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477B1 -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 - Google Patents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477B1
KR101296477B1 KR1020130022613A KR20130022613A KR101296477B1 KR 101296477 B1 KR101296477 B1 KR 101296477B1 KR 1020130022613 A KR1020130022613 A KR 1020130022613A KR 20130022613 A KR20130022613 A KR 20130022613A KR 101296477 B1 KR101296477 B1 KR 101296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unit
unit
vegetation block
vegetation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효정
Original Assignee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filed Critical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Priority to KR102013002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은 적층되는 피대상물이 안착되거나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유닛; 및 상기 안착유닛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식재공간을 구비하는 식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안착유닛을 양분하는 제1 면 또는 제1 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제1 안착유닛 및 제2 안착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Vegetation block and Vegetation block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담장, 주택 등의 경계, 옹벽, 사면보호벽 및 호안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면의 붕괴나 슬라이딩을 억제하기 위한 안정공법으로 사면보강 또는 보호공법이 수행되고 있으며, 시공목적에 따라 감소공법, 저항력 증강공법, 표면보호공법 등 여러 가지로 구분되고, 이 중 저항력 증강공법(안전율 증강공법)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락볼트 어스앵커, 소일네일, 계단식 옹벽 등이 있다.
이것은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기반도로나 단지조성 등 산지와 같은 사면을 개발하는 것은 불가피한 실정으로, 현재 사면의 슬라이딩 현실은 시간과 장소와 관계없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주변요소로서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해마다 장마철이 되면 집중호우(80㎜이상/일)로 야산이나 계곡의 식생토가 붕괴되고, 집 주변의 옹벽과 석축붕괴로 집이 무너져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일어난다. 특히 전원주택을 비롯한 농·어촌 주택의 경우 도시정비가 잘 되어있는 도심과 달라서 피해사례가 더욱 많다.
여기서, 옹벽이란 급격한 경사면의 불안정을 막기 위해 철근이나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을 만들어 사면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옹벽은 재료에 따라 돌쌓기, 무근콘크리트 옹벽, 철근콘크리트 옹벽, 블록쌓기 콘크리트 옹벽, 벽돌쌓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옹벽은 구조에 따라 그 쓰임새와 형태가 다른데 중력식 옹벽, 반중력식 옹벽, Y형 옹벽, L형 옹벽, 뒷부벽식 옹벽, 앞부벽식 옹벽, 선반식 옹벽, 특수 옹벽의 형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옹벽은 절토 구간과 성토 구간에 맞도록 구조 변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경친화적인 면이 부족하였고, 구조적으로 설치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한민국 선등록특허 제 10-0603920호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할 수 있도록 단위 옹벽 블록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옹벽 구조로, 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전면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돌출부에는 식생홈이 구비된 제1형 옹벽 블록과 상기 전면 돌출부 및 식생홈을 구비하지 않는 제2형 및 제3형 옹벽 블록을 포함하며, 다수개의 상기 제1형 옹벽 블록과 다수개의 상기 제2형 및 제3형 옹벽 블록이 서로 상하 또는 좌우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입체적이면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은 각기 다른 2, 3가지 형태의 블록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수직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중력식 또는 보강토 공법을 병행토록 하며 절, 성토 구간에 맞게 시공이 모두 가능한 조립식 옹벽의 구조이다. 또한 친환경적으로 옹벽 블록에 식물 등을 식재할 수 있으며, 입체형 구조로서 방음벽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등록특허 제 10-0603920호는 식생부의 공간이 한정되어 식생부에 수분 및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히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식생부가 갖는 제한적 크기에 따른 한계에 의해 식물 뿌리가 원활히 자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돌출형성된 식생부가 서로 지지되지 않아 적층된 블록이 균형을 잃을 위험성 및 식생부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위 옹벽 블록이 조합되어 입체화 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다수개의 상기 제2형 및 제3형 옹벽 블록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시공이 복잡해지고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식물 크기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입체화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고정구조물이 요구되지 않아 시공성을 용이하게 하고 공기단축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은 하나의 외벽을 공유한 채 상기 외벽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1 안착유닛 및 제2 안착유닛을 구비하며, 적층되는 피대상물이 안착되거나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유닛; 및 내부에 식재공간을 구비하도록 상기 제1 안착유닛 및 상기 제2 안착유닛의 각각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식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식재공간은 상기 외벽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안착유닛과 다른 안착유닛이 서로 인접하게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의 식재공간이 상기 안착유닛의 외측으로 전부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안착유닛은 상기 제1 안착유닛을 구성하는 외벽 중 상기 제2 안착유닛과 공유하는 외벽을 제외한 적어도 2 이상의 외벽의 상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적층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안착유닛은 상기 제2 안착유닛을 구성하는 외벽 중 상기 제1 안착유닛과 공유하는 외벽을 제외한 적어도 2 이상의 외벽의 상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적층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유닛 및 상기 제2 안착유닛은 각각을 구성하는 외벽 중 서로 공유하는 외벽을 포함한 적어도 2 이상의 외벽의 하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적층홈 및 제2 적층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적층홈 및 상기 제2 적층홈은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의 제1 적층돌기 및 적층을 위한 다른 피대상물의 제2 적층돌기가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 및 상기 적층을 위한 다른 피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의 상기 제1 안착유닛 및 상기 제2 안착유닛은 상기 적층되는 피대상물이 안착되거나 상기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에 안착되는 경우 각각 골재가 투입되도록 하는 제1 투입공간 및 제2 투입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는 식생블록; 및 상기 제1 안착유닛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안착유닛과 형상이 동일한 제1 마감유닛 또는 상기 제2 안착유닛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안착유닛과 형상이 동일한 제2 마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는 상기 제1 마감유닛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안착유닛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마감유닛을 상기 제1 안착유닛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제1 삽입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마감유닛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안착유닛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마감유닛을 상기 제2 안착유닛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제2 삽입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는 식생블록; 상기 식생블록을 제1 식생블록이라 하는 경우 상기 제1 식생블록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거나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식생블록과 형상이 동일한 제2 식생블록; 및 상기 제1 식생블록의 제1 안착유닛에 안착되는 제1 마감유닛 또는 상기 제2 식생블록의 제2 안착유닛에 안착되는 제2 마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는 식생블록; 및 상기 식생블록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안착유닛 및 상기 제2 안착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덮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에 의하면, 식물 크기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펜스 기둥의 기초 콘크리트로 사용가능하여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화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고정구조물이 요구되지 않아 시공성을 용이하게 하고 공기단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조립 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식생블록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공장 등에서 대량으로 미리 생산이 가능하므로 품질관리가 용이할 수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나 보수 공사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을 도시한 개략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에 제공되는 제1 마감유닛을 도시한 개략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에 제공되는 제2 마감유닛을 도시한 개략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에 제공되는 덮개유닛을 도시한 개략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 내지 제1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에 제공되는 제1 마감유닛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에 제공되는 덮개유닛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에 의한 다양한 구조의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을 도시한 개략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100)은 학교담장, 주택 등의 경계, 옹벽, 사면보호벽 및 호안용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블록으로, 적층되는 피대상물이 안착되거나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유닛(110) 및 식재공간(S1)을 구비하는 식재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유닛(110)은 제1 안착유닛(112) 및 제2 안착유닛(1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유닛(112) 및 상기 제2 안착유닛(114)은 상기 안착유닛(110)을 양분하는 제1 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으며,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또는 수평으로의 단면은 다각형의 일종인 육각형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유닛(110)은 식재유닛(120)과 함께 알파벳 "Y"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식재유닛(120)은 이웃하는 다른 식재유닛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안착유닛(11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유닛(11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골재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안착유닛(112) 및 상기 제2 안착유닛(114)은 각각 적층되는 피대상물이 안착되거나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골재가 투입되도록 하는 제1 투입공간(S2) 및 제2 투입공간(S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투입공간(S2) 및 상기 제2 투입공간(S3)은 각각 상기 제1 안착유닛(112) 및 상기 제2 안착유닛(114)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골재가 투입되는 공간만 형성된다면 그 형상의 제한은 없다.
그리고, 상기 제1 투입공간(S2) 및 상기 제2 투입공간(S3)을 규정하는 상기 제1 안착유닛(112)의 외벽 및 상기 제2 안착유닛(114)의 외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투입공간(S2)과 상기 제2 투입공간(S3)을 동시에 규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착유닛(112)의 외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투입공간(S2)과 식재공간(S1)을 동시에 규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안착유닛(114)의 외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투입공간(S3)과 식재공간(S1)을 동시에 규정할 수 있다.
한편, 적층되는 피대상물 또는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100), 제1 마감유닛(130, 도4 참조), 제2 마감유닛(140, 도4 참조) 또는 덮개유닛(250, 도 7 참조)일 수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가 다양한 방법에 의해 배치됨으로써 식생블록 조립체(10, 도 3 참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식생블록(100)은 적층되는 피대상물과의 고정을 위한 돌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과의 고정을 위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착유닛(112) 및 제2 안착유닛(114)은 각각 적층되는 피대상물의 적층홈에 삽입되어 상기 적층되는 피대상물과 고정되기 위한 제1 적층돌기(113) 및 제2 적층돌기(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층돌기(113)는 제1 안착유닛(112)의 제1 투입공간(S2)을 규정하는 외벽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적층돌기(115)는 제2 안착유닛(114)의 제2 투입공간(S3)을 규정하는 외벽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적층돌기(113)는 상기 제1 안착유닛(112)의 적어도 2이상의 외벽의 상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적층돌기(115)는 상기 제2 안착유닛(114)의 적어도 2이상의 외벽의 상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100)을 평면상에 복수개 배치시키는 경우 하나의 식생블록(100)의 제1 적층돌기(113)와 이웃하는 식생블록의 제2 적층돌기는 "Y"자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유닛(112)은 제1 적층돌기(113) 및 상기 제2 적층돌기(115)와 함께 제1 적층홈(116) 및 제2 적층홈(117)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적층홈(116)은 상기 제1 투입공간(S2)을 규정하는 상기 제1 안착유닛(112)의 외벽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적층홈(117)은 상기 제2 투입공간(S3)을 규정하는 상기 제2 안착유닛(114)의 외벽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적층홈(116)은 상기 제1 안착유닛(112)의 적어도 2이상의 외벽의 하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적층홈(117)은 상기 제2 안착유닛(114)의 적어도 2이상의 외벽의 하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적층홈(116) 및 상기 제2 적층홈(117)이 형성되는 안착유닛(110)의 외벽은 상기 제1 적층돌기(113) 및 상기 제2 적층돌기(115)가 형성되는 상기 안착유닛(110)의 외벽과 상이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100)을 복수개 연결하는 경우 구조성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식재유닛(120)은 내부에 식재공간(S1)을 구비하도록 안착유닛(110)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착유닛(112) 및 상기 제2 안착유닛(114)과 마찬가지로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또는 수평으로의 단면은 다각형의 일종인 육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재공간(S1)은 상기 식재유닛(120)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의 제한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에 제공되는 제1 마감유닛을 도시한 개략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에 제공되는 제2 마감유닛을 도시한 개략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식생블록 조립체(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식생블록(100)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배치되는 상기 식생블록(100)의 갯수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두개의 단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압축강도 210 ㎏f/㎠ 이상이고 흡수율이 7% 이내의 재질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100)을 복수개 제조한다.
그리고, 1단 설치시 상기 식생블록(100)의 편심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기초위에 20㎜ 정도의 모르타르를 치고 굳기 전에 상기 식생블록(100)을 원하는 길이만큼 설치를 한다.
이후에는 1단을 구성하는 제1 식생블록(100)과 제2 식생블록(100) 사이 사이에 다른 식생블록(100)을 배치시키고, 이 때 상기 제1 식생블록(100)의 제2 적층돌기(115)와 상기 제2 식생블록(100)의 제1 적층돌기(113)를 상기 다른 식생블록(100)의 제1 적층홈(116)과 제2 적층홈(117)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1단을 구성하는 식생블록(100)과 2단을 구성하는 식생블록(100)은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구조물 없이 상기 제1 적층돌기(113), 제2 적층돌기(115), 제1 적층홈(116) 및 제2 적층홈(117)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립화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고정구조물이 요구되지 않아 시공성을 용이하게 하고 공기단축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1단을 구성하는 식생블록(100)과 2단을 구성하는 식생블록(100)의 접합 면적이 증가되어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단 형태의 식생블록 조립체(10)가 조립되면, 1단을 구성하는 식생블록(100)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제1 마감유닛(130) 및 제2 마감유닛(140)을 안착시킨다.
여기서, 1단을 구성하는 식생블록(100) 중 일측단 및 타측단에 배치되는 식생블록(100)을 제3 식생블록(100) 및 제4 식생블록(100)이라고 하면, 상기 제1 마감유닛(130)은 상기 제3 식생블록(100)의 제1 안착유닛(112)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감유닛(140)은 상기 제4 식생블록(100)의 제2 안착유닛(114)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마감유닛(130) 및 상기 제2 마감유닛(140)은 각각 상기 제3 식생블록(100)의 제2 안착유닛(114) 및 상기 제4 식생블록(100)의 제1 안착유닛(112)과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에는 각각의 식생블록(100)의 제1 투입공간(S2) 및 제2 투입공간(S3)에 배수가 용이하고 8㎜ 이하의 골재를 투입시켜 상기 식생블록이 전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골재의 투입 시점은 상기 식생블록(100)의 적층 이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층과 동시에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이후에는, 식재공간(S1)의 바닥벽에 배수공간을 형성하고 씨앗을 뿌린 뒤 흙을 덮어 모든 과정을 완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에 제공되는 덮개유닛을 도시한 개략 저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20)는 덮개유닛(250)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1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덮개유닛(25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덮개유닛(250)은 식생블록(200)의 일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일 방향을 덮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식생블록(200)의 제1 투입공간(S2) 및 제2 투입공간(S3)을 덮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유닛(250)은 2단을 구성하는 제5 식생블록(200)의 제2 적층돌기와 제6 식생블록(200)의 제1 적층돌기가 동시에 삽입되는 제3 적층홈(252)을 구비할 수 있으며, "Y"자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유닛(250)은 식재공간(S1)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투입공간(S2) 및 제2 투입공간(S3)을 덮어 골재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식재블록 조립체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덮개유닛(250)은 반드시 "Y"자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상기 식생블록(200)의 제1 투입공간(S2) 및 제2 투입공간(S3)을 덮어 투입된 골재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는 형상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30)는 2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1단을 구성하는 식생블록(300)은 단일개일 수 있다.
상기 식생블록 조립체(30)는 식생블록(300)의 제1 안착유닛(312)에 안착되는 제1 마감유닛(330) 및 제2 안착유닛(314)에 안착되는 제2 마감유닛(3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마감유닛(330) 및 상기 제2 마감유닛(340)의 상측에는 덮개유닛(35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마감유닛(330) 및 상기 제2 마감유닛(340)은 각각 상기 제2 안착유닛(314) 및 상기 제1 안착유닛(312)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식생블록 조립체(30)는 적층되는 상기 제1 마감유닛(330) 및 상기 제2 마감유닛(340)의 수에 따라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생블록 조립체(30)는 식물 크기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40)는 적층되는 식생블록(400)의 갯수를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1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적층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2단의 식생블록 조립체(10)가 완료되면, 2단을 구성하는 식생블록(400) 사이사이에 동일한 식생블록(400)을 배치 고정시키고, 반복적으로 단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제1 마감유닛(430) 및 제2 마감유닛(440)은 짝수번째 단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배치 고정될 수 있으며, 단의 증가에 따른 상기 일측단 및 상기 타측단에 배치 고정되는 마감유닛은 일정한 것이 아니라 제1 마감유닛(430)과 제2 마감유닛(440)이 교대로 정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40)는 전체적으로 주상절리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50)는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40)에 덮개유닛(550)이 추가된 실시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70)는 펜스 기둥(X)의 기초 콘크리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펜스 기둥(X)은 제1 마감유닛(730) 및 제2 마감유닛(74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마감유닛(730)은 일측단에 배치되는 식생블록(700)의 제1 안착유닛(712)의 제1 투입공간(S2)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고정부(73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감유닛(740)은 타측단에 배치되는 식생블록(700)의 제2 안착유닛(714)의 제2 투입공간(S3)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고정부(74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고정부(738)와 상기 제1 투입공간(S2), 상기 제2 삽입고정부(748)와 상기 제2 투입공간(S3)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삽입고정부(738) 및 상기 제2 삽입고정부(748)에 의해 펜스 기둥(X)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7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적층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펜스(Y)의 높이 및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70)는 덮개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 내지 제1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800)은 평면도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단면이 다각형인 육각형을 이룰 수 있으며, 제1 안착유닛(812), 제2 안착유닛(814) 및 식재유닛(820)은 평면도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단면이 서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900)은 내부가 꽉 찬 제1 안착유닛(912) 및 제2 안착유닛(914)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1000)의 식재공간(S1)을 규정하는 외벽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1100)의 제1 안착유닛(1112), 제2 안착유닛(1114) 및 식재유닛(112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안착유닛(1112), 상기 제2 안착유닛(1114) 및 상기 식재유닛(1120)의 평면도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착유닛(1112)과 상기 제2 안착유닛(1114)은 안착유닛(1110)을 양분하는 제1 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1200)은 평면도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단면이 "T"자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생블록(1200)의 제1 안착유닛(1212), 제2 안착유닛(1214) 및 식재유닛(1220)의 평면도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단면은 다각형인 사각형일 수 있으며,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육각형을 포함한 모든 다각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1300)은 제1 안착유닛(1312) 및 제2 안착유닛(1314)을 포함하는 안착유닛(1310), 식재공간(S1)을 제공하는 식재유닛(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착유닛(1312) 및 제2 안착유닛(1314)은 각각 적층되는 피대상물의 적층홈에 삽입되어 상기 적층되는 피대상물과 고정되기 위한 제1 적층돌기(1313) 및 제2 적층돌기(13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층돌기(1313)는 제1 안착유닛(1312)의 제1 투입공간(S2)을 규정하는 외벽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적층돌기(1315)는 제2 안착유닛(1314)의 제2 투입공간(S3)을 규정하는 외벽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적층돌기(1313)는 상기 제1 안착유닛(1312)의 외벽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적층돌기(1315)는 상기 제2 안착유닛(1314)의 외벽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적층돌기(1313) 및 상기 제2 적층돌기(1315)는 전체적으로 톱니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적층돌기(1313) 및 상기 제2 적층돌기(1315)는 반드시 외벽과 대응되도록 돌출될 필요는 없으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변형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유닛(1310)은 제1 적층돌기(1313) 및 상기 제2 적층돌기(1315)와 함께 제1 적층홈(미도시) 및 제2 적층홈(1317)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적층홈은 상기 제1 투입공간(S2)을 규정하는 상기 제1 안착유닛(1312)의 외벽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적층홈(1317)은 상기 제2 투입공간(S3)을 규정하는 상기 제2 안착유닛(1314)의 외벽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유닛(1310)은 식재유닛(13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식재공간(S1)에 식생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에 제공되는 제1 마감유닛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1400)는 다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1단을 구성하는 식생블록(130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1300)일 수 있다.
상기 식생블록 조립체(1400)는 식생블록(1300)의 제1 안착유닛(1312)에 안착되는 제1 마감유닛(1330) 및 제2 안착유닛(1314)에 안착되는 제2 마감유닛(13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마감유닛(1330) 및 상기 제2 마감유닛(1340)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생블록 조립체(1400)는 적층되는 상기 제1 마감유닛(1330) 및 상기 제2 마감유닛(1340)의 수에 따라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생블록 조립체(1400)는 식물 크기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에 제공되는 덮개유닛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1500)는 도 21 및 도 2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1400)에 덮개유닛(1550)이 추가된 실시예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에 의한 다양한 구조의 식생블록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식생블록(1300)을 동일 평면상에 1단으로 배치하여 높이가 낮은 식생블록 조립체(1600)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26을 참조하면, 식생블록 조립체(1700)는 복수의 단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7을 참조하면, 식생블록 조립체(1800)는 덮개유닛(18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8을 참조하면, 대략 원형 형상의 식생블록 조립체(1900)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즉, 펜스 기둥(X)의 기초 콘크리트로 사용될 수 있는 식생블록 조립체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 조립체(7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앞선 실시예 모두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상측에 배치되는 제1 마감유닛(730) 및 제2 마감유닛(740)은 그라우트로 보강될 수 있다.
100: 식생블록
110: 안착유닛
120: 식재유닛
10: 식생블록 조립체

Claims (8)

  1. 하나의 외벽을 공유한 채 상기 외벽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1 안착유닛 및 제2 안착유닛을 구비하며, 적층되는 피대상물이 안착되거나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유닛; 및
    내부에 식재공간을 구비하도록 상기 제1 안착유닛 및 상기 제2 안착유닛의 각각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식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식재공간은 상기 외벽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안착유닛과 다른 안착유닛이 서로 인접하게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의 식재공간이 상기 안착유닛의 외측으로 전부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안착유닛은 상기 제1 안착유닛을 구성하는 외벽 중 상기 제2 안착유닛과 공유하는 외벽을 제외한 적어도 2 이상의 외벽의 상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적층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안착유닛은 상기 제2 안착유닛을 구성하는 외벽 중 상기 제1 안착유닛과 공유하는 외벽을 제외한 적어도 2 이상의 외벽의 상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적층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유닛 및 상기 제2 안착유닛은 각각을 구성하는 외벽 중 서로 공유하는 외벽을 포함한 적어도 2 이상의 외벽의 하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적층홈 및 제2 적층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적층홈 및 상기 제2 적층홈은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의 제1 적층돌기 및 적층을 위한 다른 피대상물의 제2 적층돌기가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 및 상기 적층을 위한 다른 피대상물에 고정되는 식생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유닛 및 상기 제2 안착유닛은 상기 적층되는 피대상물이 안착되거나 상기 적층을 위한 피대상물에 안착되는 경우 각각 골재가 투입되도록 하는 제1 투입공간 및 제2 투입공간을 구비하는 식생블록.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생블록; 및
    상기 제1 안착유닛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안착유닛과 형상이 동일한 제1 마감유닛 또는 상기 제2 안착유닛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안착유닛과 형상이 동일한 제2 마감유닛;을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유닛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안착유닛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마감유닛을 상기 제1 안착유닛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제1 삽입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마감유닛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안착유닛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마감유닛을 상기 제2 안착유닛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제2 삽입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생블록;
    상기 식생블록을 제1 식생블록이라 하는 경우 상기 제1 식생블록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거나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식생블록과 형상이 동일한 제2 식생블록; 및
    상기 제1 식생블록의 제1 안착유닛에 안착되는 제1 마감유닛 또는 상기 제2 식생블록의 제2 안착유닛에 안착되는 제2 마감유닛;을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
  8.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생블록; 및
    상기 식생블록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안착유닛 및 상기 제2 안착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덮개유닛;을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
KR1020130022613A 2013-03-04 2013-03-04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 KR101296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613A KR101296477B1 (ko) 2013-03-04 2013-03-04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613A KR101296477B1 (ko) 2013-03-04 2013-03-04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477B1 true KR101296477B1 (ko) 2013-08-13

Family

ID=4922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613A KR101296477B1 (ko) 2013-03-04 2013-03-04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4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586A (ja) * 1994-02-23 1995-09-05 Natl House Ind Co Ltd 建設用ブロック
JPH08311889A (ja) * 1995-05-17 1996-11-26 Paritei Jipangu:Kk 可撓連結型擁壁ブロック
KR100322868B1 (ko) * 1999-08-25 2002-02-08 김인희 생태 안정화 블록
KR200455472Y1 (ko) * 2008-12-23 2011-09-06 이용천 식생 보호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586A (ja) * 1994-02-23 1995-09-05 Natl House Ind Co Ltd 建設用ブロック
JPH08311889A (ja) * 1995-05-17 1996-11-26 Paritei Jipangu:Kk 可撓連結型擁壁ブロック
KR100322868B1 (ko) * 1999-08-25 2002-02-08 김인희 생태 안정화 블록
KR200455472Y1 (ko) * 2008-12-23 2011-09-06 이용천 식생 보호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12B1 (ko) 그리드 보강재와 강봉이 설치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JP6343727B1 (ja) 自立式擁壁及び連結ブロック
KR100990517B1 (ko)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US8104996B2 (en) Two-shell structural system for constructing plantable steep embankments formed from several layers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US20200308825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Multi-Stage Block Wall
KR101296477B1 (ko) 식생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식생블록 조립체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0636085B1 (ko) 조립식 옹벽 구조체
JP6335029B2 (ja) 基礎構造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1569789B1 (ko) 조립식 토목 블록
KR102100590B1 (ko)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KR20150019110A (ko) 경사면용 계단식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603920B1 (ko)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
JP2014001501A (ja) 基礎構造体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KR200235107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5620850B2 (ja) 雨水等貯留浸透設備
KR102006630B1 (ko) 전통 담장 보강용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전통 담장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19112B1 (ko) 사면안정 격자구조물
KR100989945B1 (ko) 블록파일체에 의한 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