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004B1 -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004B1
KR101294004B1 KR1020060107527A KR20060107527A KR101294004B1 KR 101294004 B1 KR101294004 B1 KR 101294004B1 KR 1020060107527 A KR1020060107527 A KR 1020060107527A KR 20060107527 A KR20060107527 A KR 20060107527A KR 101294004 B1 KR101294004 B1 KR 101294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ductive
buffer layer
conductive grid
grid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0067A (ko
Inventor
김중현
최진성
이정환
김승모
정진미
이강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004B1/ko
Priority to US11/931,615 priority patent/US7880832B2/en
Priority to EP07021415.0A priority patent/EP1918742B1/en
Publication of KR2008004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58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comprising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e.g. wire grids, conductive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8Wire-grid polarisers

Abstract

수명이 향상된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편광판은 베이스층, 베이스층의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도전성 격자선들 및 베이스층과 도전성 격자선들의 사이에 개재된 버퍼층을 포함한다. 도전성 격자선들은 은(Ag) 또는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층은 자외선의 흡수로 인해 도전성 격자선들의 가시광선 반사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버퍼층은 실험에 의해 결정된 티타늄(Ti) 또는 텅스텐(W)과 같은 금속층 또는 유기물층 또는 금속층과 유기물층의 2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격자선들의 광반사율의 저하가 억제되어 편광판의 수명이 향상된다.
편광판, 도전성 격자선, 자외선, 반사율, 수명

Description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POLARIZING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편광판에 대한 자외선조사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편광판에 대한 자외선조사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편광판 8 : 비교예 편광판
10 : 베이스층 31 : 도전성 격자선
35 : 버퍼층 P : 피치
W : 선폭 T : 두께
400 : 표시패널 401 : 어레이기판
405 : 대향기판 407 : 액정층
430 : 제1 편광부 470 : 제2 편광부
800 : 표시장치 801 : 표시패널
901 : 제1 편광판 905 : 제2 편광판
본 발명은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전성 격자선들의 수명이 보다 향상된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크게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칼라필터 기판이 합착되고 그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액정패널 및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액정패널은 기본적으로 수동 소자이기 때문에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액정이 광셔터로서 기능하도록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의 배면 및 상면에 배치되는 편광판을 포함한다. 편광판은 원리적으로 특정 방향의 편광만을 투과시키 며, 이론적으로 최대 50 퍼센트(%) 정도의 광만을 투과시켜 액정패널에 제공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편광판에서의 광 손실 등에 의하여 편광 투과율 기준으로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출사된 광 중 약 43 퍼센트 정도만 투과되어 광손실량이 상당하다.
또한,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패널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재료비중 편광판의 재료비가 전체 재료비의 25 내지 30 퍼센트 정도를 차지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원가를 크게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나노 스케일의 선폭 및 피치를 갖는 도전성 격자선들을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배열하여 도전성 격자선 패턴을 형성하였을 때, 도전성 격자선들은 실질적으로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와 동일하게 반사 및 편광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전성 격자선들은 DBEF의 편광도(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의 비)보다 우수한 약 1000 : 1에 가까운 편광도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편광판을 도전성 격자선들로 대체할 수 있다.
도전성 격자선들은 유리기판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과 같은 베이스층에 형성된다. 도전성 격자선들은 광반사율이 우수하고, 광흡수율이 비교적 작은 은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전성 격자선들이 형성된 편광판을 장시간 사용하면, 자외선과 같은 고에너지 광의 흡수로 인해 도전성 격자선들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 결과 도전성 격자선과 베이스층의 접착력이 저하되며, 도전성 격자선들의 광반사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편광판의 편광투과율의 저하를 뜻하며, 편광판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전성 격자선들을 보호하는 버퍼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베이스층, 도전성 격자선들 및 버퍼층을 포함한다. 도전성 격자선들은 베이스층의 일면에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 및 편광한다. 버퍼층은 베이스층과 도전성 격자선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도전성 격자선들을 보호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격자선들은 은층 또는 알루미늄층을 포함한다. 버퍼층은 금속층 또는 유기물층 또는 금속층과 유기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티타늄(Ti)층, 텅스텐(W)층, 니오븀(Nb)층, 탄탈륨(Ta)층, 바나듐(V)층 및 크롬(Cr)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유기물층은 산화실리콘(SiO2)층, 질화실리콘(SiNx)층 및 경화성수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버퍼층은 크롬옥사이드(CrOx)층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은 도전성 격자선들을 따라 패터닝되거나, 베 이스층의 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은 0.1 내지 10 나노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층,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층 및 유리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격자선들 간의 피치, 각 도전성 격자선의 선폭 및 도전성 격자선의 두께는 각각 100 내지 200 나노미터, 50 내지 100 나노미터 및 150 내지 250 나노미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은 어레이기판, 대향기판, 액정층 및 제1 편광부를 포함한다. 어레이기판의 상면에는 다수의 화소부들이 형성되며, 대향기판에는 화소부들과 대향하는 칼라필터부들이 형성된다. 액정층은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1 편광부는 제1 도전성 격자선들 및 제1 버퍼층을 포함한다.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은 어레이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 및 편광한다. 제1 버퍼층은 어레이기판과 제1 도전성 격자선들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을 보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은 어레이기판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1 버퍼층은 어레이기판의 하면과 제1 도전성 격자선의 사이에 개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은 어레이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1 버퍼층은 어레이기판의 상면과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의 사이에 개재된다.
표시패널은 제2 편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편광부는 다수의 제2 도전성 격자선들 및 제2 버퍼층을 포함한다.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은 대향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 및 편광한다. 제2 버퍼층은 대향기판과 제2 도전성 격자선들 사이에 개재되어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을 보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은 대향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 버퍼층은 대향기판의 상면과 제2 도전성 격자선의 사이에 개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은 대향기판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2 버퍼층은 대향기판의 하면과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백라이트부 및 제1 편광판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상면에 다수의 화소부들이 형성된 어레이기판, 화소부들과 대향하는 칼라필터부들이 형성된 대향기판 및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백라이트부는 어레이기판에 광을 출사한다. 제1 편광판은 제1 베이스층, 다수의 제1 도전성 격자선들 및 제1 버퍼층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층은 백라이트부와 어레이기판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은 제1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다. 제1 버퍼층은 제1 베이스층과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을 보호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는 제2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편광판은 제2 베이스층, 다수의 제2 도전성 격자선들 및 제2 버퍼층을 포함한다. 제2 베이스층은 대향기판의 상부에 배치된다. 다수의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은 제2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다. 제2 버퍼층은 제2 베이스층과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을 보호한다.
이러한,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에 의하면, 버퍼층이 도전 성 격자선들을 보호하여 편광판의 수명이 증가하고,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의 화질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편광판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편광판(5)은 베이스층(10), 도전성 격자선(31)들 및 버퍼층(35)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갖고, 열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층(10)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유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베이스층(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층,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층 및 유리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격자선(31)들은 베이스층(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 도전성 격자선(31)은 직선을 따라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갖는다. 도전성 격자선(31)들은 서로 나란하게, 즉 스트라이프(stripe) 타입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전성 격자선(31)들은 알루미늄(Al), 알미네리윰(AlNd), 알미몰리윰(AlMo), 은(Ag), 구리(Cu), 금(Au) 및 몰리브덴(Mo) 등의 광반사율이 우수한 금속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도전성 격자선(31)들은 광흡수율이 작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수한 광반사율 및 작은 광흡수율의 측면에서 도전성 격자선(31)들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은(Ag)층 또는 알루미늄(Al)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격자선(31)들의 편광기능은 도전성 격자선(31)들 중심 간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피치(P), 도전성 격자선(31)의 선폭(W) 및 두께(T1)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전성 격자선(31)들이 편광자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피치(P)가 입사되는 광의 파장보다 작아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약, 피치(P)가 입사광의 파장보다 길다면, 도전성 격자선(31)들은 편광자보다는 회절격자의 기능을 하여 입사광을 회절시킨다.
표시패널은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편광판(5)이 표시패널에 채택되는 경우, 도전성 격자선(31)들은 가시광선에 대하여 우수한 편광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선의 파장은 대략 400 내지 700 나노미터(nm)이므로, 피치(P)는 400 나노미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신 반도체 공정의 선폭(W)이 약 100 나노미터이고 선과 선사이의 공간 또한 필요하므로, 가시광선에 대한 보다 확실한 편광을 위하여, 피치(P)는 100 내지 200 나노미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 격자선(31)의 선폭(W)은 피치(P)의 0.5 배인 50 내지 100 나노미터 이하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판(5)의 편광투과율이 클수록 바람직하다. 편광투과율은 편광판(5)에 입사한 광량에 대해 편광투과된 광량의 비율로 정의된다. 편광투과율은 피 치(P) 및 선폭(W) 보다는 도전성 격자선(31)들의 두께(T1)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편광투과율이 대체로 큰 값을 갖기 위해서는 도전성 격자선(31)들은 150 내지 250 나노미터의 두께(T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5)은 베이스층(10)의 일면으로 입사하는 광 또는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입사하는 광을 반사 및 편광한다. 입사광은 편광판(5)에 대하여 임의의 입사각으로 입사한다. 임의의 입사각을 갖는 입사광(L1)은 S 편광 및 P 편광을 갖는 랜덤한 편광(L2)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다. S 편광은 도전성 격자선(31)들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 평행한 편광벡터를 갖는 편광으로 정의되고, P 편광은 도전성 격자선(31)들의 길이 방향에 수직(x축 방향)한 편광벡터를 갖는 편광으로 정의된다.
편광판(5)은 S 편광은 반사시키며, P 편광은 투과시킨다. 따라서, 편광판(5)을 투과한 광(L3)은 거의 P편광 성분을 포함한다. 반사된 S 편광은 광학시트와 같은 부재에서 반사되어 랜덤한 편광(L2)이 된다. 랜덤한 편광(L2)인 반사광은 다시 편광판(5)에서 반사 및 편광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광판(5)을 사용하면, 편광판(5)은 반사편광필름인 듀얼 브라이트니스 인핸스먼트 필름(DBEF)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알루미늄(Al) 또는 은(Ag)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격자선(31)들과 베이스층(10)과의 접착력은 원하는 수준의 내구성을 갖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장시간 입사광(L1)에 노출되면 편광판(5)의 온도가 증가하여 도전성 격자선(31)과 베이스층(10)의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도전성 격자선(31)들의 광반사율이 저하될 수 있 다. 특히, 편광판(5)에 입사하는 광(L1)은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자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고에너지를 갖는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도전성 격자선(31)들의 광반사율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버퍼층(35)은 베이스층(10)과 도전성 격자선(31)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도전성 격자선(31)들을 보호한다. 버퍼층(35)은 도전성 격자선(31) 및 베이스층(10)과 접착력이 매우 우수하며,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어도 도전성 격자선(31)과 버퍼층(35)의 계면에서 도전성 격자선(31)의 물리적 및 화학적 변화를 방지한다.
버퍼층(35)은 금속 또는 유기물로 이루어지거나, 금속층 또는 유기물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금속층과 유기물층의 2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퍼층(3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격자선(31)들을 따라 패터닝되거나, 베이스층(10)의 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편광판에 대한 자외선조사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편광판(8)은 베이스층(110) 및 다수의 도전성 격자선(131)들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베이스층(110) 및 도전성 격자선(131)들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층(10) 및 도전성 격자선(31)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에서 도전성 격자선(131)들은 베이스층(110)의 일면에 직접 접촉되어 있다.
도전성 격자선(131)들의 열에 대한 안정성 및 베이스층(110)과의 접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외선조사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주변온도를 90 도로 하고, 자외선을 출사하는 램프, 예를 들어, Xe 램프(LP)로 500 (mW/cm2)의 에너지를 갖는 광을 베이스층(110)의 대향면에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간에 따른 반사광의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얻었다.
도 3을 참조하면, Xe 램프(LP)로부터 400 나노미터 이상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 및 400 나노미터 이하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이 베이스층(110)에 조사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초기에는 도전성 격자선(131)들은 가시광선 중 약 90 퍼센트를 반사하고, 자외선 중 약 20 퍼센트를 반사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8)을 투과한 광량을 고려하면, 실험초기에는 도전성 격자선(131)들은 약 10 퍼센트 이하의 가시광선을 흡수하며, 자외선 중 약 80 퍼센트 이하의 광을 흡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자외선이 가시광선보다 도전성 격자선(131)에 훨씬 많이 흡수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광을 조사한 시간이 29 시간, 240 시간, 502 시간 및 669 시간으로 증가함에 따라 도전성 격자선(131)들의 광반사율이 크게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초기와 669 시간이 경과한 후를 비교하면, 도전성 격자선(131)들의 자외선 반사율은 약 5 내지 10 퍼센트 저하되고, 가시광선 반사율은 약 50 이상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669 시간 경과 후에 도전성 격자선(131)들의 가시광선 반사율은 약 40 퍼센트가 되어 많은 양의 가시광선이 도전성 격자선(131)에 흡수된 것을 알 수 있다.
TEM 사진을 찍어 도전성 격자선(131)들과 베이스층(110)의 계면(133)을 관찰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면(133)에서 수십 나노미터 사이즈를 갖는 알루미늄(Al) 또는 은(Ag) 입자(134)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알루미늄(Al) 또는 은(Ag) 입자(134)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 황화합물이나 염화합물과 같은 새로운 화합물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계면(133)에서 도전성 격자선(131)들의 조직이 물리적으로 변화되어 알루미늄(Al) 또는 은(Ag) 입자(134)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알루미늄(Al) 또는 은(Ag) 입자(134)로 인해 베이스층(110)과 도전성 격자선(131)들 간의 접착력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알루미늄(Al) 또는 은(Ag) 입자(134)로 인해 도전성 격자선(131)들의 가시광선 흡수율이 크게 증가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편광판(8)이 DBEF와 같이 광을 반사 및 편광하여 광 이용효율이 높일 수 있는 장점이 거의 없어진다. 즉, 기존의 편광판을 대체하는 효과가 거의 없거나 기존의 편광판보다 열악한 성능을 갖게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편광판에 대한 자외선조사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전성 격자선(31)은 베이스층(10)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버퍼층(35)과 접촉되어 있다. 본 실험에서, 도전성 격자선(31)은 은(Ag)으로 이루어 졌으며, 버퍼층(35)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산화실리콘(SiO2), 티타늄(Ti) 및 텅스텐(W)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Xe 램프(LP)로부터 출사되어 베이스층(10)의 대향면에 입사한 광은 버퍼층(35)과 베이스층(10)의 계면(36) 및 도전성 격자선(31)들과 버퍼층(35)의 계면(33)에서 반사된다.
도전성 격자선(31)들의 열에 대한 안정성 및 버퍼층(35)의 베이스층(10)과의 접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외선조사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편광판(8)에 대한 실험과 동일하게, 주변온도를 90 도로 하고, Xe 램프(LP)로 500 (mW/cm2)의 에너지를 갖는 광을 베이스층(10)의 대향면에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550 나노미터의 파장을 갖는 광에 대해 시간에 따른 반사광의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얻었다. 도 5에서 수평축은 편광판(5)이 입사광에 노출된 시간을 표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버퍼층(35)의 재질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반사광의 스펙트럼의 변화가 크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실험초기에는 버퍼층(35)의 재질에 관계없이 도전성 격자선(31)들이 모두 약 90 퍼센트 이상의 광반사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버퍼층(35)이 알루미늄(Al) 또는 산화실리콘(SiO2) 또는 마그네슘(Mg)으로 이루어진 경우, 광의 조사시간이 200 시간, 400 시간 및 600 시간으로 증가함에 따라, 도전성 격자선(31)의 광반사율은 약 20 내지 30 퍼센트가 됨을 알 수 있다.
반면, 버퍼층(35)이 티타늄(Ti) 또는 텅스텐(W)으로 이루어진 경우, 시간이 경과하여도 광반사율이 초기의 광반사율에 비해 크게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버퍼층(35)을 니오븀(Nb)층, 탄탈륨(Ta)층, 바나듐(V)층 및 크롬(Cr)층과 같은 다른 금속층으로 하여 동일한 실험을 한 경우에도 티타늄(Ti) 또는 텅스텐(W)의 경우와 같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버퍼층(35)을 질화실리콘(SiNx)층 또는 경화성수지층과 같은 유기물층으로 하거나, 크롬옥사이드(CrOx)층으로 하여 동일한 실험을 한 경우에도 티타늄(Ti) 또는 텅스텐(W)의 경우와 같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버퍼층(35)을 상기한 특성이 우수한 서로 다른 물질들로 2중층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EM 사진을 찍어 도전성 격자선(31)들과 버퍼층(35)의 계면(33) 및 버퍼층(35)과 베이스층(10)의 계면(36)을 관찰한 결과, 상기 계면들(33, 36)에서 은(Ag)입자 또는 티타늄(Ti) 입자 또는 텅스텐(W) 입자들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도전성 격자선(31)들과 버퍼층(35)의 계면(33) 및 버퍼층(35)과 베이스층(10)의 계면(36)에서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특성이 우수한 전술된 물질들을 버퍼층(35)으로 사용하면, 도전성 격자선(31)들을 편광자로 갖는 편광판(5)은 장시간 가시광선 및 자외선에 노출되어도 그 반사 및 편광 특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버퍼층(35)의 재질로는 상기한 특성이 우수한 물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티타늄(Ti) 및 텅스텐(W)과 같이 버퍼층(35)으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다른 물질들이 더 있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편광판(200)은 베이스층(210), 다수의 도전성 격자선(231)들 및 버퍼층(235)을 포함한다. 편광판(200)은 버퍼층(235)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편광판(5)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버퍼층(235)은 베이스층(210)의 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버퍼층(35)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버퍼층(235)은 티타늄층(Ti), 텅스텐층(W), 니오븀(Nb)층, 탄탈륨(Ta)층, 바나듐(V)층 및 크롬(Cr)층과 같은 금속층 또는 산화실리콘(SiO2)층, 질화실리콘(SiNx)층 및 경화성수지층과 같은 유기물층 또는 크롬옥사이드(CrOx)층 또는 이들의 2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235)이 베이스층(210)의 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면 필요 이상으로 광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버퍼층(235)은 매우 얇은 박막, 예를 들어, 0.1 내지 10 나노미터의 두께(T2)로 형성하여 광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패널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베이스층과 도전성 격자선 사이에 버퍼층을 개재시킨 편광판은 표시패널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리기판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필름을 편광판의 베이스층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표시패널의 기판을 베이스층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패널(400)은 어레이기판(401), 대향기판(405), 액정층(407) 및 제1 편광부(430)를 포함한다.
어레이기판(401)은 하부기판(410) 및 다수의 화소부들을 포함한다.
하부기판(410)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유리기판일 수 있고, 화소부들은 하부기판(410)의 상면(411)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기판(410)의 상면(411)에는 다수의 게이트선들 및 데이터선들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들은 서로 대략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들은 게이트선들과 교차하며 서로 대략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화소부는 스위칭 소자(420) 및 화소전극(425)을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420)는 게이트선으로부터 돌출된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절연층 상에 형성된 반도체층 및 반도체층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화소전극(425)은 스위칭 소자(420)를 보호하는 보호막(423) 상에 형성되어 있다. 화소전극(425)은 보호막(423)에 형성된 접촉홀로 연장되어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대향기판(405)은 상부기판(450) 및 다수의 칼라필터부(463)들을 포함한다.
상부기판(450)은 하부기판(410)과 동일하게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유리기판이다. 대향기판(405)은 광차단층(461), 오버코팅층(465) 및 공통전극(4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차단층(461)은 상부기판(450)의 하면(451)에 형성되며, 광차단층(461)에는 화소전극(425)들에 각각 대응하는 개구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각 칼라필터부(463)는 각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팅층(465)은 칼라필터부(463)들과 광차단층(461)을 커버하여 칼라필터부(463)들과 광차단층(461)의 단차를 보상한다. 공통전극(467)은 오버코팅층(465) 상에 형성되어 있다.
액정층(407)은 어레이기판(401)과 대향기판(405)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1 편광부(430)는 하부기판(41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편광부(430)는 하부기판(410)에 입사한 광을 반사 및 편광한다. 제1 편광부(430)에서 편광투과된 광은 화소전극(425)을 경유하여 액정층(407)에 입사한다. 제1 편광부(430)는 다수의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 및 제1 버퍼층(435)을 포함한다.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은 도 1에 도시된 도전성 격자선(31)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은 하부기판(410)의 하면(413)에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은 광반사율이 우수하고, 광흡수율이 작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버퍼층(435)은 도 1에 도시된 버퍼층(35)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버퍼층(435)은 하부기판(410)과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1 버퍼층(435)은 하부기판(410)의 하면(413) 및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과 각각 접촉된다. 제1 버퍼층(435)은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의 광반사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버퍼층(435)은 도 4 및 도 5에서 개시된 특성이 우수한 금속층 및 유기물층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편광부(430)는 제1 평탄화층(4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탄화층(437)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광투과율이 우수한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평탄화층(437)은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을 커버한다.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 및 제1 버퍼층(435)은 제1 평탄화층(437)에 매립되어, 스크래치 등의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표시패널(400)은 상부기판(450) 상에 형성된 제2 편광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편광부(470)는 액정층(407)을 투과한 광 및 상부기판(450)으로 입사한 광을 반사 및 편광한다. 제2 편광부(470)는 다수의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 및 제2 버퍼층(475)을 포함한다.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은 상부기판(450)의 상면(453)에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버퍼층(475)은 상부기판(450)과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2 버퍼층(475)은 상부기판(450)의 상면(453) 및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과 각각 접촉된다. 제2 버퍼층(475)은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의 광반사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버퍼층(475)은 도 4 및 도 5에서 개시된 특성이 우수한 금속층 및 유기물층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편광부(470)는 제2 평탄화층(47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평탄화층(477)은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을 커버한다.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 및 제2 버퍼층(475)은 제2 평탄화층(477)에 매립되어, 스크래치 등의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 및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의 피치, 선폭 및 두께는 도 1에 도시된 도전성 격자선들의 피치(P), 선폭(W) 및 두께(T1)와 실질적으로 각각 동일하다.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의 편광방향과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의 편광방향은 서로 직교하거나, 평행하거나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층(407)이 수직배향(Vertical Alignment)되고 노멀리 블랙(normally black)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은 기준 방향에 대하여 0 도(degree)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은 기준 방향에 대하여 90 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정층(407)이 수직배향(Vertical Alignment)되고 노멀리 화이트(normally white)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 및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정층(407)이 트위스트 네마틱(Twisted Nematic) 타입인 경우,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과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이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액정층(407)이 노멀리 화이트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과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액정층(407)이 노멀리 블랙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하부기판(410)에 입사한 랜덤한 편광 중 P 편광은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을 투과하며, S 편광은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에 의해 반사된다. P 편광은 대부분 화소전극(425)을 통해 액정층(407)에 입사된다. 반사된 S편광은 표시패널(400)의 하부에 배치된 광학시트 등에서 반사로 인해 랜덤한 편광이 되어 다시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에 의해 반사 및 편광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전극(425)과 공통전극(467)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아 액정층(407)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액정층(407)에 입사하는 P 편광은 편광축을 유지하며,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에 의해 반사된다.
화소전극(425)과 공통전극(467)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어 액정층(407)이 기울어진 경우, 액정층(407)에 입사하는 P 편광은 편광축이 회전하여 S 편광이 되며, 액정층(407)으로부터 출사된 S 편광은 제1 도전성 격자선(431)들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제2 도전성 격자선(471)들을 투과한다.
제1 도전성 격자선(431) 및 제2 도전성 격자선(471)에 입사하는 광은 자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퍼층(435) 및 제2 버퍼층(475)은 자외선에 의해 제1 도전성 격자선(431) 및 제2 도전성 격자선(471)의 가시광선에 대한 광반사율이 저하, 즉 광흡수율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패널(500)은 어레이기판(501), 대향기판(505), 액정층(507), 제1 편광부(530) 및 제2 편광부(57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500)은 제1 편광부(53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제외하고는 도 7에 도시된 표시패널(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어레이기판(501)은 하부기판(510) 및 다수의 화소부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편광부(530)는 하부기판(510)의 상면(511)에 형성된다. 제1 편광부(530)는 다수의 제1 도전성 격자선(531)들, 제1 버퍼층(535) 및 제1 평탄화층(537)을 포함한다.
제1 버퍼층(535)은 하부기판(510)의 상면(511)에 수 내지 수십 나노미터의 두께로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전성 격자선(531)들은 제1 버퍼층(535)과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도전성 격자선(531)들은 제1 버퍼층(535)을 따라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패터닝되어 있다. 제1 버퍼층(535)은 하부기판(510) 및 제1 도전성 격자선(531)들과 각각 접촉된다. 제1 평탄화층(537)은 제1 도전성 격자선(531)들을 커버하여 평탄한 표면을 형성한다.
제1 평탄화층(537) 상에 게이트선들 및 데이터선들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들 및 데이터선을 다수의 화소영역들을 정의한다. 각 화소부들은 각 화소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기판(510)의 하면(513)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은 제1 도전성 격자선(531)에 입사되기 전에 제1 버퍼층(535)에 입사된다. 제1 버퍼층(535)은 자외선과 같은 고에너지 광이 제1 도전성 격자선(531)들의 계면의 조직을 변화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패널(600)은 어레이기판(601), 대향기판(605), 액정층(607), 제1 편광부(630) 및 제2 편광부(67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600)은 제2 편광부(67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제외하고는 도 7에 도시된 표시패널(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대향기판(605)은 상부기판(650) 및 다수의 컬러필터부(663)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편광부(670)는 상부기판(650)의 하면(651)에 형성된다. 제2 편광부(670)는 다수의 제2 도전성 격자선(671)들, 제2 버퍼층(675) 및 제2 평 탄화층(677)을 포함한다. 제2 버퍼층(675)은 상부기판(650)의 하면(651)에 수 내지 수십 나노미터의 두께로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전성 격자선(671)들은 제2 버퍼층(675)과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도전성 격자선(671)들은 제2 버퍼층(675)을 따라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패터닝되어 있다. 제2 버퍼층(675)은 상부기판(650) 및 제2 도전성 격자선(671)들과 각각 접촉된다. 제2 평탄화층(677)은 제2 도전성 격자선(671)들을 커버하여 평탄한 표면을 형성한다.
제2 평탄화층(677) 상에 광차단층(661), 컬러필터부(663), 오버코팅층(665) 및 공통전극(667)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패널(700)은 어레이기판(701), 대향기판(705), 액정층(707), 제1 편광부(730) 및 제2 편광부(77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700)은 제1 편광부(730) 및 제2 편광부(77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제외하고는 도 7에 도시된 표시패널(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편광부(730)는 하부기판(710)의 상면(711)에 형성되며, 제2 편광부(770)는 상부기판(750)의 하면(751)에 형성된다.
제1 편광부(730) 및 제2 편광부(770)가 어레이기판(701)과 대향기판(705)의 사이에 내재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에 의해 제1 편광부(730) 및 제2 편광부(770)가 손상될 위험이 감소된다.
표시장치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800)는 표시패널(801), 백라이트부(901) 및 제1 편광판(903)을 포함한다. 표시패널(801)은 어레이기판(802), 대향기판(805) 및 액정층(807)을 포함한다. 어레이기판(802), 대향기판(805) 및 액정층(807)은 도 7에 도시된 어레이기판(401), 대향기판(405) 및 액정층(407)과 각각 동일하다.
백라이트부(901)는 어레이기판(802)의 하부에서 어레이기판(802)에 광을 출사한다. 백라이트부(901)는 냉음극 형광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편광판(903)은 표시패널(801)과는 분리된 별도의 부재이다. 제1 편광판(903)은 어레이기판(802)과 백라이트부(90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편광판(903)은 제1 베이스층(910), 다수의 제1 도전성 격자선(931)들 및 제1 버퍼층(935)을 포함한다. 제1 편광판(903)은 도 1에 도시된 편광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버퍼층(935)은 제1 베이스층(910) 상에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전성 격자선(931)들은 제1 버퍼층(935) 상에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장치(800)는 제2 편광판(9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편광판(905)은 대향기판(805)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편광판(905)은 제2 베이스층(950), 다수의 제2 도전성 격자선(971)들 및 제2 버퍼층(975)을 포함한다. 제2 편광판(905) 은 제1 편광판(90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버퍼층(935) 및 제2 버퍼층(975)은 각각 제1 도전성 격자선(931)들 및 제2 도전성 격자선(971)들의 가시광선 반사율의 저하, 즉 가시광선 흡수율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제1 편광판(903) 및 제2 편광판(905)의 편광투과율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화질저하의 정도가 감소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험에 의해 결정된 물질로 이루어진 버퍼층은 장시간 자외선 및 가사광선에 노출되어 도전성 격자선들의 광반사율이 감소하거나 광흡수율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전성 격자선들을 편광자로 갖는 편광판의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의 편광투과율이 시간에 따라 감소되는 것이 억제되어 화질이 저하되는 정도가 감소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 및 편광하는 다수의 도전성 격자선들; 및
    상기 베이스층과 도전성 격자선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성 격자선들을 보호하는 버퍼층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층은 질화실리콘(SiNx)층 및 경화성수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 격자선들은 은(Ag)층 또는 알루미늄(Al)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상기 도전성 격자선들을 따라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상기 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0.1 내지 10 나노미터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층, 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층 및 유리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격자선들 간의 피치, 각 상기 도전성 격자선의 선폭 및 도전성 격자선의 두께는 각각 100 내지 200 나노미터, 50 내지 100 나노미터 및 150 내지 250 나노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4. 상면에 다수의 화소부들이 형성된 어레이기판;
    상기 화소부들과 대향하는 칼라필터부들이 형성된 대향기판;
    상기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및
    상기 어레이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 및 편광하는 제1 도전성 격자선들 및 상기 어레이기판과 제1 도전성 격자선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을 보호하는 제1 버퍼층을 포함하는 제1 편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버퍼층은 질화실리콘(SiNx)층 및 경화성수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은 상기 어레이기판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어레이기판의 하면과 제1 도전성 격자선의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은 상기 어레이기판의 상면에 형 성되고, 상기 제1 버퍼층은 상기 어레이기판의 상면과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의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 및 편광하는 제2 도전성 격자선들; 및
    상기 대향기판과 제2 도전성 격자선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을 보호하는 제2 버퍼층을 포함하는 제2 편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은 상기 대향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대향기판의 상면과 제2 도전성 격자선의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은 상기 대향기판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대향기판의 하면과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의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20. 상면에 다수의 화소부들이 형성된 어레이기판, 상기 화소부들과 대향하는 칼라필터부들이 형성된 대향기판 및 상기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어레이기판에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부; 및
    상기 백라이트부와 어레이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베이스층,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도전성 격자선들 및 상기 제1 베이스층과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도전성 격자선들을 보호하는 제1 버퍼층을 포함하는 제1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버퍼층은 질화실리콘(SiNx)층 및 경화성수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기판의 상부에 배치된 제2 베이스층;
    상기 제2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다수의 제2 도전성 격자선들; 및
    상기 제2 베이스층과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2 도전성 격자선들을 보호하는 제2 버퍼층을 포함하는 제2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60107527A 2006-11-02 2006-11-02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101294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527A KR101294004B1 (ko) 2006-11-02 2006-11-02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US11/931,615 US7880832B2 (en) 2006-11-02 2007-10-31 Polarizing plate,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07021415.0A EP1918742B1 (en) 2006-11-02 2007-11-02 Wire grid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527A KR101294004B1 (ko) 2006-11-02 2006-11-02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067A KR20080040067A (ko) 2008-05-08
KR101294004B1 true KR101294004B1 (ko) 2013-08-07

Family

ID=3895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527A KR101294004B1 (ko) 2006-11-02 2006-11-02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80832B2 (ko)
EP (1) EP1918742B1 (ko)
KR (1) KR101294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298B1 (ko) * 2007-02-02 2014-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5430126B2 (ja) 2008-11-13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偏光子
JP2010243956A (ja) * 2009-04-09 2010-10-28 Sony Corp 液晶シャッター及び画像表示観察システム
CN102135667A (zh) * 2010-01-26 2011-07-27 李冠军 偏振光转换装置及由其组成的车用灯与液晶显示装置
KR20110124717A (ko) * 2010-05-11 2011-11-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과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일체화된 복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15470A (ko) * 2011-08-03 201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861737B1 (ko) 2011-11-17 2018-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146873A (ko) * 2013-06-18 2014-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9361A (ko) * 2013-08-13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124405B1 (ko) * 2013-11-11 2020-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01174A (ko) 2014-06-26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형격자의 제조방법
KR102520111B1 (ko) * 2016-06-08 2023-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발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06842677B (zh) * 2016-12-26 2018-07-0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透明液晶显示面板及包含其的显示器
CN107918229B (zh) * 2018-01-03 2021-03-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方法
CN108535904A (zh) * 2018-05-23 2018-09-1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在液晶面板中内置偏光片的方法、液晶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8663740B (zh) * 2018-06-06 2020-05-26 武汉大学 基于电介质纳米砖超材料的线偏振光起偏器及制备方法
CN111638611A (zh) * 2020-06-10 2020-09-0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3077B2 (en) * 2001-06-19 2004-11-02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fabricating an integrated optical isolator and a novel wire grid structure
JP2005017408A (ja) * 2003-06-23 2005-01-20 Ricoh Opt Ind Co Ltd 偏光光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
US20060061862A1 (en) * 2004-09-23 2006-03-23 Eastman Kodak Company Low fill factor wire grid polarizer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2103A (en) * 1999-06-22 2000-09-19 Moxtech Broadband wire grid polarizer for the visible spectrum
US6665119B1 (en) * 2002-10-15 2003-12-16 Eastman Kodak Company Wire grid polarizer
TW583466B (en) * 2002-12-09 2004-04-11 Hannstar Display Corp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US7113335B2 (en) * 2002-12-30 2006-09-26 Sales Tasso R Grid polarizer with suppressed reflectivity
US20040174596A1 (en) 2003-03-05 2004-09-09 Ricoh Optical Industries Co., Ltd. Polarization optic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386413B2 (ja) 2003-08-25 2009-12-16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ワイヤーグリッド偏光子の製造方法
CN1621866A (zh) 2003-11-28 2005-06-0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薄膜结构与制造该薄膜结构的方法
JP2005172844A (ja) * 2003-12-05 2005-06-30 Enplas Corp ワイヤグリッド偏光子
JP2005242080A (ja) 2004-02-27 2005-09-08 Victor Co Of Japan Ltd ワイヤグリッドポラライザ
US7436469B2 (en) * 2004-10-15 2008-10-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e diffuser plates and direct-lit liquid crystal displays using same
WO2007044028A2 (en) 2004-11-30 2007-04-19 Agoura Technologies, Inc. Applications and fabrication techniques for large scale wire grid polarizers
US7570424B2 (en) * 2004-12-06 2009-08-04 Moxtek, Inc. Multilayer wire-grid polarizer
JP4247627B2 (ja) 2005-02-10 2009-04-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素子の製造方法
KR100634681B1 (ko) * 2005-05-23 200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광판, 백라이트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편광판의제조방법
KR20070037864A (ko) * 2005-10-04 2007-04-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패널과 그의 제조방법
JP4275691B2 (ja) * 2005-10-17 2009-06-10 旭化成株式会社 ワイヤグリッド偏光板の製造方法
US20070242352A1 (en) * 2006-04-13 2007-10-18 Macmaster Steven William Wire-grid polarizers,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and their use in transmissive displays
US20070242195A1 (en) * 2006-04-17 2007-10-18 Da-Shuang Kuan Reflective liquid crystal on silicon panel
KR20070117816A (ko) * 2006-06-0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JP4694541B2 (ja) * 2006-08-10 2011-06-08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偏光子及びそれを備える平板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3077B2 (en) * 2001-06-19 2004-11-02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fabricating an integrated optical isolator and a novel wire grid structure
JP2005017408A (ja) * 2003-06-23 2005-01-20 Ricoh Opt Ind Co Ltd 偏光光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
US20060061862A1 (en) * 2004-09-23 2006-03-23 Eastman Kodak Company Low fill factor wire grid polarizer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8742B1 (en) 2015-08-26
EP1918742A1 (en) 2008-05-07
KR20080040067A (ko) 2008-05-08
US7880832B2 (en) 2011-02-01
US20080106672A1 (en)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004B1 (ko) 편광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US7502085B2 (en) Display device having functional transparent plate in prismatic structure on retarder provided on polarizer above display panel assembly
KR101282323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11760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7334346A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パネル
US106564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004880A (ko) 칼라필터 기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05092A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US10288954B2 (en) Display device
TWI282477B (en) A method of improving the viewing angle of a vertically align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method used for a compensation film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09053B1 (ko) 표시 장치
US2006029084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6027423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a TFT array panel of the same
KR20150000743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775099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polarizer having patterned layers of metal lines and retardation films
JPWO2006038575A1 (ja) 透明電極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TWI364589B (en) Vertical alignment mode reflective-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multi cell gap
US10146084B2 (en) Display device
US2007002478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405878B2 (en) Method of transforming a light beam, optical film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optical film
KR20060116479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936956B1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장치
KR102467215B1 (ko) 표시장치
KR20080025471A (ko) 편광판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KR100683158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