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225B1 -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225B1
KR101296225B1 KR1020110121338A KR20110121338A KR101296225B1 KR 101296225 B1 KR101296225 B1 KR 101296225B1 KR 1020110121338 A KR1020110121338 A KR 1020110121338A KR 20110121338 A KR20110121338 A KR 20110121338A KR 101296225 B1 KR101296225 B1 KR 101296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pet film
fabric
liquid silicon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5749A (ko
Inventor
김창운
김희영
권준일
Original Assignee
김창운
권준일
김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운, 권준일, 김희영 filed Critical 김창운
Priority to KR102011012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2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with halides or oxyhalides of silicon; with fluorosilic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4Polyamides
    • D06M2101/36Aromatic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10B233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aromatic polyamides, e.g. ar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2Alike front and back 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망사나 이와 유사한 익조직 평직원단 또는 니트원단 등과 같은 원단에 액상 실리콘을 코팅할 때 원단 조직에 직접 액상 실리콘을 코팅하여 원단 조직에 공간 없이 액상 실리콘이 스며들도록 하여 제품의 마찰견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PET 필름(1)을 물과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배합 세제액에 통과시켜 전처리하는 제 1 단계와, 전처리과정을 마친 PET 필름(1) 위에 설정된 두께로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제 2 단계와,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을 합포하는 제 3 단계와, 섬유원단(2)에 합포된 PET 필름(1)만을 분리하는 제 4 단계 및 일면에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섬유원단(2)의 이면에 액상 실리콘을 설정된 두께로 도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 및 이를 위한 시스템{FABRIC ON BOTH SIDES OF THE PROTECTIVE FILM TO FORM A TEXTILE FABRIC AND MANUFACTURED BY THEM AND THEIR SYSTEM FOR}
본 발명은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라미드, 유리섬유 등과 같이 그물모양으로 성글게 제작된 망사나 이와 유사한 익조직 평직원단 또는 니트원단 등과 같은 섬유원단의 양면에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으로 보호피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실리콘이 코팅된 제품 중에서 양면에 실리콘이 코팅된 제품은 프레스 또는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생산된 폭이 1m도 안되는 제품만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에는 망사 또는 이와 유사한 익조직 평직원단 또는 니트원단의 양면에 실리콘을 코팅하기 위해, PU(Poly Urethan) 생산공정상 작업자는 RP라는 이행성을 갖는 종이 롤 위에 콤마나이프로 표면층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1 차 건조시키게 된다. 1 차 건조한 다음 작업자는 콤마나이프로 종이 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위에 망사 또는 이와 유사한 익조직 평직원단이나 니트원단을 합포한 후 2 차 건조시키게 된다. 2 차 건조한 다음 작업자는 종이와 함께 코팅된 원단을 권취하여 원단 박리기로 권취된 원단과 종이를 각각 박리 권취하여 한 면이 코팅된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이렇게 박리된 코팅원단의 반대면을 다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같은 공정을 거쳐 양면이 코팅된 제품을 완성한다.
이때 작업자는 박리지로 사용되는 종이를 대신하여 불소 코팅된 PEPT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원단의 양면을 코팅할 때 박리지로 사용되는 RP 또는 불소 코팅된 PEPT 필름이 고가이므로 제품가격이 올라가게 된다. 특히 위와 같은 방법으로 원단의 양면을 코팅하는 경우 원단의 각 면을 코팅할 때마다 고가의 RP 또는 불소 코팅된 PEPT 필름을 사용해야 하므로 제품 생산원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00670호(2005. 01. 06. 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10-0724245호(2007. 05. 31. 등록공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07-0052096호(2007. 05. 21. 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10-0683245호(2007. 02. 16. 등록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0755406호(2007. 09. 05. 등록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망사나 이와 유사한 익조직 평직원단 또는 니트원단 등과 같은 원단에 액상 실리콘을 코팅할 때 원단 조직에 직접 액상 실리콘을 코팅하여 원단 조직에 공간 없이 액상 실리콘이 스며들도록 하여 제품의 마찰견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원단의 양면에 액상 실리콘 코팅시 고가의 RP 또는 불소 코팅된 PEPT 필름을 대신하여 PET 필름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섬유원단의 일면에 액상 실리콘을 코팅하는 공정에서만 PET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제품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PET 필름을 물과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배합 세제액에 통과시켜 전처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전처리과정을 마친 PET 필름 위에 설정된 두께로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제 2 단계; 상기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PET 필름과 섬유원단을 합포하는 제 3 단계; 상기 섬유원단에 합포된 PET 필름만을 분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일면에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섬유원단의 이면에 액상 실리콘을 설정된 두께로 도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합 세제액은 물과 계면활성제가 100 : 1∼5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액으로 한다.
상기 배합 세정액을 통과한 상기 PET 필름은 열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PET 필름은 코로나 처리되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PET 필름과 합포된 상기 섬유원단은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액상 실리콘으로는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이나 상기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에 안료나 바이오세라믹 파우더, 토르마린, 비스므트, 카본, 니켈 파우더 중 하나가 혼합된 것이 용도에 따라 특성을 부여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ET 필름 및 상기 섬유원단은 동력원에 의해 2∼5 m/min의 속도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섬유원단은 망사, 익조직 평직원단, 니트원단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는 액상 실리콘은 그의 두께가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반복해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물과 계면 활성제가 혼합된 배합 세제액이 수용되고 PET 필름이 수용된 배합 세제액을 통과하는 액상 수조와, 상기 배합 세제액을 통과한 상기 PET 필름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기를 구비한 전처리부; 콤마나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PET 필름에 설정된 두께로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제 1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 상기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PET 필름과 공급 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섬유원단을 한 쌍의 지지롤러와 고무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섬유원단에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PET 필름을 합포시키는 합포기; 상기 섬유원단에 합포된 PET 필름만을 분리하는 박리기; 및 상기 PET 필름이 분리된 섬유원단의 이면에 콤마나이프를 이용하여 설정된 두께로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제 2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합 세제액으로는 물과 계면 활성제가 100 : 1∼5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를 위한 상기 PET 필름은 코로나 처리되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합포기에서 PET 필름과 합포된 섬유원단을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제 1 원적외선 건조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차 실리콘 도포기에서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섬유원단을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제 2 원적외선 건조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PET 필름 및 상기 섬유원단은 동력원에 의해 2∼5 m/min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실리콘으로는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이나 상기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에 안료나 바이오세라믹 파우더, 토르마린, 비스므트, 카본, 니켈 파우더 중 하나가 혼합된 것이 용도에 따라 특성을 부여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섬유원단으로는 망사, 익조직 평직원단, 니트원단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망사나 이와 유사한 익조직 평직원단 또는 니트원단 등과 같은 원단에 액상 실리콘을 코팅할 때 원단 조직에 직접 액상 실리콘을 코팅하여 원단 조직에 공간 없이 액상 실리콘이 스며들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마찰견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원단의 양면에 액상 실리콘 코팅시 고가의 RP 또는 불소 코팅된 PEPT 필름을 대신하여 PET 필름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섬유원단의 일면에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이나 상기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에 안료나 바이오세라믹 파우더, 토르마린, 비스므트, 카본, 니켈 파우더 중 하나가 혼합된 액상 실리콘을 용도에 따라 특성을 부여하여 선택적으로 코팅하는 공정에서만 PET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제품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 중 섬유원단(2)의 일면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시스템 전반부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 중 섬유원단(2)의 다른 일면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시스템 후반부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 중 섬유원단(2)의 다른 일면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시스템 후반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사, 익조직 평직원단, 니트원단 등과 같은 섬유원단(2)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 즉, 액상 실리콘을 코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21)와, 합포기(24), 제 1 원적외선 건조기(28), 박리기(34), 제 2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40), 제 2 원적외선 건조기(49), 권취기(5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는 도 3에서와 같이 제 3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40a)와 제 2 원적외선 건조기(49a)를 하나 더 구비하거나 혹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수 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구성요소와 함께 제 1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21)에 공급되는 PET 필름(1)을 전처리하기 위한 전처리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전처리부는 섬유원단(2)과 PET 필름(1)이 합포되었을 때 PET 필름(1)을 섬유원단(2)에 코팅된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이나 이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에 안료나 바이오세라믹 파우더, 토르마린, 비스므트, 카본, 니켈 파우더 등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용도에 따라 특성을 부여한 액상 실리콘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PET 필름(1)의 전처리를 위해, 지지대(11) 상단에 위치한 공급 롤러(12)는 배합 세제액이 담겨진 액상 수조(13)에 PET 필름(1)을 공급한다. 이때 PET 필름(1)은 액상 수조(13)의 배합 세제액에 잠겨진 상태로 통과하거나 배합 세제액이 담겨진 액상 수조(13)에 잠긴 상태로 역회전하는 롤러(14)에 의해 배합 세제액이 도포되게 된다.
상기 액상 수조(13)에는 물과 계면 활성제가 100 : 1∼5의 비율로 혼합된 배합 세제액이 담겨져 있다.
상기 액상 수조(13)의 상부에는 PET 필름(1)을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롤러(1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롤러(14)는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15)으로부터 벨트나 체인 등과 같은 동력 전달수단을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아 PET 필름(1)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급 롤러(12)로부터 공급되는 PET 필름(1)에 액상 수조(13)의 배합 세제액을 도포하게 된다.
여기서 PET 필름(1)은 0.05 mm 이상의 필름으로서 액상 수조(13)의 배합 세제액을 통과하기 전, 다시 말해 공급 롤러(12)에 감겨지기 전에 코로나 처리되어, 코로나 처리된 면에 혼합된 배합 세제액을 묻혀 겉면이 되도록 공급 롤러(12)에 감겨진다.
상기 액상 수조(13)에 담겨진 배합 세제액을 경유한 PET 필름(1)은 가이드 핀(18a)(18b)을 타고 열풍 건조기(16)를 통과하면서 건조되는데, 이때 배합 세제액이 묻은 PET 필름(1)을 건조시키기 위해, 열풍 건조기(16)의 일측에는 열풍 건조기(16) 내로 80∼150℃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풍 건조기(16)는 열풍의 원활한 순환과 PET 필름(1)으로부터 증발된 수증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열풍 건조기(16)의 하단부에 열풍기(17)가 설치되고, 열풍 건조기(16)의 상단부에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며, 나머지 부분은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 건조기(16)를 통과하면서 전처리 과정을 마친 PET 필름(1)이 지지대(11)의 가이드 롤러(19)와 가이드 핀(20a)(20b)(20c)(20d)을 타고 이송되는 제 1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21)는 PET 필름(1)의 일면, 즉 전처리 과정을 거친 면에 액상 실리콘을 설정된 두께로 도포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 1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21)는 PET 필름(1)에 액상 실리콘을 설정된 두께로 도포하는 콤마 나이프(23)와 PET 필름(1)을 일정 속도로 이송시키는 지지 롤러(22)가 상하로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며, 콤마 나이프(23)와 지지 롤러(22) 사이를 통과하는 PET 필름(1)의 일면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21a)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이 체인이나 벨트, 폴리 등과 같은 동력 전달수단(21b)을 통해 PET 필름(1)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 롤러(22)에 전달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PET 필름(1)은 지지 롤러(22) 즉, 동력원(21a)의 동력에 의해 액상 실리콘으로 보호피막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일정한 속도로 강제 이송된다.
이때 동력원(21a)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PET 필름(1)의 이송속도는 2∼5 m/min가 바람직한데, 이는 액상 실리콘의 점도나 도포되는 실리콘의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PET 필름(1)과 이하에서 설명될 섬유원단(2)을 이송시키는 모든 동력원(15)(21a)(37)(52)은 동기되어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을 정해진 속도로 이송시켜야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박리기(34) 이전의 장치와 제 2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40) 이후의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의 이송속도에 차이가 있어도 무방하나, 모든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송속도가 동일하게 일치되어야 한다.
상기 합포기(24)는 PET 필름(1)과 공급 롤러(2a)로부터 공급되는 섬유원단(2)을 합포하는 장치이다. 합포기(24)는 한 쌍을 이루는 고무 롤러(26)와 지지 롤러(25)가 상하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고무 롤러(26)와 지지 롤러(25) 사이로는 제 1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21)에서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PET 필름(1)과 공급 롤러(2a)로부터 공급되는 섬유원단(2)이 공급된다.
이때 PET 필름(1) 위에 섬유원단(2)이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PET 필름(1) 위의 액상 실리콘이 섬유원단(2)과 맞닿도록 배열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고무 롤러(26)의 상부에 두께 조절용 핸들(2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지지 롤러(25)와 고무 롤러(26) 사이의 간격, 다시 말해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여 합포되는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1 원적외선 건조기(28)는 합포기(24)에서 합포된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을 120∼150℃의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제 1 원적외선 건조기(28)는 합포된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을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28a)와, 이송 롤러(28a)를 타고 이송되는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다수의 원적외선 히터(29), 다수의 원적외선 히터(29)를 구비하고 다수의 원적외선 히터(29)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용 커버(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원적외선 건조기(28)의 후단에는 제 1 원적외선 건조기(28)에서 원적외선 건조되는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을 잡아주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이송 롤러(33)와, 원적외선 건조되는 과정에서 가열된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을 냉각시키기 위한 한 쌍의 냉각 롤러(33a)(33b)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냉각 롤러(33a)(33b)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냉각수단을 구비하고, 이송 롤러(33)는 도시되지 않는 동력원에 연결되어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을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한다.
상기 박리기(34)는 합포기(24)에 의해 합포된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다시 말해, 박리기(34)는 섬유원단(2)으로부터 PET 필름(1)을 분리하는데, 이때 PET 필름(1)에 도포되어 있던 액상 실리콘은 섬유원단(2)의 일면에 붙여있게 된다.
박리과정에서 생성된 PET 필름(1)은 PET 필름 권취용 롤러(36)에 감겨지고, 섬유원단(2)은 섬유원단 권취용 롤러(35)에 감겨진다. 이때 PET 필름 권취용 롤러(36)와 섬유원단 권취용 롤러(35)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37)으로부터 체인이나 벨트 등과 같은 동력 전달수단(37a)(37b)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을 권취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ET 필름(1)으로부터 분리된 섬유원단(2)을 별도의 섬유원단 권취용 롤러(35)에 권취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PET 필름(1)으로부터 분리된 섬유원단(2)을 이후에 설명될 제 2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40)에 바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박리기(34)에서의 박리과정을 통해 PET 필름(1)으로부터 분리된 섬유원단(2)이 직접 혹은 공급롤러(38)에 감겨진 상태에서 가이드 롤러(39)와 가이드 핀(39a)(39b)(39c)(39d)(39e)을 타고 이송되는 제 2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40)는 섬유원단(2)의 이면, 즉 액상 실리콘이 도포되지 않은 면에 액상 실리콘을 설정된 두께로 도포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 2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40)는 섬유원단(2)에 액상 실리콘을 설정된 두께로 도포하는 콤마 나이프(42)와 섬유원단(2)을 일정 속도로 이송시키는 지지 롤러(41)가 상하로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며, 콤마 나이프(42)와 지지 롤러(41) 사이를 경유하는 섬유원단(2)의 이면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원적외선 건조기(49)는 제 2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40)에서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섬유원단(2)을 120∼150℃의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제 2 원적외선 건조기(49)는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섬유원단(2)을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48)와, 이송 롤러(48)를 타고 이송되는 섬유원단(2)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 히터(44), 원적외선 히터(44)가 설치되어 있고 열의 손실을 막기 위한 단열용 커버(4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원적외선 건조기(49)의 후단에는 제 2 원적외선 건조기(49)에서 원적외선 건조되는 과정에서 가열된 섬유원단(2)을 냉각시키기 위한 한 쌍의 냉각 롤러(50a)(50b)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냉각 롤러(50a)(50b)는 도시되지 않은 냉각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권취기(53)는 제 2 원적외선 건조기(49)에서 원적외선 건조된 섬유원단(2)을 권취하는 장치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양면에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섬유원단(2)은 가이드 핀(54a)(54b)(54c)(54d)을 타고 이송되어 섬유원단 권취용 롤러(51)에 감겨진다. 이때 섬유원단 권취용 롤러(51)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52)으로부터 체인이나 벨트 등과 같은 동력 전달수단(52a)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섬유원단(2)을 권취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섬유원단의 양면에 실리콘 등과 같은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PET 필름(1), 즉 코로나 처리된 PET 필름(1)을 물과 계면 활성제가 100 : 1∼5의 비율로 혼합된 배합 세제액에 통과시킨 후 80∼150℃의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전처리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전처리 과정을 마친 작업자는 PET 필름(1)을 제 1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21)에 공급하여 PET 필름(1)의 일면에 설정된 두께의 실리콘을 도포한 후 합포기(24)에서 섬유원단(2)과 합포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합포과정을 마친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은 제 1 원적외선 건조기(28)에서 80∼150℃의 원적외선에 의해 건조된 후 한 쌍의 냉각 롤러(33a)(33b)에 의해 냉각되게 된다.
위의 합포과정과 원적외선 건조과정에서 PET 필름(1)에 도포되어 있던 액상 실리콘은 섬유원단(2)의 일면에 부착되게 된다. 그리고 박리기(34)에서 섬유원단(2)의 액상 실리콘으로부터 PET 필름(2)만을 분리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섬유원단(2)의 일면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한 후 작업자는 해당 섬유원단(2)을 제 2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40)에 공급하여 섬유원단(2)의 이면에 설정된 두께로 액상 실리콘은 도포하고, 이를 제 2 원적외선 건조기(49)에서 80∼150℃의 원적외선에 의해 건조시킨 후 한 쌍의 냉각 롤러(50a)(50b)로 냉각하여 권취하게 된다.
위와 같이 섬유원단(1)의 양면에 액상 실리콘으로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보호피막의 두께가 얇은 경우, 도3에서와 같이 제 2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40)에 의한 액상 실리콘 도포과정과 제 2 원적외선 건조기(49)에 의한 원적외선 건조과정을 한 차례 수행한 후 제 3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40a)에 의한 액상 실리콘 도포과정과 제 3 원적외선 건조기(49a)에 의한 원적외선 건조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두께의 보호피막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액상 실리콘 도포기와 원적외선 건조기를 2개 혹은 그 이상도 설치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PET 필름 2 : 섬유원단
11 : 지지대 12, 38 : 공급 롤러
13 : 액상 수조 14, 33, 46 : 이송 롤러
15, 21a, 37, 52 : 동력원 15a, 21b, 37a, 52a : 동력 전달수단
16 : 열풍 건조기 17 : 열풍기
18a, 18b, 20a∼20d, 39a∼39e, 54a∼54c : 가이드 핀
19, 54 : 가이드 롤러 21 : 제 1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
22, 25 : 지지 롤러 23, 42 : 콤마 나이프
24 : 합포기 26 : 고무 롤러
27 : 두께 조절용 핸들 28 : 제 1 원적외선 건조기
28 : 이송 롤러 29, 44 : 원적외선 히터
30, 45 : 단열용 커버 33a, 33b, 50a, 50b : 냉각 롤러
34 : 박리기 35, 51 : 섬유원단 권취용 롤러
36 : PET 필름 권취용 롤러 40 : 제 2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
40a : 제 3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 49 : 제 2 원적외선 건조기
49a : 제 3 원적외선 건조기 53 : 권취기

Claims (18)

  1. 양면으로 보호 피막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코로나 처리되어 공급되는 PET 필름(1)을 물과 계면활성제가 100 : 1∼5의 비율로 혼합된 배합 세제액에 통과시켜 전처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전처리과정을 마친 PET 필름(1) 위에 설정된 두께로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제 2 단계;
    상기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PET 필름(1)과 섬유원단(2)을 합포하는 제 3 단계;
    상기 섬유원단(2)에 합포된 PET 필름(1)만을 분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4단계 공정을 통하여 PET 필름(1)이 분리된 섬유원단(2)의 이면에 액상 실리콘을 설정된 두께로 도포하는 제 5 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 세정액을 통과한 상기 PET 필름(1)을 80~150℃의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PET 필름(1)과 합포된 상기 섬유원단(2)을 120~150℃ 범위의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실리콘은 부가형 가열 경화형 액상 실리콘이나 상기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에 안료나 바이오세라믹 파우더, 토르마린, 비스므트, 카본, 니켈 파우더 중 하나가 혼합된 것이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ET 필름(1) 및 상기 섬유원단(2)은 동력원에 의해 2∼5 m/min의 속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원단(2)은 망사, 익조직 평직원단, 니트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원단(2)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된 액상 실리콘이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액상 실리콘을 반복해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섬유원단의 양면으로 보호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물과 계면 활성제가 100 : 1∼5의 비율로 혼합된 배합 세제액이 수용되고 코로나 처리되어 공급되는 PET 필름(1)이 수용된 배합 세제액을 통과하는 액상 수조(13)와, 상기 배합 세제액을 통과한 상기 PET 필름(1)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기(17)를 구비한 전처리부;
    콤마나이프(23)를 이용하여 상기 PET 필름(1)에 설정된 두께로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제 1 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21);
    상기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PET 필름(1)과 공급 롤러(2a)로부터 공급되는 섬유원단(2)을 한 쌍의 지지롤러(25)와 고무롤러(26) 사이로 통과시켜 섬유원단(2)에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PET 필름(1)을 합포시키는 합포기(24);
    상기 섬유원단(2)에 합포된 PET 필름(1)만을 분리하는 박리기(34); 및
    상기 PET 필름(1)이 분리된 섬유원단(2)의 이면에 콤마나이프(42)를 이용하여 설정된 두께로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는 제2차 액상 실리콘 도포기(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합포기(24)에서 PET 필름(1)과 합포된 섬유원단(2)을 120~150℃ 범위의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제 1 원적외선 건조기(2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 실리콘 도포기(40)에서 액상 실리콘이 도포된 섬유원단(2)을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제 2 원적외선 건조기(4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PET 필름(1) 및 상기 섬유원단(2)은 동력원에 의해 2∼5 m/min의 속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실리콘은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이나 상기 부가형 가열경화형 액상 실리콘에 안료나 바이오세라믹 파우더, 토르마린, 비스므트, 카본, 니켈 파우더 중 하나가 혼합된 것이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시스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원단(2)은 망사, 익조직 평직원단, 니트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시스템.
KR1020110121338A 2011-11-21 2011-11-21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296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338A KR101296225B1 (ko) 2011-11-21 2011-11-21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338A KR101296225B1 (ko) 2011-11-21 2011-11-21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749A KR20130055749A (ko) 2013-05-29
KR101296225B1 true KR101296225B1 (ko) 2013-08-13

Family

ID=4866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338A KR101296225B1 (ko) 2011-11-21 2011-11-21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848B1 (ko) * 2021-10-08 2022-04-11 에이치비페이퍼 주식회사 웹종이 코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318B1 (ko) * 2018-10-15 2019-03-18 정재필 실리콘 코팅 원단의 제조 방법
KR102382849B1 (ko) * 2021-10-08 2022-04-11 에이치비페이퍼 주식회사 웹종이 코팅장치
KR102358580B1 (ko) * 2021-10-08 2022-02-09 에이치비페이퍼 주식회사 웹종이 코팅장치
CN114908493B (zh) * 2022-06-13 2022-12-27 广州海天塑胶有限公司 一种复合汽车内饰件用释放负离子材料的制备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245B1 (ko) * 2005-03-28 2007-05-31 김창인 실리콘 전면균일도포 광폭원단 연속 생산방법 발명.
KR100842362B1 (ko) * 2007-01-29 2008-06-30 동방화성 주식회사 합포섬유의 제조방법
KR20090025334A (ko) * 2006-06-16 2009-03-10 히라마츠산교가부시키가이샤 직포의 수지 가공에 사용하는 닥터 블레이드 및 그것을 사용한 수지 가공법
KR20100136052A (ko) * 2009-06-18 2010-12-28 영풍화성(주) 간접 도포방식에 의한 코팅 편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245B1 (ko) * 2005-03-28 2007-05-31 김창인 실리콘 전면균일도포 광폭원단 연속 생산방법 발명.
KR20090025334A (ko) * 2006-06-16 2009-03-10 히라마츠산교가부시키가이샤 직포의 수지 가공에 사용하는 닥터 블레이드 및 그것을 사용한 수지 가공법
KR100842362B1 (ko) * 2007-01-29 2008-06-30 동방화성 주식회사 합포섬유의 제조방법
KR20100136052A (ko) * 2009-06-18 2010-12-28 영풍화성(주) 간접 도포방식에 의한 코팅 편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848B1 (ko) * 2021-10-08 2022-04-11 에이치비페이퍼 주식회사 웹종이 코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749A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225B1 (ko) 섬유원단의 양면에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원단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0369815B2 (en) Inkjet printing device with removable flat substrate support device
JP2001523604A (ja) 熱可塑性ポリマー物質粒子からヒートセットされたウェブを製造する方法
EP29356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hides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KR101955243B1 (ko) 실리콘 합성 피혁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실리콘 합성 피혁
US11273656B2 (en) Washing station for removing residues from a sticky flat layer
CN105980624A (zh) 用于纺织品的着色的等离子体处理
KR20120011019A (ko) 바닥재 또는 가구 표면재, 벽체 등의 장식지 및/또는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676534B2 (ja) 巻成品のコーティング方法及び装置
KR20110130780A (ko) 가죽시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139762B (zh) 染料升华压延机
KR101187275B1 (ko) 날염 및 침염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연속염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6360803B1 (en) Laminator
KR20150092841A (ko) 가죽 시트용 친환경 내장재 및 상기 가죽 시트용 친환경 내장재를 제조할 수 있는 가죽 시트용 친환경 내장재 제조 장치
KR100662521B1 (ko) 용제를 사용한 전사 인쇄 장치 및 그 전사 인쇄 방법
US351815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abric-film laminates
JP2006233353A (ja) 真空蒸着による生地の染色方法及び染色装置
KR101478299B1 (ko) 플렉시블 호스용 직물의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KR101715361B1 (ko) 단열재용 유리섬유 보드 제조장치
KR101269525B1 (ko) 실리콘 입체 무늬를 가지는 광폭원단 제조장치
KR101018718B1 (ko) 롤 화장판 제작용 압착 장치
KR101795934B1 (ko) 기능성 직물용 필름 코팅장치
KR20160114418A (ko) 필름을 이용한 원단에 패턴을 형성하는 주름형성장치 및 주름형성방법
EP0733477B1 (en) Methods of forming materials for upholstery use
KR101192449B1 (ko) 무용제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광폭의 섬유코팅 원단을 얻는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