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185B1 - 레일형 주차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형 주차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185B1
KR101295185B1 KR1020120140277A KR20120140277A KR101295185B1 KR 101295185 B1 KR101295185 B1 KR 101295185B1 KR 1020120140277 A KR1020120140277 A KR 1020120140277A KR 20120140277 A KR20120140277 A KR 20120140277A KR 101295185 B1 KR101295185 B1 KR 101295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harging
power
modul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수
백재구
이재성
강태헌
Original Assignee
창신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창신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20140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185B1/ko
Priority to US14/090,724 priority patent/US926292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F16M11/425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along gui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바퀴 구동부를 구동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주차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무선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원 잔량을 확인하여 충전하는 충전 및 AP 통합모듈을 포함하는 충전 및 AP 함체,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 영상인식 등의 처리를 하고 처리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 그리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주차현황 검색, 리포팅 출력 등의 기능을 하는 관리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한대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은 전원과 LAN 선을 통합하여 사용하므로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충전 및 AP 함체를 이용하여 2대의 카메라 위치를 상호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보다 적은 수의 카메라를 운용하여 주차관리가 가능하므로 설치 및 운용비용을 절감한다.

Description

레일형 주차관리 시스템{PARKING MONITORING SYSTEM USING RAIL}
본 발명은 레일형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주차장의 주차면을 촬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의 도시 집중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아파트 거주 비용이 늘어나고 있고, 백화점이나 대형 쇼핑센터 등이 많이 생겨남에 따라 도시의 주차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들은 주차장으로 이용할 부지가 적은 이유로, 건물의 지하로 지하주차장을 설계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이러한 지하주차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주차장 입구에 진입하는 차량을 비어있는 주차면으로 유도하거나,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위치를 차 소유자에게 알려주는 등의 서비스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요원들이 직접 주차장을 순찰하며 주차 공간 등을 확보하고 새로운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했을 때 주차 가능한 공간으로 진입 차량을 안내한다. 이러한 방법은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많은 주차면 각각을 전부 파악하고 관리하기 어려움이 있다. 주차면 각각에 대한 주차여부와 차량번호 인식을 위해서 각 주차면마다 센서 및 카메라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설치비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일 위를 이동하는 카메라 모듈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전원공급 문제를 해결해야 되는데,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경우에는 레일 길이가 길어서 배선이 복잡해지고 모터 등의 소형 구동장치로는 카메라를 원활하게 운용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레일형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레일 위를 따라 이동하며, 주차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의 전원부 배터리에 대한 저비용의 충전 및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통합에 대한 것과, 레일 위에 있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충전방법과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의 상호 위치교체를 위한 장치 및 시설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최소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차장을 관리함으로써 카메라 설치 등 시스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바퀴 구동부를 구동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주차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해 다양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무선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수신하며(Access Point 기능),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원 잔량을 확인하여 충전시켜주는(충전 기능) 2가지의 기능이 통합된 충전 및 AP 통합모듈을 포함하는 충전 및 AP 함체,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 영상인식 등을 수행하고 처리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 그리고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주차현황 검색, 리포팅 출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관리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및 AP 함체는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 외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는 전원부, 상기 레일과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과 상기 주행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충전 레일, 그리고 상기 카메라모듈에 대한 충전을 시작할 때 혹은 2대의 카메라모듈의 위치를 교체할 때, 상기 충전 및 AP 함체의 위치를 수평 이동시키는 기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전 및 AP 함체에 위치하는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로 전원선과 LAN 선을 연결할 때, 전원의 경우 LAN 선을 이용한 PoE 방식 혹은 별도의 유선 전원선 혹은 무선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카메라모듈에 대한 충전을 할 때, 무선 또는 유선 방식의 충전기능을 제공하는 충전 및 AP 통합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및 AP 함체는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의 밑면, 혹은 윗면, 혹은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기어 구동부에 연결되어 위치하는 원형 기어를 포함하는 제1 바닥면과 상기 원형 기어와 맞물리도록 위치하고 복수의 돌출부로 형성되는 평행 기어날을 포함하는 제2 바닥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T형 레일 형상, 또는 ㅗ형 레일 형상, 또는 I형 레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T형 레일 형상에서 ㅜ 형의 평면 윗면과 평면 아래면, 그리고 수직면의 양쪽에 적당한 수의 바퀴를 장치하여 이동하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ㅗ형 레일 형상에서 ㅗ형의 평면 윗면과 평면 아래면, 그리고 수직면의 양쪽에 적당한 수의 바퀴를 장치하여 이동하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I형 레일 형상에서 I형의 위 평면 아래면과 아래 평면 윗면, 그리고 수직면의 양쪽에 적당한 수의 바퀴를 장치하여 이동하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레일 위를 이동하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에 대한 충전 및 무선통신모듈이 통합된 장치, 카메라 위치교체를 위한 원형기어와 구동부를 갖춘 함체장치 등을 구비함으로써 카메라 및 시스템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설치 공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카메라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카메라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충전 및 AP 함체와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충전 및 AP 함체가 기어를 통해 수평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충전 및 주행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주차면(1)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에 위치하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된 카메라모듈(100), 주행레일(120), 충전레일(130), 그리고 충전 및 AP 모듈(150)을 포함하는 충전 및 AP 함체(110) 등, 상기의 내용이 하나의 일렬 주차면에 대한 장치 및 시설물들이며, 다른 주차면들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구조가 주차면의 수만큼 반복된다. 도 1에서는 2개의 주차면이 있는 상황을 그림으로 나타내 보인다.
시스템에 있는 모든 충전 및 AP함체(110, 210)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충전 및 AP 모듈(150, 250)은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각각 해당 레일(10 혹은20) 위에 있는 모든 카메라모듈(100a~100n 또는 200a~200n)들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상기 유선 네트워크(410, 411, 412)에는 하나의 서버가 구비되어 있어서 모든 레일(10, 20)위에 있는 모든 카메라모듈(100a~100n, 200a~200n)들과 통신을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410, 411, 412)에는 관리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한대 이상의 PC(500)가 구비되어 주차현황 모니터링, 실시간 감시, 동영상 검색 및 재생, 특정차량 검색, 리포팅 출력 등이 가능하며, 모든 카메라 모듈들(100a~100n, 200a~200n)에 대한 검색 및 제어 등이 가능하다.
각각의 레일(10, 20)은 주차장의 천정 혹은 천정에 가깝게 위치하고, 해당 주차면(1 혹은 2)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이 때, 각각의 레일(10, 20)은 해당 주차면(1 혹은 2) 전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차량번호를 촬영할 수 있는 곳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주차장의 천정 부위에 위치하는 각각의 레일(10 혹은 20)의 적당한 곳에 충전 및 AP 함체(110 혹은 210)가 위치하고 있으며, 각각의 충전 및 AP 함체(110 혹은 210)는 충전 및 AP 모듈(150, 250), 주행 레일(120, 220), 충전 레일(130, 230)을 구비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각각의 카메라모듈(100a~100n, 200a~200n)은 해당 레일(10 또는 20)을 따라 이동하며 해당 주차면(1 또는 2)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각각의 충전 및 AP함체(110 또는 210)에 포함된 충전 및 AP 모듈로(150 또는 250)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을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유선 네트워크(410, 411, 412)를 통해 상기 서버(40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400)는 시스템 상의 모든 카메라모듈(100a~100n, 200a~200n)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차량번호판 인식, 물체의 움직임 판단 등의 처리를 한 다음 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네트워크(410, 411,412)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PC(500)에 설치된 관리 소프트웨어는 주차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촬영 영상 재생 및 검색, 특정 차량위치 검색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충전 및 AP 함체(110, 210)의 구조에 대해 도 4를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충전 및 AP 함체(110, 2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원부(310), 충전부(320), AP 모듈(330), 기어구동부(340)를 포함한다.
전원부(310)는 별도의 전원선 또는 LAN선을 이용한 PoE(이더넷 전원 장치, Power over Ethernet)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아서 적절한 전원회로를 거친 다음, 충전부(320), AP 모듈(330), 및 기어 구동부(3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충전부(320)는 충전 레일(130 또는 230)에 위치하는 카메라모듈의 전원부(105)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충전부(320)는 무선 혹은 유선 충전장치를 구비하여 카메라 모듈(100a~100n 또는 200a~200n)의 전원부(105)를 충전할 수 있다.
AP 모듈(330)은 상기 유선 네트워크(410, 411,412)와 연결되며, 해당 레일(10 또는 20) 위에 있는 모든 카메라모듈(100a~100n 또는 200a~200n)들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즉 AP(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제공한다. AP 모듈(330)을 통해 상기 서버(400)는 시스템 상의 모든 카메라모듈(100a~100n 또는 200a~200n)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각각의 카메라 모듈들의 배터리 잔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기어 구동부(340)는 전원부(3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원형 기어(180)를 구동한다. 이 때, 원형 기어(180)는 충전 및 AP 함체(110)의 제1 바닥면(160)에 위치하고, 충전 및 AP 함체(110)의 제1 바닥면(160)의 하부는 평행 기어날(190)을 구비하는 제2 바닥면(170)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기어 구동부(340)가 전원부(31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원형 기어(180)를 구동하면, 제 2바닥면에 구비되어 있는 평행 기어날(190)과 맞물려 충전 및 AP 함체(110)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은 카메라모듈(100a~100n 또는 200a~200n)의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고로 하면, 카메라모듈은 전원부(105), 통신부(106), 처리부(107), 카메라부(108), 그리고 바퀴 구동부(109)를 구비한다.
전원부(105)는 충전 및 AP 모듈(150 또는 2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후, 적절한 전원회로를 통한 전원처리를 한 다음, 통신부(106), 처리부(107), 카메라부(108), 그리고 바퀴 구동부(109)에 전원을 공급한다.
카메라부(108)는 촬영 대상 주차면 및 그 주변 상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한다. 처리부(107)는 카메라부(108)에서 수집한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필요할 경우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 차량 번호판 인식, 통행인 추적 등의 영상처리를 하고, 영상정보 및 처리결과를 통신부(106)로 전달한다. 통신부(106)는 처리부(107)로부터 전달된 영상 정보를 받아 충전 및 AP 모듈(150, 250)이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바퀴 구동부(109)는 모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원부(105)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고, 발생된 회전력을 카메라모듈(100a~100n 또는 200a~200n)의 하부에 장착된 바퀴(103)에 전달한다.
다음은 각각의 카메라모듈(100a~100n, 200a~200n)의 전원부(105)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을 도6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버(400)는 각각의 카메라 모듈(100a~100n, 200a~200n)의 전원부(105) 배터리 잔량을 항상 체크하는데, 만약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게 발견되면, 서버(400)는 해당 카메라 모듈에게 레일(10 혹은 20)에 있는 충전 및 AP 함체(110 혹은 210)로 접근하도록 명령한다. 해당 카메라 모듈이 접근하면 서버(400)의 명령에 따라 해당 함체(110 혹은 210)는 수평이동을 하여 충전레일(130 혹은 230)이 레일(10 혹은 20)과 만나도록 정렬시키고, 해당 카메라 모듈에게 충전레일(130 혹은 230)위로 이동하도록 명령한다. 도 6의 (6-b)는 해당 카메라 모듈이 충전 레일(130 혹은 230) 위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준다. 그런 다음 서버(400)는 함체(110 혹은 210)에게 수평이동을 하도록 명령을 내려서 주행 레일(120 혹은 220)이 레일(10 혹은 20)과 만나도록 정렬시킨다. 이 상태에서 해당 카메라 모듈이 충전을 하고 있는 동안 다른 카메라모듈들은 자유롭게 레일(10 혹은 20) 위를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도 6의 (6-d)는 이 상태를 보여준다.
2 대의 카메라 모듈간의 위치 교체도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충전 레일(130 혹은 230)로 들어가서 머물러 있는 동안 (도 6의 (6-c)), 다른 카메라 모듈이 주행 레일(120 혹은 220)를 따라 함체(110 혹은 210)를 지나 반대편으로 이동한 후, 서버(400)의 명령에 따라 함체(110 혹은 220)가 수평 이동하여 충전 레일(130 혹은 230)이 레일(10 혹은 20)과 만나도록 하고, 충전레일(130 혹은 230)에 있던 카메라 모듈이 레일(10 혹은 20)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서버(400)의 명령에 따라 함체(110 혹은 210)는 수평 이동하여 주행 레일(120 혹은 220)이 레일(10 혹은 20)과 만나도록 이동하면 위치교체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의 (a)는 레일의 한 실시예로 "T"자형 레일 형상을 보여주는데, 수평면의 윗면에 4개의 바퀴가 사각형의 꼭지점에 하나씩 위치하여 아래방향으로 압착하는 형태로 장치되며, 수평면의 아래면에는 수직면의 양쪽에 1개씩, 모두 2개의 바퀴가 위쪽으로 압착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수직면의 양쪽에 2개씩, 모두 4개의 바퀴가 위치하여 수직면을 양쪽에서 압착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부 10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레일위를 이동하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수평면의 위쪽에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2개의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의 (b)는 레일의 한 실시예로 "ㅗ"자형 레일 형상을 보여주는데, 수평면의 윗면인 동시에 수직면의 양쪽에 2개씩, 모두 4개의 바퀴가 아래로 압착하는 형태로 장치되며, 수평면의 아래면에는 모두 2개의 바퀴가 위쪽으로 압착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수직면의 양쪽에 2개씩, 모두 4개의 바퀴가 위치하여 수직면을 양쪽에서 압착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부 10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레일위를 이동하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수평면의 위쪽에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2개의 바퀴에 혹은 수평면의 아래면에 장치된 2개의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의 (c)는 레일의 한 실시예로 "I"자형 레일 형상을 보여주는데, 아래 수평면의 윗면인 동시에 수직면의 양쪽에 2개씩 모두 4개의 바퀴가 아래로 압착하는 형태로 장치되며, 위 수평면인 동시에 수직면의 양쪽에 1개씩, 모두 2개의 바퀴가 위쪽으로 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수직면의 양쪽에 2개씩, 모두 4개의 바퀴가 위치하여 수직면을 양쪽에서 압착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부 10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레일위를 이동하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아래 수평면의 위쪽에 설치되는 4개의 바퀴 중 2개의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혹은 위 수평면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2개의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주차면을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레일 및 카메라를 구비하고, 각 카메라(100a~100n, 200a~200n)는 해당 레일(10 또는 20)을 따라 이동하므로 종래의 고정식 카메라를 구비하여 주차면을 촬영하는 것에 비해 카메라를 적게 구비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시스템 최초 구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주차면 10, 20: 레일
120, 220: 주행 레일 130, 230: 충전 레일
100, 200: 카메라 모듈 110, 210: 충전 및 AP 함체
150, 250: 충전 및 AP 모듈 500: PC
400: 서버

Claims (8)

  1. 바퀴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레일을 이동하여 주차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무선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통신부에서 송신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전원부 잔량을 확인하여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 및 AP 통합모듈, 상기 레일과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과 상기 주행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충전 레일, 그리고 상기 주행 레일 및 상기 충전 레일을 수평 이동시키는 기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충전 및 AP 함체,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에서 송신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인식하여 인식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 그리고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서버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주차현황 검색을 수행하는 관리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를 포함하는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충전 및 AP 함체는,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 외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고 인가받은 상기 전원을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에 공급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충전 및 AP 함체의 상기 전원부는 LAN(Local Area Network)선을 이용한 PoE(Power over Ethernet) 방식의 유선 전원선 또는 무선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에 공급하고,
    상기 전원부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상기 카메라모듈을 충전하는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충전 및 AP 함체는,
    상기 충전 및 AP 통합모듈의 밑면, 윗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기어 구동부에 연결되어 위치하는 원형 기어를 포함하는 제1 바닥면, 그리고
    상기 원형 기어와 맞물리도록 위치하고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평행 기어날을 구비하는 제2 바닥면
    을 더 포함하는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레일은 T 형, ㅗ 형 또는 I 형 형상을 갖는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T 형 형상을 갖는 상기 레일을 이동하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T 형 형상을 갖는 레일의 평면 윗면과 평면 아래면, 그리고 수직면의 양쪽에 각각 닿도록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구비하는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서,
    상기 ㅗ 형 형상을 갖는 상기 레일을 이동하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ㅗ 형 형상을 갖는 레일의 평면 윗면과 평면 아래면, 그리고 수직면의 양쪽에 각각 닿도록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구비하는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
  8. 제5항에서,
    상기 I 형 형상을 갖는 레일을 이동하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I 형 형상을 갖는 레일의 위 수평면의 아랫면과 아래 수평면의 윗면, 그리고 수직면의 양쪽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구비하는 레일형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0120140277A 2012-12-05 2012-12-05 레일형 주차관리 시스템 KR101295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277A KR101295185B1 (ko) 2012-12-05 2012-12-05 레일형 주차관리 시스템
US14/090,724 US9262922B2 (en) 2012-12-05 2013-11-26 Park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277A KR101295185B1 (ko) 2012-12-05 2012-12-05 레일형 주차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185B1 true KR101295185B1 (ko) 2013-08-09

Family

ID=4922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277A KR101295185B1 (ko) 2012-12-05 2012-12-05 레일형 주차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62922B2 (ko)
KR (1) KR101295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3248A1 (en) * 2016-03-21 2017-09-27 Green Seed S.r.l.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a parking
CN109887325A (zh) * 2019-03-19 2019-06-14 南京维智感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线走机构的路内停车场管理装置及其方法
CN111667593B (zh) * 2020-07-20 2021-08-31 南京顺风百程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路边停车的智能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522B1 (ko) * 2010-07-07 2010-12-08 나온아이앤티 (주) 주차 안내를 위해 각 주차구획을 모니터링하여 주차장 주차 현황을 제공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장치
KR101071716B1 (ko) * 2010-07-02 2011-10-11 윤형관 이동형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4792A1 (en) * 2001-06-29 2003-01-02 Townzen Conn L. System and method to remotely control and monitor a parking garage revenue system and gate via an open network connection
JP5294865B2 (ja) * 2005-09-13 2013-09-18 ウンカトラマン・スブラマニヤヌ マルチレベル駐車場及び方法
US20070085067A1 (en) * 2005-10-18 2007-04-19 Lewis John R Gated parking corral
DE102008049371A1 (de) * 2008-03-06 2009-09-10 Mühlbauer Ag Einrichtung mit einem RFID-Transponder in einem elektrisch leitfähigen Gegenstand und Herstellungsverfahren hierfür
US8799037B2 (en) * 2010-10-14 2014-08-05 Palt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tor vehicle parking reservations
KR101372171B1 (ko) * 2012-10-11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가능영역 판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716B1 (ko) * 2010-07-02 2011-10-11 윤형관 이동형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0999522B1 (ko) * 2010-07-07 2010-12-08 나온아이앤티 (주) 주차 안내를 위해 각 주차구획을 모니터링하여 주차장 주차 현황을 제공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62922B2 (en) 2016-02-16
US20140152824A1 (en)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3602A1 (zh) 停车管理机器人及停车管理方法和系统
CN107134165B (zh) 一种车位车牌移动式识别装置及识别方法
CN103824455B (zh) 道路巡逻系统及控制方法
CN105575180A (zh) 基于物联网的智能车库无人化远程管理系统
CN107269054A (zh) 一种智能立体停车库系统及控制方法
CN112017474B (zh) 一种地下停车场视频监控系统
KR101295185B1 (ko) 레일형 주차관리 시스템
CN206021323U (zh) 数字楼宇系统
CN102682619A (zh) 一种基于车辆特征视频识别的停车场车辆定位系统
CN111653092A (zh) 一种车路协同智慧公交管理监控系统
CN107123271A (zh) 一种基于二维码的停车系统及其方法
CN113489769A (zh) 一种智慧园区一体化综合服务管理系统
CN205486855U (zh) 车位引导与反向寻车系统
KR20150061160A (ko) 차량 위치 제공 로봇,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CN112908014A (zh) 停车场寻车方法及装置
CN206563980U (zh) 智慧楼宇综合管理平台
CN115593434A (zh) 一种配合智能汽车的停车场自动泊车系统
CN112922414A (zh) 一种智能自动化停车管控系统
CN206039609U (zh) 一种一卡通园区智能监控管理系统
CN113285989A (zh) 基于物联网的电动汽车充电场站智慧化管理方法及系统
CN110853394A (zh) 一种基于ai技术的地下停车场停车与寻车方法及系统
CN110942641A (zh) 一种架空摄像巡航的车号识别系统及车号识别方法
KR20140093815A (ko) Ip 카메라의 영상 기술을 적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CN109933915A (zh) 时空模型建立系统、方法、运动样本监测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167458A (zh) 机房协作运维机器人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