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291B1 -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 - Google Patents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291B1
KR101295291B1 KR1020120021353A KR20120021353A KR101295291B1 KR 101295291 B1 KR101295291 B1 KR 101295291B1 KR 1020120021353 A KR1020120021353 A KR 1020120021353A KR 20120021353 A KR20120021353 A KR 20120021353A KR 101295291 B1 KR101295291 B1 KR 101295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amping member
rock
circumferen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도균
Original Assignee
차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도균 filed Critical 차도균
Priority to KR102012002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Percussion drilling
    • E21B1/02Surface drives for drop hammers or percussion drilling, e.g. with a cabl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36Percussion drill b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후로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대상을 직접 타격하여 상기 대상을 파쇄하며, 전체 둘레 중 소정 위치에는 다른 부분보다 둘레가 큰 확장둘레부가 형성된 착암로드, 상기 착암로드의 후방에서 전후로 왕복 이동되며, 전방 이동 시 상기 착암로드의 후단에 부딪혀 상기 착암로드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타격로드, 전단이 상기 확장둘레부의 후단에 접촉되어 상기 착암로드가 후방으로 이동 시 밀려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착암로드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제1댐핑부재, 상기 제1댐핑부재의 후단에 접촉되는 전방둘레부와, 상기 전방둘레부보다 둘레가 큰 후방둘레부와, 상기 전방둘레부와 상기 후방둘레부를 연결하는 연결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댐핑부재가 후방으로 이동 시 밀려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1댐핑부재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제2댐핑부재, 내부에는 상기 착암로드의 확장둘레부, 상기 타격로드, 상기 제1댐핑부재 및 상기 제2댐핑부재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확장둘레부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제1단차와, 상기 제2댐핑부재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제2단차가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댐핑부재에 전방으로 추진력을 부가하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2댐핑부재의 상기 연결둘레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2댐핑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유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Boring Machine Having Position Keeping Member}
본 발명은 암반 등의 대상을 천공하는 착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암로드를 기준 위치로 오차 없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되는 착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반 등의 천공 및 파쇄에는 착암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착암기는 그 특성 상 장치 자체에 인가되는 충격량이 상당하여, 유압에 의한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 상용되고 있는 착암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이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착암기는 프레임(10) 내에 착암로드(20)와 타격로드(30)가 각각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타격로드(30)가 별도의 동력장치에 의해 왕복 이동하여 착암로드(20)의 후방을 타격함에 따라 착암로드(20)의 전단에 부착된 비트가 암반을 직접 타격하여 천공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암반 타격 시 반작용에 의해 착암로드(2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착암로드(20)의 후방에서 타격로드(30)를 감싸는 1차댐퍼(40)와 2차댐퍼(50)가 착암로드(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과정에서 메인유로(12a)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착암로드(20), 1차댐퍼(40) 및 2차댐퍼(50)에 전방으로 압력을 가해 댐핑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착암로드(20), 1차댐퍼(40) 및 2차댐퍼(50)의 후방 이동은 정지되나, 착암로드(20)는 최초 타격로드(30)가 타격을 수행하기 위한 기준 위치보다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이를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업이 요구된다.
종래의 착암기에는 메인유로(12a)와 연통된 연결유로(12b)에 의해 유체를 공급받고, 보조유로(12c)를 통해 2차댐퍼(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보조피스톤(60)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2차댐퍼(50)는 순차적으로 1차댐퍼(40)와 착암로드(20)를 전방으로 밀어 기준 위치에 복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일반적으로 천공을 수행하는 암반의 종류, 천공 각도, 천공 깊이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착암로드(20)에 인가되는 반작용 에너지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착암로드(20), 1차댐퍼(40) 및 2차댐퍼(50)의 후방 이동 거리 역시 매 타격 시마다 달라진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착암기는 매 타격 시 타격로드(30)가 착암로드(20)를 일정한 위치에서 타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에 따라 천공 효율이 떨어지게 됨은 물론이며, 불안정한 타격으로 인해 착암기에 고장이 쉽게 발생하며, 유지 및 보수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착암로드(20)에 인가되는 반작용 에너지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여 2차댐퍼(50)의 이동량을 산출할 필요가 있으나, 이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될 뿐 아니라 착암기의 단가가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를 구현한다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착암기와 같이 유로가 복수 개 구비되거나, 보조피스톤(60) 등 부가적인 구성요소가 더 요구되어야 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이며, 착암로드(20)를 매번 기준 위치에 오차 없이 정확히 위치시키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 타격 시 착암로드가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가 과도하게 복잡해짐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후로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대상을 직접 타격하여 상기 대상을 파쇄하며, 전체 둘레 중 소정 위치에는 다른 부분보다 둘레가 큰 확장둘레부가 형성된 착암로드, 상기 착암로드의 후방에서 전후로 왕복 이동되며, 전방 이동 시 상기 착암로드의 후단에 부딪혀 상기 착암로드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타격로드, 전단이 상기 확장둘레부의 후단에 접촉되어 상기 착암로드가 후방으로 이동 시 밀려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착암로드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제1댐핑부재, 상기 제1댐핑부재의 후단에 접촉되는 전방둘레부와, 상기 전방둘레부보다 둘레가 큰 후방둘레부와, 상기 전방둘레부와 상기 후방둘레부를 연결하는 연결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댐핑부재가 후방으로 이동 시 밀려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1댐핑부재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제2댐핑부재, 내부에는 상기 착암로드의 확장둘레부, 상기 타격로드, 상기 제1댐핑부재 및 상기 제2댐핑부재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확장둘레부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제1단차와, 상기 제2댐핑부재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제2단차가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댐핑부재에 전방으로 추진력을 부가하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2댐핑부재의 상기 연결둘레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2댐핑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유지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유지부재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서로 연결, 분리 가능한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유지부재는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에는 상기 위치유지부재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프레임에는 상기 위치유지부재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댐핑부재의 상기 연결둘레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둘레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위치유지부재의 상기 접촉면은 상기 연결둘레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위치유지부재에 의해 착암로드는 물리적으로 항상 기준 위치에 오차 없이 위치되므로, 보다 정밀한 천공 또는 파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에 따라 착암기의 수명이 증가하며,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별도의 정밀 측정이 요구되지 않고 일정 이상의 유압만을 제공하면 되기 때문에 착암기의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고장률 및 제조 단가가 크게 감소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장치의 마모는 위치유지부재에 집중되므로, 위치유지부재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유지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착암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타격로드가 후방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타격로드가 착암로드의 후단을 타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착암로드가 암반 타격의 반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제1댐핑부재 및 제2댐핑부재가 착암로드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며 댐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제1댐핑부재 및 제2댐핑부재가 유압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착암로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제2댐핑부재의 연결둘레부가 위치유지부재의 접촉면에 접촉되어 착암로드가 기준 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위치유지부재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160)가 구비된 착암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암기는 프레임(110), 착암로드(120), 타격로드(130), 제1댐핑부재(140), 제2댐핑부재(150) 및 위치유지부재(160)를 포함한다.
먼저, 프레임(110)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착암로드(120)의 전방 노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타격로드(130), 제1댐핑부재(140), 제2댐핑부재(150) 및 위치유지부재(160)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즉, 프레임(110)은 다른 구성요소들의 하우징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에는 제1단차(114a)와 제2단차(114b)가 형성되며, 이들은 이후 각각 착암로드(120)와 제2댐핑부재(150)가 일정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제2댐핑부재(150)에 전방으로 추진력을 부가하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110)은 전방프레임(110a)과 후방프레임(110b)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연결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한 사항 역시 후술하도록 한다.
착암로드(12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수용공간 내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다만 착암로드(120)의 전반부는 천공 또는 파쇄 대상을 직접 타격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착암로드(120)의 전체 둘레 중 소정 위치에는 착암로드(120)의 다른 둘레 부분보다 둘레가 큰 확장둘레부(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착암로드(120)는 전방으로 이동 시 확장둘레부(122)가 프레임(110)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제1단차(114a)에 걸려 일정 거리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서, 착암로드(120)는 단면이 원형의 봉 형태로 형성되고, 전단에는 비트(124)가 구비되며, 확장둘레부(122)는 착암로드(120) 전체 길이 중 중앙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착암로드(120)는 전후 부분이 확장둘레부(122) 보다 얇게 형성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확장둘레부(122)는 착암로드(120)의 전단부에 가깝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후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타격로드(130)는 착암로드(12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10)의 수용공간 내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착암로드(120)의 후방에 위치된다. 특히 타격로드(130)는 별도의 구동유닛 등에 의해 전후 이동되며, 전방으로 이동 시 착암로드(120)의 후단에 부딪혀 천공 또는 파쇄 시 요구되는 에너지를 착암로드(12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타격로드(130)는 착암로드(120)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봉 형태를 가지며, 전단은 착암로드(120)의 후단에 대응되는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착암로드(120)의 확장둘레부(122) 후방 둘레 부분과 타격로드(130)의 둘레에는 여분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제1댐핑부재(140)와 제2댐핑부재(150)가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댐핑부재(140)는 전단이 착암로드(120)의 확장둘레부(122)의 후단에 접촉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착암로드(120)가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제1댐핑부재(140) 역시 후방으로 밀리며, 반대로 제1댐핑부재(140)가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착암로드(120)는 제1댐핑부재(14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댐핑부재(140)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착암로드(120)의 확장둘레부(122) 후방을 감싸도록 위치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확장둘레부(122)가 착암로드(120)의 후단부에 형성될 경우에는 제1댐핑부재(140)가 착암로드(120)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지 않고 단순히 후방에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2댐핑부재(150)는 제1댐핑부재(140)의 후방에 위치되며, 내부에 중공을 가지고, 크게 전방둘레부(150a), 연결둘레부(150b), 후방둘레부(150c)의 세 부분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먼저 전방둘레부(150a)는 제2댐핑부재(150)의 전단 부분으로서, 제1댐핑부재(140)의 후단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댐핑부재(140)가 후방으로 이동 시 제2댐핑부재(150) 역시 함께 후방으로 밀리게 되며, 반대로 제2댐핑부재(150)가 전방으로 이동 시 제1댐핑부재(140)는 전방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둘레부(150c)는 제2댐핑부재(150)의 후방 영역으로, 전방둘레부(150a)보다 큰 둘레를 가진다. 또한 연결둘레부(150b)는 전방둘레부(150a)와 후방둘레부(150c) 사이에 위치되고, 전방둘레부(150a)와 후방둘레부(150c)를 서로 연결시키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2댐핑부재(150)는 전단부가 후단부에 비해 좁으며, 내부에는 착암로드(120) 또는 타격로드(130)가 중공을 통해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댐핑부재(150)는 프레임(110)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제2단차(114b)에 의해 후방 이동을 제한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착암로드(120), 타격로드(130), 제1댐핑부재(140), 제2댐핑부재(150)는 프레임(110)의 수용공간 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나, 제1단차(114a) 및 제2단차(114b)에 의해 그 이동량이 제한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2댐핑부재(150)가 일정 거리 이상 전방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위치유지부재(160)가 구비된다. 위치유지부재(160)는 착암로드(120)를 타격로드(130)가 타격하기 위한 기준 위치로 세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프레임(110)의 수용공간 내에 링 형태로 구비된다.
도 1의 하부에 도시된 확대 그림을 살펴보면, 위치유지부재(160)는 제2댐핑부재(150)의 연결둘레부(150b)와 접촉되어 제2댐핑부재(15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접촉면(162)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유지부재(16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암기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들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160)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타격로드(130)가 후방 이동한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을 천공 또는 파쇄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착암로드(120)는 기준 위치에 준비되며, 타격로드(130)가 착암로드(120)로부터 이격되어 타격을 준비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160)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타격로드(130)가 착암로드(120)의 후단을 타격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즉, 타격로드(130)는 별도의 구동유닛 등에 의해 전방으로 빠르게 이동하여 착암로드(120)의 후단을 타격해 천공 또는 파쇄 시 요구되는 에너지를 착암로드(120)에 전달한다.
그리고 본 과정에 의해 착암로드(120)는 제1댐핑부재(140)와 접촉된 상태에서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되어 대상을 타격하며, 프레임(110)은 별도의 이동유닛에 의해 착암로드(120)가 대상을 천공한 깊이만큼 전진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160)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착암로드(120)가 암반 타격의 반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 단계에서 대상을 타격한 착암로드(120)는 타격의 반작용으로 후방으로 빠르게 이동되며, 결과적으로 확장둘레부(122)는 제1댐핑부재(140)의 전단에 접촉된다.
한편 타격로드(130) 별도의 구동유닛 등에 의해 후방으로 왕복 이동하여 다음 타격을 대기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160)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제1댐핑부재(140) 및 제2댐핑부재(150)가 착암로드(1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며 댐핑을 수행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전 단계에서 타격의 반작용에 의해 착암로드(120)의 확장둘레부(122)는 제1댐핑부재(140)의 전단에 접촉되며, 이때 착암로드(120)는 여전히 후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제1댐핑부재(140) 역시 후방으로 밀리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2댐핑부재(150) 역시 연결둘레부(150b)가 위치유지부재(160)의 접촉면(162)으로부터 떨어져 후방으로 이동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제2댐핑부재(150)에 전방으로 추진력을 부가하도록 여유공간(112b)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유로(112a)가 형성된다. 상기 유체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유압식의 장치에 널리 사용되는 유압유(Hydraulic Oil)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체는 공급유로(112a)와 연결된 별도의 압력조절유닛에 의해 공급되며, 항상 제2댐핑부재(1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착암로드(120)에 인가된 반작용 에너지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던 착암로드(120), 제1댐핑부재(140) 및 제2댐핑부재(150)는 유압에 의해 댐핑되어 서서히 속도가 줄게 되며, 일정 거리를 이동 후 정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160)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제1댐핑부재(140) 및 제2댐핑부재(150)가 유압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착암로드(1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이 도시된다.
전 단계에서는 유압에 의해 착암로드(120), 제1댐핑부재(140) 및 제2댐핑부재(150)가 댐핑되었으며, 본 단계에서는 정지된 제2댐핑부재(150)가 유압에 의해 다시 서서히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2댐핑부재(150)의 이동과 함께 제1댐핑부재(140) 및 착암로드(120)는 전방으로 밀려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제2댐핑부재(150)의 연결둘레부(150b)가 위치유지부재(160)의 접촉면(162)에 접촉되어 착암로드(162)가 기준 위치에 위치된 모습이 도시된다.
전 단계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던 착암로드(120), 제1댐핑부재(140) 및 제2댐핑부재(150)는 제2댐핑부재(150)의 연결둘레부(150b)가 위치유지부재(160)의 접촉면(160)에 접촉됨으로써 전방 이동을 멈추게 된다. 즉, 제2댐핑부재(150)의 연결둘레부(150b)가 위치유지부재(160)의 접촉면(160)에 접촉되는 순간은 착암로드(120)가 기준 위치에 도달한 순간으로, 이후 도3부터의 과정을 반복하여 대상의 천공 또는 파쇄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댐핑부재(150)의 연결둘레부(150b)는 전방둘레부(150a)와 후방 둘레부(150c)를 경사지게 연결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둘레가 점점 커지는 형태를 가지며, 이때 위치유지부재(160)의 접촉면(162)은 연결둘레부(150b) 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둘레부(150b)가 위치유지부재(160)의 접촉면(162)에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암기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였다.
종래의 착암기의 경우, 착암로드를 기준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유압 제어를 정밀하게 수행하여야 하나, 이는 기술적으로 구현하기가 어려우며,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구현한다고 하더라도 정밀도에는 한계가 있어 매 타격 시 타격로드가 착암로드를 일정한 위치에서 타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유지부재(160)가 구비됨으로 인해 착암로드(120)는 물리적으로 항상 기준 위치에 오차 없이 위치되므로, 보다 정밀한 천공 또는 파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압을 정밀 제어할 필요가 없으며, 제2댐핑부재(150)를 항상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일정 이상의 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그 구조 역시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위치유지부재(160)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지부재(160)가 구비된 착암기에 있어서, 위치유지부재(160)가 분리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유지부재(160)는 프레임(11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장치의 마모는 위치유지부재(160)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위치유지부재(160)를 탈착 가능하게 형성할 경우 이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유지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서로 분리 가능한 전방프레임(110a)과 후방프레임(110b)이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위치유지부재(160)는 전방프레임(110a)과 후방프레임(110b)이 연결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전방프레임(110a)에는 위치유지부재(160)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116a)이 형성되며, 후방프레임(110b)에는 위치유지부재(160)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116b)이 형성된다. 따라서 위치유지부재(160)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프레임(110a)과 후방프레임(110b)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프레임 110a: 전방프레임
110b: 후방프레임 112a: 공급유로
112b: 여유공간 114a: 제1단차
114b: 제2단차 116a: 제1삽입홈
116b: 제2삽입홈 120: 착암로드
122: 확장둘레부 124: 비트
130: 타격로드 140: 제1댐핑부재
150: 제2댐핑부재 150a: 전방둘레부
150b: 연결둘레부 150c: 후방둘레부
160: 위치유지부재 162: 접촉면

Claims (6)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전후로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대상을 직접 타격하여 상기 대상을 파쇄하며, 전체 둘레 중 소정 위치에는 다른 부분보다 둘레가 큰 확장둘레부가 형성된 착암로드;
    상기 착암로드의 후방에서 전후로 왕복 이동되며, 전방 이동 시 상기 착암로드의 후단에 부딪혀 상기 착암로드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타격로드;
    전단이 상기 확장둘레부의 후단에 접촉되어 상기 착암로드가 후방으로 이동 시 밀려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착암로드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제1댐핑부재;
    상기 제1댐핑부재의 후단에 접촉되는 전방둘레부와, 상기 전방둘레부보다 둘레가 큰 후방둘레부와, 상기 전방둘레부와 상기 후방둘레부를 연결하는 연결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댐핑부재가 후방으로 이동 시 밀려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1댐핑부재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제2댐핑부재;
    내부에는 상기 착암로드의 확장둘레부, 상기 타격로드, 상기 제1댐핑부재 및 상기 제2댐핑부재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확장둘레부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제1단차와, 상기 제2댐핑부재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제2단차가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댐핑부재에 전방으로 추진력을 부가하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2댐핑부재의 상기 연결둘레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2댐핑부재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유지부재;
    를 포함하는 착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유지부재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착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연결, 분리 가능한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유지부재는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착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에는 상기 위치유지부재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프레임에는 상기 위치유지부재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된 착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핑부재의 상기 연결둘레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둘레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위치유지부재의 상기 접촉면은 상기 연결둘레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착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착암기.
KR1020120021353A 2012-02-29 2012-02-29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 KR101295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53A KR101295291B1 (ko) 2012-02-29 2012-02-29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53A KR101295291B1 (ko) 2012-02-29 2012-02-29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291B1 true KR101295291B1 (ko) 2013-08-09

Family

ID=4922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353A KR101295291B1 (ko) 2012-02-29 2012-02-29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2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465A (ko) * 2000-06-01 2001-12-10 나카이 아키타카 유압착암기의 댐퍼압력 제어장치
JP3824112B2 (ja) * 1997-07-18 2006-09-20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油圧打撃装置の緩衝機構
KR20090119614A (ko) * 2008-05-16 2009-11-19 지성중공업 주식회사 공타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20100099407A (ko) * 2009-03-03 2010-09-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치즐의 교체가 용이한 유압 브레이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4112B2 (ja) * 1997-07-18 2006-09-20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油圧打撃装置の緩衝機構
KR20010109465A (ko) * 2000-06-01 2001-12-10 나카이 아키타카 유압착암기의 댐퍼압력 제어장치
KR20090119614A (ko) * 2008-05-16 2009-11-19 지성중공업 주식회사 공타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20100099407A (ko) * 2009-03-03 2010-09-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치즐의 교체가 용이한 유압 브레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0829B1 (en) Hydraulic hammering device
JP6421180B2 (ja) 液圧ダウンザホールハンマー
CA2711527C (en) Vibration hammer
US20170080554A1 (en) Hydraulic hammer assembly
KR101751409B1 (ko)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
JP6713778B2 (ja) 液圧式打撃装置
JP4490289B2 (ja) 削岩機と軸方向ベアリング
EP1802426B1 (en) Percussion device
JP5145503B1 (ja) 破砕方法
JP6480201B2 (ja) 液圧式打撃装置
KR101699166B1 (ko) 파쇄 디바이스
KR101295291B1 (ko) 위치유지부재가 구비된 착암기
JP3673282B2 (ja) 穿孔機による穿孔調整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穿孔機
ES2950098T3 (es) Aparato de percusiones provisto de un cojinete de guiado equipado con un dispositivo de centrado
CN114562196B (zh) 活塞缓冲机构及凿岩机
CN115075723A (zh) 设置有止动活塞的液压回转冲击锤钻
JP6470058B2 (ja) 液圧式打撃装置
KR101721893B1 (ko) 시추공을 뚫기 위한 유압식 회전 충격 장치
KR200384091Y1 (ko) 발파공용 비트의 안내장치
CN215859963U (zh) 一种液压凿岩机用冲击缸套
CN112360481B (zh) 一种破岩设备及其冲击装置
JP2007002485A (ja) 回転打撃式削孔装置
AU2015316695A1 (en) Hydraulic drilling apparatus intended for drilling blast holes
RU2549642C1 (ru) Перфоратор
KR20150000403A (ko) 유압식 회전 타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