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972B1 - 안테나 - Google Patents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972B1
KR101290972B1 KR1020110088317A KR20110088317A KR101290972B1 KR 101290972 B1 KR101290972 B1 KR 101290972B1 KR 1020110088317 A KR1020110088317 A KR 1020110088317A KR 20110088317 A KR20110088317 A KR 20110088317A KR 101290972 B1 KR101290972 B1 KR 10129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s
rod
coupling
bushing spr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1306A (ko
Inventor
이호선
주현철
Original Assignee
주현철
이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철, 이호선 filed Critical 주현철
Publication of KR2012007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14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무선통신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안테나가 개시된다. 상기 안테나는 일예를 들면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로드들이 다단으로 신축되어 전파를 수신하며, 직경이 가장 큰 로드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들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들의 결합부에 상단부는 고정되고 하단부는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부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로드들에 고정된 부싱 스프링이 흔들리거나 상기 부싱 스프링이 로드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구성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비용 및 조립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MB, PMP, 네비게이션, 핸드폰, 태블릿 PC 등의 무선통신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채용되어 특정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안테나로는 로드 안테나, 헬리컬 안테나, 다중공진 안테나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사용 주파수대역에 따라 안테나 장치의 길이와 구조가 달라진다.
상기 헬리컬 안테나는 로드 안테나 보다 차지하는 공간은 적으나 미약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로드 안테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헬리컬 안테나보다 더 미약한 신호도 수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그 길이가 확보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로드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로드들이 다단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데, 내부의 직경이 작은 로드는 외부의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로드로부터 이탈되지 않아야 함과 동시에 직경이 작은 내부의 로드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어야 함으로써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로드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에는 원통 형상의 부싱 스프링이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로드 안테나는 상기 부싱 스프링을 로드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부싱 스프링 이외에 별도의 결합부재가 적어도 하나이상 필요하게 됨으로써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결합부재들에 소요되는 비용으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로드 안테나는 부싱 스프링이 설치되는 로드들의 하부 끝단부를 확관시켜 상기 확관부가 부싱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싱 스프링이 로드들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로드 안테나는 상기 부싱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확관부가 로드 안테나의 하단부를 확장시켜 형성됨에 따라 그 두께가 매우 얇아 외부로부터 상기 부싱 스프링에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질 시 그 형태가 매우 쉽게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기 부싱 스프링의 하단부가 제대로 지지되지 않아 로드부의 신축시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로드가 흔들리면서 슬라이딩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일반적인 안테나는 상기 확관부의 형태가 매우 쉽게 변형됨에 따라 상기 부싱 스프링이 로드들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로드들이 분리되는 현상까지도 됨으로써 고장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로드들에 고정된 부싱 스프링이 흔들리거나 상기 부싱 스프링이 로드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비용 및 조립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테나는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로드들이 다단으로 신축되어 전파를 수신하며, 직경이 가장 큰 로드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들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들의 결합부에 상단부는 고정되고 하단부는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외측에 위치한 로드의 상부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 로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부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 스프링은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드들의 결합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개의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탄성적으로 요철 형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로드들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로드들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후 로드의 반경 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절곡되어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은 고정 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는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로드들이 다단으로 신축되어 전파를 수신하며, 직경이 가장 큰 로드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들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들의 결합부에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로드들의 외주면 하단부에 결합되어, 외측에 위치한 로드의 상부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 로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부싱 스프링; 및 상기 부싱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부싱 스프링이 로드들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부싱 스프링이 결합된 로드들의 외주면 하부 끝단부에 체결된 후 상기 로드들과 함께 롤링 가공되어 상기 로드들의 외주면 하부 끝단부에 고정되는 스토퍼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싱 스프링은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드들의 결합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 1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탄성적으로 요철 형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로드들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로드들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는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로드들이 다단으로 신축되어 전파를 수신하는 로드부; 상기 로드들 중 직경이 가장 큰 로드를 제외한 로드들의 외주면 하부에 체결되어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부싱 스프링; 상기 부싱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로드들을 따라 부싱 스프링이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부싱 스프링이 체결된 로드들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링; 및 상기 부싱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부싱 스프링이 로드들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부싱 스프링이 결합된 로드들의 외주면 하부 끝단부에 체결된 후 상기 로드들과 함께 롤링 가공되어 상기 로드들의 외주면 하부 끝단부에 고정되는 스토퍼 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로드들에 부싱 스프링이 매우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과도한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부싱 스프링이 흔들리거나 로드들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로드부의 신축 시 로드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로드들이 서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고장 발생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부싱 스프링을 로드들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테나의 구성부품 수를 줄여 제조비용의 감소 및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부싱 스프링을 로드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부싱 스프링이 로드에 결합된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이 로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이 로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이 로드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이 로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로드부(110) 및 부싱 스프링(120)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부(110)는 막대 형상의 로드들이 전파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파는 사용되는 무선통신기기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파의 주파수는 170MHz 내지 770MHz가 될 수 있다. 상기 로드부(110)는 내부가 빈 막대 형상을 가진 다수의 로드들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로드부(110)는 제 1 로드(111), 제 2 로드(112), 제 3 로드(113)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로드(111)는 원통형이나, 삼각기둥이나 사각기둥과 같은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로드(111)의 소재로는 휘어짐이 자유롭지 않은 비탄성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로드(112)는 상기 제 1 로드(111)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로드(112)의 직경은 상기 제 1 로드(11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로드(112)는 상기 제 1 로드(111)의 내부 및 외부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1 로드(111)로부터 신축될 수 있다. 상기 제 2 로드(112)가 상기 제 1 로드(111)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로드(112)는 상기 제 1 로드(111)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로드(112)의 소재는 제 1 로드(111)의 소재와 동일하게 휘어짐이 자유롭지 않은 비탄성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로드(111)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 2 로드(112)의 하단부에는 결합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2a)는 제 2 로드(112)의 외주면에 홈 형태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 2 로드(112)에 다수개의 홀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로드(113)는 상기 제 2 로드(112)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로드(113)의 직경은 상기 제 2 로드(11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로드(113)는 상기 제 2 로드(112)의 내부 및 외부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2 로드(112)로부터 신축될 수 있다. 상기 제 3 로드(113)는 상기 제 2 로드(112)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로드(11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로드(113)는 제 1 로드(111) 및 제 2 로드(112)의 소재와 달리 휘어짐이 자유로운 도전성 탄성소재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로드(113)의 소재는 피아노선, 와이어 케이블, 니켈-티타늄 합금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3 로드(113)는 외력에 의해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로드(112)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 3 로드(113)의 하단부에는 결합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3a)는 제 3 로드(113)의 외주면에 홈 형태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3 로드(113)에 다수개의 홀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로드부(110)는 제 1 로드(111), 제 2 로드(112), 제 3 로드(113)를 포함하여 3단식으로 신축 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로드부(110)는 4단 이상의 다단식 로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직경이 가장 큰 제 1 로드(111)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들에는 상기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110)는 직경이 가장 작은 로드를 제외한 로드들의 상단부에는 축관부(114)가 형성되어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된 로드들이 외측에 위치한 로드의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부싱 스프링을 로드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부싱 스프링(120)은 몸체부(121), 다수개의 제 1 결합부재(122) 및 다수개의 제 2 결합부재(12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21)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된 로드들(112)(113)의 외측에 위치한 로드(제 2 로드(112)에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될 경우에는 제 1 로드(111) 방향, 제 3 로드(113)에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될 경우에는 제 2 로드(112) 방향)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121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121a)는 몸체부(121)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개부(121b)에 의해 구분되는 것으로서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된 로드(112)(113)의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된 로드(112)(113)의 외측에 위치한 로드의 내주면과 탄성적으로 면 접촉되어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된 로드(112)(113)의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21)는 금속 판재를 중공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중공 원통 형상으로 성형된 금속 판재의 마주하는 면은 부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금속 판재의 마주하는 면을 부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다수개의 제 1 결합부재(122)는 상기 몸체부(121)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되 로드들(112)(113)에 형성된 결합부(112a)(113a)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112a)(113a)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제 1 결합부재(122)는 결합부(112a)(113a) 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2a)(113a)가 형성된 로드들(112)(113)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결합할 시 상기 결합부(112a)(113a)가 형성된 로드들(112)(113)에 의해 탄성적으로 확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부싱 스프링(120)을 결합부(112a)(113a)가 형성된 로드들(112)(113)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제 1 결합부재(122)가 결합부(112a)(113a)에 다다르게 되면 상기 로드들(112)(113)에 의해 탄성적으로 확장된 제 1 결합부재(122)가 원상 복원되어 결합부(112a)(113a)에 요철 형태로 탄성적으로 결합(결합부(112a)(113a)가 홈 형태로 형성될 경우)되거나 삽입되어 결합(결합부(112a)(113a)가 홀 형태로 형성될 경우)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개의 제 2 결합부재(123)는 상기 몸체부(12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12a)(113a)가 형성된 로드들(112)(113)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절곡된다. 즉 상기 제 2 결합부재(1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들(112)(113)에 형성된 결합부(112a)(113a)에 부싱 스프링(120)의 제 1 결합부재(122)를 결합한 다음, 결합부(112a)(113a)가 형성된 로드들(112)(113)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치공구를 사용하여 절곡함으로써 결합부(112a)(113a)가 형성된 로드들(112)(113)에 의해 지지되어 부싱 스프링(120)이 로드들(112)(113)을 따라 상승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 2 결합부재(1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되는 로드들(112)(113)의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되는 로드들(112)(113)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부싱 스프링이 로드에 결합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결합부재(123)는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되는 로드들(112)(113)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절곡되거나,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되는 로드들(112)(113)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절곡되어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되는 로드들(112)(113)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100)는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로드(111)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들(112)(113)에 결합부(112a)(113a)를 형성하고 상기 부싱 스프링(120) 자체에 상기 결합부(112a)(113a)에 고정되어 부싱 스프링(120)이 로드(112)(113)를 따라 하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 1 결합부재(1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2a)(113a)가 형성된 로드들(112)(113)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부싱 스프링(120)이 로드를 따라 상승되지 않도록 하는 제 2 결합부재(123) 또한 부싱 스프링(120) 자체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부싱 스프링(120)을 로드들(112)(113)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부싱 스프링(120)을 로드들(112)(113)에 매우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100)는 외부로부터 과도한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부싱 스프링(120)이 흔들리거나 상기 로드들(112)(113)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로드부(110)의 신축 시 슬라이딩 되는 로드들(112)(113)이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로드들(111)(112)(113)이 서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장 발생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100)는 부싱 스프링(120)을 로드들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 부품의 감소로 인하여 제조비용의 감소는 물론 조립공수까지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2>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이 로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는 부싱 스프링의 일부 내용과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드들의 일부 내용을 제외하면, 제 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와 동일하므로, 상기 부싱 스프링과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드들의 일부 내용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겠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112a)(113a)가 형성되는 로드들(112)(113)에는 고정 홀(112b)(113b)이 더 포함되며, 상기 부싱 스프링(120)의 제 2 결합부재(123)에는 상기 결합부(112a)(113a)가 형성되는 로드들(112)(113)에 형성된 고정 홀(112b)(113b)에 삽입되는 고정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홀(112b)(113b)은 결합부(112a)(113a)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로드들(112)(113)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4)는 제 2 결합부재(123)에 연장되어 절곡 형성된다.
상기 부싱 스프링(120)의 제 2 결합부재(123)에 연장 형성되어 절곡된 고정부(124)는 치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123)를 결합부(112a)(113a)가 형성된 로드들(112)(113)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절곡하게 되면 결합부(112a)(113a)가 형성되는 로드들(112)(113)에 형성된 고정 홀(112b)(113b)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부싱 스프링(12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3>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이 로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이 로드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는 부싱 스프링(120)의 일부 내용과 스토퍼 링(130)이 추가되는 구성을 제외하면, 제 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100)와 동일하므로, 상기 부싱 스프링(120)의 일부 내용과 스토퍼 링(130)에 대한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겠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120)에서는 제 2 결합부재(123 : 도 2 참조)가 생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120)은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121a)를 포함하는 몸체부(121)와, 상기 몸체부(1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드들(112)(113)의 결합부(112a)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 1 결합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는 부싱 스프링(120)에서 제 2 결합부가 생략됨으로써 상기 부싱 스프링(120)이 로드들(112)(113)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부싱 스프링(12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 링(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 링(130)은 상기 부싱 스프링(120)이 결합된 로드들(112)(113)의 외주면 하부 끝단부에 체결된 후 상기 로드들(112)(113)과 함께 롤링 가공됨으로써 상기 로드들(112)(113)의 외주면 하부 끝단부에 고정된다. 즉, 상기 로드들(112)(113)의 외주면에 체결된 스토퍼 링(130)을 상기 로드들(112)(113)과 함께 롤링 가공을 함으로써 상기 롤링 가공에 의해서 스토퍼 링(13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30a)가 상기 로드들(112)(113)의 외측에 형성된 홈부(130b)에 요철 형태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부싱 스프링(120)을 견고히 지지함으로써 상기 부싱 스프링(120)이 로드들(112)(113)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는 상기 부싱 스프링(120)의 제 1 결합부재(122)가 로드들(112)(113)의 결합부(112a)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부싱 스프링(120)의 하단부가 롤링 가공에 의해 로드들(112)(113)의 하부 끝단부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된 스토퍼 링(13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그리하여 외부로부터 안테나에 과도한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부싱 스프링(120)이 흔들리거나 상기 로드들로부터 부싱 스프링(120)이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로드부의 신축 시 슬라이딩 되는 로드들(112)(113)이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로드들(111)(112)(113)이 서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장 발생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4>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이 로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는 부싱 스프링(120)의 일부 내용과 지지 링(140)이 추가되는 구성을 제외하면, 제 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와 동일하므로, 상기 부싱 스프링(120)의 일부 내용과 지지 링(140)에 대한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겠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120)에서는 제 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120)에서 제 1 결합부재(122)가 생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부싱 스프링(120)은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121a)를 포함하는 몸체부(121)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의 로드부는 로드들(112)(113)에 형성된 결합부(122a : 도 6 참조)가 생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는 상기 부싱 스프링(120)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부싱 스프링(120)이 로드들(112)(113)을 따라 로드들(112)(113)의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들(112)(113)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링(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안테나 (110) : 로드부
(111) : 제 1 로드 (112) : 제 2 로드
(113) : 제 3 로드 (112a)(113a) : 결합부
(112b)(113b) : 고정 홀 (114) : 축관부
(120) : 부싱 스프링 (121) : 몸체부
(121a) : 탄성부 (121b) : 절개부
(122) : 제 1 결합부재 (123) : 제 2 결합부재
(124) : 고정부 (130) : 스토퍼 링
(140) : 지지 링

Claims (13)

  1.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로드들이 다단으로 신축되어 전파를 수신하며, 직경이 가장 큰 로드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들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들의 결합부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하단부는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로드들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외측에 위치한 로드의 상부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 로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부싱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부싱 스프링은,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드들의 결합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개의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안테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탄성적으로 요철 형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로드들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로드들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후 로드의 반경 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절곡되어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로드들은 고정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9.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로드들이 다단으로 신축되어 전파를 수신하며, 직경이 가장 큰 로드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들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들의 결합부에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로드들의 외주면 하단부에 결합되어, 외측에 위치한 로드의 상부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 로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부싱 스프링; 및
    상기 부싱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부싱 스프링이 로드들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부싱 스프링이 결합된 로드들의 외주면 하부 끝단부에 체결된 후 상기 로드들과 함께 롤링 가공되어 상기 로드들의 외주면 하부 끝단부에 고정되는 스토퍼 링을 포함하며,
    상기 부싱 스프링은,
    외측에 위치한 로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드들의 결합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 1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안테나.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탄성적으로 요철 형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로드들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로드들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13. 삭제
KR1020110088317A 2010-12-22 2011-09-01 안테나 KR101290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2036 2010-12-22
KR1020100132036 2010-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306A KR20120071306A (ko) 2012-07-02
KR101290972B1 true KR101290972B1 (ko) 2013-07-30

Family

ID=4670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317A KR101290972B1 (ko) 2010-12-22 2011-09-01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9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2434A (ko) * 2006-10-09 2008-04-15 우병호 다단 안테나
KR20090003140U (ko) * 2007-09-28 2009-04-01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신축가능한 다단안테나
KR20100110410A (ko) * 2009-04-03 2010-10-13 (주)동현테크노 단말기용 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2434A (ko) * 2006-10-09 2008-04-15 우병호 다단 안테나
KR20090003140U (ko) * 2007-09-28 2009-04-01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신축가능한 다단안테나
KR20100110410A (ko) * 2009-04-03 2010-10-13 (주)동현테크노 단말기용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306A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972B1 (ko) 안테나
KR101295607B1 (ko) 안테나
KR20090003140U (ko) 신축가능한 다단안테나
CN110993407B (zh) 按钮及钟表
KR101322185B1 (ko) 안테나
KR200468088Y1 (ko) 안테나
KR101125070B1 (ko) 안테나 장치
KR100829710B1 (ko) 다단 안테나
KR101108936B1 (ko) 안테나 장치
KR200440462Y1 (ko) 엠보싱 멈춤턱을 갖는 신축가능한 로드안테나
KR101323338B1 (ko) 돌출부가 구비된 스프링을 갖는 안테나
KR101194770B1 (ko) 안테나 장치
JP5532234B2 (ja) ホイップアンテナ
KR101142042B1 (ko) 신축가능한 헬리컬코일부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용다단안테나
KR200463268Y1 (ko) 안테나 장치
US20110239404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10971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멀티와이어 안테나
KR101311838B1 (ko) 안테나 장치
KR101352501B1 (ko) 돌출부가 구비된 스프링
US20090262487A1 (en) Shock-absorbing structure for absorbing shock of a display panel and related display device
JP2010258797A (ja) 伸縮アンテナ
KR200435895Y1 (ko) 신축가능한 로드안테나
KR20080026690A (ko) 신축가능한 로드안테나
KR200472739Y1 (ko) 안테나 조립체
KR20120001129U (ko) 다단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