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620B1 -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620B1
KR101292620B1 KR1020120043533A KR20120043533A KR101292620B1 KR 101292620 B1 KR101292620 B1 KR 101292620B1 KR 1020120043533 A KR1020120043533 A KR 1020120043533A KR 20120043533 A KR20120043533 A KR 20120043533A KR 101292620 B1 KR101292620 B1 KR 101292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oupling module
bag
coupled
upp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솔
Original Assignee
박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솔 filed Critical 박솔
Priority to KR102012004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 양단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상기 양단부 중 일 단부를 이루며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양단부 중 타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결합 모듈을 구비하는 상부띠; 및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대한 상기 제2 결합 모듈의 선회 상태에 따라 상기 상부띠와의 배치 관계에서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 놓이는 하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모듈은,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주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상부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몸체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제1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모듈은, 상기 샤프트에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는 선회연결부와, 상기 선회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띠와 결합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MULTI MODE BAG OF SWING TYPE AND SUSPENDERS ASSEMBLY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깨에 메는 어깨띠 및 그러한 어깨띠를 가지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의 종류에는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하는 손가방과, 한쪽 어깨, 또는 양쪽어깨에 걸어 맬 수 있는 어깨 걸이형 가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어깨 걸이형 가방에 대해서는 등록실용신안 제0392083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방을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어깨끈이라는 구성 덕분이다.
구체적으로, 어깨끈은 전체적으로 링과 같은 형태를 형성하며, 양단부 모두가 가방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어깨끈이 형성하는 링 내로, 사용자는 팔을 집어넣어서, 어깨끈이 어깨를 감싸도록 하여 가방을 어깨에 걸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가방 착용자가 뛰는 경우에 어깨끈이 벗겨져서 가방이 흘러내리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가방이 짐을 지는 도구로만 인식하게 하여, 패션 소품화하기 힘든 면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방을 메는 다양한 모드 간에 전환이 가능하면서도 모드 전환에 의해 착용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게 늘어나지 않도록 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 양단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상기 양단부 중 일 단부를 이루며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양단부 중 타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결합 모듈을 구비하는 상부띠; 및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대한 상기 제2 결합 모듈의 선회 상태에 따라 상기 상부띠와의 배치 관계에서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 놓이는 하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모듈은,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주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상부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몸체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제1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모듈은, 상기 샤프트에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는 선회연결부와, 상기 선회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띠와 결합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 모듈은 상기 상부띠의 주면을 관통하는 방향에 평행한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 모듈은, 상기 샤프트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판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하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 모듈은, 상기 하부띠의 몸체와 결합되는 제2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형상의 선회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은, 상기 상부판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하부판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상기 하부판을 지지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에는 걸림 볼이 삽입되어 걸리게 하는 걸림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띠를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연결하도록 상기 하부띠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 부재는, 일 단이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체결띠; 및 상기 체결띠의 타 단에 결합되는 제1 체결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띠는 상기 제1 체결피스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띠는, 상기 수납부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띠와, 상기 수납부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상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띠는, 상기 제1 상부띠에 연결되는 제1 하부띠와, 상기 제2 상부띠에연결되는 제2 하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수납부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띠는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하부띠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띠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하부띠는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상부띠와 상기 제2 상부띠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에서보다 가까운 간격으로 유지되게 하는 유지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지 유닛은, 상기 제1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는 제1 유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지띠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유지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띠는, 양단부를 구비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양단부 중 일 단부에는 상기 제2 결합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양단부 중 타 단부는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띠는, 상기 수납부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띠와, 상기 수납부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상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띠는, 상기 제1 상부띠에 연결되는 제1 하부띠와, 상기 제2 상부띠에연결되는 제2 하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는 제1 유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지띠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유지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는, 양단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양단부 중 일 단부를 이루며 가방의 수납부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몸체의 양단부 중 타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결합 모듈을 구비하는 상부띠; 및 양단부를 구비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 모듈과, 상기 제2 몸체의 양단부 중 타 단부를 이루며 상기 가방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하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모듈은,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주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상부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제1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모듈은, 상기 샤프트에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선회 되도록 형성되는 선회연결부와, 상기 선회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일 단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 모듈은, 상기 상부띠의 주면을 관통하는 방향에 평행한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띠는, 제1 상부띠와, 제2 상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띠는, 상기 제1 상부띠에 연결되는 제1 하부띠와, 상기 제2 상부띠에연결되는 제2 하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는 제1 유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지띠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유지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에 의하면, 착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여 하나의 가방이 다양한 착용 모드 간에 전환될 수 있게 한다.
위의 다양한 모드 간의 전환에 의해, 가방을 패션 소품으로 인식하게 하거나, 급히 뛸 때도 어깨에서 흘러내리지 않는 가방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통상적인 가방으로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모드 전환에도 불구하고, 착용자의 어깨에 대응하는 부분은 그 위치가 거의 변화하지 않아서, 어떤 모드에서 건 착용자의 어깨가 압박받는 정도가 크게 변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깨끈의 말려져서 착용자가 불편을 느끼는 일이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의 제1 모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의 제2 모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의 제3 모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결합모듈(133 및 153)의 구조를 보인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의 착용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의 제1 모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은, 수납부(110)와, 상부띠(130)와, 하부띠(150)와, 체결 부재(170)와, 유지 유닛(190)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10)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몸체이다. 본 도면에서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 착용자의 어깨와 등이 닿는 부분을 중심으로 수납부(110)를 보이고 있다.
상부띠(130)는 수납부(110)의 상부에 결합 되는 부분으로서,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대응하여, 제1 상부띠(131)와, 제2 상부띠(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상부띠(13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상부띠(131)는, 양단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131a, 도 4 참조)와, 상기 양단부 중 일 단부를 이루며 수납부(1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부(132)와, 상기 양단부 중 타 단부로에 설치되는 제1 결합 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모듈(133)의 구체적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하부띠(150)는 상부띠(13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1 상부띠(131)에 대응하는 제1 하부띠(151)와, 제2 상부띠(141)에 대응하는 제2 하부띠(1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하부띠(15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하부띠(151)는, 띠 형태의 몸체(152)와, 제1 결합 모듈(133)과 선회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몸체(152)에 설치되는 제2 결합 모듈(153)과, 제2 체결피스(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 모듈(153)은 제1 결합 모듈(133)에 대응하여, 몸체(152) 중에서 제1 결합 모듈(133)과 마주하는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모듈(153)과 제1 결합 모듈(133)은 상부띠(130) 또는 하부띠(150)의 주면(main surface)를 관통하는 방향에 평행한 선회축[도 4의 샤프트(133b)를 따르는 축(S) 참조]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회(swing)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결합 모듈(153) 및 제1 결합 모듈(133)은 섬유 재질인 몸체(152) 보다는 비중이 큰 재질,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피스(154)는 제1 하부띠(151)의 하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제1 하부띠(151)는 제1 상부띠(131)와 동일한 라인 상에 배치되며, 제2 하부띠(161)는 제2 상부띠(141)와 동일한 라인 상에 배치된다. 그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상부띠(131)의 중심축선(C1)과 제1 하부띠(151)의 중심축선(C2)은 동일한 라인을 따라 배열된다. 또한, 제1 하부띠(151)와 제2 하부띠(161)는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배열된다. 이하, 이러한 상태를 '제1 상태'라고 한다.
체결 부재(170)는 수납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부띠(15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체결 부재(170)와 하부띠(150)의 구체적 체결 구조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체결 부재(170)는, 수납부(110)에서 제1 상부띠(131) 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 부재(171)와, 제2 상부띠(141) 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 부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171)는, 수납부(110)에 연결되는 체결띠(172)와, 체결띠(172)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제1 체결피스(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175)는, 수납부(110)에 연결되는 체결띠(176)와, 체결띠(176)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제1 체결피스(1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피스(173 또는 177)는 대응하는 제2 체결피스(154 또는 164)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유지 유닛(190)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제1 상부띠(131)와 제2 상부띠(141)의 사이의 간격이 제2 상태(도 3 참조)보다 가깝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유지 유닛(190)은, 제1 상부띠(131)의 제1 결합 모듈(133)에 연결되는 제1 유지띠(191)와, 제2 상부띠(141)의 제1 결합 모듈(143)에 연결되며 또한 제1 유지띠(19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유지띠(1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더하여, 유지 유닛(190)은, 제1 하부띠(151)에 설치되는 자석(195)과, 제2 하부띠(161)에 자석(195)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금속편(19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부띠(130)와 하부띠(150)는 어깨띠 조립체라고 칭해질 수 있다. 이러한 어깨띠 조립체는, 추가적으로 체결 부재(170), 나아가 유지 유닛(190)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가방(100)에 의하면, 수납부(110)에 수납된 물건의 양이 적을 때, 사용자는 상부띠(130)와 하부띠(150) 만을 양쪽 어깨에 걸쳐서,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을 착용할 수 있다[제1 모드]. 이러한 제1 모드에 의하면,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은 물건의 단순한 수납 도구에서, 그러한 수납 기능을 가진 패션 아이템으로 달리 인식되고 그렇게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상부띠(130)와 하부띠(150)의 무께, 주로는 제1 결합 모듈(133)과 제2 결합 모듈(153)의 무게에 의해 균형[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이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된 상태에서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결합 모듈(133)과 제2 결합 모듈(153)은 앞서 말한 바대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모듈(133)과 제2 결합 모듈(153)이 약 300g이라면, 상기 어깨띠 조립체는 약 700g 정도의 무게를 가진다. 이때, 수납부(110)에는 대략 2~2.5KG의 물건이 수납되어도,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이 착용자의 어깨에 메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지 유닛(190)은 상기의 균형 유지에 추가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부띠(130)와 하부띠(150)는 상기 제1 상태로 배열되고, 하부띠(150)는 체결 부재(170)와 연결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 결합 모듈(133)은 제2 결합 모듈(153)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선회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상부띠(130) 또는 하부띠(150)의 주면(main surface)를 관통하는 방향에 평행한 선회축[도 4의 샤프트(133b) 참조]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상부띠(130)와 하부띠(150)의 관계가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은, 상기 제1 상태에서, 하부띠(150)가 체결 부재(170)와 연결됨에 따른 제2 모드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의 제2 모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띠(130)와 하부띠(150)가 제1 상태를 이루는 중에, 제1 하부띠(151)는 제2 체결 부재(175)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체결 부재(175)의 제1 체결피스(177)는 제1 하부띠(151)의 제2 체결피스(154)와 체결된다.
또한, 상부띠(130)와 하부띠(150)가 제1 상태를 이루는 중에, 제2 하부띠(161)는 제1 체결 부재(171)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 부재(171)의 제1 체결피스(173)는 제2 하부띠(161)의 제2 체결피스(164)와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X'자 형태의 가방끈이 형성되고, 이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의 제2 모드라 칭해질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도 상부띠(130)에 대해 하부띠(150)는 상기 제1 상태 그대로이다.
이러한 제2 모드에 의하면,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을 멘 사용자가 뛰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이 출렁거리거나 어깨띠가 어깨에서 흘러내리는 것에 대한 우려를 덜 수 있다.
이하, 상기 제2 상태에 따른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의 제3 모드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살펴 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의 제3 모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서의 제1 상태와 달리, 상부띠(130)와 하부띠(150)는 제2 상태에 놓여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대비하여, 하부띠(150)는 상부띠(130)에 대해 예각 범위 내에서 다소 선회된 상태이다. 이러한 선회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제1 결합 모듈(133)과 제2 결합 모듈(153)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상부띠(131)와 제2 상부띠(151) 사이의 각도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제1 상태이건 제2 상태이건 하부띠(150)가 착용자의 젖꼭지를 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이 주요한 고려사항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부띠(130)는 젖꼭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하부띠(150)는 양측 젖꼭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부띠(130)는 역시 젖꼭지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부띠(150)는 양측 젖꼭지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태에서는, 제1 하부띠(151)는 제1 체결 부재(171)에 체결되고, 제2 하부띠(161)는 제2 체결 부재(175)에 체결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에서, 어깨끈은 양측이 대략 서로 평행한 형태로 배열되는 제3 모드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 부재(171)의 제1 체결피스(173)는 제1 하부띠(151)의 제2 체결피스(154)와 체결된다. 또한, 제2 체결 부재(175)의 제1 체결피스(177)는 제2 하부띠(161)의 제2 체결피스(164)와 체결된다.
상기 제3 모드에 의하면,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은 통상적인 가방에서의 어깨끈의 배열과 유사한 형태의 어깨끈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제2 모드와 상기 제3 모드 간에 전환될 때, 상부띠(130)에 대해 하부띠(150)가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간에 전환(선회에 의한) 가능한 점은 착용자의 어깨을 덜 아프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간의 전환 시에, 상부띠(130)와 착용자의 어깨 사이의 관계는 거의 변함없이 유지된다. 따라서 상부띠(130)가 착용자의 어깨를 가장 편하게 하는 형태로 상부띠(130)를 설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간의 전환이 없다면[상부띠(130)와 하부띠(150)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띠라면], 상부띠(130)는 상기 제2 모드와 상기 제3 모드 간의 전환 시에 최적화된 일 모드에서는 착용자의 어깨를 덜 압박하나 다른 모드에서는 상기 일 모드에 최적화된 상부띠(130)가 비틀어지면서 착용자의 어깨를 더 압박하게 될 것이다.
이상의 제3 모드에 있어서, 제1 유지띠(191)와 제2 유지띠(192)가 서로 체결되게 한다면, 제1 하부띠(151)와 제2 하부띠(161)가 서로 교차하지는 않으면서도 상기 어깨띠 조립체가 대략적으로 'X'와 유사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제4 모드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의 (b)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하부띠(150)과 체결 부재(170) 간의 결합 관계를 바꾸어서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 대신에, 유지띠(191 및 192)를 이용하여 제2 모드와 유사한 제4 모드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에서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간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모듈(133 및 153)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결합모듈(133 및 153)의 구조를 보인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결합 모듈(133)은, 상부판(133a)과, 제1 연결체(133d)와, 하부판(133e)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판(133a)은 대체로 원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판(133a)의 주면(main surface)의 중앙에는 샤프트(133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133b)는 대체로 실린더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133b)는 선회축(S)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상부판(133a)의 가장자리 둘레영역에는 샤프트(133b)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측벽(133h)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133h)의 샤프트(133b)와 함께 하부판(133e)을 지지할 수 있다. 측벽(133h)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걸림 슬롯(133c)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슬롯(133c)의 폭이 넓은 부분에는 복수의 볼이 연결된 볼 스트링(C)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볼 스트링(C)의 일 부분은 제1 결합 모듈(133)의 걸림 슬롯(133c)에 걸리고 다른 부분은 제1 결합 모듈(143, 도 1 참조)의 걸림 슬롯에 걸림으로써, 제1 결합 모듈(133)과 제1 결합 모듈(143)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 슬롯(133c) 역시 유지 유닛(190, 도 1)의 한 형태로서 파악될 수도 있다.
제1 연결체(133d)는 상부판(133a)에 결합 된다. 이때, 제1 연결체(133d)는 상부판(133a)에 고정적인 방식,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체(133d)에는 제1 상부띠(131)의 제1 몸체(131a)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체(133d)는 일 측이 개방된 중공체로서, 제1 몸체(131a)의 단부는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제1 연결체(133d) 내에 삽입되어 제1 연결체(133d)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다.
하부판(133e)은 제1 연결체(133d)를 기준으로 상부판(133a)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하부판(133e) 역시 상부판(133a)에 대응하는 원판으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133e)은 상부판(133a)에 체결되며, 예를 들어 하부판(133e)의 중심의 개구부와 샤프트(133b)의 개구부를 관통하는 나사(133f)와, 나사(133f)의 자유단에 대응하여 상부판(133a)의 외측에 배치되는 너트(133g) 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 결합 모듈(153)은, 제2 연결체(153a)와, 선회연결부(15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체(153a)는 제1 하부띠(151)의 (제2) 몸체(152)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선회연결부(153b)는 제2 연결체(153a)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샤프트(133b)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선회연결부(153b)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의 중공 부분에 샤프트(133b)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연결체(153a)가 샤프트(133b)에 대해 상대 선회함에 의해, 제1 하부띠(151)는 제1 상부띠(131)에 대해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선회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상과 다른 형태의 가방(10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의 착용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100')은 앞선 실시예의 가방(100)과 대체로 동일하나, 어깨띠 조립체가 상부띠(130')와 하부띠(150')로만 구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서, 상부띠(130') 중 제1 상부띠(13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상부띠(131')는 수납부(1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제1 하부띠(151')는 수납부(110')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1 하부띠(151')는 수납부(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점에 있어서, 제1 하부띠(151')는 수납부(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157')(제2 연결부)를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상부띠(131')의 제1 결합 모듈(133')이 제1 하부띠(151')의 제2 결합 모듈(153')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점은 앞서와 동일하다. 다만, 제1 결합 모듈(133')과 제2 결합 모듈(153')은 앞선 실시예의 경우보다 아래로 내려와서, 대략 착용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 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의 (a)에 의하면, 상기 어깨띠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3 모드를 이루게 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유지띠(191')와 제2 유지띠(192')가 체결됨에 의해, 상기 어깨띠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X'자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모드는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도시 없이 설명한 제4 모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가방(100')은, 앞서 설명한 제1 모드(도 1 참조)와 제2 모드(도 2 참조)를 구현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나, 제3 모드와 제4 모드 간에 신속한 전환이 가능한 점에 특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가방(100')을 착용한 착용자가 평소에 제3 모드로 다니다가, 급히 뛸 필요가 있는 경우에 간단히 제1 유지띠(191')와 제2 유지띠(192')가 체결하여 제4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착용자는 가방이 흔들거리는 것에 대해 의식하지 않고서 뛸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어깨띠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X'자형을 이룸에 의해, 수납부(110')에 많은 양의 물건이 수납되었더라도 그에 들어가는 힘이 도 5의 (a)의 경우보다 적어진다. 또한, 상기 어깨띠 조립체가 'X'자형을 이룬다고 하더라도, 제1 결합 모듈(133') 및 제2 결합 모듈(153')에 의해 상부띠(130')와 하부띠(150') 간의 관계가 바뀌어서, 상부띠(130')나 하부띠(150')가 비틀려서 착용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이 없어진다.
제4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돌아가려고 하는 경우에는, 간단히 제1 유지띠(191')와 제2 유지띠(192')간의 체결을 해제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100':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110,110': 수납부
130,130': 상부띠 131,131': 제1 상부띠
132: (제1) 연결부 133,133': 제1 결합 모듈
133a: 상부판 133b: 샤프트
133d: 제1 연결체 133e: 하부판
141,141': 제2 상부띠 150,150': 하부띠
151,151': 제1 하부띠 152: 몸체
153,153': 제2 결합 모듈 153a: 제2 연결체
153b: 선회연결부 154: 제2 체결피스
157': 제2 연결부 161,161': 제2 하부띠
163,163'; 제2 결합 모듈 170: 체결 부재
171: 제1 체결 부재 175: 제2 체결 부재
190: 유지 유닛 191,191': 제1 유지띠
192,192': 제2 유지띠

Claims (17)

  1.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
    양단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상기 양단부 중 일 단부를 이루며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양단부 중 타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결합 모듈을 구비하는 상부띠; 및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대한 상기 제2 결합 모듈의 선회 상태에 따라 상기 상부띠와의 배치 관계에서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 놓이는 하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모듈은,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주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상부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몸체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제1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모듈은, 상기 샤프트에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는 선회연결부와, 상기 선회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띠와 결합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 멀티모드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모듈은 상기 상부띠의 주면을 관통하는 방향에 평행한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결합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모듈은,
    상기 샤프트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판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하부판을 더 포함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상기 상부판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하부판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상기 하부판을 지지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걸림 볼이 삽입되어 걸리게 하는 걸림 슬롯이 형성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띠를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연결하도록 상기 하부띠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일 단이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체결띠; 및
    상기 체결띠의 타 단에 결합되는 제1 체결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띠는, 상기 제1 체결피스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피스를 더 포함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띠는, 상기 수납부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띠와, 상기 수납부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상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띠는, 상기 제1 상부띠에 연결되는 제1 하부띠와, 상기 제2 상부띠에연결되는 제2 하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수납부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띠는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하부띠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띠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하부띠는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띠와 상기 제2 상부띠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에서보다 가까운 간격으로 유지되게 하는 유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유닛은,
    상기 제1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는 제1 유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지띠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유지띠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띠는, 양단부를 구비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양단부 중 일 단부에는 상기 제2 결합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양단부 중 타 단부는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띠는, 상기 수납부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상부띠와, 상기 수납부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상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띠는, 상기 제1 상부띠에 연결되는 제1 하부띠와, 상기 제2 상부띠에연결되는 제2 하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는 제1 유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지띠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유지띠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15. 양단부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양단부 중 일 단부를 이루며 가방의 수납부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몸체의 양단부 중 타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결합 모듈을 구비하는 상부띠; 및
    양단부를 구비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 모듈과, 상기 제2 몸체의 양단부 중 타 단부를 이루며 상기 가방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하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모듈은,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주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상부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제1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모듈은, 상기 샤프트에 선회 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선회 되도록 형성되는 선회연결부와, 상기 선회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몸체의 일 단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모듈은, 상기 상부띠의 주면을 관통하는 방향에 평행한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 모듈에 결합되는,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띠는, 제1 상부띠와, 제2 상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띠는, 상기 제1 상부띠에 연결되는 제1 하부띠와, 상기 제2 상부띠에연결되는 제2 하부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는 제1 유지띠; 및
    상기 제2 상부띠의 제1 결합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유지띠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유지띠를 포함하는,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
KR1020120043533A 2012-04-25 2012-04-25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 KR101292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533A KR101292620B1 (ko) 2012-04-25 2012-04-25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533A KR101292620B1 (ko) 2012-04-25 2012-04-25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620B1 true KR101292620B1 (ko) 2013-08-16

Family

ID=4921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533A KR101292620B1 (ko) 2012-04-25 2012-04-25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796B1 (ko) * 2013-10-16 2015-05-27 박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
KR102423665B1 (ko) * 2021-01-19 2022-07-20 최재호 밀착 조절기구를 구비한 백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0769A (en) 1996-09-04 1999-01-19 Seaquest, Inc. Combination buoyancy compensator and support for a diver's backpack with a swivel buckle and triangular holder
JP2000296019A (ja) 1999-04-13 2000-10-24 Creative Pool Trendscouting Gmbh リュックサック
KR200410039Y1 (ko) 2005-11-01 2006-03-03 범 석 허 버클용 멜빵 배낭
KR101132100B1 (ko) 2009-11-24 2012-04-04 백지숙 배낭의 가슴멜방용 버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0769A (en) 1996-09-04 1999-01-19 Seaquest, Inc. Combination buoyancy compensator and support for a diver's backpack with a swivel buckle and triangular holder
JP2000296019A (ja) 1999-04-13 2000-10-24 Creative Pool Trendscouting Gmbh リュックサック
KR200410039Y1 (ko) 2005-11-01 2006-03-03 범 석 허 버클용 멜빵 배낭
KR101132100B1 (ko) 2009-11-24 2012-04-04 백지숙 배낭의 가슴멜방용 버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796B1 (ko) * 2013-10-16 2015-05-27 박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
KR102423665B1 (ko) * 2021-01-19 2022-07-20 최재호 밀착 조절기구를 구비한 백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466B2 (en) Self stabilizing backpack
US8092087B2 (en) Bag with adjustable strap adapted to be carried on shoulders or back
US8231037B2 (en) Multi-mode strap apparatus for carrying bags
JP6205090B2 (ja) サックパックのチェストクリップ
US20080179364A1 (en) Resilient strap mounting for user-borne athletic packs
KR101292620B1 (ko) 스윙 타입 멀티 모드 가방 및 가방용 스윙 타입 어깨띠 조립체
JPH08117026A (ja) 背負い具用ひも及び背負い具
JP2015527164A (ja) 肩紐可変型鞄、それに使用される肩紐アセンブリ及び旋回連結型デバイス
JP4941857B2 (ja) 肩掛けと背負いの両方の機能を有するバッグ
US8544709B2 (en) Backpack with shoulder strap height adjustment unit
KR101293585B1 (ko) 멀티 모드 가방 및 멀티 모드 구현을 위한 어깨띠 조립체
US20040262358A1 (en) Bag with shoulder straps and waist/hip support member
KR101274311B1 (ko) 모듈식 배낭 시스템
US20030160079A1 (en) Pivoting shoulder strap for a backpack
KR101940703B1 (ko) 무게분산 및 착용자세 교정용 가방
KR100724546B1 (ko) 휴대용 카메라 벨트
KR101995342B1 (ko) 헬스케어 스트랩
KR20110124459A (ko)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JP4543288B2 (ja) 背負い鞄用背環
JP2012011154A (ja) 一眼レフカメラ・キャリヤー
JP3227355U (ja) ボールホルダー
JP2003174916A (ja) 肩ベルトおよび肩ベルト付き鞄
KR101471337B1 (ko) 기능성 가방
JP5284003B2 (ja) ランドセル用背負いベルト取付具
JP2002339112A (ja) 着衣型ベビーキャリ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