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517B1 - 레바형 배출캡 - Google Patents

레바형 배출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517B1
KR101292517B1 KR1020110012581A KR20110012581A KR101292517B1 KR 101292517 B1 KR101292517 B1 KR 101292517B1 KR 1020110012581 A KR1020110012581 A KR 1020110012581A KR 20110012581 A KR20110012581 A KR 20110012581A KR 101292517 B1 KR101292517 B1 KR 10129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tainer
discharge
content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774A (ko
Inventor
신복인
Original Assignee
신복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복인 filed Critical 신복인
Priority to KR102011001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5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tub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섬유유연제, 액체세제, 각종 기름 등의 액상 또는 설탕, 가루세제와 같은 미세 입자의 내용물을 담은 용기에서 내용물의 배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레버형 배출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인 용기의 구조와 달리, 용기배출구(12)가 내용물 밑단에 위치하고 용기 캡(13)을 열었을 때 내용물이 바로 배출되는 구조의 용기에서 내용물을 자중에 의해 배출될 때 용기에 조립된 레버형 배출캡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레버형 배출캡이 조립된다면 배출 편의성이 매우 편리하게 개선되나 내용물 배출 시 용기 내부에 수축이 발생되어 내용물의 배출은 어렵겠다. 따라서 용기의 내부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에어벤트(32)를 구비하고 내용물이 레버배출구(34)로 배출 시 배출에어벤트(32)를 통해 용기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용기 내부 수축을 없애주고 원활한 배출을 도울 수 있겠다.

Description

레바형 배출캡{The Discharge Cap of Vessel with Lever}
본 발명은 물, 섬유유연제, 액체세제, 각종 기름 등의 액상 또는 설탕, 가루세제와 같은 미세 입자의 내용물을 담은 용기의 배출 마개로 회전형 레버를 구비한 배출 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담은 용기는 용기 마개인 용기 캡(13)의 구조에 따라 배출 방식이 결정되며 용기 캡(13)을 열었을 경우 내용물이 바로 배출되지 않고, 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이 용기배출구(12)보다 높게 위치했을 때 내용물 자중에 의해 흘러내려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용기배출구(12)가 내용물 상단에 위치한 일반적인 구조에서도 용기 캡(13)을 분리하여 오픈하지 않고 용기를 기울여 개폐레버(31)만 회전하면 용이하게 내용물 배출이 가능하나 사용 편리성은 떨어지겠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용기배출구(12)가 내용물 상단이 아닌 내용물 보다 밑단에 위치한 구조로 용기 캡(13)을 열었을 때 내용물이 바로 배출되는 구조의 용기로써, 용기 캡(13)을 오픈하지 않고 개폐레버(31)를 회전 시켜 레버배출공(33과 노즐(20)의 배출 통공이 일치할 때 내용물이 레버배출구(34)에서 배출되도록 회전형 개폐레버(31)를 구비한 레버형 배출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용기라 함은 블로우 몰딩 방식의 모든 플라스틱 블로우용기(10)와 비닐 팩을 압착해서 만든 리필용 비닐용기(11), 그 외에 내용물 담은 용기와 그 용기를 마개로 밀봉하는 모든 용기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용기와 그 마개는 밀봉되어 있는 용기 속의 내용물을 배출할 때 그 내용물의 용도 및 점도와 같은 특징, 사용 편리성에 따라 용기의 종류와 마개의 배출 방식을 결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물, 각종 음료수 등의 내용물 배출을 위한 용기 캡(13)은 나사체결 방식의 체결구조를 사용하나 내용물의 종류와 배출방식에 따라 원터치 캡, 푸쉬-풀 캡, 회전식 레버 캡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겠다. 본 발명은 이 중 회전식 레버를 구비한 레버형 배출캡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일반적인 용기에 사용하지 않고 물과 같이 내용물의 점도가 낮고 배출을 위한 토출력을 갖는 구조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면 자바라물통과 같이 물통에 주름이 있어 접히는 구조에서 물통을 접어 누르며 내부에 압력을 가하면 내용물이 레버배출구(34)를 통해 토출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마개로 밀봉되는 용기의 경우, 내용물 배출 시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면서 용기 내부에 수축이 발생되므로 원활한 배출을 위해서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용기배출구(12)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동시에 삽입되어야 배출이 용이하겠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점도가 있는 내용물의 경우 용기배출구(12)에서 내용물 배출과 공기 주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레버형 배출캡 구조의 적용은 더욱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내용물 배출의 어려움과 그 외 부품 수에 의한 재료비 상승 등 기존 레버형 배출캡은 여러 가지 단점이 있어 보편적인 사용은 어려움이 많았다.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 시 이러한 레버형 배출캡 적용의 단점을 개선하고 편리한 사용을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담은 용기에서 레버형 배출캡의 적용은 용기를 눌러 접으면서 내용물의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자바라물통이나 수도꼭지와 같이 펌프의 작동으로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구조에서 사용이 용이하겠다. 본 발명은 이러한 토출력이 발생되는 조건에서는 당연히 사용이 가능하므로 내용물 배출 시 용기 내부에 수축이 발생하고 내용물이 자중에 의해 배출되는 불리한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이와 같은 용기의 예를 들면, 정수기의 물통과 같이 내용물을 담은 용기에서 용기배출구(12)의 위치가 내용물 밑단에 위치하여 용기 캡(13)을 열면 내용물이 용기배출구(12)를 통해 바로 배출되는 구조가 있겠다. 또 다른 예는 정량 계량이 가능한 내부용기(40) 구조를 장착한 용기에서 내부용기(40)에 내용물을 계량한 후 배출할 때 용기배출구(12)가 내용물 밑단에 위치하여 용기 캡(13)을 열면 내용물이 바로 배출되는 구조가 있겠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나사형 배출캡 구조는 용기 캡(13)을 돌려 풀면 바로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나 레바형 배출캡을 적용하면 사용 편리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일반적인 용기 구조와 같이 용기의 내부에 배출을 위한 토출 구조가 없고 단지 내용물 자중에 의해 배출된다면 내용물 배출 시 용기 내부에 수축이 발생하여 배출 시간이 많이 걸리며 내용물이 액체세제, 기름 등 점도가 있는 경우 더욱 불리하겠다. 이러한 용기 내부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버배출구(34)로 내용물 배출과 동시에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 내부 수축을 방지해야 원활한 배출이 되겠다. 따라서 레바형 배출캡을 적용한 용기의 내용물 배출 시 내부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에어벤트 홀이 설치되어야 내용물 배출이 용이하겠으나 용기에 에어벤트 설치 시 별도의 마개를 사용하거나 보관, 운반 중 내용물의 누액 발생, 에어벤트 마개 개폐를 위한 사용상 불편함과 주의가 필요하여 매우 비효율적이라 하겠다. 또한 점도가 있는 제품의 경우 레버형 배출캡 구조의 적용은 더욱 어려울 것이므로 용기가 아닌 다른 부품에 배출에어벤트(32)를 구비하여 레버배출구(34) 로 내용물 배출 시 별도의 배출에어벤트(32) 구멍으로 용기 내부에 공기를 주입해 내부 수축을 방지하여야 용이하겠다.
종래의 레버형 배출캡 구조는 용기 캡(13)과 노즐(20), 레버몸체(30)가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체결되었으나 용기 캡(13)과 노즐(20)을 일체형으로 성형 구성하여 부품 삭제에 의한 재료비 절감과 효율적인 조립으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겠으며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 유통 시 가장 큰 문제인 캡(13)과 노즐의 결합부의 누액에 대한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겠다.
또한 개폐레버(31) 작동 시 노즐(20)과 레버몸체(30)가 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분리되거나 레버배출공(33)을 막아 내용물 배출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노즐(20)과 레버몸체(30)의 축 방향 분리를 방지하고 일률적인 개폐레버(31)의 작동을 확보하기 위해 고정 구조를 구비하여야 하겠다.
종래에는 개폐레버(31)를 돌려 레버배출공(33)을 열거나 닫을 때, 개폐레버(31)가 용기 캡(13)에 간섭되어 멈출 때까지 끝까지 젖혀야 했으므로 개폐레버(31)의 회전각이 커서 작동 시 불편하고 개폐회전각 조절이 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레버형 배출캡을 적용한 용기에서 내용물 배출 시 단점인 용기 내부 수축을 방지하여 내용물 배출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개폐레버(31) 동작 시 노즐(20)과 레버몸체(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개폐레버(31)의 회전각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하기 위한 발명이라 하겠다.
일반적으로 레버형 배출캡을 적용하면 배출을 위한 개폐 사용 편리성이 좋아지지만 내용물 배출 시 용기 내부에 수축이 발생하여 배출이 용이하지 않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 내용물이 레버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되면서 동시에 용기 내부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가 주입되어야 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용기 내부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배출에어벤트(32) 구조가 필요하며 용기보다는 레버형 배출캡에 설치하는 것이 재료비와 유지관리비, 편리한 사용성에서 보다 효율적이라 하겠다. 또한 용이한 내용물 배출을 위해 레버배출구(34)의 구조 보다 효율적인 배출리브(35)와 같은 배출 구조가 필요하겠다. 배출리브(35)의 역할은 내용물이 리브를 타고 흘러 내려 보다 원활한 내용물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내용물의 배출 통공을 넓게 확보해 주는 역할을 하겠다.
종래의 레버형 배출캡에서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개폐레버(31)의 회전 시, 개폐레버(31)가 축 방향으로 움직이며 빠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노즐(20)과 레버몸체(30)에 유동 방지를 위한 고정 홈(22)과 고정 돌기(36)를 구비하여 조립함으로써 개폐레버(31) 작동 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해 주는 기능을 하겠다. 고정 홈(22)은 노즐(20)에 구성하며 고정 돌기(36)는 레버몸체(30)에 구성되는 것이 성형 사출 구조에 용이하겠으나 역으로 구성되는 것도 동일한 기능을 하겠다.
종래의 구조에서 개폐레버(31)를 돌려 레버배출공(33) 개폐 시 개폐레버(31)가 용기 캡(13)에 간섭되어 멈출 때까지 돌아가 개폐 회전각이 매우 크거나 조절이 불가능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 홈(22)과 고정 돌기(36)에 스토퍼를 구성함으로써 개폐회전각을 조절하여 적절하고 편리한 개폐를 할 수 있겠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용기 캡(13)을 열었을 때 내용물이 자중에 의해 바로 배출되는 구조의 용기에서, 레바형 배출캡을 적용할 때 내용물이 보다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배출에어벤트(32)와 배출리브(35) 구조를 구비하여 배출을 위한 시간과 노력을 줄여줄 수 있겠다. 특히 액체세제, 기름과 같이 점도가 있는 내용물의 경우 더욱 효과가 크겠다.
고정 홈(22)과 고정 돌기(36)의 구성은 개폐레버(31) 동작 시 축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개폐 동작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레버몸체(30)의 이탈에 의한 레바배출공(33)이 겹쳐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배출구 조건을 최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겠다.
또한 고정 홈(22)과 고정 돌기(36)에 구성된 스토퍼는 레버의 회전각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개폐회전각을 줄여 줌으로써 개폐레버(31) 조작을 보다 편리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레버형 배출캡의 사용 편리성을 높여 줄 수 있겠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으로 구조의 용기로 용기배출구(12)가 용기 상단에 위치하고 용기 캡(13)이 나사 방식으로 체결된 블로우용기(10)의 부분단면도 및 용기 캡(13) 상세도.
도 2는 종래의 자바라물통에 적용된 레버형 배출캡으로 용기 캡(13)과 노즐(20), 레버몸체(30)가 별개의 다른 부품으로 구성된 블로우용기(10)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로 정량 계량이 가능하도록 내부용기(40) 구조가 구비되고 레버형 배출캡이 조립된 블로우용기(10)의 부분단면도 및 상세도
도 4는 도 3의 레버형 배출캡에서 노즐(20)과 레버몸체(30)의 평면도 및 고정 홈(22)과 고정 돌기(36)의 단면도.
도 5는 레버형 배출캡에서 레버몸체(30)의 레버배출공(33) 구조를 배출리브(35)로 구조로 변경 적용된 레버형 배출캡의 단면도와 밑면도.
도 6은 용기배출구(12)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압착지지대에 비닐이 압착되어 정량 계량이 가능하도록 내부용기(40) 구조가 구비되고 레버형 배출캡이 조립된 압착형 비닐용기(11)의 부분단면도.
도 7은 용기배출구(12)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내부용기(40)를 고정하도록 비닐이 압착되어 정량 계량 가능한 내부용기(40) 구조가 구비되고 레버형 배출캡이 조립된 용기형 비닐용기(11)의 부분단면도.
도 8은 개폐레버(31)가 용기배출구(12)와 수직방향으로 구성된 것과는 달리 수평방향으로 구성된 레버형 배출캡의 부분단면도.
내용물을 담은 용기에 있어서, 용기배출구(12)가 내용물 밑단에 위치하고 정량 계량 가능한 내부용기(40)에 내용물을 계량한 후 별도의 배출을 위한 토출력 없이 계량된 내용물을 자중에 의해 배출할 때 레버형 배출캡의 적용은 매우 불리 하겠다. 또한 액체세제, 기름 등과 같이 점도가 있는 경우는 더욱 불리할 것이므로 배출에어벤트(32) 또는 배출리브(35) 등의 구조는 원활한 내용물 배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겠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내부용기(40) 구조를 구비하고 정량을 계량할 필요가 있는 구조의 용기에 적용된 레버형 배출캡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로우용기(10)로 용기배출구(12)가 용기 상단에 위치하고 용기 캡(13)이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어 용기 캡(13)을 오픈 하여도 내용물이 배출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이 용기배출구(12)보다 높게 위치하면 자중에 의해 배출된다. 시장의 대부분 내용물을 담는 용기는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으며 용기와 내용물의 특성과 사용 편리성을 위해 여러 형태의 배출을 위한 배출캡을 적용할 수 있겠다.
도 2는 종래의 자바라물통에 적용된 레버형 배출캡으로 자바라물통의 주름을 눌러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켜 내용물을 레버배출구(34)로 토출시킨다. 따라서 내용물이 배출되면서 물통 내부에 수축이 발생되지 않고 레버배출구(34)로 내용물 배출과 동시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도 되므로 레버형 배출캡의 사용이 용이하겠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바라물통에 적용된 레버형 배출캡은 용기 캡(13)과 노즐(20), 레버몸체(30)가 별개의 다른 부품으로 조립된 구조를 하고 있으며 노즐(20)과 레버몸체(30)를 고정하는 구조가 없어 개폐레버(31)를 회전시키면 축 방향으로 레버몸체(30)가 움직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개폐레버(31)의 회전 시 회전각을 조절하는 구조가 없어 용기 캡(13)과 간섭될 때까지 개폐레버(31)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용기 캡(13)을 열면 내용물이 바로 배출되도록 용기배출구(12)가 내용물 밑단에 구성되고 정량 계량 가능한 내부용기(40) 구조가 함께 구비된 블로우용기(10)에 조립된 레버형 배출캡의 적용 예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레버형 배출캡이 조립되면 배출 편의성이 매우 편리하게 개선되나 내용물 배출 시 용기 내부에 수축이 발생 되고 내용물 배출과 내부로 공기 유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배출 시간이 길고 기름 또는 액체세제와 같이 점도가 있는 내용물의 배출은 더욱 어렵겠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배출에어벤트(32)를 레버배출구(34) 다른 부분에 설치해 내용물이 레버배출구(34)로 배출 시 별도의 배출에어벤트(32)를 통해 용기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용기 내부 수축을 없애주고 원활한 배출을 도울 수 있겠다.
배출에어벤트(32)의 위치는 용기에 구비할 수도 있으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배출구와 마개를 사용해야하므로 매우 비효율적이겠다. 따라서 배출에어벤트(32)의 위치는 내용물이 레버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될 때 별도로 용기배출구(12)를 통해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위치하고 배출되는 내용물이 배출에어벤트(32)를 막거나 유출되지 않는 위치가 바람직하겠다. 즉, 배출에어벤트(32)가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의 위치나 그 아래 위치한다면, 내용물 배출시 배출에어벤트(32)가 내용물에 막히거나 더 나가 누액이 되는 문제가 발생해 그 기능을 할 수가 없겠다. 또한 배출에어벤트(32) 위치가 노즐(20)부에 위치하면 누액뿐만 아니라 레버의 개폐에 따라 배출에어벤트(32)의 위치 맞춰져야 그 기능을 하겠다.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피하고 레버의 개폐에 구속되지 않기 위해 도 3, 도 4, 도 5 등과 같이 배출에어벤트(32)의 위치는 레버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누액과 간섭을 피하는 바람직한 구조이겠다.
배출에어벤트(32)의 형상과 크기는 내용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결정되겠다.
용기 캡(13)과 노즐(2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노즐플렌지(21)가 필요없는 캡과노즐 일체형 유닛의 노즐에 레버몸체(30)를 끼워 조립한 후 캡을 용기에 체결한 도 3은 용기의 내용물 배출을 위해 개폐레버(31) 동작 시 노즐(20)과 레버 몸체(30)의 축 방향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노즐(20) 내측에 고정 홈(22)과 레버 몸체(30)에 고정 돌기(36) 구조를 구비하여 항상 일정한 동작성을 유지할 수 있겠다. 또한 개폐레버(31)의 회전을 조절하는 스토퍼 구조를 고정 홈(22)과 고정 돌기(36)에 구비하여 레버배출공(33)이 필용한 만큼만 개폐되도록 개폐레버(31)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편리한 사용을 할 수 있겠다. 본 도면에서는 노즐(20) 부분에 고정 홈(22)과 노즐스토퍼A(23), 노즐스토퍼B(24)를 구비하고 레버몸체(30)에 고정 돌기(36)와 레버스토퍼A(37), 레버스토퍼B(38)를 구비하여 개폐레버(31) 개폐할 때 노즐스토퍼A(23)와 레버스토퍼A(37), 노즐스토퍼B(24)와 레버스토퍼B(38)가 각각 맞닿아 스토퍼 역할을 하겠다. 스토퍼의 구조는 이와 반대로 노즐(20) 부분에 고정 돌기와 레버몸체(30)에 고정 홈이 구비된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노즐(20)과 레버몸체(30)의 평면도 및 고정 홈(22)과 고정 돌기(36) 부분의 단면도를 두어 도 3의 레버형 배출캡 구조의 이해를 돕고 있다. 개폐레버(31)를 작동하면 노즐(20) 부분의 고정 홈(22)에 노즐스토퍼A(23), 노즐스토퍼B(24)와 레버몸체(30)의 고정 돌기(36)에 레버스토퍼A(37), 레버스토퍼A(38)가 서로 맞닥치며 레버형 배출캡의 개폐가 이루어지겠다.
도 5는 레버몸체(30)의 레버배출공(33)이 삭제되고 구조가 배출리브(35)로 변경되어 적용된 구조로 내용물이 노즐(20)의 배출 통공을 통해 흘러나와 레버배출구(34)로 이동 시 배출리브(35)를 타고 흘러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동성을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레버배출구(34)의 면적을 넓혀 배출 유동성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하겠다. 또한 내용물이 액상인 경우와 달리 설탕, 가루세제 등 미세 입자로 이루어진 경우 레버배출공(33)의 구조 보다는 넓은 통공을 이룬 배출리브(35) 구조가 보다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겠다. 본 도면은 1개의 배출리브(35)로 구성되어있으나 구조에 따라 2개 이상의 배출리브(35)가 구성될 수 있겠다.
도 6은 도 3의 블로우용기(10)와 동일한 내부용기(40) 구조를 구비한 비닐용기(11)로 용기배출구(12)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압착지지대에 비닐이 압착되어 정량 계량 가능하도록 내부용기(40) 구조가 구비되고 레버형 배출캡이 조립된 압착형 비닐용기(11)의 도시이다.
도 7은 도 3의 블로우용기(10)와 동일한 내부용기(40) 구조를 구비한 비닐용기(11)로 용기배출구(12)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내부용기(40)를 고정하도록 비닐이 압착되어 정량 계량 가능한 내부용기(40) 구조가 구비되고 레버형 배출캡이 조립된 용기형 비닐용기(11)의 도시이다.
도 8은 도 3의 레버몸체(30)가 용기배출구(12)와 수직으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수평한 축으로 이루어져 조립된 수평 레버형 배출캡 구조의 예이다. 수직 구조의 레버형 배출캡과 다른 구성은 레버배출구(34)가 노즐배출구(25)로 변경되어 구성된 부분과 레버몸체(30)가 수평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외 배출에어벤트(32), 고정 홈(22), 고정 돌기(36) 등 모든 구성 요소는 도 3과 동일하겠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응용 예는 위에 설명한 내용에 한하지 아니하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응용할 수 있는 구조는 모두 포함하겠다.
내용물을 담은 용기에 있어서, 용기배출구(12)가 내용물 밑단에 위치하고 정량 계량이 가능한 내부용기(40)에 내용물을 계량한 후 별도의 배출을 위한 토출력 없이 계량된 내용물을 자중에 의해 배출하는 레버형 배출캡의 적용은 아직 시장에 출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용기가 출시된다면 매우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겠다.
또한 내용물 배출 시 용기 내부의 수축은 액체세제, 기름 등과 같이 점도가 있는 경우는 더욱 불리할 것이므로 원활한 내용물 배출을 위해 배출에어벤트(32) 또는 배출리브(35) 등의 구조를 구비한 레버형 배출캡은 반드시 필요하며 매우 편리한 배출 사용성을 소비자에게 제공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유용한 발명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레버형 배출캡을 적용한 용기의 구조에서도 보다 편리한 배출과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 또한 당연하겠다.
*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로우용기, 11 : 비닐용기, 12 : 용기배출구, 13 : 용기 캡
20 : 노즐, 21 : 노즐플렌지, 22 : 고정 홈, 23 : 노즐스토퍼A,
24 : 노즐스토퍼B, 25 : 노즐배출구
30 : 레버몸체, 31 : 개폐레버, 32 : 배출에어벤트, 33 : 레버배출공,
34 : 레버배출구, 35 : 배출리브, 36 : 고정 돌기, 37 : 레버스토퍼A,
38 : 레버스토퍼B
40 : 내부용기

Claims (3)

  1. 내용물을 포함한 용기의 배출을 위한 레버형 배출캡 구조에 있어서,
    레버몸체(30)가 삽입되는 노즐(20)이 레버몸체(30)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구성되는 구조;
    내용물이 레버배출구(34)로 부터 배출 시 용기 내부의 수축 방지하는 별도의 배출에어벤트(32) 통공을 구비하고, 내용물 배출시 배출에어벤트(32)가 막히거나, 내용물이 누액되지 않도록 노즐(20)과 독립된 레버몸체(30)의 상단에 구성하는 구조;
    배출에어밴트(32)가 한개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된 구조;
    내용물을 포함한 용기의 배출을 위해 개폐레버(31) 동작 시,
    노즐(20)과 레버몸체(30)가 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홈(22)과 고정 돌기(36)가 구비된 구조;
    개폐레버(31)가 레버배출공(33)의 개폐에 맞추어 회전이 멈출 수 있도록 고정 홈(22)과 고정 돌기(36)에 배출 개폐각을 조절하는 노즐스토퍼A, 노즐스토퍼B, 레버스토퍼A, 레버스토퍼B가 각각 함께 구성된 회전 스토퍼 구조
    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배출캡.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액상뿐만 아니라 설탕, 가루세제의 미세 입자로 구성된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레버몸체(30)의 레버배출공(33) 구조가 배출리브(35)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레버배출구(34)의 면적을 넓히고, 배출시 유동성을 높여 내용물이 리브를 타고 원활히 배출되도록 배출리브(35) 구조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배출캡.

  3. 삭제
KR1020110012581A 2011-02-12 2011-02-12 레바형 배출캡 KR101292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581A KR101292517B1 (ko) 2011-02-12 2011-02-12 레바형 배출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581A KR101292517B1 (ko) 2011-02-12 2011-02-12 레바형 배출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774A KR20120092774A (ko) 2012-08-22
KR101292517B1 true KR101292517B1 (ko) 2013-08-01

Family

ID=4688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581A KR101292517B1 (ko) 2011-02-12 2011-02-12 레바형 배출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5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676A (ja) * 1995-04-11 1996-10-29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注出栓
JP2005126079A (ja) * 2003-10-21 2005-05-19 Shigeru Yamana 開閉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676A (ja) * 1995-04-11 1996-10-29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注出栓
JP2005126079A (ja) * 2003-10-21 2005-05-19 Shigeru Yamana 開閉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774A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541Y1 (ko)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KR200473968Y1 (ko)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JP5412062B2 (ja) キャップ
US8376195B2 (en) Plastic closure for dispensing thixotropic fluids
KR20210079088A (ko) 이중 용기
KR101292517B1 (ko) 레바형 배출캡
US5704590A (en) Drain valve for bladder-type bulk container
KR200426428Y1 (ko)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JP6552205B2 (ja) 泡噴出容器
KR102386630B1 (ko) 이종물질 혼합용기의 리필 장치 및 누름 버튼
KR101761482B1 (ko) 브러쉬가 내장된 리버스 퓨전 콤팩트 용기
JP2016069023A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JP6776594B2 (ja) 注出機構付きキャップ及びこれを備えた容器
KR102206002B1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101056644B1 (ko) 믹싱용기
JP2020528034A (ja) 標準カプセルを備えた容器クロージャ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KR200488752Y1 (ko) 액체용기의 정량배출뚜껑
JP6632801B2 (ja) 小出し可能な複合液出しキャップ
JP2020083451A (ja) 混合容器
JP6226221B2 (ja) 注出ノズル
JP6137996B2 (ja) スクイズ式計量容器
KR200495074Y1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JP7239385B2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