드(51)를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파지실린더(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스트(10)에는, 상기 파지로드(51)의 단부가 진입하여 결속 및 해제되도록 된 결속요부(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의 내부에서 상기 파지로드(51)들이 상기 파지실린더(52)들의 구동에 따라, 상기 포스트(10)에 형성된 상기 결속요부(11)측 방향으로 진퇴되면서 상기 결속요부(11)와 결속 및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포스트(10)에 대한 각각의 파지수단(5)의 결속 및 해제를 각각 수행하여 상기 포스트(10)상에서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1)가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파지압력을 부여하는 상기 파지로드(51)와 상기 결속요부(11)가 확고히 결합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부하의 파지압력을 통해 대용량의 승강식 부선에서도 안정적으로 적합하게 적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파지실린더(52)는, 미 도시된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되어 인가되는 유압을 통해 상기 파지로드(51)를 직선운동시키도록 된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포스트(10)의 결속요부(11)는, 상기 포스트(10)의 길이방향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에 각각 배치된 각각의 상기 파지수단(5)들이 수직상 그 위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결속요부(11)에 결속 및 해제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1)에서, 상기 결속요부(11)는,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에 상기 포스트(10)의 길이방향(수직방향)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파지브라켓(7)들의 사이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파지로드(51)가 상기 파지브라켓(7)의 사이간격으로 진퇴하면서 상기 파지로드(5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상기 파지브라켓(7)들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속 및 해제되어 상기 포스트(10)를 파지하거나 해제동작을 구현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의 내측면에는, 상기 파지브라켓(7)들이 끼움되면서 안내되는 안내홈(G)들이 맞춤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G)을 따라 상기 파지브라켓(7)들이 안내되도록 됨으로서,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의 승강운동시에, 상기 포스트(10)에 대한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들의 승강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1)에서, 상기 결속요부(11)는, 도 13 내지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에 상기 포스트(10)의 길이방향(수직방향)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상기 파지브라켓(7)들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요홈(7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파지로드(51)가 상기 파지브라켓(7)의 요홈(71)으로 진퇴하면서 끼움하여 결속 및 해제되어 상기 포스트(10)를 파지하거나 해제동작을 구현하도록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로드(51)는, 상기 요홈(71)과 맞춤되게 끼움되는 형상과 플렛폼 승강시 요홈(71)상면에 플렘폼이 하강시 요홈(71)하면에 자유롭게 전,후진 할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1)는, 도 16 및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2)의 외주면에 구비된 너트관(81)과; 상기 너트관(81)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82)과; 상기 나사봉(82)의 종단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너트관(81)에 대한 상기 나사봉(82)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결속요부(11)에 끼움되어 결속되거나 해제되는 잠금체(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잠금수단(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나사봉(82)을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체(83)가 상기 결속요부(11)에 결속 및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수단(5)들을 수리 및 교체하고자 할 때,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하여 상기 포스트(10)를 안전하게 고정하여, 상기 포스트(10)의 무단낙하사고를 방지함으로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10 : 포스트
11 : 결속요부 100 : 플랫폼
2 : 고정몸체 3 : 구동몸체
4 : 승강실린더 5 : 파지수단
51 : 파지로드 52 : 파지실린더
6 : 고정베이스 7 : 파지브라켓
71 : 요홈 8 : 잠금수단
81 : 너트관 82 : 나사봉
83 : 잠금체 G : 안내홈

Claims (1)

  1.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100)에 고정되며 내부에 포스트(10)가 관통하도록 수용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몸체(2)와; 내부에 상기 포스트(10)가 관통하도록 수용하는 또 다른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2)의 상부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구동몸체(3)와;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을 연결하면서 상기 고정몸체(2)에 대하여 상기 구동몸체(3)를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다수의 승강실린더(4)와;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을 파지하거나 해제하도록 된 파지수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수단(5)은,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구동몸체(3)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측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된 파지로드(51)와, 상기 파지로드(51)를 직선왕복운동시키도록 된 파지실린더(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스트(10)에는, 상기 파지로드(51)의 단부가 진입하여 결속 및 해제되도록 된 결속요부(11)가 형성되되;
    상기 결속요부(11)는, 상기 포스트(10)의 길이방향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는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1)에 있어서;
    상기 결속요부(11)는,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에 상기 포스트(10)의 길이방향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파지브라켓(7)들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요홈(7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몸체(2)의 외주면에 구비된 너트관(81)과, 상기 너트관(81)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82)과, 상기 나사봉(82)의 종단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너트관(81)에 대한 상기 나사봉(82)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결속요부(11)에 끼움되어 결속되거나 해제되는 잠금체(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잠금수단(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KR1020180078552A 2018-07-06 2018-07-06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KR10190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552A KR101905454B1 (ko) 2018-07-06 2018-07-06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552A KR101905454B1 (ko) 2018-07-06 2018-07-06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454B1 true KR101905454B1 (ko) 2018-11-28

Family

ID=6456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552A KR101905454B1 (ko) 2018-07-06 2018-07-06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993B1 (ko) 2020-11-30 2022-04-13 (주)부마씨이 탄성면을 구비한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승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905B1 (ko) 2013-01-18 2013-06-03 박상칠 바지선의 승강장치
KR101296668B1 (ko) 2013-05-28 2013-08-14 엔아이에스컨설턴트 주식회사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
KR101850334B1 (ko) 2017-12-26 2018-05-31 (주)명일정공 승강식 부선의 잭업 엘리베이팅 시스템 홀딩용 볼타입 클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905B1 (ko) 2013-01-18 2013-06-03 박상칠 바지선의 승강장치
KR101296668B1 (ko) 2013-05-28 2013-08-14 엔아이에스컨설턴트 주식회사 해상시추용 승강식 바지선의 플랫폼 수평위치 확인 및 수평유지 장치
KR101850334B1 (ko) 2017-12-26 2018-05-31 (주)명일정공 승강식 부선의 잭업 엘리베이팅 시스템 홀딩용 볼타입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993B1 (ko) 2020-11-30 2022-04-13 (주)부마씨이 탄성면을 구비한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27149B1 (en) Device and method for upending a tubular element with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support surface at an outer end
EP3826952B1 (en) Device and method for upending a tubular element with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outer end
US4065934A (en) Rig transport method
AU2012201136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positing rocks at a defined location on the bottom of a water mass
NO318148B1 (no) Benlåseapparat for en offshoreplattform, apparat for heving av et skrog til en offshoreplattform, samt en fremgangsmåte for låsing av et ben til en oppjekkbat plattform.
JP7476204B2 (ja) 船舶、および持ち上げ手段を使用して船舶の甲板から細長い要素を上向きにするための装置
KR20210040089A (ko) 요소를 뒤집기 위한 관형 요소의 외부 단부에 연결을 위한 커플링 도구
KR101850334B1 (ko) 승강식 부선의 잭업 엘리베이팅 시스템 홀딩용 볼타입 클램프
EP3670318A1 (en) Device for supporting an elongate object on a vessel deck
KR101905454B1 (ko) 승강식 부선의 플랫폼 고정용 엘리베이팅을 위한 홀딩장치
KR102050393B1 (ko) 승강식 부선의 잭업 엘리베이팅 시스템 홀딩용 기계식 스크류타입 클램프
KR102199242B1 (ko) 볼타입 잭업 시스템의 중량저감을 위한 클램프의 형상 설계 구조
US56670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asing string from mobile offshore platform
EP4378813A1 (en) Rack-and-pinion type jacking system for jack-up barge
WO2009147448A2 (en) Transportation device and method
KR102314934B1 (ko) 승강식 부선의 리프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볼-패드 홀딩클램프
JP7295581B1 (ja) 作業台船
CN205444193U (zh) 旋转式水上打桩导架
DK179039B1 (en) Adjustable arm davit apparatus
CN220616094U (zh) 水上通道支撑锁紧装置及连岸接驳卸载通道
GB1585365A (en) Rig transport
CN217673098U (zh) 一种三维成像设备的升降装置
CN210683018U (zh) 一种简易便捷的导管架桩腿施工平台
JPH06146250A (ja) 浅海用ボーリング櫓の設置方法及びその櫓装置
US935349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 offshor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