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459A -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 Google Patents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459A
KR20110124459A KR1020100043830A KR20100043830A KR20110124459A KR 20110124459 A KR20110124459 A KR 20110124459A KR 1020100043830 A KR1020100043830 A KR 1020100043830A KR 20100043830 A KR20100043830 A KR 20100043830A KR 20110124459 A KR20110124459 A KR 20110124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strap
fastening means
wear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5258B1 (ko
Inventor
김용준
강성덕
Original Assignee
임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일 filed Critical 임태일
Priority to KR102010004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25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4개 이상의 제1체결수단을 갖는 배낭 몸체; 및 상기 배낭 몸체의 멜빵용 끈이 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상기 제1체결수단과 체결되는 2개 이상의 제2체결수단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배낭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A Backpack Having Variable Positioning Strings}
본 발명은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는 배낭(예를 들어, 학생용 배낭이나 등산용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낭끈의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는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에 관한 것이다.
배낭은 손에 들고다니는 일반적인 가방과 달리, 한쪽 어깨나 양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짐을 넣어서 운반하는 도구로써 많이 이용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배낭의 여러 가지 형태(크게 2 가지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배낭들 중 하나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짐을 넣을 수 있는 배낭 몸체(210)와 착용자가 배낭 몸체(210)를 양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한 쌍의 배낭끈(또는 어깨끈, 2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배낭(200)은 짐이 수납된 배낭 몸체(210)를 2개의 배낭끈(220)으로 메고 다닐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배낭 몸체(210)에 비교적 많은 짐을 넣어도 충분히 메고 다닐 수 있고, 또한, 배낭 몸체(210)가 착용자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낭(200)은 항상 2개의 배낭끈(220)을 어깨에 메도록 설계된 형태이므로, 배낭 몸체(210)에 많은 짐을 수납되지 않아 하나의 배낭끈(220)만을 어깨에 메고 다닐 경우에는 배낭끈(220)이 어깨로부터 쉽게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배낭(200)은 어깨에 메지 않은 여분의 배낭끈(220)이 아래로 처지므로, 착용자의 이동 중에 여분의 배낭끈이 나뭇가지나 기타 다른 물체에 걸려 착용자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가방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교적 근래에 설계된 다른 하나(도 1의 (b)에 도시된 배낭(202)은 배낭 몸체(210)에 분리결합이 가능한 체결수단(230)을 갖는 하나의 배낭끈(220)을 구비한 형태이다. 이러한 배낭(202)은 배낭끈(220)을 착용자의 한쪽 어깨에서 반대쪽 허리방향으로 매는 방식이므로, 하나의 배낭끈(220)으로도 배낭 몸체(210)를 착용자의 신체(정확하게는 등)에 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른 형태의 배낭(202)은 배낭 몸체(210)가 하나의 배낭끈(220)에 의해서만 지탱되므로, 배낭 몸체(210)에 수납할 수 있는 물건의 양이나 수량이 일반적인 배낭(200)에 비해 매우 작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배낭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배낭끈의 위치와 수를 조절할 수 있는 배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4개 이상의 제1체결수단을 갖는 배낭 몸체; 및 상기 배낭 몸체의 멜빵용 끈이 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상기 제1체결수단과 체결되는 2개 이상의 제2체결수단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배낭끈을 포함하는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에 있어서, 상기 배낭끈이 직선 또는 곡선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또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수단들이 배낭 착용자의 등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배낭 몸체의 좌우 및 상하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술된 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에 있어서, 상기 배낭끈이 제1끈의 일단과 제2끈의 일단이 연결된 형태로 제작되고, 또한, 상기 배낭끈이, 3개의 상기 제1체결수단과 동시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끈의 일단(또는 상기 제2끈의 일단)과 상기 제1끈의 타 단 그리고 상기 제2끈의 타 단에 각각 설치되는 3개의 제2체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술된 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에 있어서, 상기 배낭 몸체가 5개 이상의 제1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체결수단들 중 적어도 2개가 상기 배낭 몸체의 한 지점에 함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낭끈의 착용위치를 착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배낭을 보다 안락하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낭끈의 수를 착용자의 사용목적이나 배낭 몸체에 수납되는 물건의 양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배낭을 여러 가지의 목적에 맞게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낭들에 있어서 배낭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의 분리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낭을 통해 가능한 배낭끈의 여러 가지 체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배낭 몸체를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의 분리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낭을 통해 가능한 배낭끈의 여러 가지 체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배낭 몸체를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배낭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배낭(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낭 몸체(10)와 배낭끈(20)을 포함한다.
배낭 몸체(10)는 착용자의 등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지며, 4개 이상(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제1체결수단들(30, 32, 34, 36)을 갖는다. 제1체결수단들 중 도면부호 30과 32의 제1체결수단은 배낭 몸체(10)의 상부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고, 도면부호 34와 36의 제1체결수단은 배낭 몸체(10)의 하부 모서리 부근에 설치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면부호 30과 32의 제1체결수단은, 배낭 몸체(10)의 배면(또는 윗면)에서, 착용자의 배낭(100) 착용 시 착용자의 양 어깨와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부호 34와 36의 제1체결수단은, 배낭 몸체(10)의 배면에서, 착용자의 배낭(100) 착용 시 착용자의 양 옆구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체결수단의 이러한 설치위치는 배낭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체결수단들(30, 32, 34, 36)은 이 분야에서 익히 알려진 체결수단들이 사용되며, 분리 및 결합 가능한 다른 결합수단으로도 변경이 가능하다.
배낭끈(20)은 배낭 몸체(10)의 멜빵끈으로 사용되는 부재이며, 양끝에 2개의 제2체결수단들(40, 42, 44, 46)을 갖는다. 제2체결수단들(40, 42, 44, 46)은 배낭 몸체(10)의 제1체결수단들(30, 32, 34, 36)과 짝을 이루며, 제1체결수단들(30, 32, 34, 36)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배낭끈(20)은 어깨받침(22) 및 끈 길이 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한다. 어깨받침(22)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충격흡수 부재(예를 들어 스폰지 등)로 이루어져, (다량의 물건이 수납된) 배낭(100)의 하중이 착용자의 어깨 전체에 걸쳐 넓게 분산시키는 구실을 한다. 그리고, 끈 길이 조절수단(50)은 착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배낭끈(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실을 한다. 배낭끈(20)에 있어서 끈 길이 조절수단(50)의 결합구조 및 이를 통한 끈 길이 조절방법은 통상의 배낭끈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끈 길이 조절수단(50)은 제1체결수단이나 제2체결수단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타 끈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른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배낭(100)은 착용자의 편의 따라 배낭끈(20)의 설치위치를 도 3에 도시된 예시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배낭형태는, 배낭 몸체(10)의 제1체결수단(30, 32, 34, 36)에 2개의 배낭끈(20)을 평행하게 설치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즉, 한 배낭끈(20)의 제2체결수단(40, 42)은 도면부호 30 및 36의 제1체결수단과 결합하고, 다른 배낭끈(20)의 제2체결수단(44, 46)은 도면부호 32 및 34의 제1체결수단과 결합한다(도 3의 (a) 참조).
그리고 다른 배낭형태(예를 들어 도 1의 (b)에 도시된 배낭형태)는 배낭 몸체(10)의 제1체결수단(32와 36 또는 30과 34)과 배낭끈(20)의 제2체결수단(40, 42)을 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도 3의 (b) 및 (c) 참조). 이러한 형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량의 짐을 배낭에 넣고 다닐 때 좋다.
아울러, 또 다른 배낭형태는 배낭 몸체(10)의 제1체결수단(30, 32, 34, 36)에 2개의 배낭끈(20)을 엇갈리게 설치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즉, 한 배낭끈(20)의 제2체결수단(40, 42)은 도면부호 30 및 34의 제1체결수단과 결합하고, 다른 배낭끈(20)의 제2체결수단(44, 46)은 도면부호 32 및 36의 제1체결수단과 결합한다(도 3의 (d) 참조). 이러한 형태는 무거운 짐을 흔들림 없이 메고 다닐 때 좋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배낭은 배낭끈(20)의 설치위치와 설치 수를 착용자의 용도에 맞게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착용자가 용도에 따라 복수의 배낭을 구비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배낭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특히, 착용자가 배낭(100)의 착용 중에도, 배낭(100)의 무게에 따라 배낭끈(20)의 설치위치와 설치 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제2실시형태)
제2실시형태의 배낭(102)은 일부 제1체결수단(34, 36)의 설치위치와 배낭끈(20)의 형태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구별된다. 참고로, 제2실시형태에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면부호 34와 36의 제1체결수단이 배낭 몸체(10)의 측면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낭끈(20)이 곡선형태로 제작된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도면부호 34와 36의 제1체결수단이 배낭 몸체(10)의 배면에 설치된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배낭(102)이 착용자의 체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제1체결수단(34, 36)을 배낭 몸체(10)의 배면에 설치하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즉, 배낭(102)이 착용자의 체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데도 불구하고, 제1체결수단(34, 36)을 배낭 몸체(10)의 배면에 설치하면, 제1체결수단(34, 36)이 착용자의 옆구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착용자의 도보 또는 이동 중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이러한 점을 해소하고자 제1체결수단(34, 36)을 배낭 몸체(10)의 측면에 설치한 것이다.
한편, 상부의 제1체결수단(30, 32)과 하부의 제1체결수단(34, 36)을 잇는 가상의 연장선이 직선이 아닌 구조에서 직선 형태의 배낭끈(20)을 사용하면, 배낭끈(20)이 착용자의 신체와 잘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곡선형태의 배낭끈(20)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배낭끈(20)은 착용자의 어깨로부터 평행하게 내려와 착용자의 양 옆구리 부근에서 하부의 제1체결수단(34, 36) 방향으로 휘어지는 형태인 것이 좋다. 이러한 형태의 배낭끈(20)은 착용자의 어깨로부터 잘 벗겨지지 않으므로, 다량의 물건을 수납하는 배낭에 사용하는데 좋다.
(제3실시형태)
제3실시형태의 배낭(104)은 제1체결수단들(30, 32, 34, 36)의 설치위치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형태들과 구별된다. 참고로, 제3실시형태에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산악용 또는 등산용 배낭과 같이 많은 양의 물건을 수납하는 배낭은 수납된 물건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처지기 쉽다. 이러한 배낭에서, 제1체결수단들(30, 32 , 34, 36)을 배낭 몸체(10)의 배면 또는 배면 부근에 설치하면, 배낭끈(20)에 의한 하중의 지탱이 착용자의 어깨로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배낭(104)이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1체결수단들(30, 32, 34, 36)을 배낭 몸체(10)의 윗면 및 측면에 설치하여, 배낭(106)에 다량의 물건이 수납된 상태에서도 배낭 몸체(10)가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하였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의 제1체결수단들(30, 32)을 배낭 몸체(10)의 윗면(경우에 따라 배면도 가능하다)에 설치하고, 하부의 제1체결수단들(34, 36)을 배낭 몸체(10)의 하부 측면에 설치하여, 배낭 몸체(10)가 배낭끈(20)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특히, 등)에 바싹 밀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산악용 또는 등산용 배낭에 적합하다.
(제4실시형태)
제4실시형태의 배낭(106)은 배낭끈(20)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형태들과 구별된다. 참고로, 제4실시형태에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3개의 제2체결수단(40, 42, 44)을 갖는 배낭끈(20)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배낭끈(20)은 2개의 배낭끈들(20, 예를 들어 곡선형태의 배낭끈과 직선형태의 배낭끈)이 연결되거나, 또는 1개의 배낭끈이 V자 형태로 접힌 형태이다(도 6의 (a) 참조). 그리고 제2체결수단(40, 42, 44)은 배낭끈(20)의 양끝과 꺾이는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제2체결수단(40, 42, 44)은 배낭 몸체(10)의 제1체결수단(32, 36, 34 또는 30, 34, 36)과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된 배낭(106)은 배낭 몸체(10)가 하나의 배낭끈(20)에 의해 착용자의 몸통과 허리에 고정되므로, 배낭(106)의 무게를 착용자의 신체에 효과적으로 배분시킬 수 있다.
(제5실시형태)
제5실시형태의 배낭(108)은 제1체결수단(34, 36)의 수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형태들과 구별된다. 참고로, 제5실시형태에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배낭 몸체(10)는 6개의 제1체결수단(30, 32, 34, 36, 37, 38)을 갖는다. 추가로 구성된 제1체결수단(37, 38)은 기존의 하부 제1체결수단(34, 36)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추가로 설치된 제1체결수단(37, 38)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어깨용 배낭끈(20) 외에 추가의 배낭끈(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추가된 배낭끈(20)은 배낭 몸체(10)를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는 구실을 하므로, 착용자의 도보 또는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배낭(108)을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2, 104, 106. 108 배낭
10 배낭 몸체
20 배낭끈 22 어깨받침
30, 32, 34, 36, 37, 38 제1체결수단
40, 42, 44, 46 제2체결수단
50 끈 길이 조절수단

Claims (5)

  1. 4개 이상의 제1체결수단을 갖는 배낭 몸체; 및
    상기 배낭 몸체의 멜빵용 끈이 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상기 제1체결수단과 체결되는 2개 이상의 제2체결수단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배낭끈을 포함하는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낭끈은 직선 또는 곡선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수단들은 배낭 착용자의 등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배낭 몸체의 좌우 및 상하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낭끈은 제1끈의 일단과 제2끈의 일단이 연결된 형태로 제작되며,
    또한, 상기 배낭끈은, 3개의 상기 제1체결수단과 동시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끈의 일단(또는 상기 제2끈의 일단)과 상기 제1끈의 타 단 그리고 상기 제2끈의 타 단에 각각 설치되는 3개의 제2체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낭 몸체는 5개 이상의 제1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체결수단들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배낭 몸체의 한 지점에 함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KR1020100043830A 2010-05-11 2010-05-11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KR10118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830A KR101185258B1 (ko) 2010-05-11 2010-05-11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830A KR101185258B1 (ko) 2010-05-11 2010-05-11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459A true KR20110124459A (ko) 2011-11-17
KR101185258B1 KR101185258B1 (ko) 2012-09-21

Family

ID=4539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830A KR101185258B1 (ko) 2010-05-11 2010-05-11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2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175A1 (de) 2011-11-25 2013-05-29 Hyundai Motor Co. Wärmetauscher für ein Fahrzeug
JP2021049250A (ja) * 2019-09-26 2021-04-01 寿行 金澤 リュックサ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6091A (ja) * 2006-08-04 2008-02-21 Raraya:Kk スクールバッ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175A1 (de) 2011-11-25 2013-05-29 Hyundai Motor Co. Wärmetauscher für ein Fahrzeug
JP2021049250A (ja) * 2019-09-26 2021-04-01 寿行 金澤 リュックサ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5258B1 (ko) 201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6177B2 (en) Compression system for backpack
US6634533B2 (en) Backpack hip belt with split pads and support bridge
US7431184B2 (en) Backpack having distributed-load shoulder strap system
US8464920B2 (en) Sack pack sternum clip
US8070030B2 (en) Backpack accessible from the user's front while wearing
JP3207032U (ja) ネックストラップ構造及びその補助具
US5497922A (en) Counter balance pockets with frame for backpacks
US8181834B1 (en) Backpack
CN102578784A (zh) 具有自动调整带的包
US9420871B2 (en) Modular backpack
US20160174691A1 (en) Backpack
US20190307232A1 (en) Carrying system
JP2020018822A (ja) 背負いかばん
US20060289587A1 (en) Ergonomically configured shoulder straps system
KR101185258B1 (ko) 배낭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배낭
US20180055198A1 (en) Modular bag
CN110678105B (zh) 用于背包的负荷调节系统
NO332793B1 (no) Baeremeis for ryggsekk
CN209694354U (zh) 一种自适应调节背带和减震的背包
DE60323358D1 (de) Rucksack mit besserer verteilung des rucksackgewichtes auf die schultern des trägers
KR101607657B1 (ko) 하중분산과 자세교정의 기능성 밴드 배낭
US20210100340A1 (en) Backpack having multiple connecting sites for shoulder straps
KR102186824B1 (ko) 스트랩의 폭 너비 조절이 가능한 가방용 멜빵끈
KR20090054768A (ko) 하중분산용 보조끈이 구비된 가방 또는 배낭
KR100972113B1 (ko)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