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641B1 -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641B1
KR101295641B1 KR1020130058399A KR20130058399A KR101295641B1 KR 101295641 B1 KR101295641 B1 KR 101295641B1 KR 1020130058399 A KR1020130058399 A KR 1020130058399A KR 20130058399 A KR20130058399 A KR 20130058399A KR 101295641 B1 KR101295641 B1 KR 10129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afety
cover plate
r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김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호 filed Critical 김중호
Priority to KR102013005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4Quickly-detachable 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links with rapid junction mea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상 상, 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갱폼을 안전하게 인양 및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은, 하부가 개방되는 반원 고리 형태의 인양고리(110)와, 상기 인양고리(110)의 양측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인양봉(120)을 갖는 인양고리부(100); 상기 인양봉(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인양봉(120)의 양쪽 내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대(210)와, 상기 고정대(210)를 가로지르며 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220)과, 상기 고정판(220)에 관통되어 갱폼(10)과 연결고정되는 메인고정볼트(230)를 갖는 갱폼고정부(200); 각각의 상기 인양봉(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상부가이드관(310)과, 각각의 상기 인양봉(1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하부가이드관(320)을 갖는 가이드부(300); 상기 인양고리(110)와 대응되게 겹쳐지면서 형성되는 반원 고리형태의 안전고리(410)와, 상기 안전고리(410)의 양측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안전봉(420)과, 상기 안전봉(420)의 하부에 고정되되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토퍼(430)와, 상기 스토퍼(430)와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전고리(410)를 상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에 저항하는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안전봉(420)의 최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편(450)과, 상기 하부가이드관(320)과 상기 고정편(4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가이드관(320)과 상기 고정편(450)에 탄발력을 발휘하는 압축스프링(460)을 갖는 안전고리부(400); 및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안전봉(420) 상에서 유동 가능하고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관 형태의 고정관(510)과, 상기 고정관(5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외면을 감싸면서 보호하는 보호덮개판(520)을 갖는 볼트덮개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SHACKLE FOR FULLING OF GANG FORM WITH PREVENT FALL APPARATUS}
본 발명은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상 상, 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갱폼을 안전하게 인양 및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의 시공은 콘크리트를 채우기 위한 주형과 같은 틀, 즉 거푸집을 먼저 만든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 패널이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밀착배열 및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의 설치에는, 합판의 배면에 각목 프레임이 결합 된 목재 거푸집 패널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바, 이러한 목재 거푸집 패널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거푸집 패널들 간의 연결 조립이 못질과 함께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이러한, 목재 거푸집 패널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재(鋼材)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 거푸집 패널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강재 거푸집 패널의 경우에는 그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시 노동 부하가 지나치게 상승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패널이 개발되었다.
알루미늄 합금 거푸집 패널은, 강재 거푸집 패널에 비하여 무게가 매우 가벼울 뿐만 아니라, 자체 강성이 크기 때문에 목재 거푸집 패널과 비교하여 콘크리트 압력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으며, 그에 따라, 양생된 벽체의 표면품질이 우수하고 설치 및 철거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여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한편, 건축물의 외벽 면을 시공하기 위한 갱폼(gang-form)은, 주로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 상, 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이다.
여기서, 케이지(cage)란 갱폼의 외부 벽체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 후속 미장 및 견출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을 말한다.
이러한, 갱폼은 평면상 상, 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 사용되기 때문에, 건축물이 저층에서부터 고층으로 쌓아올려 짐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외면에서 갱폼을 수직방향으로 상향 이동시켜 윗 층의 건축물 외벽을 순차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갱폼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금속판과 금속 부품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에서 상향 이동시키는 작업이 매우 위험한 작업이고, 그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갱폼은 건축물 외벽의 내면에 배치된 거푸집과 볼트 등을 통하여 연결고정되면서, 거푸집과 갱폼의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주입된 후 양생 될 때까지 그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모르타르가 양생 된 후에는 상기 갱폼과 볼트로 연결고정되는 상기 거푸집에서 상기 볼트를 제거함으로 인해, 상기 갱폼이 상기 거푸집과 분리되면서 상기 갱폼은 상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갱폼을 건축물 외벽에서 상기 거푸집과 분리한 후, 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과정에서 상기 갱폼을 인양기로 끌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갱폼이 추락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갱폼을 인양하는 샤클을 한번 설치하거나, 그 샤클에 연결되는 부속품들이 설치된 후에는 샤클 및 그 부속품들의 해체가 곤란하여 다른 샤클 및 부속품이 소모되어야 하는 경제적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과중한 중량의 갱폼을 인양하는 샤클의 부속품이 사용중에 훼손되거나 불량이 될 경우 다른 샤클로 대체해야하고, 부속품의 빠른 노화로 인해 장시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10-2006-013105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은, 갱폼을 건축물의 외벽에서 상향 이동시키는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은, 갱폼을 인양하는 샤클 및 부속품의 해체가 용이하여, 한번 사용된 샤클 및 부속품을 다른 갱폼 시공에 재활용할 수 있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은, 과중한 중량의 갱폼을 인양하는 샤클의 부속품을 보조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은, 하부가 개방되는 반원 고리 형태의 인양고리(110)와, 상기 인양고리(110)의 양측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인양봉(120)을 갖는 인양고리부(100); 상기 인양봉(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인양봉(120)의 양쪽 내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대(210)와, 상기 고정대(210)를 가로지르며 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220)과, 상기 고정판(220)에 관통되어 갱폼(10)과 연결고정되는 메인고정볼트(230)를 갖는 갱폼고정부(200); 각각의 상기 인양봉(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상부가이드관(310)과, 각각의 상기 인양봉(1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하부가이드관(320)을 갖는 가이드부(300); 상기 인양고리(110)와 대응되게 겹쳐지면서 형성되는 반원 고리형태의 안전고리(410)와, 상기 안전고리(410)의 양측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안전봉(420)과, 상기 안전봉(420)의 하부에 고정되되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토퍼(430)와, 상기 스토퍼(430)와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전고리(410)를 상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에 저항하는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안전봉(420)의 최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편(450)과, 상기 하부가이드관(320)과 상기 고정편(4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가이드관(320)과 상기 고정편(450)에 탄발력을 발휘하는 압축스프링(460)을 갖는 안전고리부(400); 및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안전봉(420) 상에서 유동 가능하고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관 형태의 고정관(510)과, 상기 고정관(5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외면을 감싸면서 보호하는 보호덮개판(520)을 갖는 볼트덮개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고리부(400)는, 상기 안전고리(410)의 상부를 감싸면서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음각 형성되되, 상기 인양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410)를 동시에 걸어 인양하는 크레인의 후크(50)가 상기 안전고리(410)에 걸린 상태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편(470)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 연결되어 상기 보호덮개판(520)과 동일 수평선상의 다른 갱폼에 구비되는 메인고정볼트를 감싸면서 보호하는 보조덮개판(530)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보조덮개판(530)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보조덮개판(530)을 상호 연결하며 고정되는 고정핀(5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덮개판(530)의 상부에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보조덮개판(530)이 선택된 위치에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천공되는 위치변경홈(532)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덮개판(530)은, 위치변경볼트(534)를 통해 상기 보호덮개판(520)에 탈착된다.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판(220)의 상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호덮개판(520)의 좌우 수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상부를 보호하는 수평판(550)과,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양 측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양 측면을 보호하는 측면판(5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인양고리(110)와 안전고리(410)는, 자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은, 갱폼을 인양하기 위한 샤클을 통하여 갱폼을 안전하게 이동시켜 건축물의 외벽에서 견고하게 고정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은, 갱폼을 인양하는 샤클 및 부속품을 다른 갱폼 시공에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해체가 가능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은, 과중한 중량의 갱폼을 인양하면서도 인양을 위한 샤클의 부속품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실시 예에 따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평면상 상, 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갱폼을 안전하게 인양 및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특히, 안전고리부, 볼트덮개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갱폼(10)(gang-form)은,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 상,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인 건축물의 시공시, 그 건축물에 사용되는 외부 벽체에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갱폼(10)은 평면상 상, 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 사용되기 때문에, 건축물이 저층에서부터 고층으로 쌓아올려 짐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외면에서 갱폼을 수직방향으로 상향 이동시켜 윗 층의 건축물 외벽을 순차적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갱폼(10)을 건축물의 벽체 외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상향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갱폼(10)에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을 연결한 후, 갱폼인양 샤클을 크레인의 후크(50)와 연결시켜 상기 갱폼(10)을 인양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은, 'U' 형태가 거꾸로 배치되는 인양고리부(100)와, 갱폼고정부(200), 가이드부(300), 안전고리부(400), 볼트덮개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양고리부(100)는, 하부가 개방되는 반원 고리 형태의 인양고리(110)와, 상기 인양고리(110)의 양측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인양봉(120)을 갖는다.
상기 인양고리부(100)는, 크레인의 상기 후크(50)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갱폼(10)이 인양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양봉(120)에는 상기 갱폼(10)과 직접연결되는 상기 갱폼고정부(200)가 용접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인양고리(110)는, 크레인의 상기 후크(50)가 걸리도록 연결되어 인양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양봉(120)은, 상기 갱폼고정부(200)이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인양고리(110)의 인양시 상기 갱폼고정부(200)가 동시에 인양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인양고리부(100)는 관 형태로 형성된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갱폼고정부(200)는, 상기 인양봉(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인양봉(120)의 양쪽 내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대(210)와, 상기 고정대(210)를 가로지르며 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220)과, 상기 고정판(220)에 관통되어 갱폼(10)과 연결고정되는 메인고정볼트(230)를 갖는다.
상기 갱폼고정부(200)는, 상기 고정대(210)가 상기 인양봉(120)의 양쪽 내측에 각각 용접고정되고, 상기 고정대(210)에 용접고정되는 상기 고정판(220)을 관통하여 상기 갱폼(10)에 직접연결되는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통해, 상기 인양고리부(100)의 인양시 상기 갱폼(10)과 함께 동시에 인양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대(210)는 상기 인양봉(120)과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220)은 상기 갱폼(10)에 연결되는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부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향후 상기 갱폼(10) 내측에 타설될 콘크리트 모르타르에도 직접 연결된 채로, 모르타르가 양생 될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00)는, 각각의 상기 인양봉(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상부가이드관(310)과, 각각의 상기 인양봉(1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하부가이드관(32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갱폼고정부(2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가이드관(310)은, 하기의 안전봉(420)이 상기 상부가이드관(310)의 내부를 관통한 채로 상기 안전봉(420)이 크레인의 상기 후크(50)에 의해 인양되어 상 방향으로 유동시 그 유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양봉(120)의 상부에 용접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은, 상기 안전봉(420)의 하부가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내부를 관통한 채로 상기 안전봉(420)이 상기 후크(50)에 의해 인양되어 상 방향으로 유동시 그 유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양봉(120)의 하부에 용접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은, 하기의 인장스프링(440)의 하부를 고정하여, 상기 안전봉(420)의 승강시 상기 인장스프링(440)이 인장 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하기의 압축스프링(460)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안전봉(420)의 승강시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압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은,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하부에서 상기 인장스프링(440)을 고정하고, 상기 압축스프링(460)의 상부에서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상 방향으로 가하는 탄성에 대한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안전고리부(400)는, 상기 인양고리(110)와 대응되게 겹쳐지면서 형성되는 반원 고리형태의 안전고리(410)와, 상기 안전고리(410)의 양측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안전봉(420)을 갖는다.
상기 안전고리(410)는, 크레인의 상기 후크(50)가 상기 인양고리(110)와 동시에 연결되어 상기 갱폼(10)이 인양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안전고리(410)와 상기 인양고리(110)에는 상기 후크(50)가 동시에 걸려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안전고리(410)는 상기 인양고리(110)와 함께 상기 후크(50)에 걸리면서 인양되는 과정에서, 상기 안전고리(410) 또는 상기 인양고리(110)이 파단 될 경우, 상기 갱폼(10)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안전장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안전고리(410)는, 상기 후크(50)가 걸리도록 연결되어 인양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안전봉(420)은, 상기 안전고리(410)의 유동에 연동 되어 유동 되게 된다.
특히,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덮고 있는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안전봉(420)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봉(420)의 유동에 의해 연동 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안전봉(420)이 승강하게 되면 상기 볼트덮개부(500) 또한 승강 되면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즉,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상기 갱폼(10)의 인양 전에는 상기 볼트덮개부(500)에 의해 덮여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에 손을 댈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상기 갱폼(10)의 인양시 상기 안전고리부(400)가 승강 될 경우, 상기 볼트덮개부(500)가 상기 안전봉(420)과 연동 되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 상부에서 승강 되면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상기 갱폼(10)과 연결되고, 상기 갱폼(10)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갱폼(10)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해야 만이 시공상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갱폼(10)의 시공이 완료 전에는 작업자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고리부(400)는, 상기 안전봉(420)의 하부에 고정되되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토퍼(430)와, 상기 스토퍼(430)와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전고리(410)를 상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에 저항하는 인장스프링(440)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상기 후크(50)에 의해 상기 안전고리(410)가 승강시, 상기 안전고리(410)를 상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에 저항하도록 탄성을 발휘하게 된다.
즉, 상기 후크(50)에 의해 상기 갱폼(10)의 인양이 완료되면, 상기 후크(50)에 의해 승강 되었던 상기 안전고리(410)가 상기 인장스프링(440)에 의해 하강 되면서 상기 볼트덮개부(500)도 연동 되어 하강 되므로 인해, 상기 볼트덮개부(500)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다시 감싸면서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부(400)는, 상기 안전봉(420)의 최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편(450)과, 상기 하부가이드관(320)과 상기 고정편(4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가이드관(320)과 상기 고정편(450)에 탄발력을 발휘하는 압축스프링(46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460)은, 상기 후크(50)에 의해 상기 안전고리(410)가 승강시, 상기 고정편(450)과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편(450)의 상면과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하면에 동시에 탄성을 발휘하게 된다.
즉, 상기 후크(50)에 의해 상기 갱폼(10)의 인양이 완료되면, 상기 후크(50)에 의해 승강 되었던 상기 안전고리(410)가 상기 압축스프링(460)의 탄발력에 의해 하강 되면서 상기 볼트덮개부(500)도 연동 되어 하강 되므로 인해, 상기 볼트덮개부(500)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다시 감싸면서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압축스프링(460)은, 상기 인장스프링(440)을 보조하여 상기 볼트덮개부(500)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다시 감싸면서 덮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안전봉(420) 상에서 유동 가능하고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관 형태의 고정관(510)과, 상기 고정관(5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외면을 감싸면서 보호하는 보호덮개판(5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관(510)은, 상기 안전봉(420)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선택된 위치에서 다수 개의 볼트(70) 가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관(510)이 상기 안전봉(420) 상에서 고정될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볼트(70)가 상기 고정관(510)을 관통하여 상기 안전봉(420)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고정관(510)은 상기 안전봉(420) 상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호덮개판(520)은, 상기 안전봉(420)에 완전하게 분리 또는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관(510)에 볼트(70)에 의해 체결 또는 분리가능하고, 판 형태의 상기 보호덮개판(520)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갱폼(10)의 인양 및 시공과정에서 외부에서 이물질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호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실시 예에 따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안전고리부(400)는, 상기 안전고리(410)의 상부를 감싸면서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음각 형성되되, 상기 인양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410)를 동시에 걸어 인양하는 크레인의 후크(50)가 상기 안전고리(410)에 걸린 상태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편(47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유동방지편(470)은, 합성수지가 발포된 발포폼 또는 탄력을 갖는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크레인을 통해 상기 갱폼(10)을 인양시, 상기 후크(50)는 상기 인양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410)에 동시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50)는 상기 인양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410)에 교차 되는 형태로 진입되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방지편(470)은, 상기 안전고리(410)의 상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되, 상기 유동방지편(470)의 하부에는 개방된 채로 음각형성되는 진입홈(472)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50)가 부분적으로 상기 진입홈(472)에 진입되어 상기 유동방지편(470)과 직접 맞닿게 된다.
이때, 상기 갱폼(10)은 중량이 과중하기 때문에, 상기 인양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410)에 동시에 걸린 상태로 인양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50)가 상기 인양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410) 내에서 유동 되게 되면, 상기 인양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410)에 전달되는 하중은 상당하게 된다.
상기 후크(50)가 상기 인양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410)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갱폼(10)을 포함하여 상기 인양고리(110)와 안전고리(410)를 인양 시에, 상기 후크(50)가 상기 유동방지편(470)의 상기 진입홈(472)에 진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후크(50)는 상기 진입홈(472) 내에서 유동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진입홈(472)에 부분적으로 진입되는 상기 후크(50)는, 상기 진입홈(472) 내에서 양 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안전고리(410) 상에서 상기 후크(50)가 유동될 수 있는 면적이 최소화 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후크(50)는, 상기 진입홈(472) 내에서 유동이 최소화된 상태로, 상기 갱폼(10)을 인양하기 때문에, 상기 인양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410)에 전달되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인양고리(110)와 안전고리(410)는, 자성을 갖 을 수 있다.
즉, 강철로 이루어진 상기 후크(50)가 상기 갱폼(10)을 포함하여 상기 인양고리(110)와 안전고리(410)를 인양 시, 상기 인양고리(110)와 안전고리(410)가 자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후크(50)가 상기 인양고리(110)와 안전고리(410)에 부착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후크(50)는, 상기 인양고리(110)와 안전고리(410) 내에서 유동이 최소화된 상태로, 상기 갱폼(10)을 인양하기 때문에, 상기 인양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410)에 전달되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고리부(400)는, 상기 안전고리(410), 안전봉(420), 스토퍼(430), 인장스프링(440), 고정편(450), 압축스프링(46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인양봉(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상부가이드관(310)과, 각각의 상기 인양봉(1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하부가이드관(320)을 갖는다.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고정관(510)과, 보호덮개판(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고리(410)는, 상기 인양고리(110)와 동시에 상기 후크(50)에 걸려 인양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전봉(420)은, 상기 상부가이드관(310)과 하부가이드관(3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30)는, 상기 안전봉(420) 하부에 용접고정되고 상기 하부가이드관(320)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상기 스토퍼(430)와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상부는 상기 스토퍼(430)의 하부에 연결고정되고,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하부는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상부에 연결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은, 상기 인양봉(120)에 용접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안전고리(410)가 상기 후크(50)에 의해 인양되면, 상기 안전봉(420)도 동반 승강되고, 상기 안전봉(420)에 용접된 상기 스토퍼(430) 또한 동반 승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스토퍼(430)가 승강 되면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상부는 승강 되고,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하부는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이 고정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인장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하부에는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배치되고, 상기 압축스프링(46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편(450)이 상기 안전봉(450)의 최하단에 용접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안전봉(420)이 승강 되면 상기 안전봉(420)의 최하부에 용접고정된 상기 고정편(450)도 상기 안전봉(420)의 승강에 따라 동반 승강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은 상기 인양봉(120)에 용접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편(450)의 승강에 의해 상기 압축스프링(460)은 압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코일 스프링에 있어서 끌어당기는 힘에 저항하는 스프링을 말한다.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탄성체가 상호 밀착된 채로 원형으로 말리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460)은, 코일 스프링에 있어서 압축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는 스프링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압축스프링(460)은, 탄성체가 상호 이격 된 채로 원형으로 말리면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상기 안전봉(420)의 승강에 반발하여 상기 안전봉(420)을 하 방향으로 끌어내리도록 탄성을 발휘하게 되고, 상기 압축스프링(460)은, 상기 안정봉(420)의 승강에 반발하여 역시 상기 안전봉(420)을 하 방향으로 끌어내리도록 탄성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은, 상호 보완되면서 응력의 피로한계점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탄성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상기 안전봉(420)을 하 방향으로 끌어내리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이유는, 상기 후크(50)를 통한 인양이 완료시 상기 보호덮개판(520)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가이드관(310)과 하부가이드관(320) 사이의 상기 안전봉(420) 상에는, 상기 고정관(510)이 사용자의 선택된 위치에 볼트(70)를 통해 고정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510)에는, 상기 고정관(5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외면을 감싸면서 보호하는 보호덮개판(520)이 연결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안전봉(420)이 승강 되면 상기 고정관(510)이 연동 되어 승강 되면서 상기 보호덮개판(520) 또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상부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 보호덮개판(520)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상부에서 승강하게 되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상기 갱폼(10)과 연결되고, 상기 갱폼(10)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갱폼(10)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해야 만이 시공상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갱폼(10)의 시공이 완료 전에는 작업자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크(50)를 통한 상기 안전고리(410)의 인양이 완료되면,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안전봉(410)은 다시 하강 되기 때문에 상기 안전봉(410)과 연동 되는 상기 보호덮개판(520) 또한 하강되면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다시 감싸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갱폼(10)의 인양이 완료되면 상기 보호덮개판(520)을 하강시켜, 상기 볼트덮개부(500)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감싸도록 하여, 작업자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에 근접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상기 갱폼(10)의 인양 전에는 상기 볼트덮개부(500)에 의해 덮여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에 손을 댈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안전고리부(400)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감싸면서 보호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410)는 상기 인양고리(110)와 함께 상기 후크(50)에 걸리면서 인양되는 과정에서, 상기 안전고리(410) 또는 상기 인양고리(110)이 파단 될 경우, 상기 갱폼(10)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안전장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안전봉(420) 상에서 유동 가능하고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관 형태의 고정관(510)과, 상기 고정관(5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외면을 감싸면서 보호하는 보호덮개판(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관(510)은,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의 사이의 상기 안전봉(420)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선택된 위치에서 다수 개의 볼트(70) 가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관(510)이 상기 안전봉(420) 상에서 고정될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볼트(70)가 상기 고정관(510)을 관통하여 상기 안전봉(420)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고정관(510)은 상기 안전봉(420) 상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의 사이의 상기 안전봉(420) 상에 연결되는 상기 고정관(510)에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이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고정관(510)이 상기 안전봉(420)의 상하 유동에 의해 연동 되므로 인해, 상기 보호덮개판(520) 또한 연동 되면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상부에서 상하로 유동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봉(420)이 승강하게 되면 상기 보호덮개판(520) 또한 승강 되면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상기 안전봉(420)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보호덮개판(520) 또한 하강 되면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다시 감싸게 된다.
즉,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상기 갱폼(10)의 인양 전에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 의해 덮여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에 손을 댈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상기 갱폼(10)과 연결되고, 상기 갱폼(10)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는 갱폼(10)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해야 만이 시공상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갱폼(10)의 시공이 완료 전에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 의해 작업자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에 접근하는 것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보호덮개판(520)은, 상기 갱폼(10)의 인양 또는 시공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상부로 외부에서 이물질이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판(220)의 상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호덮개판(520)의 좌우 수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상부를 보호하는 수평판(5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양 측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양 측면을 보호하는 측면판(56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수평판(550)은, 상기 고정판(220)의 상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호덮개판(520)이 좌우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봉(420) 상에 가압고정되는 상기 고정관(510)의 고정위치를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덮개판(520)과 더불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상부로 외부에서 이물질이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보호하는 기능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 측면판(560)은, 상기 보호덮개판(520)의 하면에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양 측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측면판(560)은,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양 측면으로 외부에서 이물질이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메인고정볼트(23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판(550)과 상기 측면판(560)은, 상기 보호덮개판(520)에 각각 볼트(70)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게 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보호덮개판(520)의 결합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 9를 살펴보면,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 연결되어 상기 보호덮개판(520)과 동일 수평선상의 다른 갱폼에 구비되는 메인고정볼트를 감싸면서 보호하는 보조덮개판(530)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덮개판(530)은, 'ㄱ' 형태로 형성되는 앵글(angle)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덮개판(530)은, 상기 안전봉(420)이 형성되는 방향과 직교 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덮개판(530)은, 상기 보호덮개판(520)의 기능을 보조하면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형성되는 다른 메인고정볼트를 감싸므로 인해, 다수 개의 메인고정볼트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보조덮개판(530)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보조덮개판(530)을 상호 연결하며 고정되는 고정핀(54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보조덮개판(530)의 상부에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보조덮개판(530)이 선택된 위치에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천공되는 위치변경홈(5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덮개판(53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면서 다수 개의 메인고정볼트를 감싸면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덮개판(530)은, 위치변경볼트(534)를 통해 상기 보호덮개판(520)에 탈착된다.
즉, 상기 보조덮개판(530)은, 상기 위치변경볼트(534)와 상기 위치변경홈(532)을 통해 상기 보호덮개판(52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선택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10을 살펴보면, 인양고리부(100)는, 하부가 개방되는 반원 고리 형태의 인양고리(110)와, 상기 인양고리(110)의 양측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인양봉(120)을 갖는다.
갱폼고정부(200)는, 상기 인양봉(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인양봉(120)의 양쪽 내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대(21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300)는, 각각의 상기 인양봉(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상부가이드관(310)과, 각각의 상기 인양봉(1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하부가이드관(32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이드관(310)은, 상기 인양봉(12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대(210)의 상부에 볼트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가이드관(310)은, 상기 상부가이드관(310)과 상기 고정대(21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상부가이드관(310)이 상기 고정대(210)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상부고정편(31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은, 상기 인양봉(12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대(210)의 하부에 볼트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은, 상기 하부가이드관(320)과 상기 고정대(210)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이 상기 고정대(210)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고정편(32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가이드관(310)은, 상기 상부고정편(312)을 통해 상기 인양봉(12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면서, 상기 고정대(210)의 상부에 고정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은, 상기 하부고정편(322)을 통해 상기 인양봉(12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면서, 상기 고정대(210)의 하부에 고정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안전고리부(400)는, 상기 인양고리(110)와 대응되게 겹쳐지면서 형성되는 반원 고리형태의 안전고리(410)와, 상기 안전고리(410)의 양측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안전봉(42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안전고리부(400)는, 상기 안전봉(420)의 하부에 고정되되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토퍼(430)와, 상기 스토퍼(430)와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전고리(410)를 상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에 저항하는 인장스프링(440)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후크(50)에 의해 상기 안전고리(410)가 승강시, 상기 안전고리(410)를 상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에 저항하도록 탄성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고리부(400)는, 상기 안전봉(420)의 최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편(450)과, 상기 하부가이드관(320)과 상기 고정편(4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가이드관(320)과 상기 고정편(450)에 탄발력을 발휘하는 압축스프링(46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460)은, 상기 후크(50)에 의해 상기 안전고리(410)가 승강시, 상기 고정편(450)과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편(450)의 상면과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하면에 동시에 탄성을 발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은, 상기 안전고리(410)의 양측으로 대응되게 한 쌍이 연장형성되는 상기 안전봉(420) 중 선택된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배치되지 않은 안전봉(420)에는 상기 스토퍼(430)와 상기 고정편(450)이 생략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배치되지 않은 안전봉(420)은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배치된 안전봉(420)에 비해서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안전봉(420)의 길이가 짧아지고, 선택된 하나의 안전봉(420)에만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배치됨으로써, 제품의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안전봉(420) 중 선택된 하나의 안전봉(420)에만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배치되어도, 상기 후크(50)에 의해 상기 안전봉(420)이 상기 상부가이드관(310)과 하부가이드관(320) 상에서 승강시 상기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압축스프링(46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하강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상부가이드관(310)은, 상기의 안전봉(420)이 상기 상부가이드관(310)의 내부를 관통한 채로 상기 상부가이드관(310) 상에서 상하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봉(420)의 상부 외면의 한 부분을 이격 되게 감싸면서 형성된다.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은, 상기의 안전봉(420)이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내부를 관통한 채로 상기 하부가이드관(320) 상에서 상하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봉(420)의 하부 외면의 한 부분을 이격 되게 감싸면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은, 하기의 인장스프링(440)의 하부를 고정하여, 상기 안전봉(420)의 승강시 상기 인장스프링(440)이 인장 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하기의 압축스프링(460)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안전봉(420)의 승강시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압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은,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하부에서 상기 인장스프링(440)을 고정하고, 상기 압축스프링(460)의 상부에서 상기 압축스프링(460)이 상 방향으로 가하는 탄성에 대한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안전고리(410)는 상기 인양고리(110)와 함께 상기 후크(50)에 걸리면서 인양되는 과정에서, 상기 안전고리(410) 또는 상기 인양고리(110)이 파단 될 경우, 상기 갱폼(10)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안전장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은, 갱폼을 인양하기 위한 샤클을 통하여 갱폼을 안전하게 이동시켜 건축물의 외벽에서 견고하게 고정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갱폼을 인양하는 샤클 및 부속품을 다른 갱폼 시공에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해체가 가능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과중한 중량의 갱폼을 인양하면서도 인양을 위한 샤클의 부속품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갱폼 50 : 후크
70 : 볼트
100 : 인양고리부 110 : 인양고리
120 : 인양봉
200 : 갱폼고정부 210 : 고정대
220 : 고정판 230 : 메인고정볼트
300 : 가이드부 310 : 상부가이드관
312 : 상부고정편
320 : 하부가이드관 322 : 하부고정편
400 : 안전고리부 410 : 안전고리
420 : 안전봉 430 : 스토퍼
440 : 인장스프링 450 : 고정편
460 : 압축스프링 470 : 유동방지편
472 : 진입홈
500 : 볼트덮개부 510 : 고정관
520 : 보호덮개판 530 : 보조덮개판
532 : 위치변경홈 534 : 위치변경볼트
540 : 고정핀
550 : 수평판 560 : 측면판

Claims (6)

  1. 하부가 개방되는 반원 고리 형태의 인양고리(110)와, 상기 인양고리(110)의 양측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인양봉(120)을 갖는 인양고리부(100);
    상기 인양봉(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인양봉(120)의 양쪽 내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대(210)와, 상기 고정대(210)를 가로지르며 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판(220)과, 상기 고정판(220)에 관통되어 갱폼(10)과 연결고정되는 메인고정볼트(230)를 갖는 갱폼고정부(200);
    각각의 상기 인양봉(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상부가이드관(310)과, 각각의 상기 인양봉(1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천공되는 관 형태를 갖는 하부가이드관(320)을 갖는 가이드부(300);
    상기 인양고리(110)와 대응되게 겹쳐지면서 형성되는 반원 고리형태의 안전고리(410)와, 상기 안전고리(410)의 양측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 내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안전봉(420)과, 상기 안전봉(420)의 하부에 고정되되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토퍼(430)와, 상기 스토퍼(430)와 상기 하부가이드관(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전고리(410)를 상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에 저항하는 인장스프링(440)과, 상기 안전봉(420)의 최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편(450)과, 상기 하부가이드관(320)과 상기 고정편(4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가이드관(320)과 상기 고정편(450)에 탄발력을 발휘하는 압축스프링(460)을 갖는 안전고리부(400); 및
    상기 상,하부가이드관(310, 32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안전봉(420) 상에서 유동 가능하고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관 형태의 고정관(510)과, 상기 고정관(5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외면을 감싸면서 보호하는 보호덮개판(520)을 갖는 볼트덮개부(500);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부(400)는,
    상기 안전고리(410)의 상부를 감싸면서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음각 형성되되, 상기 인양고리(110)와 상기 안전고리(410)를 동시에 걸어 인양하는 크레인의 후크(50)가 상기 안전고리(410)에 걸린 상태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편(470)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 연결되어 상기 보호덮개판(520)과 동일 수평선상의 다른 갱폼에 구비되는 메인고정볼트를 감싸면서 보호하는 보조덮개판(530)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보조덮개판(530)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보조덮개판(530)을 상호 연결하며 고정되는 고정핀(5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덮개판(530)의 상부에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보조덮개판(530)이 선택된 위치에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천공되는 위치변경홈(532)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덮개판(530)은,
    위치변경볼트(534)를 통해 상기 보호덮개판(520)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덮개부(500)는,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판(220)의 상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호덮개판(520)의 좌우 수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상부를 보호하는 수평판(550)과, 상기 보호덮개판(520)에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양 측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메인고정볼트(230)의 양 측면을 보호하는 측면판(560)을 더 포함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고리(110)와 안전고리(410)는,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KR1020130058399A 2013-05-23 2013-05-23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KR10129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399A KR101295641B1 (ko) 2013-05-23 2013-05-23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399A KR101295641B1 (ko) 2013-05-23 2013-05-23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641B1 true KR101295641B1 (ko) 2013-08-12

Family

ID=4922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399A KR101295641B1 (ko) 2013-05-23 2013-05-23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6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774B1 (ko) 2014-07-08 2015-02-12 최재주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616863B1 (ko) * 2015-04-07 2016-04-29 유대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용 착탈식 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62B1 (ko) 2010-02-25 2010-08-18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갱폼 안전 인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62B1 (ko) 2010-02-25 2010-08-18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갱폼 안전 인양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774B1 (ko) 2014-07-08 2015-02-12 최재주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616863B1 (ko) * 2015-04-07 2016-04-29 유대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용 착탈식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106Y1 (ko)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잠금장치
KR100918970B1 (ko) 앙카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추락방지용 갱폼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0976562B1 (ko) 갱폼 안전 인양 장치
KR101457114B1 (ko)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KR101991907B1 (ko) 안전고리 일체형 갱폼 안전장치
KR101295641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인양 샤클
KR20110079874A (ko) 갱폼의 안전인양 및 추락방지장치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190113468A (ko) 잠금부를 구비한 갱폼 추락방지장치
JP6567631B2 (ja) 建物の解体時の飛散防止方法
KR20110105489A (ko)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KR20140045474A (ko) 개구부 난간대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KR20120008001U (ko) 상하로 개폐되는 안전도어가 설치된 비계
KR102327935B1 (ko) 갱폼추락방지 안전장치
CN205348817U (zh) 一种安全带挂件
KR101859114B1 (ko) 다단 적치가 가능한 선박용 작업대 설치 방법
KR101836936B1 (ko)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CN205134921U (zh) 建筑外墙混凝土构造柱悬挂施工平台
KR102276294B1 (ko)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KR200480362Y1 (ko) 갱 폼의 낙하방지망
KR101254502B1 (ko) 반자동 샤클
JP6446075B2 (ja) 養生ネットの架設方法
CN105883553A (zh) 一种机电安装高空作业安全网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