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314B1 -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314B1
KR101290314B1 KR1020120034442A KR20120034442A KR101290314B1 KR 101290314 B1 KR101290314 B1 KR 101290314B1 KR 1020120034442 A KR1020120034442 A KR 1020120034442A KR 20120034442 A KR20120034442 A KR 20120034442A KR 101290314 B1 KR101290314 B1 KR 10129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upling
housing
housing body
coupl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섭
성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콘텍
Priority to KR102012003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레버의 작동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레버의 회전각을 손잡이 측 및 결합후크 측의 이중으로 제한하고 레버의 결합후크 결합시 걸림돌기와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레버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레버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은 각종 전자장치 및 전기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소켓 하우징과 걸림 결합되어 후방으로부터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케이블이 삽입되는 하우징 몸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양측에 돌설된 걸림돌기에 걸림결합되는 결합후크와 상기 결합후크의 일측에 연결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양측에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연결로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연결로드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탄성을 가지고 회전 및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레버의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는 작동홈 상단에 일정두께로 손잡이 스토퍼가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스토퍼와 엇갈려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후크의 외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측단으로부터 연결되는 결합후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턱과 직교하는 걸림직교면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후크의 결합턱과 직교하는 결합직교면에 일정깊이 함몰되어 유격홈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Plug housing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의 작동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레버의 회전각을 손잡이 측 및 결합후크 측의 이중으로 제한하고 레버의 결합후크 결합시 걸림돌기와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레버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레버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장치 및 전기장치에는 인쇄회로기판과 플렉시블 케이블, 동축 케이블(Micro coaxial cable) 등의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커넥터는 통상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소켓과 케이블에 결합되는 플러그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 중에서 소켓은 상기 플러그 터미널과 접속되는 소켓 터미널 및 상기 소켓 터미널이 결합되는 소켓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소켓 하우징은 인쇄회로기판의 일단에 구비된다.
또한, 커넥터 중에서 플러그는 케이블의 일단에 일정길이 노출된 내부도체가 접속되는 플러그 터미널 및 상기 플러그 터미널이 결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은 인쇄회로기판의 일단에 구비된 소켓 하우징과 결합되어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10)은 각종 전자 및 전기 장치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소켓 하우징(30)과 걸림 결합되는 것으로, 하우징 몸체(11)의 후방으로부터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케이블(C)이 삽입 연결된다.
이러한 플러그 하우징(10)은 하우징 몸체(11)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호 대향되어 레버(15)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15)는 상기 하우징 몸체(11)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연결로드(13)를 통하여 일면 중앙이 상기 하우징 몸체(11)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레버(15)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16)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13)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15)의 결합후크(17)가 일정각도 회전하며, 상기 손잡이(16)에 가중된 압력을 해지하게 되면 원위치로 복귀 회전하며, 이러한 결합후크(17)는 상기 소켓 하우징(30)의 양측에 돌설된 걸림돌기(37)에 걸림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버(15)의 손잡이(16)와 상기 하우징 몸체(11) 사이에는 상기 레버(15)가 상기 연결로드(13)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작동되는 작동홈(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6) 상면 상에는 일정면적만큼 하향 함몰되어 상기 레버(15)의 회전시 상기 손잡이(15)가 상기 하우징 몸체(11) 측으로 일정각도 회전 안내되는 유동홈(16a)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11)의 작동홈(12) 상단에는 상기 유동홈(16a)과 대응되어 일정 두께를 가지는 손잡이 스토퍼(11a)가 외향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홈(16a)에 의해 상기 레버(15)의 손잡이(16)가 상기 하우징 몸체(11) 측으로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은 상기 손잡이 스토퍼(11a)에 의해 일정각도로 제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10)은 상기 결합후크(17)가 상기 소켓 하우징(30)의 걸림돌기(37)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30)과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후크(17)와 걸림돌기(37)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결합후크(17)의 내향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턱(17a)이 상기 걸림돌기(37)의 걸림턱(37a)과 밀착되며, 상기 결합턱(17a)과 직교하는 결합직교면(17b)은 상기 걸림턱(37a)과 직교하는 걸림직교면(37b)과 밀착되어 상기 결합후크(17)와 걸림돌기(37)의 걸림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합후크(17)의 결합턱(17a) 및 결합직교면(17b)이 상기 걸림돌기(37)의 걸림턱(37a) 및 걸림직교면(37b)과 각각 밀착되어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결합후크(17)와 걸림돌기(37)의 걸림 결합은 상기 레버(15)의 손잡이(16)를 파지하여 가압 후, 가압을 해지하는 동작을 통하여 상기 레버(15)의 결합후크(17)가 회전 작동되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플러그 하우징(10)을 소켓 하우징(30)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10)은 결합후크(17)의 결합턱(17a) 및 결합턱(17a)과 직교하는 결합직교면(17b)이 소켓 하우징(3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7)의 걸림턱(37a) 및 걸림턱(37a)과 직교하는 걸림직교면(37b)에 대하여 모두 밀착 결합되므로, 플러그 하우징(10)과 소켓 하우징(30)의 결합 후 결합후크(17)와 걸림돌기(37) 간의 결합 걸림 부분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결합후크(17)의 결합턱(17a)과 걸림돌기(37)의 걸림턱(37a)뿐만 아니라 결합직교면(17b) 및 걸림직교면(37b)도 밀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소켓 하우징(30)의 결합 시 결합후크(17)와 걸림돌기(37) 간의 밀착 결합 부분에서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합후크(17)와 걸림돌기(37) 간의 간섭 발생에 따라 결합후크(17)가 일정각도 외향 벌어지는 등 레버(15)의 변형이 발생하며, 이러한 변형으로 인하여 결합후크(17)와 걸림돌기(37)의 결합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레버(15)의 손잡이(16)와 하우징 몸체(11) 사이에 형성된 작동홈(12)은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작동홈(12)에 이물질 끼임 현상이 발생하는 한편, 이물질 끼임에 의해 레버(15)의 작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합후크 외측에 레버의 회전각을 일정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결합후크 스토퍼가 형성되고 결합후크의 결합턱과 직교하는 결합직교면에 유격홈이 형성됨으로써 플러그 하우징의 결합후크와 소켓 하우징의 걸림돌기의 결합시 걸림 결합부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여 탄성 한계 및 간섭 등에 의한 레버의 변형을 다중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레버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몸체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연장편이 형성됨으로써 레버의 작동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레버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레버의 손잡이 단면적을 확장하여 레버의 강도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은 각종 전자장치 및 전기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소켓 하우징과 걸림 결합되어 후방으로부터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케이블이 삽입되는 하우징 몸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양측에 돌설된 걸림돌기에 걸림결합되는 결합후크와 상기 결합후크의 일측에 연결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양측에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연결로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연결로드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탄성을 가지고 회전 및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레버의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는 작동홈 상단에 일정두께로 손잡이 스토퍼가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스토퍼와 엇갈려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후크의 외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측단으로부터 연결되는 결합후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턱과 직교하는 걸림직교면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후크의 결합턱과 직교하는 결합직교면에 일정깊이 함몰되어 유격홈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작동홈에 이물질 끼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홈 하단에 상기 하우징 몸체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스토퍼와 대향되어 일정두께를 가지고 외향 연장되어 연장편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후크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측단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결합후크의 외향 회전각을 일정각도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일정두께를 가지고 외향 연장된 후 일정높이 상향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유격홈 일단과 상기 결합턱이 직교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결합턱 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기 결합턱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함몰되어 보조 유격홈이 더 형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합후크 외측에 레버의 회전각을 일정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결합후크 스토퍼가 형성되고 결합후크의 결합턱과 직교하는 결합직교면에 유격홈이 형성됨으로써 플러그 하우징의 결합후크와 소켓 하우징의 걸림돌기의 결합시 걸림 결합부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여 탄성 한계 및 간섭 등에 의한 레버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레버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둘째, 하우징 몸체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연장편이 형성됨으로써 레버의 작동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레버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레버의 손잡이 단면적을 확장 형성함으로써 레버의 강도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이 소켓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이 인쇄회로기판 일단에 구비된 소켓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이 소켓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이 인쇄회로기판 일단에 구비된 소켓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100)은 하우징 몸체(110), 결합후크(140)와 손잡이(150)로 구성되는 레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몸체(110)는 각종 전자장치 및 전기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소켓 하우징(300)과 걸림 결합되어 후방으로부터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케이블(C)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소켓 하우징(300)은 걸림 결합을 위하여 양측에 걸림돌기(340)가 외향 돌설되며, 상기 걸림돌기(340)는 걸림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방향 측 선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대하여 외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130)는 상기 소켓 하우징(300)의 걸림돌기(340)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후크(140)와 상기 결합후크(140)의 일측에 연결된 손잡이(15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버(130)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양측에서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연결로드(111)를 통하여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111)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 및 복귀되어 상기 결합후크(140)가 상기 걸림돌기(340)에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130)가 상기 연결로드(111)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 및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130)의 손잡이(150)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사이에는 작동홈(11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작동홈(115) 상단에는 일정두께로 상기 하우징 몸체(110)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손잡이 스토퍼(117)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50)는 상면에 상기 손잡이 스토퍼(117)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하향 함몰되어 상기 손잡이(150)의 상기 하우징 몸체(110) 측으로 회전시 상기 손잡이 스토퍼(117)가 일정길이 안내되는 유동홈(15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130)의 상기 손잡이(150) 측 및 상기 결합후크(140) 측의 양측에서 이중으로 상기 레버의 회전각도 범위가 안정적으로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후크(140)의 외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측단으로부터 결합후크 스토퍼(119)가 상기 손잡이 스토퍼(117)와 엇갈려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결합후크 스토퍼(119)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측단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결합후크(140)의 외향 회전각을 일정각도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일정두께를 가지고 외향 연장된 후에 일정높이 상향 절곡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손잡이 스토퍼(117)와 결합후크 스토퍼(119)가 상호 엇갈려 배치 구성됨으로써 상기 레버(130)의 손잡이(150) 측 및 결합후크(140) 측의 양측에서 이중으로 상기 레버(130)의 회전각도 범위를 안정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레버(130)의 탄성 한계에 따른 변형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후크(140)는 상기 소켓 하우징(300)의 양측에 돌설된 상기 걸림돌기(140)의 걸림턱(341)과 직교하는 걸림직교면(343)과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후크(140)의 결합턱(141)과 직교하는 결합직교면(143)에 일정깊이 함몰되어 유격홈(14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후크(140)는 상기 유격홈(145) 일단과 상기 결합턱(141)이 직교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결합턱(141) 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기 결합턱(141)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함몰되어 보조 유격홈(147)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유격홈(145) 및 보조 유격홈(147)이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플러그 하우징에서 결합후크와 걸림돌기가 걸림 결합 후 직교하여 밀착됨에 따라 상호 걸림 결합부에서 간섭이 발생하던 것과 달리, 상기 결합후크(140)가 상기 걸림돌기(340)에 걸림 결합시 걸림 결합부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후크(140)가 상기 걸림돌기(340)에 걸림 결합시 걸림 결합부에 대한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간섭에 따른 상기 레버(130)의 결합후크(140) 및 손잡이(150)에 대한 탄성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13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130)이 손잡이(150)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측단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작동홈(115)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양측 상단에 돌출 형성된 상기 손잡이 스토퍼(117)를 통하여 상측으로부터 외부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홈(115) 하부로부터 이물질이 끼는 것도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홈(115) 하단에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스토퍼(117)와 대향되어 일정두께를 가지고 외향 연장되어 연장편(1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연장편(113)을 통하여 상기 작동홈(115) 하부로부터 이물질이 끼는 것도 방지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손잡이 스토퍼(117) 및 연장편(113)을 통하여 상기 작동홈(115)의 상측 및 하측으로부터 이물질이 끼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하우징 몸체(110)의 양측에 구비된 레버(130)의 손잡이(150)를 파지하여 일정 하중이 전달되도록 가압한다.
이와 같은 상기 손잡이(150)의 가압을 통하여 상기 레버(130)의 결합후크(140)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외측으로 일정각도 회전된다.
이때, 상기 결합후크(140)가 소켓 하우징(300)의 걸림돌기(34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110) 전단을 상기 소켓 하우징(300) 후단과 밀착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레버(130)의 손잡이(150)에 가중된 압력을 해지하여 상기 결합후크(140)가 상기 걸림돌기(340)와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결합후크(140)가 상기 걸림돌기(340)에 안정적으로 걸림 결합되며, 결합 후에도 상기 결합후크(140)의 결합턱(141)과 결합직교면(143)이 상기 걸림돌기(340)의 걸림턱(341)과 걸림직교면(343)과 각각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유격홈(145) 및 보조 유격홈(147)을 통하여 상호 직교하는 걸림 결합부가 일정길이 면 접촉이 되지 않게 되어 상기 결합후크(140)와 걸림돌기(340)의 걸림 결합시 상호 밀착됨에 따른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후크(140)와 걸림돌기(340)의 걸림 결합시 상기 결합턱(141)의 일정길이에 대하여서만 밀착됨에 따라 걸림 결합부의 간섭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간섭으로 인한 레버(130)의 결합후크(140) 및 손잡이(150)에 대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걸림 결합부의 간섭 발생은 종래의 플러그 하우징에서 직교하여 밀착되는 부분이 모두 밀착됨에 따라 결합후크가 원위치로 복귀되지 못하고 일정각도 외향 회전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레버, 특히 결합후크가 외향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100)은 유격홈(145) 및 보조 유격홈(147)이 형성됨으로써 종래에 발생하던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레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100)은 결합후크(140) 외측에 레버(130)의 회전각을 일정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결합후크 스토퍼(119)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후크(140)의 결합턱(141)과 직교하는 결합직교면(143)에 유격홈(145)이 형성됨으로써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100)의 결합후크(140)와 소켓 하우징(300)의 걸림돌기(340)의 결합시 걸림 결합부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여 탄성 한계 및 간섭 등에 의한 레버(130)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레버(13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후크(140)의 조립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110) 양측 상단에 손잡이 스토퍼(117)가 외향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연장편(113)이 형성됨으로써 레버(130)의 작동홈(115)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레버(130)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100)은 종래의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과 달리, 레버(130)의 손잡이(150)에 대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기 레버(130)의 손잡이(150) 단면적을 일정면적 확장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레버(130)의 손잡이(150) 단면적을 일정면적 확장 형성함으로써 상기 레버(130)의 강도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110: 하우징 몸체 111: 연결로드
113: 연장편 115: 작동홈
117: 손잡이 스토퍼 119: 결합후크 스토퍼
130: 레버 140: 결합후크
141: 결합턱 143: 결합직교면
145: 유격홈 147: 보조 유격홈
150: 손잡이 151: 유동홈
200: 인쇄회로기판
300: 소켓 하우징
340: 걸림돌기 341: 걸림턱
343: 걸림직교면
C: 케이블

Claims (4)

  1. 각종 전자장치 및 전기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소켓 하우징과 걸림 결합되어 후방으로부터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케이블이 삽입되는 하우징 몸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양측에 돌설된 걸림돌기에 걸림결합되는 결합후크와 상기 결합후크의 일측에 연결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양측에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연결로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연결로드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탄성을 가지고 회전 및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레버의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는 작동홈 상단에 일정두께로 손잡이 스토퍼가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스토퍼와 엇갈려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후크의 외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측단으로부터 연결되는 결합후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턱과 직교하는 걸림직교면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후크의 결합턱과 직교하는 결합직교면에 일정깊이 함몰되어 유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홈에 이물질 끼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홈 하단에 상기 하우징 몸체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스토퍼와 대향되어 일정두께를 가지고 외향 연장되어 연장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후크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측단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결합후크의 외향 회전각을 일정각도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일정두께를 가지고 외향 연장된 후 일정높이 상향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홈 일단과 상기 결합턱이 직교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결합턱 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기 결합턱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함몰되어 보조 유격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KR1020120034442A 2012-04-03 2012-04-03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KR10129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42A KR101290314B1 (ko) 2012-04-03 2012-04-03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42A KR101290314B1 (ko) 2012-04-03 2012-04-03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314B1 true KR101290314B1 (ko) 2013-07-26

Family

ID=4899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442A KR101290314B1 (ko) 2012-04-03 2012-04-03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500B1 (ko) * 2019-11-28 2021-05-2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925A (ja) * 1991-04-08 1993-04-09 Kel Corp ツーピースコネクタ
JPH08129620A (ja) * 1994-10-21 1996-05-21 Minnesota Mining & Mfg Co <3M> Pc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0108790A (ja) 2008-10-30 2010-05-13 Tyco Electronics Japan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925A (ja) * 1991-04-08 1993-04-09 Kel Corp ツーピースコネクタ
JPH08129620A (ja) * 1994-10-21 1996-05-21 Minnesota Mining & Mfg Co <3M> Pc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0108790A (ja) 2008-10-30 2010-05-13 Tyco Electronics Japan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500B1 (ko) * 2019-11-28 2021-05-2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US9620879B2 (en) Electrical terminal
CA2369387C (en) Connector equipped with snap latching structure
WO2015112975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20048873A (ko) 전기커넥터
KR20020046947A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JP4702813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5072868A (ja) コネクタ
KR101290314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하우징
JP5626118B2 (ja) コネクタ
US10361494B2 (en) Wire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CN113193412B (zh) 一种连接器外壳体
TWI548156B (zh) 連接器
JP6610194B2 (ja) コネクタ
JP3246541U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KR101586248B1 (ko) 이탈 방지 핀이 구비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2015138719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4303148B2 (ja) ロック機構付きプラグ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ロック機構付きプラグコネクタ
KR200454693Y1 (ko) 전기커넥터
KR200451453Y1 (ko) 터미널
KR101714402B1 (ko)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TWM480797U (zh) 網路連接器接頭
JP6375151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451019Y1 (ko) 커넥터
JP2015170523A (ja) 電気コネクタの嵌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