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201B1 - 직물원단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직물원단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201B1
KR101296201B1 KR1020120052432A KR20120052432A KR101296201B1 KR 101296201 B1 KR101296201 B1 KR 101296201B1 KR 1020120052432 A KR1020120052432 A KR 1020120052432A KR 20120052432 A KR20120052432 A KR 20120052432A KR 101296201 B1 KR101296201 B1 KR 101296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hot air
posts
fabr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나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나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나염
Priority to KR102012005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노즐부 사이로 지나가는 원단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로, 특히 상하 노즐부 하부 측에 열풍발생유닛을 마련하고, 이 열풍발생유닛에서 발생한 열풍의 열기를 상하 노즐부 측으로 직접 전달함과 동시에 상하 노즐부의 각 덕트 내로 열풍을 공급하여 원단을 건조시키는 구조의 직물원단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는, 네 개소(個所)에 세워져 사각을 이루는 네 포스트; 상기 네 포스트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배열되는 수평형 바텀플레이트; 상기 네 포스트 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배열되고, 중심에 상하 관통형 유통부를 갖는 수평형 탑플레이트; 상기 네 포스트 중 전후 마주하는 두 포스트 끼리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탑플레이트 상부 측에 이격 배열되는 두 바텀프레임; 상기 네 포스트 중 전후 마주하는 두 포스트 끼리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두 바텀프레임 상부 측에 이격 배열되는 두 탑프레임; 양단부(兩端部)가 상기 두 바텀프레임 상부에 안착되고, 다수의 상방 열풍 토출형 바텀노즐부를 갖는 바텀덕트; 양단부가 상기 두 탑프레임 하부에 결합되고, 다수의 하방 열풍 토출형 탑노즐부를 갖되 상기 바텀덕트와의 사이에 원단 이송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탑덕트; 상기 바텀덕트와 상기 탑덕트의 내부 열풍 경로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중계덕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유통부 상부 측에 설치되는 열풍발생유닛;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탑플레이트의 유통부 하부 측에 연결되고, 타단부(他端部)가 상기 중계덕트에 연결되는 이송덕트; 상기 이송덕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발생유닛에 의한 열풍을 상기 중계덕트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송풍유닛; 및 상기 네 포스트에서 인접한 포스트 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측부 커버용 네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네 사이드플레이트 중 전후 각각에 배치된 두 사이드플레이트 각각에 상기 이송공간부와 대응되게 전후 관통 형성되는 입구 및 출구와, 상기 네 포스트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 커버용 업사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현한다.

Description

직물원단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TEXTILE}
본 발명은 날염된 직물원단을 열풍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로 원단이 지나가는 상하 노즐부 하부 측에 열풍발생유닛을 마련하고, 상하 노즐부 측의 각 덕트 내로 열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열풍의 열기가 상기 상하 노즐부 측에 직접 전달되게 함으로써, 열풍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건조성능을 높일 수 있는 건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날염된 직물원단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04497호(2012.01.03.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건조기의 챔버를 유니트화 하고 유니트화 된 챔버마다 순환 팬, 열교환기, 덕트 및, 노즐을 한 세트로 하여 각각 설치함으로써 각 챔버마다 풍류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에 관한 기술이다.
이때 상기 선행기술은 이의 해당공보의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덕트와 열교환기 사이에 격벽이 마련되어 있어 열교환기의 열풍 열기가 격벽에 의해 차단되고, 열교환기와 직접 연결된 덕트 내로만 열풍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열풍의 열기를 덕트 측으로 직접 전달함과 동시에 덕트 내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의 건조장치가 요구되며,
또한 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상하 간섭을 최소화하고, 토출된 열풍을 다시 원단 측으로 공급하여 원단에 대한 건조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열풍발생유닛의 열풍 열기를 상하 노즐부 측으로 직접 전달함과 동시에 각 노즐부의 덕트 내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의 직물원단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하 각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상하 열풍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단에 대한 건조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직물원단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하 각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상하 열풍이 다시 원단 측으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원단에 대한 건조 성능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직물원단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는,
네 개소(個所)에 세워져 사각을 이루는 네 포스트;
상기 네 포스트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배열되는 수평형 바텀플레이트;
상기 네 포스트 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배열되고, 중심에 상하 관통형 유통부를 갖는 수평형 탑플레이트;
상기 네 포스트 중 전후 마주하는 두 포스트 끼리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탑플레이트 상부 측에 이격 배열되는 두 바텀프레임;
상기 네 포스트 중 전후 마주하는 두 포스트 끼리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두 바텀프레임 상부 측에 이격 배열되는 두 탑프레임;
양단부(兩端部)가 상기 두 바텀프레임 상부에 안착되고, 다수의 상방 열풍 토출형 바텀노즐부를 갖는 바텀덕트;
양단부가 상기 두 탑프레임 하부에 결합되고, 다수의 하방 열풍 토출형 탑노즐부를 갖되 상기 바텀덕트와의 사이에 원단 이송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탑덕트;
상기 바텀덕트와 상기 탑덕트의 내부 열풍 경로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중계덕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유통부 상부 측에 설치되는 열풍발생유닛;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탑플레이트의 유통부 하부 측에 연결되고, 타단부(他端部)가 상기 중계덕트에 연결되는 이송덕트;
상기 이송덕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발생유닛에 의한 열풍을 상기 중계덕트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송풍유닛; 및
상기 네 포스트에서 인접한 포스트 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측부 커버용 네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네 사이드플레이트 중 전후 각각에 배치된 두 사이드플레이트에 상기 이송공간부와 대응되게 전후 관통 형성되는 입구 및 출구와, 상기 네 포스트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 커버용 업사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케이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원단 통과 시, 상하 노즐부의 열풍이 서로 충돌되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바텀덕트의 각 바텀노즐부와 상기 탑덕트의 각 탑노즐부는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토출되어 원단을 통과한 열풍이 마주하는 노즐부에 부딪힌 후 다시 원단 측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원단에 대한 건조 성능을 더욱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텀덕트는 상기 각 탑노즐부와 마주하는 영역인 바텀노즐부와 바텀노즐부 사이사이에 상기 바텀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간 형태의 바텀리세스(bottom-recess)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덕트는 상기 각 바텀노즐부와 마주하는 영역인 탑노즐부와 탑노즐부 사이사이에 상기 탑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간 형태의 탑리세스(top-recess)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내부 열풍에 대한 외부 배출 및 이의 배출량 조절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업사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케이스 내의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덕트에는 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는,
열풍발생유닛의 열풍 열기를 상하 노즐부 측으로 직접 전달함과 동시에 각 노즐부의 덕트 내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상하 각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상하 열풍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토출된 상하 열풍을 다시 원단 측으로 방향 전환시켜 다시 한 번 원단을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를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및 다른 실시예의 직물원단 건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를 일렬로 연결시킨 하나의 건조시스템을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를 기준으로 바텀플레이트 측을 하부 또는 하방, 배기덕트 측을 상부 또는 상방, 입구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출구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는,
크게 네 포스트(10), 바텀플레이트(20), 탑플레이트(30), 두 바텀프레임(40), 두 탑프레임(50), 바텀덕트(60), 탑덕트(70), 중계덕트(80), 열풍발생유닛(90), 이송덕트(100), 송풍유닛(110) 및 케이스(12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네 포스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을 이루도록 네 개소(個所)에 각각 세워져 기둥 역할을 담당한다.
바텀플레이트(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 포스트(10)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배열되는 수평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탑플레이트(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 포스트(10) 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배열되는 수평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심에 상하 관통형 유통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두 바텀프레임(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 포스트(10) 중 전후 마주하는 두 포스트(10) 끼리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탑플레이트(30) 상부 측에 이격 배열되는 수평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두 탑프레임(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 포스트(10) 중 전후 마주하는 두 포스트(10) 끼리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두 바텀프레임(40) 상부 측에 이격 배열되는 수평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텀덕트(6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兩端部)가 상기 두 바텀프레임(40)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열풍 경로(61),
상기 열풍 경로(61) 일측에 개방되어 있는 바텀개구부(62), 그리고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상방 열풍 토출형 바텀노즐부(6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탑덕트(7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기 두 탑프레임(50)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텀덕트(60)와의 사이에 원단(1) 이송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것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열풍 경로(71),
상기 탑덕트(70)의 열풍 경로(71) 일측에 개방되어 있는 탑개구부(72), 그리고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하방 열풍 토출형 탑노즐부(7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계덕트(8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덕트(60)와 상기 탑덕트(70)의 내부 열풍 경로(61, 71)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바텀덕트(60)의 바텀개구부(6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탑덕트(70)의 탑개구부(72)에 연결되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열풍발생유닛(9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플레이트(30)의 유통부(31) 상부 측에 설치되어 외기를 가열시켜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팀 또는 전기에 의한 통상의 라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열풍발생유닛(90)은 외기를 가열시켜 열풍을 발생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송덕트(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풍발생유닛(90)에 의한 열풍을 상기 중계덕트(80)와 상기 바텀 및 탑 덕트(60, 70) 측으로 이송되게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탑플레이트(30)의 유통부(31) 하부 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계덕트(80)에 연결되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송풍유닛(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덕트(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발생유닛(90)에 의한 열풍을 상기 중계덕트(80)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통상의 송풍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 포스트(10)에서 인접한 포스트(10) 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측부 커버용 네 사이드플레이트(121),
상기 네 사이드플레이트(121) 중 전후 각각에 배치된 두 사이드플레이트(121)에 상기 이송공간부(S)와 대응되게 전후 관통 형성되는 입구(122) 및 출구(123), 그리고
상기 네 포스트(10)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 커버용 업사이드플레이트(12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는 상기 바텀노즐부(63)와 탑노즐부(73)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원단(1)을 통과할 때에, 상하 열풍 간의 충돌을 최소화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덕트(60)의 각 바텀노즐부(63)와 상기 탑덕트(70)의 각 탑노즐부(73)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는 토출되어 원단(1)을 통과한 상하 열풍이 마주하는 노즐부에 부딪힌 후 다시 원단(1) 측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덕트(60)에서 상기 각 탑노즐부(73)와 마주하는 영역인 바텀노즐부(63)와 바텀노즐부(63) 사이사이에 상기 바텀덕트(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간 형태의 바텀리세스(bottom-recess)(64)가 형성되고,
상기 탑덕트(70)에서 상기 각 바텀노즐부(63)와 마주하는 영역인 탑노즐부(73)와 탑노즐부(73) 사이사이에 상기 탑덕트(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간 형태의 탑리세스(top-recess)(7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텀 및 탑 리세스(64, 74)는 단면이 U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하의 열풍은 상기 바텀리세스(64)와 상기 탑리세스(74)로 유입되었다가 이들의 측벽을 따라 다시 원단(1) 측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원단(1)에 대한 건조 성능이 더욱 더 향상됨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는 상기 케이스(120) 내의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켜 내부 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20)의 업사이드플레이트(124)에 상기 케이스(120) 내의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덕트(130)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덕트(130) 상에 유량조절밸브(14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는 내부 부품 교체 및 보수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20)의 네 사이드플레이트(121) 중 전후에 배치된 두 사이드플레이트(121)에 측방 회동형 사이드개폐도어(121a)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20)의 업사이드플레이트(124) 전후 양단부에 상방 회동형 업사이드개폐도어(124a)가 구비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건조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장치(D)는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여러 대를 일렬로 상호 연결시켜 하나의 건조시스템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가장 좌측에 위치한 건조장치(D)의 입구(122) 측과 가장 우측에 위치한 건조장치(D)의 출구(123) 측에 각각 배치되는 두 이송롤러(2)를 마련하고,
이때 상기 두 이송롤러(2) 중 하나는 모터 등에 의해 강제 회전함으로써, 원단(1)을 강제 이송시킨다.
따라서 원단(1)은 가장 좌측에 위치한 건조장치(D)의 입구(122)를 거쳐 가장 우측에 위치한 건조장치(D)의 출구(123)으로 이송되고,
이송되는 원단(1)은 각 건조장치(D)의 열풍발생유닛(90)에서 발생한 열풍의 열기가 바텀 및 탑 덕트(60, 70) 측으로 직접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바텀 및 탑 덕트(60, 70)의 열풍 경로(61, 71)로 공급되어지는 열풍이 상기 바텀 및 탑 노즐부(63, 73)를 통해 토출됨으로써, 건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직물원단 건조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포스트
20 : 바텀플레이트
30 : 탑플레이트
31 : 유통부
40 : 바텀프레임
50 : 탑프레임
60 : 바텀덕트
61 : 열풍 경로 62 : 바텀개구부
63 : 바텀노즐부 64 : 바텀리세스
70 : 탑덕트
71 : 열풍 경로 72 : 탑개구부
73 : 탑노즐부 74 : 탑리세스
80 : 중계덕트
90 : 열풍발생유닛
100 : 이송덕트
110 : 송풍유닛
120 : 케이스
121 : 사이드플레이트 121a : 사이드개폐도어
122 : 입구 123 : 출구
124 : 업사이드플레이트 124a : 업사이드개폐도어
130 : 배기덕트
140 : 유량조절밸브

Claims (4)

  1. 네 개소(個所)에 세워져 사각을 이루는 네 포스트(10);
    상기 네 포스트(10)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배열되는 수평형 바텀플레이트(20);
    상기 네 포스트(10) 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배열되고, 중심에 상하 관통형 유통부(31)를 갖는 수평형 탑플레이트(30);
    상기 네 포스트(10) 중 전후 마주하는 두 포스트(10) 끼리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탑플레이트(30) 상부 측에 이격 배열되는 두 바텀프레임(40);
    상기 네 포스트(10) 중 전후 마주하는 두 포스트(10) 끼리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두 바텀프레임(40) 상부 측에 이격 배열되는 두 탑프레임(50);
    양단부(兩端部)가 상기 두 바텀프레임(40) 상부에 안착되고, 다수의 상방 열풍 토출형 바텀노즐부(63)를 갖는 바텀덕트(60);
    양단부가 상기 두 탑프레임(50) 하부에 결합되고, 다수의 하방 열풍 토출형 탑노즐부(73)를 갖되 상기 바텀덕트(60)와의 사이에 원단(1) 이송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탑덕트(70);
    상기 바텀덕트(60)와 상기 탑덕트(70)의 내부 열풍 경로(61, 71)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중계덕트(80);
    상기 탑플레이트(30)의 유통부(31) 상부 측에 설치되는 열풍발생유닛(90);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탑플레이트(30)의 유통부(31) 하부 측에 연결되고, 타단부(他端部)가 상기 중계덕트(80)에 연결되는 이송덕트(100);
    상기 이송덕트(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발생유닛(90)에 의한 열풍을 상기 중계덕트(80)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송풍유닛(110); 및
    상기 네 포스트(10)에서 인접한 포스트(10) 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측부 커버용 네 사이드플레이트(121)와, 상기 네 사이드플레이트(121) 중 전후 각각에 배치된 두 사이드플레이트(121)에 상기 이송공간부(S)와 대응되게 전후 관통 형성되는 입구 및 출구(122, 123)와, 상기 네 포스트(10)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 커버용 업사이드플레이트(124)를 포함하는 케이스(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물원단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덕트(60)의 각 바텀노즐부(63)와 상기 탑덕트(70)의 각 탑노즐부(73)는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덕트(60)는 상기 각 탑노즐부(73)와 마주하는 영역인 바텀노즐부(63)와 바텀노즐부(63) 사이사이에 상기 바텀덕트(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간 형태의 바텀리세스(bottom-recess)(6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덕트(70)는 상기 각 바텀노즐부(63)와 마주하는 영역인 탑노즐부(73)와 탑노즐부(73) 사이사이에 상기 탑덕트(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간 형태의 탑리세스(top-recess)(7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건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20)의 업사이드플레이트(124)에는 상기 케이스(120) 내의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덕트(130)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덕트(130)에는 유량조절밸브(1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건조장치.
KR1020120052432A 2012-05-17 2012-05-17 직물원단 건조장치 KR101296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32A KR101296201B1 (ko) 2012-05-17 2012-05-17 직물원단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32A KR101296201B1 (ko) 2012-05-17 2012-05-17 직물원단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201B1 true KR101296201B1 (ko) 2013-08-13

Family

ID=4922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432A KR101296201B1 (ko) 2012-05-17 2012-05-17 직물원단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2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3416A (zh) * 2019-08-06 2019-11-15 吴江市欣逸纺织有限公司 一种自动化染色机械用干燥装置
CN115435556A (zh) * 2022-08-29 2022-12-06 湖南尚珂伊针纺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针纺织品烘干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562A (ja) * 1991-06-14 1993-07-20 Wakayama Tekko Kk 多段ネット式乾燥装置
JPH0719740A (ja) * 1992-11-11 1995-01-20 Wakayama Iron Works Ltd 熱風布帛乾燥装置
JPH07234070A (ja) * 1994-02-21 1995-09-05 Hirano Tecseed Co Ltd ウエブの熱処理装置
JPH11128807A (ja) * 1997-10-27 1999-05-18 Hirano Tecseed Co Ltd ウエブ乾燥処理装置、及びウエブ乾燥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562A (ja) * 1991-06-14 1993-07-20 Wakayama Tekko Kk 多段ネット式乾燥装置
JPH0719740A (ja) * 1992-11-11 1995-01-20 Wakayama Iron Works Ltd 熱風布帛乾燥装置
JPH07234070A (ja) * 1994-02-21 1995-09-05 Hirano Tecseed Co Ltd ウエブの熱処理装置
JPH11128807A (ja) * 1997-10-27 1999-05-18 Hirano Tecseed Co Ltd ウエブ乾燥処理装置、及びウエブ乾燥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3416A (zh) * 2019-08-06 2019-11-15 吴江市欣逸纺织有限公司 一种自动化染色机械用干燥装置
CN115435556A (zh) * 2022-08-29 2022-12-06 湖南尚珂伊针纺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针纺织品烘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1487B2 (ja) テンターの熱風噴射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テンターの熱風噴射装置
CN100521896C (zh) 用于冷却设备和网络机柜中的电子模块的装置
CN101124448B (zh) 用于干燥幅料的干燥设备
CN103657918B (zh) 蒸汽喷射装置以及包括该蒸汽喷射装置的干衣机
US20130171578A1 (en) Oxidation furnace
JP6967280B2 (ja) インク乾燥装置
CN101516166A (zh) 一种横插框及通信机柜
US10746397B1 (en) Combustion apparatus
KR101296201B1 (ko) 직물원단 건조장치
JP2020016389A5 (ko)
KR20120058735A (ko) 에너지 절약형 건조기
CN101501434B (zh) 热风炉模块和热风炉
EP2642210B1 (en) Wall radiator
KR100974677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
CN101535566B (zh) 空气干燥机的末端部、空气干燥机、空气干燥机的末端部中的方法和风扇的应用
KR101319145B1 (ko) 보조가열장치가 부착된 식품 건조기
EP3022351B1 (en) Clothes dryer
KR101368551B1 (ko) 원 스팬용 바닥 설치 공조기
BR112020018344A2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secagem de placas
KR101586052B1 (ko) 온풍 및 온수 공급이 가능한 세척장치
US20230055615A1 (en) Temperature treatment system
US20220341665A1 (en) Separating device, treatment system, method for separating two spatial regions, and method for treating workpieces
US4379392A (en) Apparatus for steaming printed fabrics
CN204509731U (zh) 组合式圆网烘燥系统
CN207897861U (zh) 均温式果蔬烘干烤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