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640B1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r2-1 균주를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 Google Patent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r2-1 균주를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640B1
KR101293640B1 KR1020110077891A KR20110077891A KR101293640B1 KR 101293640 B1 KR101293640 B1 KR 101293640B1 KR 1020110077891 A KR1020110077891 A KR 1020110077891A KR 20110077891 A KR20110077891 A KR 20110077891A KR 101293640 B1 KR101293640 B1 KR 10129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y mildew
bacillus subtilis
culture
strain
pe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726A (ko
Inventor
지형진
김용기
심창기
류경열
박종호
이병모
홍성준
이민호
김원일
한은정
최은정
다모다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07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6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수탁번호: KACC91542P) 또는 그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흰가루병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생산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이고 효과적으로 흰가루병을 방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R2-1 균주를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Microbial agent for prevention of Powdery mildew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R2-1}
본 발명은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흰가루병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흰가루병(Powdery mildew)은 발병 초기에는 잎 뒷면의 엽맥을 따라 몇 개의 각이진 흰색의 서리가 낀듯한 포자가 발생하기 시작하며 점차 증가하여 잎의 표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처럼 분생포자가 퍼진다. 오래된 증상으로 흑색소립의 자낭각이 생긴다. 더욱 진전되면 초기에 발생한 잎은 누렇게 변색되며 떨어진다. 잎의 전후면에 발생하며 잎 뒷면에만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흰가루병 발병 원인이 되는 병원균은 약 20여 종으로 알려져 있다. 에리시페속(Erysiphe), 미크로스파이라속(Microsphaera), 포도스파이라속(Podosphaera), 필라크티니아속(Phillactinia), 스파이로테카속(Sphaerotheca), 또는 웅키눌라속(Uncinula)에 속하는 곰팡이종(種) 들의 특수한 변종에 의하여 생긴다.
병원균 중, 고추 흰가루병 병원균(Leveillula taurica)은 내부 기생성으로 식물의 내부에 흡기를 박고 영양원을 취하므로 균사가 잎 표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품종에 따라 변색 정도가 다르다. 사상균의 일종으로 자낭균류에 속하며 분생포자는 연쇄상으로 형성되며 분생자경의 최선단부의 포자가 가장 먼저 만들어진 포자이다. 포자의 모양은 장타원형이며 발아적온은 15 ~ 30℃ 이다. 분생포자가 비산시 전염되며 건조 조건하에서 분생포자는 약 80일간 전염력을 유지한다. 발병적온은 15 ~ 28℃이고 최적온도는 25℃로 주로 시설 재배 하우스 내의 건조조건에서 많이 발생한다. 전염 경로는 이병 잔사에서 월동한 자낭각이 발아하여 자낭포자를 형성하고 공기 중에 비산하여 식물체에 침입한다. 2차 전염은 식물체에서 형성된 분생포자가 식물체로 침입하는데 분생포자의 비산은 낮에 많고 밤에는 적다.
토마토 흰가루병 병원균(Erysiphe cichoracearum)은 시설 재배시 특히 문제되는 병원균으로, 온도가 서늘한 봄과 가을에 많이 발생하며 건조한 환경 하에서 피해가 크다. 분생 포자 또는 균사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월동한 후, 1차 전염원이 되며, 그 후의 발명은 분생 포자가 공기전염되어 계속적으로 발생한다.
흰가루병은 진전되면 방제가 어려우므로 초기방제가 필수적이고, 전염원의 증식이 빠르므로 약제방제는 예방위주로 해야 하며 침투이행성 약제는 내성의 우려가 있어 연용을 피해야 하는바, 방제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이고 효과적인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수탁번호: KACC91542P) 또는 그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수탁번호: KACC91542P) 또는 그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식물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흰가루병 발병 원인이 되는 병원균은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병원균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고추 흰가루병 병원균(Leveillula taurica) 또는 토마토 흰가루병 병원균(Erysiphe cichoracearum)이다.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수탁번호: KACC91542P) 또는 그의 배양액을 처리하였을 때, 고추 흰가루병 병원균(Leveillula taurica) 및 토마토 흰가루병 병원균(Erysiphe cichoracearum)이 효과적으로 방제될 뿐만 아니라 방제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병원균의 포자발아율이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표 1-4 참조).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은 본 발명자들이 쌀뜨물에서 분리한 것으로, 균주의 특성 및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확인되었는 바, 이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R2-1로 명명하고 2010년 4월 21일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수탁번호 제 KACC91542P 호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제제에는 배양 배지에서 분리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수탁번호: KACC91542P) 자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그의 배양액 또는 이 배양액을 건조한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배양 배지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배양 배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쌀 또는 보리 고체 배지, 또는 생선아미노산액비(amino acid liquid): 휴믹산: 당밀의 조성비가 1: 8-12: 8-12 또는 생선아미노산액비: 포도당: 당밀의 조성비가 1: 3-7 : 8-12로 포함된 액체 배지가 사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생선아미노산액비(amino acid liquid): 휴믹산: 당밀의 조성비가 1: 10: 10 또는 생선아미노산액비: 포도당: 당밀의 조성비가 1: 5 :10으로 포함된 액체 배지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쌀 또는 보리를 물에 1-3일간 침지한 다음 내열성 크린백에 넣고 멸균한 후 여기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현탁액을 접종하여 배양할 수 있다. 또는, 생선아미노산액비(amino acid liquid): 휴믹산: 당밀의 조성비가 1: 8-12: 8-12 또는 생선아미노산액비: 포도당: 당밀의 조성비가 1: 3-7 : 8-12가 되도록, 더욱 바람직하게 생선아미노산액비(amino acid liquid): 휴믹산: 당밀의 조성비가 1: 10: 1 또는 생선아미노산액비: 포도당: 당밀의 조성비가 1: 5 :10가 되도록 미생물 배양기에 첨가하고 멸균한 다음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를 넣고 배양할 수 있다. 상기 배지 내 포함되는 생선아미노산액비, 휴믹산(또는 포도당), 및 당밀의 부피는 배양하고자 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배양량(vplume)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바, 바람직하게 20 ℓ 균주 배양을 위하여 생선아미노산액비는 10-30㎖ 포함될 수 있고 균주 배양 부피에 비례하여 포함되도록 생선아미노산액비, 휴믹산(또는 포도당), 및 당밀의 부피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배양 배지에 당밀, 글루코오스, 및 소이톤(Soyton)이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양액 전체 중량 중에서, 당밀 1-3중량%, 글루코오스 0.1-3중량%, 및 소이톤(Soyton) 0.01-0.5중량%가 포함되는 첨가재료가 첨가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당밀 1.5-2.5 중량%, 글루코오스 0.5-1.5 중량%, 및 소이톤(Soyton) 0.01-0.5 중량%가 첨가될 수 있다 .
본 첨가재료가 첨가되는 배양 배지로 바람직하게 전체 유기질 비료의 중량 중 질소 4-6중량%, 인산 1-3중량% 및 칼륨 0.3-2중량% [캐스터 빈 웨이스트(caster bean waste) 40-50중량%, 레이프 시드 웨이스트(rape seed waste) 30-50중량%, 라이스 브란(rice bran) 8-12중량%, 및 팜 웨이스트(palm waste) 3-7중량%]가 포함되는 유기질 비료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첨가재료와 상기 유기질 비료 내 성분 간의 작용으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배양에 보다 우수한 작용을 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러한 예상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양액에는 상기 배양 배지가 포함될 수 있고,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고체 배지, 액체 배지, 및 이들 배지에 첨가재료가 첨가된 배지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을 대량으로 용이하게 배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배양액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를 대량으로 용이하게 배양할 수 있는 상기 배양 배지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배양액 내에 대량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유기질 비료를 포함하여 제조한 미생물액비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을 배양하였을 때 미생물액비에서 나는 암모니아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확인하였는바, 유기질 비료가 포함된 배양 배지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이 불용성 인산의 가용화능, 질소 고정능, 및 ACC Deaminase 활성능을 가지며, 셀룰라아제(cellulase), 펙티나아제(pectinase), 키티나아제(Chitinase), Siderophore 및 IAA 생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제제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기능들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들, 예컨대 식물 생장 촉진 등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에 흰가루병 (바람직하게, 고추 흰가루병 병원균(Leveillula taurica) 또는 토마토 흰가루병 병원균(Erysiphe cichoracearum))에 대한 방제 효과 외에 잘록병 병원균(Rhizoctonia solani), 고추 역병 병원균(Phytophthora capsici), 시들음병 병원균(Fusarium oxysporum) 및 고추 탄저병 병원균(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제제는 추가적으로 잘록병 병원균(Rhizoctonia solani), 고추 역병 병원균(Phytophthora capsici), 시들음병 병원균(Fusarium oxysporum) 및 고추 탄저병 병원균(Colletotrichum acutat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병원균의 방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목적의 미생물 제제에 포함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은 유기질 비료 포함 배지, 보다 구체적으로 전체 유기질 비료의 중량 중 질소 4-6중량%, 인산 1-3중량% 및 칼륨 0.3-2중량% [캐스터 빈 웨이스트(caster bean waste) 40-50중량%, 레이프 시드 웨이스트(rape seed waste) 30-50중량%, 라이스 브란(rice bran) 8-12중량%, 및 팜 웨이스트(palm waste) 3-7중량%]을 포함하는 유기질 비료 포함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이러한 유기질 비료 포함 배지에 당밀 1-3 중량%, 글루코오스 0.1-3 중량%, 및 소이톤(Soyton) 0.01-0.5 중량%을 포함하는 첨가재료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은 무의 종자 발아 및 뿌리 길이 생장을 촉진시키고, 상추 생육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또한 많은 중량의 고추가 다량으로 생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제제 처리를 통해 효과적인 흰가루병 방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식물 생장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제제는 추가적으로 식물 생장 촉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제제는 균주의 안정적인 제제화를 목적으로 수화제, 입제 또는 캡슐화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외에 표면 활성제, 비활성 담체, 보존제, 습윤제, 공급촉진제, 유인제, 캡슐화제, 결합제, 유화제, 염료, UV 보호제, 완충제 및 흐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제제는 식물 자체 또는 식물이 생장하고 있는 토양 주위에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식물"에는 흰가루병의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는 식물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 상추, 고추, 피망, 토마토, 가지, 복숭아, 오이, 파프리카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R2-1 균주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이고 효과적인 흰가루병 방제가 가능하다.
도 1은 곡류(쌀, 보리, 옥수수, 콩) 고체 배지 상에서 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의 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내열성 크린백을 이용한 보리 고체 배지 상에서의 서브틸리스 균주 R2-1 배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보리 고체 배지 상에서의 서브틸리스 균주 R2-1 성장 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기본배지(TSB)와 유기증량배지(유기질 비료 (A) + 첨가재료 (b))에서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유기질 비료(A) 현탁액에서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의 생장밀도 변동을 다른 미생물과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유기질 비료(A)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생물액비 내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배양시 암모니아 탈취 효과를 다른 미생물과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처리에 의한 총 고추 수확량 변동을 다른 미생물과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B. subtilis R2-1 처리에 의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
실시예 1-1. B. subtilis R2-1 처리에 의한 고추 흰가루병 병원균 방제 효과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수탁번호: KACC91542P)가 고추 흰가루병 병원균의 생육 및 포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 용호리 유기농 고추 주산단지의 시설 내에서 고추 흰가루병 발생초기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현탁액(배양액, 1.0×108cfu/㎖)을 분무살포하였다. 그 다음, 병든 잎을 채취하여 1일간 25℃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수탁번호: KACC91542P)가 고추 흰가루병 병원균의 생육 및 포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처리에 의한 고추 흰가루병 방제효과를 표 1 및 2에 병반면적율(%)로 나타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을 처리하였을 때 무처리한 대조군에 비하여 병반면적율(%)이 감소하였는바, 방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2009년도 시험에서 1차 조사시에 균주를 처리한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19.3%의 병반면적율을 보이는데 반해 무처리 경우에는 31.5%의 병반면적율을 나타냈고, 2차 조사시에 균주를 처리한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23.3%의 병반면적율을 보인데 반해 무처리 경우에는 37.4%의 병반면적율을 나타내는 바, 시간이 경과할수록 균주 처리에 의한 방제효과의 우수성이 더욱 명백해졌다. 또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10년도 시험에서는 균주를 처리한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3.7%의 병반면적율을 보이는데 반해 무처리 경우에는 13.7%의 병반면적율을 나타냈고, 2차 조사시에 균주를 처리한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1.4%의 병반면적율을 보인데 반해 무처리 경우에는 8.4%의 병반면적율을 나타냈고, 탑시드(시판 중인 미생물살균제, 그린바이오텍)에 비해서도 낮은 병반면적율(%)을 나타냈는바, 균주 처리에 의한 방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2009, 강원도 화천)
미생물 병반면적율 (%)
1차 조사(9/18) 2차 조사(9/30)
1반복 2반복 평균 1반복 2반복 평균
R2-1 19.5 19.0 19.3 21.5 25.0 23.3
활화산
(무기물제)
15.4 17.0 16.2 28.0 36.5 32.3
무처리 29.5 33.5 31.5 35.3 39.5 37.4
(2010, 강원도 화천)
처리 병반면적율(%)
1차 조사 2차 조사
평균 평균
R2-1 3.1 4.8 3.2 3.7 0.8 0.8 2.6 1.4
탑시드 5.9 3.8 10.5 6.7 1.0 0.9 6.2 2.7
무처리 10.8 10.3 18.6 13.2 5.8 8.4 11.0 8.4
또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처리에 의한 고추 흰가루병 병원균 포자 발아 억제 효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을 처리하였을 때 무처리한 대조군에 비하여 포자발아율이 현저히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균주를 처리한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9%의 포자발아율을 보이는데 반해 무처리한 경우에는 57%의 포자발아율을 나타내는바, 균주 처리에 의해 고추 흰가루병 병원균 포자 발아가 현저히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 포자발아율(%)
평균
R2-1 0 0 10.0 25.0 10.0 9.0
활화산
(무기물제)
31.8 22.7 29.4 13.6 13.3 22.2
무처리 75.0 50.0 47.6 52.3 60.0 57.0
실시예 1-2. B. subtilis R2 -1 처리에 의한 토마토 흰가루병 병원균 방제 효과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수탁번호: KACC91542P)가 토마토 흰가루병 병원균의 생육 및 포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토마토 흰가루병 발생초기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현탁액(배양액, 1.0×108cfu/㎖)을 분무살포한 다음, 병든 잎을 채취하여 1일간 25℃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수탁번호: KACC91542P)가 토마토 흰가루병 병원균의 생육 및 포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처리에 의한 토마토 흰가루병 방제효과를 표 4에 병반면적율(%)로 나타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을 처리하였을 때 다른 균주를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방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1차 조사(7/16)시에 균주를 처리한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23.8%의 병반면적율을 보여 타균주의 경우에 약 1/2의 병반면적율(%)을 보였으며, 2차 조사(7/23)시에 균주를 처리한 경우에는 평균적으로 16.0%의 병반면적율을 보여 약 1/4의 병반면적율(%)을 보였는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처리에 의한 방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균주명 조시시기별 병반면적율(%)
7/16 7/23
Pseudomonas YP-PSB-2 44.8 53.3
Bacillus sp. YP-B-3 37.8 73.3
Bacillus sp. BR-BS-2 33.8 53.3
Bacillus subtilis YJ-BS 45.8 67.0
Bacillus valimortis EXTN-1 44.3 53.8
탑시드(Paenicbacillus polymyca AC-1) 28.5 63.8
Bacillus subtilis R2-1 23.8 16.0
Pantoea ananatis B1-9 45.8 74.0
Lactobacillus plantarum BR-LAB-2 46.5 70.0
Lactobacilus brevis BR-LAB-1 48.3 69.0
무처리 52.5 80.5
실시예 2. B. subtilis R2-1 대량 배양 기술 개발
실시예 2-1. B. subtilis R2 -1 대량 액체배지 배양 기술 개발
표 5-7에 기재된 바와 같이 휴믹산 또는 포도당, 생선아미노산액비, 및 당밀을 미생물 배양기에 첨가하고, 배양액을 100℃이상에서 30분간 멸균하였다. 멸균된 배양액 내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를 30±5℃에서 2일 이상 배양하였고, 배양 후 7일 이내에 이를 1010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첨가성분 미생물 배양량
20리터(1말) 500리터(25말) 1톤(50말)
생선아미노산액비 20㎖ 500㎖ 1.0리터
휴믹산(㎖)/포도당(g) 200㎖/100g 5.0리터/2.5㎏ 10리터/5.0㎏
당밀 200㎖ 5.0리터 10리터
또한, 생선아미노산액비 대 포도당의 조성비를 달리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를 배양하였다. 그 결과, 표 6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생선아미노산액비 : 포도당이 1:5의 조성비(%)를 나타낼 때 가장 우수한 배양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휴믹산을 첨가한 경우와 휴믹산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를 배양 효과를 조사해 본 결과, 표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휴믹산을 첨가한 경우에 균주 밀도가 높게 안정화됨을 알 수 있었다.
생선아미노산액비, 포도당 및 당밀 농도별 Bacillus subtilis R2-1의 생장
배양기별 조성(%) 날짜별 밀도 조사 (cfu/ml)
배지명 액비 포도당 0일째 1일째 2일째 3일째 5일째 7일째 14일째
A 0.1 1.0 2.43x104 3.00x107 8.57x107 1.53x108 1.24x108 1.20x108 1.43x108
B 0.1 0.5 1.60x104 3.53x107 1.22x108 2.17x108 1.16x108 1.07x108 1.57x108
C 0.25 1.0 3.33x104 9.70x106 3.83x107 1.07x108 1.35x108 1.30x108 2.20x108
D 0.25 0.5 2.03x104 9.53x107 1.10x107 1.67x107 8.73x107 9.47x107 9.67x107
E 0.5 1.0 1.57x104 1.63x107 1.68x108 4.47x107 4.00x106 6.00x106 9.00x107
F 0.5 0.5 1.80x104 7.40x106 3.70x107 1.67x107 1.67x107 6.50x107 1.30x108
TSB - - 1.60x104 1.86x108 1.85x107 4.53x106 2.40x107 1.80x107 8.50x106
* A-F 액비배지에는 당밀 1% 첨가 됨.
생선아미노산액비, 휴믹산 및 당밀 농도별 B. subtilis R2-1 밀도 증식
천연산 첨가량(%) R2-1 밀도 조사 (cfu/ml)
배지 휴믹산 0일 1일 2일 3일 5일 7일 14일
M1 - 2.2x104 1.6x106 1.9x106 6.2x106 5.3x106 4.5x106 7.7x105
M2 1.0 2.4x10 4 2.1x10 7 5.2x10 9 2.1x10 8 1.9x10 8 2.5x10 8 1.1x10 7
TSB - 1.0x104 1.2x106 1.5x107 1.7x107 8.5x106 6.5x107 9.2x106
실시예 2-2. 내열성 크린백을 사용한 B. subtilis R2-1 대량 고체배지 배양 기술 개발
곡류(쌀, 보리, 옥수수, 또는 콩)을 물에 하룻밤 침지하여 수분을 충분히 위하게 한 다음 약 500㎖를 내열성 크린백에 넣고 121℃에서 30분간 2회 고압 멸균하였다. 각각의 살균한 크린백에 전 배양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현탁액 10㎖를 접종하고 잘 섞어준 다음 25℃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12일 간격으로 흔들어서 골고루 섞어주면서 14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옥수수 또는 콩에 비해 쌀 또는 보리를 고체 배지로 사용하는 경우 균주 밀도가 높게 안정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리배지에서의 균주는 12일 동안 계속 높은 생장 밀도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B. subtilis R2-1 생장 및 항균활성증진을 위한 첨가재료 개발
유기질 비료 A(표 11 참조)에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각 a-e 조성의 첨가재료를 첨가한 배양액에 R2-1 균주를 침지하고, 2일 및 5일 경과 후에 첨가 재료별로 R2-1 균주의 생장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기본배지(TSB)와 비교하여 7일 동안 계속해서 균주 밀도가 높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병원균의 균사 생장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기질 비료(A)에 당밀 2%+Glucose 1%+Soyton 0.2%를 첨가(첨가재료 (b))하여 배양한 여액에서 병원균의 균사 생장 억제 효과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유기질 비료(A) 첨가재료 배양여액의 균사 생장 억제율(%)
잘록병균
(Rhizoctonia solani)
고추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
시들음병균
(Fusarium oxysporum)
고추 탄저병균
( Colletotrichum acutatum )
a. 당밀 2%+Glucose 1%+Yest E. 0.1%+Soyton 0.2% 53.31 62.96 43.33 43.07
b. 당밀 2%+Glucose 1%+Soyton 0.2% 71.06 75.66 43.33 45.06
c. 당밀 2%+Glucose 1% 52.38 49.28 40.21 36.91
d. 무첨가 59.10 34.89 46.67 25.00
e. TSB (Triptic soy broth) 12.23 22.22 33.33 24.76
추가적으로, 유기질 비료(A) 및 그 외 비료(B) 및 (C) (표 10 참조)에서 R2-1 균주를 배양하고, 각각 배양여액의 식물병 병원균 방제 효과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냈다.
유기물 비료 배지(표 10)
배양여액의 균사 생장 억제율(%)
잘록병균
(Rhizoctonia solani)
고추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
시들음병균
(Fusarium oxysporum)
고추 탄저병균
( Colletotrichum acutatum )
A 59.10 34.89 46.67 25.00
B 46.92 5.56 30.00 39.76
C 19.32 0.26 1.55 3.61
TSB 12.23 22.22 17.85 24.76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 배지에 비하여 유기질 비료(A)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 식물병 병원균의 균사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질 비료(A) 현탁액에서 R2-1 균주를 포함한 4가지 균주를 배양해 본 결과, 다른 미생물에 비해 B. subtilis R2-1가 7일 동안 계속 더 높은 수준으로 밀도가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기물 비료 조성(시판비료)
유기질 비료 상표* 성분 및 농도 목록공시
여부
제조회사
A 1. OF-A
(흙살골드)
N 4.5%, P 1.5%, K 1.0%
caster bean waste 45%, rape seed waste 40%, rice bran 10%, palm waste 5%
Yes KG Co.
B 2. OF-B
(신농)
N 4.0%, P 2.0%, K 1.0%
caster bean waste 70%, palm waste 20%, rice bran 10%
No Shinnong
C 3. OF-C
(아름들)
peat Yes Arysta
실시예 4. B. subtilis R2-1의 기능성 분석
실시예 4-1. 인산가용화(Phosphorous solubilization), 키티나아제 생성(Chitinase production), 질소 고정(N2 fixation), 및 ACC-deaminase activity 분석
실시예 4-1-1. B. subtilis R2-1 의 인산가용화능 조사
Pikovaskaya's medium(Glucose 10.0g/L, (NH4)2SO4 0.5g/L, KCl 0.2g/L, MgSO4 0.1g/L, MnSO4 0.002g/L, FeSO4 0.002g/L, Yeast extract 0.5g/L, Tricalcium phosphate (Calcium phosphate tribasic, Ca3(PO4)2) 5.0g/L, Agar 20g/L, pH 6.8~7.0)의 정가운데에 살균한 paper disc를 올렸다. 1.5㎖ e-tube를 준비하고, 멸균수를 1㎖씩 분주하였다. 미리 streaking 한 R2-1의 single colony를 loop로 따서 상기 tube에 넣고 잘 풀리게 하였다. 이를 vortexing하고 준비된 paper disc에 40㎕씩 접종한 다음, 30℃에서 14일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에, R2-1 균주 주변에 Clear zone (halo zone) 형성 여부를 관찰하여 TCP 가용화 능력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 B. subtilis R2-1에는 인산가용화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표 11).
실시예 4-1-2. B. subtilis R2 - 1 의 키티나아제 생성능 조사
Minimal salt media(NH4Cl 1.0g/L, K2HPO4 4.0g/L, KH2PO4 1.5g/L, MgSO47H2O 0.5g/L, Trace metal solution A 5㎖, Yeast extract 0.05g/L, Bromocresol purple (BCP) 0.002g/L, N-free agar 18g/L, pH 6.8~7.0)에 상기 Minimal salt media 부피의 0.2%에 해당하는 양 (g)의 chitin을 넣고 멸균한 다음, 이 배지를 50x15mm petri dish에 분주하고 굳혔다(배지색깔 보라색). 상기 배지의 정가운데에 살균한 paper disc를 올렸다. 1.5㎖ e-tube를 준비하고, 멸균수를 1㎖씩 분주하였다. 미리 streaking 한 R2-1의 single colony를 loop로 따서 상기 tube에 넣고 잘 풀리게 하였다. 이를 vortexing하고 준비된 paper disc에 40㎕씩 접종한 다음, 28℃에서 7~10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색깔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는바, B. subtilis R2-1에는 식물 섬유질 구성성분 중 키틴을 분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표 11).
실시예 4-1-3. B. subtilis R2 - 1 의 질소 고정능 조사
plate에서 미리 키운 B. subtilis R2-1의 single colony를 따서 Nfb medium(Malic acid 5.0g/L, K2HPO4 0.6g/L, KH2PO4 0.4g/L, MnSO4 0.01g/L, MgSO4 0.05g/L, NaCl 0.02g/L, Na2MoO4 0.002g/L, Bromothymol blue (0.5% in alcohol) 2ml, Agar 1.75g/L, KOH 4.0g/L, pH 6.6~7.0) 배지의 2/3되는 깊이에 접종하였다. 그 결과, 접종된 B. subtilis R2-1이 질소를 암모니아로 바꾸면서 pH를 변화시켜 배지색이 초록색에서 파란색으로 변하고, 접종한 주변에 white band가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1).
실시예 4-1-4. B. subtilis R2 - 1 의 ACC(1- aminocyclopropane -1-carboxylate) deaminase 활성 조사
plate에서 미리 키운 B. subtilis R2-1의 single colony를 따서 DF minimal salts media(KH2PO4 4.0g/L, Na2HPO4 6.0g/L, MgSO47H2O 0.2g/L, Glucose 2.0g/L, Gluconic acid(Calcium gluconate대체 가능) 2.0g/L, Citric acid 2.0g/L, Trace metal solution (Sol.A)(H3BO3 10.0mg/100ml, MnSO4H2O 11.19mg/100ml, ZnSO47H2O 124.60mg/100ml, CuSO45H2O 78.22mg/100ml, MoO3 10.0mg/100ml, D.W 100ml) 0.1ml, Sol.B(FeSO47H2O 100mg/10ml, D.W 10ml) 0.1ml, Bacto Agar (N-free) 20g/L, ACC (30uM/plate), pH 7.2)에 3회 streaking한 다음, 28℃ 인큐베이터에서 3~4일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상기 배지에서 B. subtilis R2-1가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바, B. subtilis R2-1는 ACC deaminase activity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표 11).
미생물 P solubilization Chitinase production N2 Fixation ACC deaminase activity
R2-1 + - + +
실시예 4-2. Cellulase activity, Pectinase activity, Siderophore formation 및 IAA formation 분석
실시예 4-2-1. B. subtilis R2-1 의 셀룰라아제 및 펙티나아제 생성능 조사
Minimal salt media(NH4Cl 1.0g/L, K2HPO4 4.0g/L, KH2PO4 1.5g/L, MgSO47H2O 0.5g/L, Trace metal solution A 5㎖, Yeast extract 0.05g/L, Bromocresol purple (BCP) 0.002g/L, N-free agar 18g/L, pH 6.8~7.0)에 상기 Minimal salt media 부피의 0.2%에 해당하는 양 (g)의 셀룰로오스 또는 펙틴을 넣고 멸균한 다음, 이 배지를 50x15mm petri dish에 분주하고 굳혔다(배지색깔 보라색). 상기 배지의 정가운데에 살균한 paper disc를 올렸다. 1.5㎖ e-tube를 준비하고, 멸균수를 1㎖씩 분주하였다. 미리 streaking 한 R2-1의 single colony를 loop로 따서 상기 tube에 넣고 잘 풀리게 하였다. 이를 vortexing하고 준비된 paper disc에 40㎕씩 접종한 다음, 28℃에서 7~10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색깔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는바, B. subtilis R2-1은 식물 섬유질 구성성분 중 셀룰로오스 또는 펙틴을 분해할 수 있는 단백질을 분비함을 알 수 있었다(표 12).
실시예 4-2-2. B. subtilis R2-1 의 Siderophore 형성능 조사
Chrome azurol S (CAS) assay에 따라 B. subtilis R2-1 분비물질 중 Siderophore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Chrome azurol S 0.605g를 50㎖ D.W에 녹여 Chrome azurol S 용액을 준비하였다. 100㎖ D.W에 FeCl36H2O 0.27g를 넣고 1M HCl을 1㎖ 넣어서 최종 농도가 10mM이 되도록 하여 FeⅢ용액을 제조하였다. 40㎖ D.W에 Hexadecyltrimethyl ammonium bromide (HDTMA) 0.729g를 넣고 녹여 HDTMA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Chrome azurol S 용액에 상기 FeⅢ용액 10㎖을 넣고 stirrer로 섞고 이에 상기 HDTMA 용액 40㎖ 전부를 아주 조금씩 넣어가며 stirrer로 섞어 CAS indicator 용액을 제조하였다.
100㎖ basal agar medium (3-(N-morpholino)propane sulfonic acid (MOPS, 0.1M) 3g, NaCl 0.05g, KH2PO4 0.03g, NH4Cl (ammonium chloride) 0.01g, L-asparagine 0.05g, N-free agar 총 volume의 1.5%, D.W 100㎖) 용액과 상기 제조한 CAS indicator 용액 모두 50℃까지 식힌 다음, 충분히 식으면 Basal agar medium 100㎖에 CAS indicator 용액 10㎖을 거품이 생기지 않도록 플라스크 벽면 쪽으로 흘려 첨가하고 잘 섞이도록 약하게 stirring 하였다. 50x15mm petri dish에 stirring한 media를 분주하고, 멸균한 100㎖ TSA도 50x15mm petri dish에 분주한 다음, 배지를 모두 굳힌 뒤 petri dish 밑면 중앙에 네임펜으로 선을 긋고 잘 소독한 메스로 선을 따라 반씩 자른 다음 반쪽은 TSA, 나머지 반쪽은 CAS agar가 되도록 배지를 옮겼다.
상기 TSA 배지의 경계선에 paper disc를 놓고 1.5ml e-tube를 준비하여 여기에 멸균수를 1㎖씩 분주하였다. 미리 streaking 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의 single colony를 loop로 따서 상기 tube에 넣고 잘 풀리게 하여 vortexing한 다음 준비된 paper disc에 40㎕씩 접종하였다. 28℃에서 14일간 배양하였다. 14일 경과 후, CAS agar 배지가 파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 변한 부분을 버니어캘리퍼스 (vernier calipers)를 가지고 측정한 결과, 1.15cm 정도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의 분비물질 중 Siderophore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표 12).
실시예 4-2-3. B. subtilis R2 - 1 의 IAA 생성능 조사
비커에 증류수를 넣고 stirrer로 섞어주면서 시약을 넣었다. KH2PO4 4.0g/L, Na2HPO4 6.0g/L, MgSO47H2O 0.2g/L, Glucose 2.0g/L, Gluconic acid(Calcium gluconate대체 가능) 2.0g/L, Citric acid 2.0g/L, Trace metal solution (Sol.A)(H3BO3 10.0mg/100ml, MnSO4H2O 11.19mg/100ml, ZnSO47H2O 124.60mg/100ml, CuSO45H2O 78.22mg/100ml, MoO3 10.0mg/100ml, D.W 100ml) 0.1ml, Sol.B(FeSO47H2O 100mg/10ml, D.W 10ml) 0.1ml, 35% HClO4 (perchloric acid) 50ml, 및 0.5M FeCl3 1ml을 넣어서 녹여 준 후, pH를 7.2로 맞췄다. pH를 맞춘 뒤 맨 마지막에 (NH4)2SO4 2.0g/L를 넣고 녹인 다음, 5㎖씩 시험관에 분주한 뒤, 121℃에서 15분간 멸균하고 건조시킨 시험관에 filtering 한 10㎎/㎖ tryptophan을 50㎕ 넣어서 최종농도가 100㎍/㎖이 되도록 tryptophan 첨가배지를 만들었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의 single colony를 따서 상기 배지에 접종한 후, 암조건이 되도록 호일로 싸고, 30℃에서 14~20일간 진탕(shaking)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을 15㎖ falcon tube에 담아 8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 다음, 각각의 tube에 10mM orthophosphoric acid를 100㎕씩 넣었다. 이 tube에 상기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등액 2㎖을 넣고, Salkovasky reagent (35% HClO4 50㎖ + 0.5M FeCl3 1㎖) 4㎖을 넣은 다음 실내에서 25분간 두어, 핑크색이 발현되면 530nm에서 UV-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순수 IAA(Indole Acetic Acid)를 이용해 standard curve를 그려 그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배양액 ㎖당 들어있는 IAA의 양(㎍)을 표 12에 기재하였다.
미생물 Cellulase
production
Pectinase
production
Zone of siderophore
(cm)
IAA (ug/ml)
With
tryptophan
w/o tryptophan
R2-1 +++ +++ 1.15 14.54 8.07
실시예 4-3. 암모니아 탈취 효과
본 발명자들은 삼각플라스크 300ml에 물 90ml과 유기질 비료 A 10g을 혼합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수탁번호; KACC91542P)와 EM, 토착 미생물, 카우덩, 요구르트, 및 본 발명자들이 분리했던 다른 균주 G-9와 HN-19를 1%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여 28 ℃에서 배양하면서 7-28일 동안 악취발생 정도를 관능법에 따라 측정하고 연구원 5인의 관능판정단이 판단한 냄새등급을 도 6에 그래프로 정리하였다 (냄새등급: 악취도: 0=무취, 1=감지 취기, 2=보통 취기, 3=강한 취기, 4=극심한 취기, 5=참기 어려운 취기).
그 결과, 타 미생물에 비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의 암모니아 탈취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B. subtilis R2-1 식물 생장 촉진 효과
실시예 5-1. B. subtilis R2-1 처리가 종자발아 및 뿌리생장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수탁번호; KACC91542P)가 채소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를 Tryptic soy agar상에서 2일간 배양한 후 페트리디쉬(직경 9cm)당 멸균수를 10㎖씩 첨가하여 회수하고, 무 종자를 50립씩 2시간동안 침지하고 음건한 후 물에 적신 2장의 필터페이퍼가 깔린 페트리디쉬에 치상하고 24시간 후 종자발아정도를 조사하였다.
균주 무 종자발아율 및 뿌리생장
발아율(%) 뿌리길이
R2-1 96.0 47.3
무처리 92.0 41.7
그 결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을 처리한 경우에, 균주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무의 발아율 및 뿌리 길이가 증가하였는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가 무의 종자발아 및 생장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2. B. subtilis R2-1 처리가 상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수탁번호; KACC91542P)가 상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추 정식 20일후부터 7일 간격으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및 Pantoea ananatis B1-9(수탁번호; KACC91518P)를 3회에 걸쳐 주당 50㎖씩 토양관주처리하였다. 처리농도는 1.0~5.0×107cfu/㎖ 범위로 처리하였다.
처리 상추 생육(‘10, 온실검정 폿트)
주당엽수 생체중(g/엽)
R2-1 10.22±1.09 34.72±5.56
B1-9 9.33±1.65 28.79±6.46
무처리 8.44±1.33 22.58±5.73
그 결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처리한 경우에 어떠한 균주도 처리하지 않은 경우인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생체중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엽수가 증가하였고, Pantoea ananatis B1-9를 처리한 경우와 비교해 보아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가 상추 생장 촉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3. B. subtilis R2-1 처리가 고추 수량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자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수탁번호; KACC91542P)가 고추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Pantoea ananatis B1-9(수탁번호; KACC91518P) 및 B-42(수탁번호; KACC91543P)를 28℃에서 이틀간 배양한 후, PR대촌 고추 품종의 고추정식 후 8월 3일부터 15일 간격으로 4회에 걸쳐 주당 100㎖씩 토양관주처리하였다. 처리농도는 액체배양원액을 10배 희석하여 1.0~5.0×107cfu/㎖ 범위로 하였다.
처리별 PR대촌
무게(g)/주당 과수(개)/주당
R2-1 197.0 7.9
B-42 156.1 7.4
무처리 160.8 7.4
*총 4회 조사(8. 3, 8. 17, 9. 14, 9. 28) 값의 평균 값.
처리별 8월3일 8월17일 9월14일 9월28일
무게
(g)
과수
(개)
무게
(g)
과수
(개)
무게
(g)
과수
(개)
무게
(g)
과수
(개)
무게
(g)
과수
(개)
R2-1 122.6 3.8 437.0 13.1 116.5 7.3 111.8 7.3 787.9 31.5
B-42 137.6 4.5 260.4 10.3 139.2 8.6 87.2 6.2 499.1 29.6
무처리 71.7 3.3 367.4 12.6 123.5 7.9 80.3 5.6 642.9 29.4
그 결과,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는 물론이고 다른 균주를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도 상대적으로 고중량의 고추를 다량 수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1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총 고추의 무게 및 수확량을 비교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할수록 고추 수확량에 미치는 양성적 효과가 더욱 분명해짐을 알 수 있었다(도 7 참고).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1542 20100421

Claims (10)

  1.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수탁번호: KACC91542P) 또는 그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쌀 또는 보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생선아미노산액비: 휴믹산: 당밀의 조성비가 1(v/v): 8-12(v/v): 8-12(v/v) 또는 생선아미노산액비: 포도당: 당밀의 조성비가 1(v/v): 3-7(w/v) : 8-12(v/v)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당밀 1-3 중량%, 글루코오스 0.1-3 중량%, 및 소이톤(Soyton) 0.01-0.5 중량%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캐스터 빈 웨이스트(caster bean waste), 레이프 시드 웨이스트(rape seed waste), 라이스 브란(rice bran), 및 팜 웨이스트(palm waste)가 포함된 유기질 비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제제는 잘록병 병원균(Rhizoctonia solani), 고추 역병 병원균(Phytophthora capsici), 시들음병 병원균(Fusarium oxysporum) 및 고추 탄저병 병원균(Colletotrichum acutat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병원균 방제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제제는 식물 생장 촉진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가루병의 발병 원인은 고추 흰가루병 병원균(Leveillula taurica) 또는 토마토 흰가루병 병원균(Erysiphe cichoracearum)으로 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
  9.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R2-1 (수탁번호: KACC91542P) 또는 그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식물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흰가루병의 발병 원인은 고추 흰가루병 병원균(Leveillula taurica) 또는 토마토 흰가루병 병원균(Erysiphe cichoracearum)으로 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077891A 2011-08-04 2011-08-0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r2-1 균주를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129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91A KR101293640B1 (ko) 2011-08-04 2011-08-0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r2-1 균주를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91A KR101293640B1 (ko) 2011-08-04 2011-08-0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r2-1 균주를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726A KR20130015726A (ko) 2013-02-14
KR101293640B1 true KR101293640B1 (ko) 2013-08-07

Family

ID=4789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891A KR101293640B1 (ko) 2011-08-04 2011-08-0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r2-1 균주를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62A (ko) * 2020-11-11 2022-05-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천연유황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잔류 농약 분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793B1 (ko) * 2014-08-08 2016-09-06 주식회사 이엠생명과학연구원 토양 개선 및 환경 정화용 질소 고정력을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k418 균주 및 이의 배양 방법
KR102613142B1 (ko) * 2021-11-05 2023-12-13 농업회사법인(유)미스터풀씨 미생물을 이용한 식물재배용 영양액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0051A (en) 1997-05-09 2000-05-09 Agraquest, Inc. Strain of bacillu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and corn rootworm
KR100574346B1 (ko) 2003-11-11 2006-04-27 한국화학연구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072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0051A (en) 1997-05-09 2000-05-09 Agraquest, Inc. Strain of bacillu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and corn rootworm
KR100574346B1 (ko) 2003-11-11 2006-04-27 한국화학연구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072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62A (ko) * 2020-11-11 2022-05-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천연유황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잔류 농약 분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2601B1 (ko) * 2020-11-11 2022-08-1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천연유황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잔류 농약 분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726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8320B2 (en) Cell free supernatant composition of microbial culture for agricultural use
US9416061B2 (en) Use of synergistic microorganisms and nutrients to produce signals that facilitate the germination and plant root colonization of mycorrhizal fungi in phosphorus rich environments
ES2632152T3 (es) Cepas de Bradyrhizobium
RU2668832C2 (ru) Микробные штаммы,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увеличения доступного фосфата для растений
CN110734871B (zh) 一种解淀粉芽孢杆菌及其在农业生产中的应用
TW201428097A (zh) 具有抗真菌及抗細菌功效與促生活性之芽孢桿菌品種
CN110724648A (zh) 一种解淀粉芽孢杆菌菌株及其应用
KR101293640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r2-1 균주를 포함하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CN111466266B (zh) 一种促进水稻生长和促进水稻铁缺乏环境下铁元素吸收的方法
JP4630627B2 (ja) 植物種子発芽率向上剤
JP5057542B2 (ja) イネ科植物病害を防除するための生物資材または防除剤の製造方法
CN102586136B (zh) 一种提高植物抗病性及促进其生长的微生物菌剂
CN105145632B (zh) 一种具有多重效果的复合菌酶体系及其应用
WO2021112139A1 (ja) ヒヨコマメの根粒形成促進剤
CN114058542A (zh) 一种多粘类芽孢杆菌菌剂及其对胡萝卜根腐病的防治作用
KR100840747B1 (ko) 토양전염성 병해 방제용 서방형 미생물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1162A (ko) 신규한 항진균성 작물생육촉진 미생물 바실러스아밀로리퀴파시엔스 mj-3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상토
JP3991092B2 (ja) ジャガイモそうか病抑制剤とその利用
KR100470232B1 (ko) 미생물 전달매체 및 그를 포함하는 미생물농약의 제조방법
CN113227352A (zh) 用于利用益生元促进有用菌株的生长及植物病害防治的组合物及其用途
AU2015205819A1 (en) Bradyrhizobium strains
KR20050038662A (ko) 배추 무사마귀병 방제용 길항균 및 이를 이용한길항균제제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