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719B1 - 키토산-트리포스페이트/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신경손상 치료용 유전자 전달체 - Google Patents

키토산-트리포스페이트/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신경손상 치료용 유전자 전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719B1
KR101294719B1 KR1020100140037A KR20100140037A KR101294719B1 KR 101294719 B1 KR101294719 B1 KR 101294719B1 KR 1020100140037 A KR1020100140037 A KR 1020100140037A KR 20100140037 A KR20100140037 A KR 20100140037A KR 101294719 B1 KR101294719 B1 KR 101294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ionic polymer
hyaluronic acid
chitosan
ratio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907A (ko
Inventor
하윤
곽소정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4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7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0.05:0.025 내지 1:0.2:0.015인,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의 투여를 위한 직경 1 ㎛ 이하의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토산(chitosan)-트리포스페이트(TPP)/히알루론산(HA) 유전자 전달체는 독성이 적고 목적 유전자를 신경세포 내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장시간 동안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신경손상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Description

키토산-트리포스페이트/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신경손상 치료용 유전자 전달체 {Gene Carrier for Treatment of Nerve Damage Using Chitosan-Triphosphate/Hyaluronic acid}
본 발명은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2 : 0.025 내지 0.15인,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의 투여를 위한 나노입자 및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달된 의료기술에도 불구하고 중추 신경손상은 치료가 어렵고 회복률이 낮은 불치의 병으로 인식되어 있다. 현재의 약물치료 및 수술 재활 치료가 과거에 비하여 치료개선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추 신경손상은 아직까지 치료가 어려운 난치병으로, 최근 이러한 척수손상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간엽줄기세포, 신경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이러한 줄기세포의 치료는 신경재생을 향상시키거나 신경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여 척수손상 동물모델의 운동기능을 향상시켰다.
신경 세포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는 현대 의학으로는 완치가 여려운 신경계통의 질환들이 대상이 되므로 성공 시에 그 사회적 및 상업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분야이다. 신경 세포 및 신경 줄기세포에 외부 유전자를 도입하여 세포 치료하는 방법은 신경 손상 질환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레트로바이러스 수송체를 이용하여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유전자가 형질도입된 신경 줄기세포를 사용하여 생체내에서 신경보호효과가 관찰된 바 있다.
그러나, 동물실험에서의 효과가 입증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연구되어온 신경손상의 유전자 치료는 임상적으로 획기적인 치료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으며, 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기술은 유전자 전달 효율이 비교적 높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 벡터의 안전성 문제로 인하여 임상적용이 매우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기존의 비바이러스 유전자 치료법은 유전자가 봉입되어 있는 고분자를 세포 내로 전달하는 수송과정 및 효율적인 유전자 전달의 문제가 발생하여 임상에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신경 조직은 뇌-혈액장벽이 존재하여 치료약물이 혈류를 통해 신경으로 전달되기 어렵게 되어있어 신경세포 내로의 효율적인 유전자 전달을 증가시키는 유전자 전달체 또는 뇌-혈액장벽이 통과 가능한 새로운 유전자 전달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온성겔화 방법을 사용하여 키토산(chitosan)-트리포스페이트(TPP)/히알루론산(HA)를 이용한 나노사이즈의 유전자 전달체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신경조직 특이적인 유전자를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신경손상 유전자 치료의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2 : 0.025 내지 0.15인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의 투여를 위한 나노입자, 및 DNA 또는 RNA를 전달하기 위한 유전자 전달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이온 폴리머로서 키토산, 다중음이온 염으로서 트리포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을 다양한 조성비로 혼합하고, 최적화작업을 통하여 300-50nm의 크기 및 500mv의 제타전위(zeta potential)를 나타내는 나노입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키토산, 트리포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의 적절한 비율 범위 내에서 나노입자가 잘 형성되었고, 크기, 제타전위 및 P.D.I 값에 있어서 세포 내 전달능이 우수한 나노입자를 완성하게 되었다. 신경 조직은 뇌-혈액장벽의 존재로 인하여 전달체가 효과적으로 도입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토산, 트리포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의 특정 조성비를 가지는 나노입자는 세포 내로의 전달능, 장시간 발현능 및 신경조직 특이성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음이온 함량이 많을수록 나노입자 내의 DNA 결합 부위가 감소하게 되고, 히알루론산 함량에 따라 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대한 결합력에 차이가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그 적절함 조성비가 활성물질 또는 유전자의 전달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발명은 양이온 폴리머(cationic polymer) 수용액; 다중음이온 염(polyanionic salt); 및 히알루론산 염(hyaluronic acid salt) 수용액을 교반혼합하여 나노입자를 수득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2 : 0.025 내지 0.15인,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의 투여를 위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양이온 폴리머(cationic polymer) 수용액; 다중음이온 염(polyanionic salt); 히알루론산 염(hyaluronic acid salt) 수용액; 및 DNA 또는 RNA를 교반혼합하여 유전자 전달체를 수득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2 : 0.025 내지 0.15인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a) 양이온 폴리머; (b) 다중음이온 염; 및 (c)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2 : 0.025 내지 0.15인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의 투여를 위한 나노입자와,
(a) 양이온 폴리머; (b) 다중음이온 염; (c) 히알루론산; 및 (d) DNA 또는 RNA을 포함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2 : 0.025 내지 0.15인 유전자 전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양이온 폴리머; (b) 다중음이온 염; (c) 히알루론산; 및 (d) 신경손상 치료용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2 : 0.025 내지 0.15인 신경손상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키토산, 콜라겐 및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중음이온 염은 포스페이트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지고, 트리포스페이트(triphosphate)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1 내지 0.15 : 0.025 내지 0.05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또한, 1 : 0.15 : 0.025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의 크기는 직경 300 내지 500nm, 상기 나노입자의 제타전위는 40 내지 60mv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입자의 P.D.I값은 0.25 내지 0.35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P.D.I값 범위 내에서 나노입자의 사이즈 분포가 균일하게 얻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경손상은 파킨슨씨병, 알츠하이머병, 헌팅톤병, 근위축성 측면경화증 및 뇌졸증, 국소빈혈 및 척수종양에 의한 신경질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신경손상 치료용 활성물질은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GM-CSF(Granulocyte-macrophage stimulating factor), 스테로이드(steroid), Methyprednisolone, 척수종양 치료를 위한 티미딘키나아제(TK) 유전자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아,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캡슐, 정제 및 수성 현탁액 및 용액을 포함하여 경구적으로 허용되는 어떠한 용량형으로도 경구 투여될 수 있다. 경구용 정제의 경우, 흔히 사용되는 담체로는 락토즈 및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가 또한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캡슐형으로 경구 투여하는 경우 유용한 희석제로는 락토즈 및 건조된 옥수수전분이 포함된다. 수성 현탁액이 경구 투여될 때 활성 성분은 유화제 및 현탁화제와 배합된다. 필요한 경우, 감미제 및/또는 풍미제 및/또는 착색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토산(chitosan)-트리포스페이트(TPP)/히알루론산(HA) 유전자 전달체는 독성이 적고 목적 유전자를 신경세포 내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장시간 동안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신경손상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도 1은 키토산, 트리포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 및 육안 확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체(Chitosan-TPP/HA)의 크기 및 제타전위 및 AFM 확인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키토산과 유전자의 N/P 비율 및 in vitro release 확인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pDNA를 포함하는 Chitosan-TPP/HA 및 PEI/pDNA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것이다(마우스 신경줄기세포는 4. 24. 48시간 동안 다양한 양이온 폴리머 농도에서 배양되었고, 미토콘드리아 대사활성(metabolic activity)은 MTT 분석으로 측정되었음).
도 5는 Chitosan-TPP/HA 나노입자의 세포 흡수(uptake)를 공초점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6-coumarin(녹색) 및 pDNA로 로딩된 Chitosan-TPP/HA 나노입자의 마우스 신경줄기세포 세포 내 흡수 결과).
도 6은 Chitosan-TPP/HA의 트랜스펙션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pSV-Luc 또는 PEI/ pSV-Luc 컴플렉스를 인캡슐레이팅(encapsulating)한 Chitosan-TPP/HA 나노입자로 트랜스팩션된 마우스 신경줄기세포에서의 루시퍼라제(luciferase) 유전자 발현).
도 7은 Chitosan-TPP/HA의 트랜스펙션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a)기관형 척수 슬라이스 조직(organotypic spinal cord slice tissues)에서의 루시퍼라제 유전자 발현, (b) 루시퍼라제 및 세포자살-연관 유전자(apoptosis related genes)의 mRNA 발현)
본 발명에서는 유전자를 신경세포 내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나노사이즈의 유전자 전달체를 제작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체는 키토산이 뉴런 보호적인 성질을 가지고 히알루론산이 신경세포 표면에 많은 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특히 신경조직 특이적으로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체와 대조군인 PEI를 이용한 경우에 유전자 발현율을 확인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체(chitosan-TPP/HA)를 처리한 그룹에서 장시간 동안 유전자 발현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체와 대조군인 PEI를 이용하여 척수조직을 통한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체(chitosan-TPP/HA)를 처리한 그룹에서 루시퍼라제 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키토산, 트리포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의 적절한 조성으로 만들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체는 풍부한 DNA 결합 부위를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DNA를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Chitosan-TPP/HA 유전자 전달체에 신경조직 특이적인 DNA를 도입하여, 세포 내로의 유전자 전달능을 확인하는 실험만을 수행하였으나, DNA 이외에 siRNA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세포 내 전달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고 할 것이다.
1-1: 유전자 전달체의 제작
키토산(Chitosan), 트리포스페이트(Triphosphate (TPP))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HA))을 이용하여 나노 사이즈의 유전자 전달체를 제작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키토산, 트리포스페이트, 히알루론산을 이용하여 조성을 변경한 결과,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 투명한 형태에서 불투명 형태로 변경되고, 크기(size) 측정 결과, 수백 nm에서 um단위까지 제조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Zeta potential (mV)은 (-)에서 (+)까지 다양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1).
사용된 키토산, 트리포스페이트, 히알루론산의 조성 및 유전자 전달체의 크기, 제타전위는 표 1, 표 2와 같다.
  1 2 3 4 5 6 7 8
키토산 1 1 1 1 1 1 1 1
TPP 0.05 0.05 0.05 0.05 0.1 0.1 0.1 0.1
HA 0.025 0.05 0.1 0.15 0.025 0.05 0.1 0.15
크기 1 661.5 873.8 713.6 943.3 749.5 458.4 541.7 607.5
2 146.4 115.9 116.85 53.85 1583 98.82 112.6 77.82
평균 350.3 473.5 497.3 502.4 623.3 492.9 456.5 445.3
P.D.I 0.389 0.452 0.531 0.527 0.603 0.542 0.586 0.91
제타전위 58.23 59.77 54.4 60.4 48.5 50.2 51..8 53.5
  9 10 11 12 13 14 15 16
키토산 1 1 1 1 1 1 1 1
TPP 0.15 0.15 0.15 0.15 0.2 0.2 0.2 0.2
HA 0.025 0.05 0.1 0.15 0.025 0.05 0.1 0.15
크기 1 320.7 404.7 558.4 730.4 319.3 389.9 450 404.9
2 29.86 45.76 53.52 90.61 60.66 2592 54.22 100
평균 227.5 268.6 308.8 355.5 228.4 235.8 283.4 302.8
P.D.I 0.324 0.455 0.489 0.536 0.371 0.413 0.457 0.494
제타전위 43.98 41.35 44.08 43.68 50.6 48.2 43.8 51.5
1-2: 유전자 전달체의 확인
키토산, 트리포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의 다양한 조성비 중에서 최적화 작업을 통하여, 척수 조직 유전자 전달체를 확립하였다. 그 결과, 유전자 전달체의 크기는 300-500nm, zeta potential은 50mV이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AFM 확인 결과, 타원형의 파티클(particle)을 얻을 수 있었다(도 2).
N/P 비율 확인 및 in vitro 방충의 확인
키토산과 유전자의 N/P ratio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가로스 겔 지체 분석법(Agarose gel retardation assay)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N/P ratio 1부터 결합(binding)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vitro release 확인을 위하여 37도 PBS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1주일 동안 키토산(chitosan)-트리포스페이트(TPP)/히알루론산(HA) 나노입자에서 유전자의 분리(release)를 확인할 수 없었다(도 3).
키토산( chitosan )- 트리포스페이트 ( TPP )/히알루론산( HA ) 나노입자의 세포 독성 확인
유전자가 삽입된 키토산(chitosan)-트리포스페이트(TPP)/히알루론산(HA) 나노입자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신경줄기세포(mouse neural stem cell) 처리하여, MTT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조군인 PEI는 처리 양이 증가할수록 큰 세포 독성을 보인 반면, Chitosan-TPP/HA의 나노입자는 독성이 적음을 확인하였다(도 4).
Chitosan - TPP / HA 나노입자의 세포 흡수( uptake ) 분석
마우스 신경줄기세포를 통하여 세포 흡수(uptake)를 시행하였다. 형광 물질을 삽입한 나노입자를 마우스 줄기세포(mouse stem cell)처리 후, 공초점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으로 확인한 결과 세포 표면 및 세포질 안으로 나노입자가 들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
장시간(long - term ) 유전자 발현율 확인
유전자 발현율을 pSV-lucierase로 확인한 결과, 초기 48시간 동안에는 대조군인 PEI 그룹의 유전자 발현율이 높았으나, 그 후 144 시간까지는 chitosan-TPP/HA 나노입자를 처리한 그룹에서 유전자 발현율이 높음을 루시퍼라제 분석(luciferase assay) 방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도 6).
척수 조직을 통한 유전자 발현 확인
기관형 슬라이스 배양(Organotypic slice culture)은 조직 초퍼(Tissue chopper)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생후 7일 된 설치류의 척수 조직을 400~ 100um의 두께로 절편을 만들어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DNA/고분자 복합체를 처리하여 루시퍼라제 활성(luciferase activity)을 확인하였다. 처리 후 3일에 확인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chitosan-TPP/HA의 나노입자 그룹에서의 유전자 발현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도 7, 도 8).

Claims (33)

  1. 양이온 폴리머(cationic polymer) 수용액; 다중음이온 염(polyanionic salt); 및 히알루론산 염(hyaluronic acid salt) 수용액을 교반혼합하여 나노입자를 수득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1 : 0.025 내지 0.15인,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의 투여를 위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키토산, 콜라겐 및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키토산(chitos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음이온 염은 트리포스페이트(triphosph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1 내지 0.15 : 0.025 내지 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15 : 0.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7. 양이온 폴리머(cationic polymer) 수용액; 다중음이온 염(polyanionic salt); 히알루론산 염(hyaluronic acid salt) 수용액; 및 DNA 또는 RNA를 교반혼합하여 유전자 전달체를 수득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1 : 0.025 내지 0.15인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키토산, 콜라겐 및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키토산(chitos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음이온 염은 트리포스페이트(triphosph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1 내지 0.15 : 0.025 내지 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15 : 0.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방법.
  13. (a) 양이온 폴리머; (b) 다중음이온 염; 및 (c) 히알루론산을 포함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1 : 0.025 내지 0.15인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의 투여를 위한 나노입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키토산, 콜라겐 및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키토산(chitos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음이온 염은 트리포스페이트(triphosph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1 내지 0.15 : 0.025 내지 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15 : 0.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의 크기는 직경 300 내지 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의 제타전위는 40 내지 60m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의 분자량 분포(Percent Distribution Index, P.D.I)값은 0.25 내지 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22. (a) 양이온 폴리머; (b) 다중음이온 염; (c) 히알루론산; 및 (d) DNA 또는 RNA을 포함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1 : 0.025 내지 0.15인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체.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키토산, 콜라겐 및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키토산(chitos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음이온 염은 트리포스페이트(triphosph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1 내지 0.15 : 0.025 내지 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15 : 0.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
  28.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의 크기는 직경 300 내지 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
  29.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의 제타전위는 40 내지 60m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
  30.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의 분자량 분포(Percent Distribution Index, P.D.I)값은 0.25 내지 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전달체.
  31. (a) 양이온 폴리머; (b) 다중음이온 염; (c) 히알루론산; 및 (d) 신경손상 치료용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양이온 폴리머: 다중음이온 염: 히알루론산의 비율은 1 : 0.05 내지 0.1 : 0.025 내지 0.15인 신경손상 치료용 약학조성물.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손상 치료용 활성물질은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GM-CSF(Granulocyte-macrophage stimulating factor),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prednisolone) 및 티미딘키나아제(TK) 유전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손상 치료용 약학조성물.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손상은 파킨슨씨병, 알츠하이머병, 헌팅톤병, 근위축성 측면경화증 및 뇌졸증, 국소빈혈 및 척수종양에 의한 신경질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손상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0100140037A 2010-12-31 2010-12-31 키토산-트리포스페이트/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신경손상 치료용 유전자 전달체 KR101294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037A KR101294719B1 (ko) 2010-12-31 2010-12-31 키토산-트리포스페이트/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신경손상 치료용 유전자 전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037A KR101294719B1 (ko) 2010-12-31 2010-12-31 키토산-트리포스페이트/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신경손상 치료용 유전자 전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907A KR20120077907A (ko) 2012-07-10
KR101294719B1 true KR101294719B1 (ko) 2013-08-08

Family

ID=4671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037A KR101294719B1 (ko) 2010-12-31 2010-12-31 키토산-트리포스페이트/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신경손상 치료용 유전자 전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7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585A (ko) * 2003-06-20 2006-06-14 어드밴스드 인 비트로 셀 테크놀로지스, 에스.엘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585A (ko) * 2003-06-20 2006-06-14 어드밴스드 인 비트로 셀 테크놀로지스, 에스.엘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ug Delivery, 17(8), 2010.11, pp.596-604 *
Drug Delivery, 17(8), 2010.11, pp.596-6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907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Hyaluronic acid coated albumin nanoparticles for targeted peptide delivery to the retina
DE69931166T2 (de) Co-lyophilisierter komplex umfassend einen nukleinsäurevektor und ein formulierungsagens
Chen et al. Multifunctional selenium nanoparticles: Chiral selectivity of delivering MDR-siRNA for reversal of multidrug resistance and real-time biofluorescence imaging
CN102552105B (zh) 一种级联脑部靶向药物递送系统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11752219B2 (en) Substrate delivery of embedded liposomes
US9061068B2 (en) Polymeric nano-particles for siRNA delivery using charge interaction and covalent bonding
KR102187362B1 (ko) 페로토시스를 통한 암세포의 선택적 사멸을 위한 나노 입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CN108143718B (zh) 一种抗肿瘤纳米基因药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762821B (zh) 抑制afap1-as1表达的干扰rna及在增加乳腺癌放疗敏感性中的应用
Liu et al. Engineered Magnetic Polymer Nanoparticles Can Ameliorate Breast Cancer Treatment Inducing Pyroptosis–Starvation along with Chemotherapy
Hou et al. A combination of LightOn gene expression system and tumor microenvironment-responsive nanoparticle delivery system for targeted breast cancer therapy
He et al. Degradation and bio-safety evaluation of mPEG-PLGA-PLL copolymer-prepared nanoparticles
Zhai et al. Nano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US20140296173A1 (en) Stable nanocomposition comprising epirubici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its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CN113599525A (zh) 一种抗肿瘤纳米药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135312A (zh) 一种基于肿瘤泛代谢调控的混合纳米制剂的制备与应用
Kamarehei The effects of combination therapy by solid lipid nanoparticle and dental stem cells on different degenerative diseases
KR101294719B1 (ko) 키토산-트리포스페이트/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신경손상 치료용 유전자 전달체
CA3008095C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patite-based matrix and surface modifying agent
Han et al. Reduction-responsive polymeric micelles for trans-corneal targeted delivery of microRNA-21-5p and glaucoma-specific gene therapy
KR20150129873A (ko) 유전체 약물 전달용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8470B1 (ko) 망막 표적 약물전달시스템
Yao et al. The Application of Nucleic Acid Nanomaterials in the Treatment of Mitochondrial Dysfunction
Girigoswami et al. Role of Cerium Oxide Nanoparticles and Doxorubicin in Improving Cancer Management: A Mini Review
Yao et al. The Application of Framework Nucleic Acid‐Based Nanomaterials in the Treatment of Mitochondrial Dys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