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085B1 -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085B1
KR101295085B1 KR1020130000077A KR20130000077A KR101295085B1 KR 101295085 B1 KR101295085 B1 KR 101295085B1 KR 1020130000077 A KR1020130000077 A KR 1020130000077A KR 20130000077 A KR20130000077 A KR 20130000077A KR 101295085 B1 KR101295085 B1 KR 101295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food waste
earthworm
shaft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이균
정의혁
김연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플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플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플어스
Priority to KR102013000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량의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좋게 처리하여 퇴비화할 수 있고, 사용하기가 매우 간편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케이스에 수납 및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투입실과,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 및, 받침부재에 받쳐진 음식물쓰레기를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받침부재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갖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과; 받침부재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쓰레기들이 투여될 수 있도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의 하측부분에 설치되며, 투여된 음식물쓰레기를 섭취 처리하는 다수의 지렁이들이 내부에 서식하는 지렁이 사육통과; 음식물쓰레기 투여 전에 지렁이 사육통의 흙을 일정깊이로 굴토할 수 있고, 투여된 음식물쓰레기를 흙으로 덮어줄 수 있도록 굴토된 흙을 복토할 수 있는 굴토 및 복토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VERMICOMPOSTING SYSTEM FOR URBAN AGRICULTURE AND ECOLOGY EDUCATION}
본 발명은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량의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좋게 처리하여 퇴비화할 수 있고, 사용하기가 매우 간편한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음식물쓰레기 건조 처리기가 있다.
음식물쓰레기 건조 처리기는, 탈수기와 히터 및 분쇄기 등을 갖추고 있는 장치로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및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분쇄하여 작은 크기의 고형물로 만들어 준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건조 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를 작은 크기의 고형물로 만들어줌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부피와 무게를 대폭적으로 줄여주고,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없애준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를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음식물쓰레기의 종량제 시행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여줄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건조 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해서 전기히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많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젖은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완전히 건조시켜야 하므로, 많은 량의 전기가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건조 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고 이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악취와 소음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에너지 소모가 적고, 악취와 소음의 발생이 없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음식물쓰레기를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는 장치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한국특허등록 제1138817호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화분 받침대"가 있다.
이 기술은, 지렁이 사육실을 갖는 화분받침대용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설치되는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트레이를 갖는 것으로,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트레이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용기본체에 투입한 다음,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지렁이 사육실의 지렁이들에게 투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화분 받침대는, 지렁이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므로,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의 소모가 전혀없고,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시 소음과 악취의 발생이 전혀없다.
또한, 지렁이들이 음식물쓰레기를 100% 처리하므로, 별도의 잔여물이 남지 않는다. 특히, 고형물 형태의 잔여물이 남는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건조 처리기에 비해서 별도의 잔여물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의 완전한 제거 처리가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화분 받침대는, 화분 받침대로 구성되므로, 음식물쓰레기 처리 용량이 적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화분 받침대는, 음식물쓰레기를 지렁이들이 서식하는 흙 위에 단순 투여하는 구조이므로, 지렁이들이 음식물쓰레기를 제대로 섭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지렁이들은, 일정깊이의 흙속에 서식하므로, 음식물쓰레기도 일정깊이 흙속에 묻어주어야만 지렁이의 음식물쓰레기 섭취효율이 좋은데, 종래의 기술은, 음식물쓰레기를 흙 위에 단순 투여하는 구조이므로, 지렁이의 음식물쓰레기 섭취효율이 현저하게 낮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처리효율도 낮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 밖에도,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화분받침대는, 지렁이들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면, 흙 위에 분변토가 쌓이게 되고, 이러한 분변토를 제거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분변토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측의 화분을 매번 들어 옮겨서 용기본체의 사육실을 개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불편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부 사용자의 경우에는, 지렁이에 대해 혐오감을 갖는데, 이러한 혐오감 때문에 용기본체의 지렁이 사육실을 개방하기 꺼린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분변토의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많은 량의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좋게 처리할 수 있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일정깊이의 흙속에 투여할 수 있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일정깊이의 흙속에 투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렁이의 음식물쓰레기 섭취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로써,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속도와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렁이 사육실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흙 위에 쌓여 있는 지렁이의 분변토를 수거 및 처리할 수 있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렁이 사육실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흙 위에 쌓여 있는 지렁이의 분변토를 수거 및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 및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투입실과,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에 받쳐진 음식물쓰레기를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갖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과; 상기 받침부재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쓰레기들이 투여될 수 있도록 상기 음식물쓰레기 투입통의 하측부분에 설치되며, 투여된 음식물쓰레기를 섭취 처리하는 다수의 지렁이들이 내부에 서식하는 지렁이 사육통과; 상기 음식물쓰레기 투여 전에 상기 지렁이 사육통의 흙을 일정깊이로 굴토할 수 있고, 투여된 음식물쓰레기를 흙으로 덮어줄 수 있도록 굴토된 흙을 복토할 수 있는 굴토 및 복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굴토 및 복토수단은, 상기 지렁이 사육통에 저장된 흙의 표면을 따라 운동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을 흙에 대해 운동시키는 축운동수단과; 상기 작동축의 외주면 중 어느 한 쪽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축이 어느 한쪽으로 운동함에 따라 상기 지렁이 사육통의 흙을 일정깊이로 굴토하는 굴토날과; 상기 작동축의 외주면 중 다른 쪽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축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 운동함에 따라 상기 굴토날에 의해 굴토된 흙을 다시 복토해주는 복토날과; 상기 흙의 굴토 시에는, 상기 굴토날을 흙 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흙의 복토 시에는, 상기 복토날을 흙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에 의하면, 화분 형태로 구성된 종래와 달리, 박스형태로 구성되므로, 음식물쓰레기 처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많은 량의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좋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흙을 굴토한 다음,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고, 굴토된 흙을 다시 복토하는 구조이므로, 음식물쓰레기를 일정깊이의 흙속에 투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일정깊이의 흙속에 투여할 수 있으므로, 지렁이의 음식물쓰레기 섭취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로써,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속도와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변토 배출장치를 통해, 지렁이 분변토를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지렁이 사육실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흙 위에 쌓여 있는 지렁이의 분변토를 간편하게 수거 및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렁이 사육실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흙 위에 쌓여 있는 지렁이의 분변토를 수거 및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밖에도, 조명장치와 발열장치 및 환풍기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온도를 조절하고 공기를 환기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지렁이의 서식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따라서, 지렁이를 건강하게 사육할 수 있고, 이로써, 음식물쓰레기의 처리효율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을 구성하는 음식물쓰레기 투입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을 구성하는 지렁이 사육조와 굴토 및 복토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의 작동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굴토 및 복토수단이 지렁이 사육조의 흙을 소정 깊이로 굴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의 작동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굴토 및 복토수단이 지렁이 사육조의 흙을 복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의 작동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굴토 및 복토수단이 지렁이 사육조의 흙을 굴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의 작동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지렁이 사육조의 지렁이 분변토를 외부로 긁어서 반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은, 케이스(10)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사각의 박스체, 특히, 큐브(Cube)형태로 구성되며, 상판(12)을 갖추고 있다.
상판(12)은, 화분(A)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배수구멍(12a)들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배수구멍(12a)들은, 화분(A)에서 배출된 물이 배수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케이스(10)의 내부로 배수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판(12)의 배수구멍(12a)들로부터 배출된 물을 받아서 수집할 수 있는 물받이(14)를 갖추고 있다.
물받이(14)는, 하부의 배출관(14a)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배출관(14a)은, 물받이(14)에 수집된 물을 지렁이 사육통(50)(후술함)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지렁이 사육통(50)의 내부가 일정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지렁이 사육통(50)의 내부환경이 지렁이 서식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은, 케이스(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을 구비한다.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은, 양쪽의 가이드 레일(20a)을 따라 케이스(10)의 내,외측으로 수납 또는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의 음식물쓰레기 투입실(22)을 갖추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투입실(22)은, 상측부분의 투입구(22a)와 하측부분의 회전식 받침부재(24)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측부분의 투입구(22a)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뚜껑(22b)에 의해 개폐된다.
하측부분의 회전식 받침부재(24)들은, 상측의 투입구(22a)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받쳐서 지지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는 좌,우측받침판(24a, 24b)을 구비한다.
좌,우측받침판(24a, 24b)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수평한 상태의 "원위치"(X)로부터 하방의 "회전위치"(Y)로 각각 회전되면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좌,우측받침판(24a, 24b)은, 음식물쓰레기를 받친 상태에서 하방으로 회전되면서 음식물쓰레기 투입실(22)의 하측부분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면에 얹혀진 음식물쓰레기를 하부로 낙하시킨다. 이로써, 상면의 음식물쓰레기가 하측부분에 설치된 지렁이 사육통(50)의 지렁이들에게 투여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좌,우측받침판(24a, 24b)은, 탄성가압수단, 예를 들면, 리턴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X)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항상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좌,우측받침판(24a, 24b)은,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전면으로 돌출된 회전손잡이(26)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회전손잡이(26)는, 좌,우측받침판(24a, 24b) 중 어느 하나의 힌지축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회전손잡이(26)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하면, 좌,우측받침판(24a, 24b) 중 어느 하나가 하방의 "회전위치"(Y)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다른 하나의 받침판(24b)은, 별도의 연동수단, 예를 들면, 링크장치, 또는 기어장치 등에 의해 어느 하나의 받침판(24a)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연결된 다른 하나의 받침판(24b)은, 어느 하나의 받침판(24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양쪽의 좌,우측받침판(24a, 24b)은, 회전손잡이(26)를 회전조작함에 따라 동시에 하방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상면에 올려진 음식물쓰레기를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좌,우측받침판(24a, 24b)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한국특허등록 제1138817호에 이미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은, 탈취제 수납실(28)을 더 갖추고 있다.
탈취제 수납실(28)은, 음식물쓰레기 투입실(22)의 양쪽부분에 배치되며, 뚜껑(28a)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탈취제 수납실(28)은, 각종 탈취제, 예를 들면, 숯, 약제 등이 수납되며, 이렇게 수납된 탈취제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 처리한다.
그리고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은, 도 1과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된 회전손잡이(30)를 회전 조작함에 따라 케이스(10)의 내,외측으로 인출 또는 수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전손잡이(30)의 회전력을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32)를 갖추고 있다.
동력전달장치(32)는, 회전손잡이(30)와 연결되는 스크류 이송축(34)과, 스크류 이송축(34)을 따라 나사운동할 수 있도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일측부분과 연결되는 슬라이더(Slider)(35)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력전달장치(32)는, 사용자가 회전손잡이(30)를 정,역회전시키면, 스크류 이송축(34)이 정,역회전운동하게 되고, 스크류 이송축(34)이 정,역회전운동하면, 이에 나사 결합된 슬라이더(35)가 스크류 이송축(34)을 따라 전,후 나사운동하며, 슬라이더(35)가 전,후 나사운동하면, 이와 연결된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도 전,후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케이스(10)의 전면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케이스(10)의 내부로 수납된다.
한편, 동력전달장치(32)는, 회전손잡이(30)의 회전력을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어느 한쪽부분에만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바,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인출 및 수납시, 좌,우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장치(32)는, 회전손잡이(30)의 회전력을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다른 한쪽부분에도 전달할 수 있는 연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연동수단은,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다른 한쪽부분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스크류 이송축(36)과, 스크류 이송축(36)을 따라 나사운동할 수 있도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타측부분과 연결되는 슬라이더(37)와, 일측부분의 스크류 이송축(34)과 타측부분의 스크류 이송축(36)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38)들 및, 양쪽의 기어(38)들을 감아서 연결하는 타이밍벨트(39)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동수단은, 사용자가 회전손잡이(30)를 정,역회전시키면, 회전손잡이(30)와 직결되는 스크류 이송축(34)이 정,역회전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크류 이송축(34)의 회전력은 기어(38)와 타이밍벨트(39)를 통해 다른 쪽의 스크류 이송축(36)으로 전달되면서 회전시킨다.
그리고 다른 쪽의 스크류 이송축(36)이 정,역회전운동하면, 이에 나사 결합된 슬라이더(37)가 스크류 이송축(36)을 따라 전,후 나사운동하며, 슬라이더(37)가 전,후 나사운동하면, 이와 연결된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다른쪽부분도 전,후 방향으로 운동한다.
따라서, 회전손잡이(30)의 회전력은,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양쪽부분에 동시에 전달되며, 이렇게 전달된 회전력은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양쪽부분을 동시에 운동시킨다. 이로써,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은 양쪽부분이 균일하게 운동하면서 케이스(10)의 전면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케이스(10)의 내부로 수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회전손잡이(30)의 회전조작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을 인출 또는 수납할 수 있게 구성한 이유는,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을 생태교육용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특히, 생태교육 체험자들로 하여금, 회전손잡이(30)의 회전조작하여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을 직접 인출한 다음, 인출된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에 음식물쓰레기를 직접 투여하고, 다시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을 직접 수납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도 및 친밀도 등을 높이고, 따라서, 생태교육에 대한 교육효과가 현저하게 상승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음식물쓰레기 투입실(22)에는, 분쇄기(40)가 설치된다.
분쇄기(40)는, 음식물쓰레기 투입실(22)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호퍼(42)와, 호퍼(42)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분쇄날(44) 및 분쇄날(44)을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손잡이(46)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쇄기(40)는,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 투입실(22)의 호퍼(42)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시킨 다음, 회전손잡이(46)를 회전조작하면, 분쇄날(44)이 회전되는데, 이렇게 회전되는 분쇄날(44)은, 호퍼(42)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분쇄한 다음, 하측부분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잘게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하측부분의 지렁이 사육통(50)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지렁이의 음식물 섭취효율이 상승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분쇄기(40)는,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이 복수개 설치될 경우, 선택된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은,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하측부분에 설치되는 지렁이 사육통(50)을 구비한다.
지렁이 사육통(50)은, 지렁이 사육실(52)을 갖추고 있으며, 지렁이 사육실(52)은 상측이 개방되어 있다(이하, 지렁이 사육실(52)의 개방된 상측을 "개방부(52a)"라 칭함).
개방부(52a)는,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수직하부에 위치하며, 이렇게 위치한 개방부(52a)는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쓰레기를 받아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지렁이 사육통(50)의 지렁이 사육실(52)은, 흙이 저장되고, 저장된 흙속에는 다수의 지렁이들이 사육되고 있다. 이렇게 사육되는 지렁이들은, 상측부분에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먹어서 처리한다.
특히,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먹어서 처리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완전히 제거 처리한다. 이때, 지렁이들은, 음식물쓰레기를 먹어서 처리하는 과정에서 분변토를 배설하는데, 이렇게 배설된 분변토는 흙의 표면에 일정한 높이로 쌓이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은, 지렁이 사육통(50)속의 흙을 일정깊이로 굴토해주고, 굴토된 흙을 다시 복토해주는 굴토 및 복토수단(60)을 구비한다.
굴토 및 복토수단(60)은,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전에,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을 일정깊이로 굴토하여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게 하고,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흙으로 덮어줄 수 있는 것으로, 흙의 표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작동축(62)과, 작동축(62)의 외주면 양쪽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굴토날(64)과 복토날(66)을 포함한다.
작동축(62)은, 흙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지렁이 사육통(50) 양쪽 측벽의 가이드레일(50a)을 따라 좌,우 직선운동한다. 특히, 흙의 표면을 따라 케이스(10)의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이렇게 좌,우 직선운동하는 작동축(62)은, 굴토날(64)과 복토날(66)을 흙의 표면에 대해 좌,우 운동시킨다.
아울러, 작동축(62)은, 가이드레일(50a)에 설치되어 있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렇게 회전하는 작동축(62)은, 굴토날(64)과 복토날(66)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흙을 향해 배치시킬 수 있게 한다.
굴토날(64)은,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을 향해 길게 연장된다. 특히, 흙속에 일정깊이 박힐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며, 이렇게 연장된 굴토날(64)은, 작동축(62)의 직선운동할 시에,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을 일정깊이로 파내면서 굴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굴토된 부분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게 한다.
복토날(66)은, 작동축(62)을 중심에 두고 굴토날(64)에 대응되게 구성된다. 특히, 굴토날(64)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복토날(66)은, 작동축(62)이 원래의 위치로 직선운동할 시에, 굴토날(64)에 의해 굴토된 흙을 다시 복토해주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굴토된 부분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흙으로 덮어주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복토날(66)은, 굴토날(64)에 비해 더 넓은 너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굴토된 흙을 보다 효율좋게 복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굴토 및 복토수단(60)은, 작동축(62)을 좌,우로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축운동수단(70)을 구비한다.
축운동수단(70)은, 도 1과 도 3과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된 회전손잡이(72)와, 회전손잡이(72)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작동축(62)의 양단에 각각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동력전달수단은,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손잡이(72)와 연결되는 구동축(74)과, 구동축(7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지렁이 사육통(50) 양쪽의 가이드레일(50a)을 따라 설치되는 스크류 이송축(75)들과, 작동축(62)의 양단 각각을 지지한 상태에서 스크류 이송축(75)을 따라 각각 나사운동하는 양쪽의 슬라이더(Slider)(76)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축(74)과 스크류 이송축(75)은, 한 쌍의 베벨기어(74a)들에 의해 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된 구동축(74)과 스크류 이송축(75)은, 회전손잡이(72)의 정,역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정,역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양쪽의 슬라이더(76)들은, 스크류 이송축(75)들이 정,역회전운동하면, 정,역회전운동하는 스크류 이송축(75)을 따라 좌,우 나사운동하며, 이렇게 슬라이더(76)가 전,후 나사운동하면, 이와 연결된 작동축(62)도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그리고 작동축(62)이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면, 이에 설치된 굴토날(64)과 복토날(66)도 동시에 직선운동하면서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흙을 굴토하거나 굴토된 흙을 복토하게 된다.
다시, 도 2와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굴토 및 복토수단(60)은,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을 굴토할 시에는, 상기 굴토날(64)을 흙 방향을 향해 고정시키고,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을 복토할 시에는, 상기 복토날(66)을 흙 방향을 향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80)을 구비한다.
고정수단(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토날(64)와 복토날(66)을 지지한 작동축(62)을 축방향(S)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양쪽의 슬라이더(76)들과, 작동축(6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출돌기(82)와, 굴토날(64)이 흙을 향하는 위치일 때에 상기 작동축(62)의 돌출돌기(8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76)에 형성되는 제 1결합홈(84)과, 복토날(66)이 흙을 향하는 위치일 때에 상기 작동축(62)의 돌출돌기(8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76)에 형성되는 제 2결합홈(86)을 포함한다.
특히, 제 1결합홈(84)은, 굴토날(64)이 흙을 향하는 위치일 때에 작동축(62)의 돌출돌기(82)와 결합되는데, 이렇게 결합된 제 1결합홈(84)은, 굴토날(64)이 흙을 향할 때의 작동축(62)을 위치 고정시킨다. 따라서, 굴토날(64)이 흙을 향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제 2결합홈(86)은, 복토날(66)이 흙을 향하는 위치일 때에 작동축(62)의 돌출돌기(82)와 결합되는데, 이렇게 결합된 제 2결합홈(86)은, 복토날(66)이 흙을 향할 때의 작동축(62)을 위치 고정시킨다. 따라서, 복토날(66)이 흙을 향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고정수단(80)은, 작동축(62)의 선단부분에 설치되는 작동손잡이(88)를 더 구비한다.
작동손잡이(88)는, 작동축(62)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축방향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작동축(62)을 회전시킴으로써, 굴토날(64)와 복토날(66) 중 어느 하나를 흙을 향해 배치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작동축(62)을 전,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축(62)의 돌출돌기(82)를 제 1 및 제 2결합홈(84, 86)에 대해 운동시키면서 제 1 및 제 2결합홈(84, 86)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제 1 및 제 2결합홈(84, 86)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작동축(62)의 굴토날(64)을, 흙 방향을 향해 고정시키거나 또는 작동축(62)의 복토날(66)을, 흙 방향을 향해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을 굴토할 시에는, 굴토날(64)을 흙 방향을 향해 고정시킬 수 있게 하고,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을 복토할 시에는, 복토날(66)을 흙 방향을 향해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작동축(62)의 돌출돌기(82)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결합홈(84, 86)도 각각 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돌출돌기(82)와 제 1 및 제 2결합홈(84, 86)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며, 이는, 흙에 대한 굴토날(64)와 복토날(66)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1과 도 2와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은, 지렁이 사육통(50)에 쌓여있는 지렁이 분변토를 배출시키기 위한 분변토 배출장치(90)를 구비한다.
분변토 배출장치(90)는, 지렁이 사육통(50)의 일측부분에 형성되는 분변토 배출구(92)와, 분변토 배출구(92)를 개폐하는 도어(94)와,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위에 쌓여있는 지렁이 분변토를 분변토 배출구(92)측으로 긁어서 배출시키는 스크레핑(Scraping)수단과, 분변토 배출구(92)로부터 배출되는 지렁이 분변토를 받아내는 서랍식 분변토 배출트레이(96)를 포함한다.
분변토 배출구(92)는, 굴토 및 복토수단(60)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토 및 복토수단(60)의 복토날(66)이 흙을 향할 경우, 상기 복토날(66)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분변토 배출구(92)는, 흙위에 쌓여있는 지렁이 분변토를 배출한다. 특히, 지렁이 사육통(50)의 외측부분으로 배출한다.
스크레핑 수단은, 굴토 및 복토수단(60)으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스크레핑 수단은, 사용자가 굴토 및 복토수단(60)의 복토날(66)을 흙의 표면에 향하게 한 다음, 회전손잡이(72)를 회전시켜 복토날(66)을 분변토 배출구(92)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복토날(66)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위에 쌓여있는 지렁이 분변토를 긁어서 수집하고, 수집된 지렁이 분변토를 분변토 배출구(92)측으로 배출시킨다.
서랍식 분변토 배출트레이(96)는, 케이스(10)의 전면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분변토 배출구(92)에서 배출된 지렁이 분변토를 받아서 수거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케이스(10)의 전면으로 인출됨으로써, 수거한 지렁이 분변토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은, 지렁이 사육통(50)의 바닥면부분에 수집되어 있는 수분(액체비료: 이하 "액비"라 약칭함)을 수거하는 액비수거장치(100)를 더 구비한다.
액비수거장치(100)는, 지렁이 사육통(50)의 바닥면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액비배출구(102)들과, 액비배출구(102)로부터 배출되는 액비를 받아내는 액비받이(104)와, 액비받이(104)에 받아진 액비를 수거하는 액비수거통(106)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비수거장치(100)는, 지렁이들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비만 별도로 수거하게 한다. 따라서, 지렁이 분변토 뿐만이 아니라 고품질의 거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농도의 액체비료도 얻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은, 지렁이 사육통(50)의 상측부분에 설치되는 조명장치(110)를 더 구비한다.
조명장치(110)는, 지렁이 사육통(50)의 흙 표면을 조명하기 위한 것으로, 흙의 굴토 및 복토 시, 흙 표면을 조명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흙의 굴토 및 복토 시에 흙 표면을 조명함으로써, 흙 표면에 서식하는 지렁이가 조명장치(110)의 빛을 피해서 흙속 깊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이는, 흙의 굴토 및 복토 시, 흙 표면에 서식하는 지렁이들이 자칫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러한 조명장치(110)는, 소정의 열을 방출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케이스(10)의 내부공기를 높여준다. 특히, 동절기에 케이스(10)의 내부공기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동절기, 케이스(10)의 내부온도 저하현상을 방지한다. 그 결과, 지렁이 서식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이러한 조명장치(110)는, 태양열 발전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전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열 발전장치는, 집열판과 변환기와 충전배터리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집열판에 수집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 다음, 조명장치(1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태양열 발전장치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조명장치(110)는, 태양열 에너지로 작동되므로, 별도의 에너지 소비없이 흙 표면을 조명하고, 케이스(10)의 내부온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을 유지하는데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지 않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은, 태양열 발전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전원을 이용하는 별도의 발열장치(1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별도의 발열장치(120)는, 적은 전기에너지로도 작동되는 면상발열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발열장치(120)는, 태양열 발전장치의 전원에 의해 작동되면서, 케이스(10)의 내부온도를 높여준다. 따라서, 케이스(10)의 내부온도를 지렁이 서식에 적합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은, 케이스(10)의 내부공기를 환기시키는 환풍기(130)를 더 구비한다.
환풍기(13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케이스(10) 내부의 지렁이 서식환경을 좋게 한다. 이러한 환풍기(130)는, 태양열 발전장치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은, 케이스(10)의 내측벽면에 설치되는 단열재(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한다.
단열재는, 케이스(10)의 내부와 외부를 단열시킨다. 따라서, 동절기, 케이스(10)의 내부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지렁이 서식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지렁이 퇴비화시스템에 의하면, 화분 형태로 구성된 종래와 달리, 박스형태로 구성되므로, 음식물쓰레기 처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많은 량의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좋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흙을 굴토한 다음,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고, 굴토된 흙을 다시 복토하는 구조이므로, 음식물쓰레기를 일정깊이의 흙속에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일정깊이의 흙속에 투여할 수 있으므로, 지렁이의 음식물쓰레기 섭취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로써,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속도와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변토 배출장치(90)를 통해, 지렁이 분변토를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지렁이 사육실(52)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흙 위에 쌓여 있는 지렁이의 분변토를 효율좋게 수거 및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지렁이 사육실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흙 위에 쌓여 있는 지렁이의 분변토를 수거 및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조명장치(110)와 발열장치(120) 및 환풍기(13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온도를 조절하고 공기를 환기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지렁이의 서식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따라서, 지렁이를 건강하게 사육할 수 있고, 그 결과,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효율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케이스(Case) 12: 상판
12a: 배수구멍 14: 물받이
14a: 배출관 20: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
20a: 가이드 레일(Guide Rail) 22: 음식물쓰레기 투입실
24: 회전식 받침부재 26: 회전손잡이
28: 탈취제 수납실 30: 회전손잡이
32: 동력전달장치 34, 36: 스크류 이송축
35, 37: 슬라이더(Slider) 38: 기어(Gear)
39: 타이밍벨트(Timing Belt) 40: 분쇄기
42: 호퍼(Hopper) 44: 분쇄날
46: 회전손잡이 50: 지렁이 사육통
50a: 가이드 레일(Guide Rail) 52: 지렁이 사육실
60: 굴토 및 복토수단 62: 작동축
64: 굴토날 66: 복토날
70: 축운동수단 72: 회전손잡이
74: 구동축 75: 스크류 이송축
76: 슬라이더(Slider) 80: 고정수단
82: 돌출돌기 84: 제 1결합홈
86: 제 2결합홈 88: 작동손잡이
90: 분변토 배출장치 92: 분변토 배출구
96: 배출트레이 100: 액비수거장치
102: 액비배출구 104: 액비받이
106: 액비수거통 110: 조명장치
120: 발열장치 130: 환풍기

Claims (16)

  1.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수납 및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투입실(22)과,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24) 및, 상기 받침부재(24)에 받쳐진 음식물쓰레기를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24)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갖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과;
    상기 받침부재(24)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쓰레기들이 투여될 수 있도록 상기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하측부분에 설치되며, 투여된 음식물쓰레기를 섭취 처리하는 다수의 지렁이들이 내부에 서식하는 지렁이 사육통(50)과;
    상기 음식물쓰레기 투여 전에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을 일정깊이로 굴토할 수 있고, 투여된 음식물쓰레기를 흙으로 덮어줄 수 있도록 굴토된 흙을 복토할 수 있는 굴토 및 복토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토 및 복토수단(60)은,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에 저장된 흙의 표면을 따라 운동하는 작동축(62)과;
    상기 작동축(62)을 흙에 대해 운동시키는 축운동수단(70)과;
    상기 작동축(62)의 외주면 중 어느 한 쪽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축(62)이 어느 한쪽으로 운동함에 따라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을 일정깊이로 굴토하는 굴토날(64)과;
    상기 작동축(62)의 외주면 중 다른 쪽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축(6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 운동함에 따라 상기 굴토날(64)에 의해 굴토된 흙을 다시 복토해주는 복토날(66)과;
    상기 흙의 굴토 시에는, 상기 굴토날(64)을 흙 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흙의 복토 시에는, 상기 복토날(66)을 흙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62)은,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양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50a)을 따라 상기 흙의 표면위로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축운동수단(70)은,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된 회전손잡이(72)와;
    상기 회전손잡이(7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74)과;
    상기 구동축(7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 양쪽의 가이드레일(50a)을 따라 설치되는 양쪽의 스크류 이송축(75)들과;
    상기 작동축(62)의 양단을 각각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 이송축(75)을 따라 각각 나사운동하며, 상기 스크류 이송축(75)의 회전시에 상기 스크류 이송축(75)을 따라 각각 나사운동하면서 상기 작동축(62)의 양쪽부분을 직선운동시키는 양쪽의 슬라이더(Slider)(76)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62)은, 상기 양쪽의 슬라이더(76)들 각각에 축방향(S)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고정수단(80)은,
    상기 작동축(6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출돌기(82)와;
    상기 굴토날(64)이 흙을 향하는 위치일 때에 상기 작동축(62)의 돌출돌기(8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76)부분에 형성되는 제 1결합홈(84)과;
    상기 복토날(66)이 흙을 향하는 위치일 때에 상기 작동축(62)의 돌출돌기(8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76)부분에 형성되는 제 2결합홈(86)과;
    상기 굴토날(64)와 복토날(66) 중 어느 하나를 흙을 향해 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축(62)을 회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작동축(62)의 돌출돌기(82)를 제 1 및 제 2결합홈(84, 86)에 대해 운동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결합홈(84, 86) 중 어느 하나에 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결합홈(84, 86)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축(62)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작동손잡이(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흙 표면에 쌓여있는 지렁이 분변토를 배출시키기 위한 분변토 배출장치(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변토 배출장치(90)는,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일측부분에 형성되는 분변토 배출구(92)와;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위에 쌓여있는 지렁이 분변토를 상기 분변토 배출구(92)측으로 긁어서 배출시키는 스크레핑(Scraping)수단과;
    상기 분변토 배출구(92)로부터 배출되는 지렁이 분변토를 받아내는 서랍식 분변토 배출트레이(9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변토 배출구(92)는, 상기 굴토 및 복토수단(60)의 복토날(66)의 운동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레핑 수단은,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흙 표면을 향하는 상기 굴토 및 복토수단(60)의 복토날(66)과;
    상기 복토날(66)을 상기 분변토 배출구(92)측으로 운동시켜,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위에 쌓여있는 지렁이 분변토를 긁어서 배출시킬 수 있는 상기 굴토 및 복토수단(60)의 작동축(62)와 축운동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바닥면부분에 수집되어 있는 수분을 수거하는 액비수거장치(1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액비수거장치(100)는,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바닥면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액비배출구(102)들과;
    상기 액비배출구(102)로부터 배출되는 액비를 받아내는 액비받이(104)와;
    상기 액비받이(104)에 받아진 액비를 수거하는 액비수거통(1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분쇄하는 분쇄기(40)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분쇄기(40)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호퍼(42)와;
    상기 호퍼(42)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분쇄날(44) 및;
    상기 분쇄날(44)이 상기 호퍼(42)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쇄날(44)을 회전시킬 수 있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전면의 회전손잡이(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은,
    탈취제를 수납할 수 있는 탈취제 수납실(28)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흙을 굴토할 시에 상기 흙 표면을 조명하는 조명장치(110)와;
    상기 조명장치(110)에 전원을 제공하는 태양열 발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온도를 높여줄 수 있는 발열장치(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열 발전장치의 전원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기를 환기시켜줄 수 있는 환풍기(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를 단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화분(A)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화분(A)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배수시키는 배수구멍(12a)들을 갖는 상판(12)과;
    상기 배수구멍(12a)들로부터 배출된 물을 받아서 수집할 수 있는 물받이(14) 및;
    상기 물받이(14)에 수집된 물을 상기 지렁이 사육통(50)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4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15.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상기 서랍식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인출 및 수납용 회전손잡이(30)와;
    상기 회전손잡이(30)에 의해 정,역회전운동하는 스크류 이송축(34)과;
    상기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의 일측부분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 이송축(34)을 따라 각각 나사운동하며, 상기 스크류 이송축(34)의 정,역회전시에 상기 스크류 이송축(34)을 따라 각각 나사운동하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투입통(20)을 상기 케이스(10)의 내,외측으로 인출 또는 수납시키는 슬라이더(Slider)(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16.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날(66)은, 상기 굴토날(64)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KR1020130000077A 2013-01-02 2013-01-02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KR101295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77A KR101295085B1 (ko) 2013-01-02 2013-01-02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77A KR101295085B1 (ko) 2013-01-02 2013-01-02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085B1 true KR101295085B1 (ko) 2013-08-12

Family

ID=4922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077A KR101295085B1 (ko) 2013-01-02 2013-01-02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0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592A (ko) * 2014-02-05 2015-08-1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닭장
KR20190064058A (ko) * 2017-11-30 2019-06-10 최정심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CN111524436A (zh) * 2020-04-16 2020-08-11 重庆交通大学 一种生态安全预警分析模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149B1 (ko) 1997-05-09 2000-07-15 전영화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지렁이 양식 및 분변토 수거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86456A (ko) * 2002-11-01 2002-11-18 이창호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2003136046A (ja) 2001-11-02 2003-05-13 Murakami Shokai:Kk ミミズを用いた生ゴミ処理器
KR20110008178U (ko) *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하이드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처리 자동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149B1 (ko) 1997-05-09 2000-07-15 전영화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지렁이 양식 및 분변토 수거 방법 및 그 장치
JP2003136046A (ja) 2001-11-02 2003-05-13 Murakami Shokai:Kk ミミズを用いた生ゴミ処理器
KR20020086456A (ko) * 2002-11-01 2002-11-18 이창호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110008178U (ko) *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하이드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처리 자동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592A (ko) * 2014-02-05 2015-08-1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닭장
KR101626930B1 (ko) * 2014-02-05 2016-06-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닭장
KR20190064058A (ko) * 2017-11-30 2019-06-10 최정심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KR102052395B1 (ko) * 2017-11-30 2019-12-05 최정심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CN111524436A (zh) * 2020-04-16 2020-08-11 重庆交通大学 一种生态安全预警分析模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742B1 (ko) 화장실의 배설물 유기질 퇴비화 제조장치
KR102028177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8703477B2 (en) Vermicompos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295085B1 (ko) 도시농업 및 생태교육용 지렁이 퇴비화시스템
CN108606701A (zh) 一种农村太阳能生态厕所
KR101405889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JP2008504861A (ja) 移動式簡易トイレ
CN213639220U (zh) 一种猪舍粪便清理装置
CN105175030A (zh) 一种用草木灰处理粪便的干式回收方法及装置
CN108634846A (zh) 一种无水无电生态厕所
KR10232619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1362974Y (zh) 简易环保猪舍
KR200472827Y1 (ko) 화분 매립형 지렁이먹이통
KR102145046B1 (ko)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장치
CN108821805B (zh) 一种自动进出料转鼓式堆肥箱
CN105819667A (zh) 分集式处理坐便器以及排泄物处理方法
CN211408837U (zh) 一体化生物堆肥旱厕
KR101379439B1 (ko) 이동식 야외 화장실의 배설물 처리장치
CN208640575U (zh) 一种村落生态旱厕系统
KR101639694B1 (ko) 이동식 야외 화장실의 배설물 간편 처리장치
KR200380343Y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100890339B1 (ko) 축산 분뇨용 터보차저방식 복합 열기구
CN212520353U (zh) 一种黑猪养殖用生态养殖场
KR200401286Y1 (ko)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1153219U (zh) 一种牛养殖用粪便自动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