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049B1 - 액체 바이오 연료 혼합물 및 그 혼합물의 제조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바이오 연료 혼합물 및 그 혼합물의 제조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049B1
KR101290049B1 KR1020077018837A KR20077018837A KR101290049B1 KR 101290049 B1 KR101290049 B1 KR 101290049B1 KR 1020077018837 A KR1020077018837 A KR 1020077018837A KR 20077018837 A KR20077018837 A KR 20077018837A KR 101290049 B1 KR101290049 B1 KR 101290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mixture
biofuel
separation device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132A (ko
Inventor
피터 아이스너
안드레아스 스타에블레르
안드레아드 말베르그
미카엘 메네르
미카엘 프란클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07011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02Liquid carbonaceous fuels essentially based on components consisting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only
    • C10L1/026Liquid carbonaceous fuels essentially based on components consisting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only for compression ign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02Liquid carbonaceous fuels essentially based on components consisting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45Glycerides
    • C12P7/6458Glycerides by transesterification, e.g. interesterification, ester interchange, alcoholysis or acid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9Biodiesel, i.e. fatty acid alkyl 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의 분획 및 글리세린 골격에 대해 양 ≥ 1 중량% 로 결합된 글리세린의 하나 이상의 분획으로 이루어진 바이오 연료 혼합물 및 상기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 연료 혼합물은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추가의 가열 없이 디젤 엔진에 연료로서 사용될 수 있고, 종래의 디젤 연료와 혼합될 수 있다.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글리세린, 디젤 연료, 바이오 연료 혼합물.

Description

액체 바이오 연료 혼합물 및 그 혼합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LIQUID BIO-FUEL MIXTURE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AID MIXTURE}
본 발명은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를 기초로 하는 액체 바이오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는 특히 디젤 또는 가솔린과 같은 종래 연료용 첨가제로서 적합하다. 연료 혼합물을 내연기관용 연료로 직접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기에서, 바이오 연료는 재생성 원료로부터 얻어지는 액체 연료를 의미한다. 바이오 연료에 대한 예는 동물성 지방,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또는 동물성 원료로 제조된 액체, 예컨대 지방 및 오일의 촉매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으로부터 얻어진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전분, 설탕 또는 셀룰로오스의 발효로부터 얻어진 바이오 에탄올 및 지방-, 전분-, 설탕- 또는 셀룰로오스 함유 원료의 기체화로부터 얻어진 메탄올이 있다.
이러한 재생성 연료의 사용은 생태적 관점에서 볼 때 화석 연료의 사용 보다 더 낫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바이오 연료 중 몇몇은 최근에도 디젤 또는 가솔린과 같은 종래 연료에 첨가제로서 혼합되어, 연료의 생태적 균형을 개선시키고 법적 요구에 맞출 수 있게 한다.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지방을 기초로 하는 바이오 연료 및 바이오 연료 혼합물은 예를 들면 DE 4116905 C1, WO 95/25152 A1, EP 855436 A2 또는 US 5713965 A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들에는 특히 유채 오일과 가솔린 또는 디젤의 혼합물에 첨가물을 첨가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DE 4116905 C1에서는 상기 추가 성분이 알코올이고, WO 95/25152 A1에서는 최대 6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가진 단쇄 지방산의 알킬에스테르이며, EP 855436 A2에서는 아세탈이다.
상기 간행물들에는 바이오 지방 및 오일이 기술적으로 그것을 얻는 과정에서 생기는 그대로 연료로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 나타난다. 첨가제가 필요하고 및/또는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의 변화가 일어난다. 특히, 종래 액체 연료의 비용 보다 훨씬 더 높은 비용으로 얻어지는, 고가의 첨가제는 상기 바이오 연료의 비용을 높여서, 종종 그것의 사용을 비경제적으로 만든다.
WO 01/29154 A1에는 경제적인 해결책으로서 동물 지방 폐기물을 내연기관에 직접 사용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도 재생성 지방 또는 오일을 내연기관에 직접 사용하는 것은 높은 점성과 낮은 세탄값으로 인해 연소 과정의 장애를 일으키고, 불완전한 연소로 인해 침착물을 야기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현재의 시점에서, 식물성 오일, 동물성 지방, 바이오 에탄올 및 바이오 디젤이 액체 바이오 연료로서 제공된다.
바이오 에탄올은 식물에 포함된 원료로부터 발효 과정에 의해 얻어진다. 카본 히드레이트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다수의 중간 생성물을 거쳐 에탄올로 변 환된다. 상기 과정에서 에탄올은 5% 이상의 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발효 과정에 후속해서 통상 톨루올에 의해 탈수가 이루어진다.
에탄올/톨루올 혼합물은 통상 바이오 에탄올이라 하며 가솔린을 대체한다. 그러나, 순수한 바이오 에탄올은 종래의 엔진에 사용될 수 없다. 연소를 위해 변성이 필요하다. 통상 95% 가솔린과 5% 바이오 에탄올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사용은 문제가 없다.
바이오 에탄올은 높은 옥탄값, 연소의 높은 효율 및 낮은 방출의 장점을 갖는다.
바이오 에탄올의 단점은 특히 낮은 에너지 밀도, 좋지 않은 생태적 균형, 발효 과정의 낮은 효율 및 방향족 톨루올의 사용에 있다. 또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시 높은 이산화탄소 감소 비용이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가솔린 첨가제로서 바이오 에탄올의 사용이 생태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문제가 있다.
식물성 오일은 디젤 연료를 대체한다. 식물성 오일은 모든 바이오 연료 중 최상의 생태적 균형 및 38 MJ/kg의 비교적 높은 에너지 밀도(디젤: 43 MJ/kg)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일은 지금까지 연료로서 사용될 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디젤 엔진에 사용이 기술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이다. 가장 두드러진 문제점은 높은 점성이다. 점성으로 인해, 펌프 내압이 증가하고 분사 특성이 변한다. 이는 연소실 내의 시일, 글로우 플러그 및 피스톤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오일 또는 지방 및 연소 잔류물이 연소실에 남고 피스톤 및 노즐에 침착된다. 또한, 식물성 오일로 장기간 작동시 수지화가 나타난다.
식물성 오일을 디젤 대체물로 사용할 때 다른 문제점은 유리 지방산의 높은 침식성이다. 유리 지방산은 지방 분자의 화학적 및 생물학적 분해 시에 생기며 특히 튜브 및 시일, 장기간 사용시 연료 시스템 내의 금속 부품도 침식시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통상의 엔진에서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오일/디젤 혼합물의 연소가 불가능하다. 엔진의 변형에 의해 어려움이 완화될 수 있기는 하지만, 연료로서 식물성 오일은 경제적으로 관심을 끌지 못한다.
동물성 지방은 식물성 오일과 동일한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동물성 지방이 훨씬 더 큰 점성을 가지며 또한 식물성 오일의 경우 보다 훨씬 더 빨리 유리 지방산을 형성하기 때문에, 회전 분무화기를 가진 중유 버너에서만 에너지 이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점들은 식물성 오일을 1가의 알코올에 의해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FSAE, 바이오 디젤)로 화학적으로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킴으로써 피해질 수 있다. 바이오 디젤은 식물성 오일과 유사한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그것의 디젤과 유사한 점성 및 세탄값으로 인해 최신 방식의 거의 모든 디젤 엔진에 사용될 수 있다. 바이오 디젤은 생물학적으로 분해될 수 있고 비교적 높은 점화점으로 인해 위험물을 형성하지 않는다.
FSAE의 다른 장점은 화석 디젤에 비해 훨씬 개선된 방출값이다. 특히, 산화황-, 탄화수소- 및 카본 블랙 입자 방출이 현저히 감소된다. 산화질소 방출만이 약간 증가한다.
바이오 디젤의 단점은 특히 복잡한 제조 방법에 있다. 2개의 생성물, 바이 오 디젤과 글리세린의, 에너지 및 공정 기술면에서 매우 복잡한 처리 단계로 인해, 생태적 균형 및 FSAE 제조의 경제성이 현저히 나빠지고, 특히 반응 생성물의 약 89%(중량 %)만이 연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이오 디젤 생산시 제 2 상(phase)으로서 생기는 11%(중량 %) 글리세린은 복잡하게 분리되고 제거되어야 한다. 생성물 처리로 인해, 분산 장치에서의 제조가 경제적일 수 없다. 따라서, 바이오 디젤은 장치에서 거의 배타적으로 10,000 t/a 이상의 스루풋으로 얻어진다. 이는 적지 않은 물류 비용을 야기한다.
FSAE의 낮은 추위- 및 산화 안정성이 문제가 된다.
바이오 디젤은 식물성 오일의 촉매적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탈수된, 중화된 및 점성 제거된 오일은 1 질량 % 촉매(대개 KOH)의 사용 하에 6:1의 몰 알코올 초과량 (대개 메탄올)으로 알코올의 비등 온도 이상에서 반응한다. 지방 분자에 포함된 지방산은 촉매에 의해 분해되고 알코올과 반응하여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를 형성한다. 지방 및 오일은 트리글리세리드이다. 즉, 지방 분자가 하나의 글리세린 분자에 결합된 3개의 지방산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이오 디젤의 제조 시에 수행되는 바와 같은 완전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 시에, 지방 및 오일 분자 당 3 분자의 바이오 디젤 및 1 분자의 글리세린이 생긴다.
반응의 중간 생성물은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이다.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는 글리세린 기본 골격(이하, 글리세린 골격이라 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리세린 골격에는 하나의 (모노글리세리드) 및 2개의 (디글리세리드) 지방산이 결합된다.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에는 극성 하드록시드 그룹 및 비극성 탄화수소 사슬이 존재 하기 때문에, 그것이 양친화성(amphiphile) 특성을 가지며, 유기 용액 중에서 용매의 극성을 거의 항상 바꾼다.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약 8 시간의 반응 시간을 필요로 하고, 약 98%의 반응이 이루어진다.
상기 반응에 후속해서, 형성된, FSAE 중에 불용성인 글리세린은 상 분리기에 의해 바이오 디젤로부터 제거되고, 화학적 및 증류식 세척 후에 기술적 또는 약학적 원료로서 사용된다.
FSAE 중에 포함된 초고량의 알코올은 증류에 의해 분리되어 프로세스에 피드백된다. 그리고 나서, 비누, 촉매 및 글리세린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바이오 디젤이 물로 세척된 다음, 건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에 따른 연료의 상기 단점, 특히 높은 제조 비용을 피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이오 연료 혼합물은 식물성 오일 보다 낮은 점성을 가져서, 연료가 디젤 엔진에서도 추가의 가열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종래의 디젤 연료에 혼합될 수 있어야 한다. 높은 저장 안정성을 위해, 연료는 낮은 온도에서도 액상 및 단일상이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바이오 연료 혼합물, 청구항 11 및 21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24에 따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바람직한 조성 및 그 제조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되거나 하기 설명 및 실시예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연료 혼합물은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분획, 및 모노- 및/또는 디글리세리드 및/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형태로 결합된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분획을 포함한다. 결합된 글리세린의 양은 연료 혼합물 중에서 글리세린 골격(글리세린 골격의 식: C3H503 ; 몰 질량: 89 g/몰)에 대해 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 이다. 더 높은 농도도 글리세리드의 첨가에 의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바람직하다.
놀랍게도, 상기 양의 모노글리세리드 및/또는 디글리세리드를 가진 이러한 바이오 연료 혼합물은 FSAE 중의 유리 글리세린의 가용성을 2배 이상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및 오일을 종래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알킬 에스테르로 형성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오 연료로부터 제 2 상으로서 글리세린이 분리된다. 상기 상은 많은 비용으로 알킬 에스테르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오일 및 지방의 천연 성분인 글리세린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경우 연소 과정에서 다른 분획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연료 중에 글리세린(특히 글리세리드 형태의)의 사용에 의해 수율이 약 10% 증가하고, 이는 비용상 큰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연료 혼합물은 또한 용액 중에 40 중량% 이상의 지방 및 오일을 유지할 수 있어서, 다른 상이 생기거나 분리될 필요 없이, 연료 혼합물 중에 이러한 물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바이오 연료 혼합물은 또한 바이오 디젤에 비해, 탄화 수소, 일산화탄소 및 카본 블랙 입자와 관련한 낮은 배기 가스 값을 갖는다.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1가의 알코올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연료 혼합물에 매우 양호하게 용해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의 제조 과정에서 완전히 소비되지 않은 알코올이 바이오 연료 혼합물 중에 남아 있거나 또는 1가의 알코올이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는 점성을 떨어뜨리고 추위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이오 에탄올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위한 알코올로서 사용된다.
또한, 바이오 연료 혼합물과 광물성 연료의 혼합 가능성은 포함된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에 의해 종래의 바이오 디젤에 비해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 연료 혼합물은 광물성 연료 또는 종래의 바이오 디젤과 모든 비율로 혼합됨으로써 희석되어 연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으로 사용되는 연료 중에서 결합된 글리세린의 낮은 농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식물성 오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 전에 이미 디젤 연료 또는 바이오 디젤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혼합물을 희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화 안정성 및 낮은 온도에서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선행 기술에 따른 연료 첨가제를 연료에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식물성 오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 시에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를 바이오 연료 혼합물에 첨가할 수도 있다. 물론, 다른 소오스로부터 나오거나 또는 합성 소오스를 가진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방산 분자에 10개 미만의 탄소 원자를 가진 지방산을 포함하는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를 바이오 연료 혼합물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특히 점성의 감소를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제안된 바이오 연료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2 가지 방법이 이하에 제시된다.
하나의 가능한 제조 방법은 트리글리세리드의 부분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기초한다.
이를 위해, 세척된 그리고 경우에 따라 탈수된 지방 또는 오일을 1가의 알코올과 혼합하고, 적합한 촉매의 첨가에 의해 반응시킨다. 이 경우, 지방, 오일, 알코올 및 촉매는 상이한 물질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유지 시간, 촉매 및 사용된 알코올의 양에 의해 반응 생성물 중의 FSAE, 모노-, 디- 및 경우에 따라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
촉매로서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 특이적 리파아제가 사용된다. 촉매로서 sn-1,3 위치 특이적 리파아제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파아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글리세리드로부터 제 1 및 제 3 지방산을 분해한다. 따라서, 알코올이 존재하는 경우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와 FSAE 와의 혼합물이 생긴다.
그러나, 예컨대 점성과 같은 소정 연료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비특이적 촉매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 생성물 중에 모노- 및/또는 디글리세리드의 필요한 양은 예를 들면 반응의 조기 중단에 의해 또는 화학량론적으로 부족한 알코올 첨가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글리세린은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에 의해 용액 중에 남아 있지만, 필요한 경우 적합한 분리 방법에 의해 연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과 병행해서 FSAE 가 형성된다. 반응 생성물의 상기 성분은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점성을 낮춘다.
또한, 종래의 바이오 디젤 제조에 비해, 알코올 소비가 33 - 50 %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알코올이 바이오 연료 혼합물 중에 글리세린을 남겨두어, 치환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이 유리된 형태 또는 지지된 형태의 촉매 시스템일 수 있다. 지지된 촉매는 다수의 반응 사이클을 통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비교적 높은 가격으로 인해 특히 리파아제의 사용시 촉매로서 바람직하다.
바이오 연료의 제조를 위한 장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알코올과 혼합하기 위한 혼합 장치와 더불어, 하나 또는 다수의 부동화된 위치 특이적 리파아제를 가진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체(supports)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수용하기 위한 반응기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기는 예를 들면 교반 반응기 또는 고정 베드 반응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반응기 다음에, 결합된 글리세린 및/또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분획을 반응 생성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 장치가 접속된다. 상기 분리된 분획은 바람직하게는 혼합 장치 내로 피드백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 폐기물이 생기지 않는다. 분리된 분획을 별도의 활용을 위해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리 장치는 예를 들면 증류 분리 장치 또는 막 분리 장치 또는 결정화 분리 장치 또는 흡착 분리장치 또는 추출 분리 장치일 수 있다.
바이오 연료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 온도는 사용된 촉매 및 사용된 트리글리세리드에 의존한다. 상기 온도는 통상 20 내지 120 ℃에서 변한다.
반응 속도는 촉매 농도 및 사용된 촉매에 의존한다. 반응 지속 시간 또는 유지 시간은 소정 연료 특성에 의존해서 선택된다.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수율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 내에 있는 그리고 에스테르 교환 과정에서 생긴 물을 반응 동안 선행 기술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 기술에 따른 방법들은 예를 들면 분자체 또는 나트륨 황을 이용한 건조 또는 투과 증발 (pervaporation)을 이용한 탈수이다. 에스테르 교환 과정 동안의 탈수는 또한 유리 지방산의 형성이 감소되는 장점을 갖는다.
유리된 또는 지지된 촉매의 제거를 제외한, 연료의 후속 세척은 필요 없다. 그러나, 이는 예를 들면 잔류 알코올의 제거에 의한 점성의 증가와 같은 특정 특성의 조정을 위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글리세린의 일부를 연료 혼합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보다 낮은 점성을 설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물 또는 다른 극성의 또는 양친화성 액체로 추출, 흡착, 결정화 또는 막 방법에 의한 선행 기술에 따른 방법을 이용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된 디- 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일부를 위치 특이적 리파아제 처리 후에 비특이적으로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많은 양의 모노글리세리드가 얻어질 수 있다.
부분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한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와 더불어, 순수한, 즉 통상의 FSAE에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경우에 따라 알코올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첨가에 의해서도 바이오 연료 혼합물이 얻어질 수 있다. 사용된 글리세리드 및 알코올의 양은 소정 특성에 의존한다. 가급적 바람직한 연료 특성, 특 낮은 점성 및 높은 세탄값을 위해, 높은 FSAE 양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 60 중량%, 몇몇 경우에는 > 80 중량% 이 바람직하다. 용매로서 사용되면, 높은 FSAE 양, 바람직하게는 > 50 중량%, 및 높은 모노글리세리드 양, 바람직하게는 > 25 중량% 가 바람직하다. 잔류 지방의 양은 상기 용도를 위해 가급적 낮아야, 바람직하게는 < 2 중량% 이어야 한다.
연료 중에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글리세리드의 유일한 존재에 의해, 모노글리세리드가 결정화될 수 있다. 디- 및/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첨가는 결정화를 저지하기 때문에, 높은 저장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하, 알킬 에스테르를 기초로 하는 연료를 2가지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1은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를 위한 장치의 구성 부분과 제조 공정에서 상기 구성 부분들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
실시예 1
100 g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바이오 디젤)에 모노- (45 중량%), 디- (20 중 량%) 및 트리글리세리드(35 중량%)로 이루어진 50 g 혼합물을 첨가한다. 상기 글리세리드 혼합물은 시장에서 구입할 수 있다. 바이오 연료 혼합물은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100 g 식물성 오일에 3.5 g 메탄올(다른 1가의 또는 2가의 알코올도 가능함)및 1 g sn-1,3 위치 특이적 리파아제를 첨가한다. 상기 혼합물을 가장 높은 리파아제 활성도를 가진 온도에서 9 시간 동안 혼합한다. 9 시간 후에, 3.5 g 메탄올을 첨가한다. 상기 시스템을 후속 15 시간 동안 상기 최상의 리파아제 온도에서 교반한다. 적은 중량% 메탄올이 용해된,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FSAE 및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맑은 용액을 얻는다.
도 1은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를 위한 장치의 구성 부분과 제조 공정에서 상기 구성 부분들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먼저, 트리글리세리드와 알코올을 혼합 장치(1)에 넣고 그 안에서 혼합한다. 트리글리세리드와 알코올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후속해서 교반 또는 고정 베드 반응기(2) 내로 옮긴다. 이는 혼합 장치와 반응기(2) 사이의 연결 라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반응기(2)에서 혼합물을 촉매인 sn -1,3 위치 특이적 리파아제와 접촉시킴으로써, 부분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이루어진다. 위치 특이적 리파아제는 반응기 내에서 부동화된 형태로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체 상에 존재한다. 반응 생성물로서,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및 모노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진, 경우에 따라 디- 및 트리글리세리드도 포함할 수 있는 혼합물을 얻는다.
반응기(2) 다음에 선택적으로 접속된 분리 장치(3)에서, 알코올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잔류물을 반응 생성물로부터 증류에 의해 또는 막 분리 기술에 의해 분리하여, 혼합 장치(1)에서의 프로세스에 공급할 수 있다.

Claims (28)

  1. 2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알코올의 첨가 하에 트리글리세리드의 부분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글리세리드 형태의 결합된 글리세롤과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정제된 지방 또는 오일을 1가 알코올, 2가 알코올 또는 이 둘 모두와 혼합하고, 지방산 분해에 적합하고 지지체 (supports)에 결합된 촉매를 첨가하여,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반응 생성물로서 수득할 때까지 반응을 일으키고;
    상기 혼합물은 지지된 촉매의 제거 후에 글리세롤의 분리 없이 직접 연료로서 또는 통상적인 연료용 첨가제로서 사용되며;
    바이오 연료 혼합물중의 상기 결합된 글리세롤의 함량은 글리세리드의 글리세롤 백본을 기준으로 하여 바이오연료 혼합물의 1중량% 이상인;
    바이온 연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반응 생성물로서 특정 비율의 모노글리세리드와 디글리세리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트리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의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부분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지방 또는 오일이 1가의 또는 2가의 알코올 및 촉매와 접촉되면서 반응 생성물의 비율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 생성물의 비율은 지방 또는 오일과 혼합되는 1가의 또는 2가의 알코올의 양에 의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 생성물의 비율은 촉매의 종류, 양 또는 이 둘 모두에 의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 특이적 (regiospecific) 리파아제가 촉매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다수의 비특이적 촉매, 비특이적 효소, 또는 이 둘 모두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분 에스테르 교환 반응 전에 또는 동안에 탈수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
  9. 제 1항에 따른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트리글리세리드와 알코올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장치, 및 하나 또는 다수의 부동화된 위치 특이적 리파아제를 가진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체 (supports)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수용하기 위한 반응기를 포함하며,
    지방과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분획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장치가 반응기의 하류에 접속되고, 상기 분리 장치는 지방과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분획용의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가지며, 이러한 배출구는 상기 혼합 장치의 유입구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분리 장치가 증류 분리 장치, 막 분리 장치, 결정화 분리 장치, 흡착 분리 장치 또는 추출 분리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반응기가 교반 반응기 또는 고정 베드 반응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물의 제조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077018837A 2005-02-17 2005-11-30 액체 바이오 연료 혼합물 및 그 혼합물의 제조 방법 및장치 KR101290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07369.7 2005-02-17
DE102005007369 2005-02-17
PCT/DE2005/002156 WO2006086936A1 (de) 2005-02-17 2005-11-30 Flüssige bio-brennstoffmischung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rselb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132A KR20070114132A (ko) 2007-11-29
KR101290049B1 true KR101290049B1 (ko) 2013-07-30

Family

ID=3596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837A KR101290049B1 (ko) 2005-02-17 2005-11-30 액체 바이오 연료 혼합물 및 그 혼합물의 제조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90203092A1 (ko)
EP (1) EP1848787A1 (ko)
JP (1) JP5072605B2 (ko)
KR (1) KR101290049B1 (ko)
CN (1) CN101184826A (ko)
AR (1) AR053801A1 (ko)
AU (1) AU2005327879B2 (ko)
BR (1) BRPI0520104A (ko)
CA (1) CA2597679A1 (ko)
DE (1) DE112005003550A5 (ko)
EG (1) EG24718A (ko)
MA (1) MA29308B1 (ko)
MX (1) MX2007009954A (ko)
NO (1) NO20074212L (ko)
WO (1) WO2006086936A1 (ko)
ZA (1) ZA2007066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2848A1 (de) * 2006-01-19 2007-07-26 Dracowo Forschungs- Und Entwicklungs Gmbh Herstellung von Fettsäuremethylestern aus Altfetten und Ölen mittels Biodieselkleinstanlage
EP1918354A1 (de) * 2006-10-13 2008-05-07 Cognis Oleochemicals GmbH Brennstoffzubereitungen die Glycerin enthalten
KR20090125248A (ko) * 2007-02-06 2009-12-04 자노스 테스즈 변형된 구조의 트리글리세리드에 기반한 연료 또는 연료 첨가물의 용도 및 그 제조 방법
MY158677A (en) * 2007-02-26 2016-10-31 Pet Oil & Gas Corp S Africa Biodiesel fuels
BRPI0701993A2 (pt) * 2007-03-30 2008-11-18 Petroleo Brasileiro Sa mÉtodo para reciclagem e aproveitamento da glicerina obtida da produÇço do biodiesel
EP2065460A1 (de) * 2007-11-28 2009-06-03 Wulfenia Beteiligungs GmbH Biologischer Brennstof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0948292B1 (ko) * 2007-11-30 2010-03-17 제이씨케미칼(주) 바이오디젤 제조용 다단 반응기 시스템
WO2010118891A1 (de) * 2009-04-17 2010-10-2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chmierflüssigkei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KR20100136060A (ko) * 2009-06-18 2010-12-28 서강오씨아이 주식회사 바이오디젤 부산물을 이용한 바이오디젤 제조방법
US8974553B2 (en) 2012-03-29 2015-03-10 Joseph Ried Miscible diesel fuel ethanol composition
EP2657324A1 (en) 2012-04-26 2013-10-30 Petróleo Brasileiro S.A. - PETROBRAS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io-lubricant from methyl biodiesel and bio-lubricant obtained by said process
CN106480114B (zh) * 2015-08-25 2021-10-08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制备生物柴油的方法
IT201900014778A1 (it) * 2019-08-14 2021-02-14 Nextchem S P A Processo per il pretrattamento di alimentazioni destinate alla produzione di bio-carburanti, mediante idrolisi di grassi ad alta temperatura e pressione
GB202005461D0 (en) * 2020-04-15 2020-05-27 Trio Plus Bio Energy Ag Additi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3965A (en) * 1996-04-12 1998-02-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Production of biodiesel, lubricants and fuel and lubricant additives
JP2001226694A (ja) 2000-02-17 2001-08-21 Sumitomo Chem Co Ltd 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及び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燃料
JP2001524553A (ja) * 1997-11-24 2001-12-04 エネルゲア・ウムヴェルトテヒノロギー・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脂肪酸メチ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6927A (en) * 1988-10-04 1994-05-31 Opta Food Ingredients, Inc. Production of monoglycerides by enzymatic transesterification
JP2668187B2 (ja) * 1993-09-17 1997-10-27 日清製油株式会社 リパーゼ粉末を用いたエステル交換法
US5578090A (en) * 1995-06-07 1996-11-26 Bri Biodiesel fuel
DE19702989A1 (de) * 1997-01-28 1998-07-30 Clariant Gmbh Umweltfreundlicher Dieseltreibstoff
CA2336513C (en) * 2000-02-17 2010-08-24 Tatsuo Tateno Process for producing fatty acid esters and fuels comprising fatty acid ester
AU782699B2 (en) * 2000-12-15 2005-08-1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thod for preparing fatty acid esters from seeds or fruits
CN1238469C (zh) * 2004-01-16 2006-01-25 清华大学 有机介质反应体系中脂肪酶转化油脂生产生物柴油新工艺
DE102005002700A1 (de) * 2005-01-19 2006-07-27 Cognis Deutschland Gmbh & Co. Kg Zusammensetzungen verwendbar als Biotreibstoff
FR2914927B1 (fr) * 2007-04-12 2009-06-12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fabrication d'esters alcooliques a partir de triglycerides et d'alcools au moyens de catalyseurs heterogenes a base de phosphate ou de compose organophosphore d'un metal du groupe 4.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3965A (en) * 1996-04-12 1998-02-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Production of biodiesel, lubricants and fuel and lubricant additives
JP2001524553A (ja) * 1997-11-24 2001-12-04 エネルゲア・ウムヴェルトテヒノロギー・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脂肪酸メチ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装置
JP2001226694A (ja) 2000-02-17 2001-08-21 Sumitomo Chem Co Ltd 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及び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燃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706614B (en) 2008-04-30
AR053801A1 (es) 2007-05-23
KR20070114132A (ko) 2007-11-29
AU2005327879B2 (en) 2011-03-03
CN101184826A (zh) 2008-05-21
AU2005327879A1 (en) 2006-08-24
JP2008530318A (ja) 2008-08-07
EG24718A (en) 2010-06-07
MX2007009954A (es) 2007-09-26
CA2597679A1 (en) 2006-08-24
EP1848787A1 (de) 2007-10-31
BRPI0520104A (pt) 2008-06-10
DE112005003550A5 (de) 2008-01-24
WO2006086936A1 (de) 2006-08-24
MA29308B1 (fr) 2008-03-03
JP5072605B2 (ja) 2012-11-14
NO20074212L (no) 2007-09-17
US20090203092A1 (en)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049B1 (ko) 액체 바이오 연료 혼합물 및 그 혼합물의 제조 방법 및장치
AU2007347872B2 (en) Method for cold stable biojet fuel
Narasimharao et al. Catalysts in production of biodiesel: a review
Gupta Biodiesel production from Karanja oil
Cerveró et al. Production of biodiesel from vegetable oils
US20100212220A1 (en) Process for combined biodiesel and alcohol production, and fuel compositions produced therefrom
Shereena et al. Biodiesel: an alternative fuel produced from vegetable oils by transesterification
Manzanera et al. Biodiesel: An alternative fuel
Casas et al. Production of biodiesel through interesterification of triglycerides with methyl acetate
AU2008286538B2 (en) Liquid biofuel made of esters and bound glycerides, and also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A2687816A1 (en) Biofuels containing nitrile moieties
Arifin et al. Production of biodiesel from waste cooking oil and Rbd palm oil using batch transesterification process
CA2768862A1 (en) Fuel composition derived from biodiesel
Ramadhas 13 Biodiesel Production Technologies and Substrates
Kumar et al. Biodiesel from Jatropha curcas and Pongamia pinnata
Keong et al. Biodiesel production using heterogeneous catalyst in CSTR: sensitivity analysis and optimization
Ijayan et al. Effect of Process Parameters in the Production of Biodiesel through Transesterification–A Review
WO2014080379A2 (en) Compositions useful as fuels comprising hydrophobic oxygenated compounds
Muche et al. Jatropha curcas Oil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Prasad et al. The Study of Different Biodiesel Production from Various Resources and Its Properties-An Overview
SALMA Production of Biodiesel from Pinus Roxburghii Oil and its Evaluation
Ramadhas 13 Biodiesel Production
Cerveró García et al. Production of biodiesel from vegetable oils
Kathale et al. WASTE SOYBEAN OIL BIOMASS FOR BIODESEL PRODUCTION AN ENVIRONMENTAL RECYCLED PROCES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am et al. EFFECT OF DIFFERENT ALCOHOL SOLUTIONS AND MOLAR RATIOS ON BIODIESEL YIELD OF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USING ASPEN HYSYS V1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