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869B1 -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869B1
KR101289869B1 KR1020120084353A KR20120084353A KR101289869B1 KR 101289869 B1 KR101289869 B1 KR 101289869B1 KR 1020120084353 A KR1020120084353 A KR 1020120084353A KR 20120084353 A KR20120084353 A KR 20120084353A KR 101289869 B1 KR101289869 B1 KR 10128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ction
product
information
unit
manage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율
안태형
Original Assignee
(주) 휴스
주식회사 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휴스, 주식회사 대영 filed Critical (주) 휴스
Priority to KR1020120084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도시에 위치한 농수산물 시장을 통한 경매를 온라인 상에서 원격 영상을 이용하여 경매인이 원격으로 현지의 상품을 보고 듣고 방송하며 제어함으로 현장감 있는 상품 등급 및 가격 결정이 가능하고, 농수산물 쇼핑몰과 연계하여 소비자가 진행중인 경매를 실시간으로 보고 들을수 있으며, 완료된 경매는 저장된 경매과정을 담은 동영상을 보고 들을 수 있어 상품 신뢰도 증대 및 대도시까지 경매를 위해 운송비 낭비 및 상품 신선도 저하를 방지하는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대도시에 위치한 농수산물 시장을 통한 경매를 온라인 상에서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하여 경매인이 원격으로 현지의 상품을 보고 듣고 방송하며 제어함으로 현장감 있는 상품 등급 및 가격 결정이 가능하고, 농수산물 쇼핑몰과 연계하여 소비자가 진행중인 경매를 실시간으로 보고 들을 수 있으며, 완료된 경매는 저장된 경매과정을 담은 동영상을 보고 들을 수 있어 상품 신뢰도 증대 및 대도시까지 경매를 위해 운송비 낭비 및 상품 신선도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Agricultural product Circulation system using remote Video Surveillance.}
본 발명은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도시에 위치한 농수산물 시장을 통한 경매를 온라인 상에서 원격 영상을 이용하여 경매인이 원격으로 현지의 상품을 보고 듣고 방송하며 제어함으로 현장감 있는 상품 등급 및 가격 결정이 가능하고, 농수산물 쇼핑몰과 연계하여 소비자가 진행중인 경매를 실시간으로 보고 들을수 있으며, 완료된 경매는 저장된 경매과정을 담은 동영상을 보고 들을 수 있어 상품 신뢰도 증대 및 대도시까지 경매를 위해 운송비 낭비 및 상품 신선도 저하를 방지하는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온라인 농수산물 쇼핑몰 사이트의 경우에는 상품 사진과 텍스트 데이터 위주의 제한된 상품정보, 객관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품가격 등으로 소비자들이 믿고 먹기에는 온라인상 구매에 대한 신뢰도 저하로 이용을 기피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또한, 오프라인상에서는 각 산지에서 생산된 농수산물의 가격을 경매를 통해 결정하는 방식으로 대도시에 위치한 농수산물 도매시장으로 농수산물을 집하시키는데 운송비 낭비와 함께 이동시간에 따른 상품의 신선도 및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악순환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전문 경매사와 소비자 또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소통 채널 부재로 인하여 상품 가격에 대한 신뢰성 및 상품 가격이 적정하다는 인식을 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한미 FTA로 수입량 급증에 따른 가격하락 피해로 농어업 폐업 위기와 신뢰할 수 없는 농수산물 수입으로 우리의 먹거리를 위협하고 있고, 다단계의 복잡한 유통구조에 따른 생산자 저이익, 소비자 가격부담 증가로 인하여 생산량 수급 불균형 및 농수산물 물류 대란으로 인한 가격 변동폭이 가중되어 갈수록 생산자와 소비자들의 가계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되었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도시에 위치한 농수산물 시장을 통한 경매를 온라인 상에서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하여 경매인이 원격으로 현지의 상품을 보고 듣고 방송하며 제어함으로 현장감 있는 상품 등급 및 가격 결정이 가능하고, 농수산물 쇼핑몰과 연계하여 소비자가 진행중인 경매를 실시간으로 보고 들을 수 있으며, 완료된 경매는 저장된 경매과정을 담은 동영상을 보고 들을 수 있어 상품 신뢰도 증대 및 대도시까지 경매를 위해 운송비 낭비 및 상품 신선도 및 품질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은,
지역별 선별장에 설치 구성된 경매보조자단말기에 경매 신청서를 제공하며, 경매방에 접속하여 경매시간 및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생산자단말기(100)와;
실시간으로 지역별 선별장의 영상 및 음성을 획득하며, 상품 검색 및 경매 진행 상황 및 결과를 확인하며, 주문 결제 처리하기 위한 소비자단말기(200)와;
상기 생산자단말기에 의해 송출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여 경매방에 등록하며, 경매방에 접속하여 경매보조자가 경매 승인 여부와 경매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경매보조자단말기(300)와;
경매방에 등록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여 경매승인부를 통해 경매시간 기록 및 경매를 승인하며, 선별장스피커에 방송 정보를 제공하며, 선별장에 위치한 상품의 영상 및 음향을 획득하며, 상품의 등급 및 가격을 포함한 경매 확인서를 중앙경매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경매사관리수단(400)과;
상품의 영상과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 및 계측 정보를 획득하여 경매사관리수단으로 선별장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선별장관리수단(500)과;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방 개설 요청신호를 획득하여 경매방을 개설하며,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 확인서의 가격에 책정된 수수료를 적용시켜 최종 가격을 결정하며, 선별장관리수단으로부터 상품의 영상과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 및 계측 정보를 획득하여 접속된 소비자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중앙경매관리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은,
대도시에 위치한 농수산물 시장을 통한 경매를 온라인 상에서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하여 경매인이 원격으로 현지의 상품을 보고 듣고 방송하며 제어함으로 현장감 있는 상품 등급 및 가격 결정이 가능하고, 농수산물 쇼핑몰과 연계하여 소비자가 진행중인 경매를 실시간으로 보고 들을 수 있으며, 완료된 경매는 저장된 경매과정을 담은 동영상을 보고 들을 수 있어 상품 신뢰도 증대 및 대도시까지 경매를 위해 운송비 낭비 및 상품 신선도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부수적으로 농산물의 유통단가절감(중간도매상 없이 직거래)으로 농산물 가격 경쟁력 확보, 농산물 신선도 유지로 농산물 품질 경쟁력 확보, 소비자는 싼 가격에 믿고 먹을 수 있는 농수산물 구입, 생산자는 유통마진 감소로 소득 증대, 지역 농어업 경제 활성화로 지방자치단체 지원사업 성과 달성 등의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생산자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소비자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경매보조자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경매사관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선별장관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중앙경매관리수단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은,
지역별 선별장에 설치 구성된 경매보조자단말기에 경매 신청서를 제공하며, 경매방에 접속하여 경매시간 및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생산자단말기(100)와;
실시간으로 지역별 선별장의 영상 및 음성을 획득하며, 상품 검색 및 경매 진행 상황 및 결과를 확인하며, 주문 결제 처리하기 위한 소비자단말기(200)와;
상기 생산자단말기에 의해 송출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여 경매방에 등록하며, 경매방에 접속하여 경매보조자가 경매 승인 여부와 경매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경매보조자단말기(300)와;
경매방에 등록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여 경매승인부를 통해 경매시간 기록 및 경매를 승인하며, 선별장스피커에 방송 정보를 제공하며, 선별장에 위치한 상품의 영상 및 음향을 획득하며, 상품의 등급 및 가격을 포함한 경매 확인서를 중앙경매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경매사관리수단(400)과;
상품의 영상과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 및 계측 정보를 획득하여 경매사관리수단으로 선별장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선별장관리수단(500)과;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방 개설 요청신호를 획득하여 경매방을 개설하며,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 확인서의 가격에 책정된 수수료를 적용시켜 최종 가격을 결정하며, 선별장관리수단으로부터 상품의 영상과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 및 계측 정보를 획득하여 접속된 소비자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중앙경매관리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대도시에 위치한 농수산물 시장을 통한 경매를 온라인상에서 진행하되, 경매인이 원격으로 상품의 등급 및 가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전문 경매인은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으로 현지의 상품을 보고 듣고 방송하며, 제어함으로 현장감있는 상품 등급 결정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농수산물 쇼핑몰과 연계하여 소비자가 진행중인 경매를 실시간으로 보고 들을 수 있으며, 완료된 경매는 저장된 경매 과정을 담은 동영상을 보고 들을 수 있어 상품 신뢰도 증대 및 대도시까지 경매를 위해 운송비 낭비 및 상품 신선도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온라인 상에서 소비자와 경매인, 생산자가 온라인 사전 예약을 통한 영상통화를 할 수 있어 믿고 먹을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가능하게 하였다.
일반적으로 상기 중앙경매관리수단은 웹서버를 운영하게 되는데, 웹서버에 농수산물 쇼핑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중앙경매관리수단은 관리자가 운영하게 되며, 생산자 및 경매사들이 제출하는 서류를 심사한 후 등록을 승인하게 되고, 소비자의 불만사항을 관리하게 된다.
즉, 결제 및 배송불만, 상품 품질 불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때 불만사항에 대하여 생산자나 경매사에게 경고 및 자격 취소 등의 조치를 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시예로 농수산물 쇼핑사이트의 초기 화면에는 목록을 표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경매방 검색 및 조회, 예정 경매방, 진행 경매방, 완료 경매방 등의 목록을 표시하여 소비자들이 목록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입장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초기 화면은 일반적인 경매사이트와 유사하게 구성하면 될 것이다.
또한, 마이페이지를 구성하여 주문 / 배송정보, 예약하기(예정 경매방 예약), 관심 품목 등록(해당 품목 경매 개설시 경매방 예약), 경매사 영상통화 예약, 경매방게시판을 이용한 질의 응답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품구매화면을 제공하게 되는데, 경매 동영상 보기창을 구성하여 진행중인 경매를 실시간 영상으로 확인하거나, 완료된 경매시 저장된 영상을 확인하여 상품 구매에 대한 신뢰성을 직접 소비자가 확인하여 가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생산자를 위한 등록 페이지를 제공하게 되는데, 생산자가 상품을 등록하고, 전문 경매사가 경매 승인한 경매 예정 시간 및 경매 완료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생산자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산자단말기(100)는,
중앙경매관리수단에서 제공되는 경매 신청서를 참조하여 생산자에 의해 작성한 경매에 필요한 생산자 정보, 상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상품정보획득부(110)와,
상품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경매 신청서와 매칭시킨 후, 생산자 정보와 상품 정보가 기입된 경매 신청서를 경매보조자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경매신청서제공부(120)와,
경매방에 접속하여 경매시간 및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경매정보확인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상품정보획득부(110)는 중앙경매관리수단에서 제공되는 경매 신청서를 참조하여 생산자에 의해 작성한 경매에 필요한 생산자 정보, 상품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경매 신청서를 생산자가 확인하고, 해당 신청서 내부에 작성하는 항목이 존재하게 되며, 해당 항목을 생산자가 작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매에 필요한 생산자 정보(생산자 이름, 연락처, 주소 등)와 상품 정보(상품명, 생산된 장소 등)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매신청서제공부(120)는 상품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경매 신청서와 매칭시킨 후, 생산자 정보와 상품 정보가 기입된 경매 신청서를 경매보조자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경매 신청서에 기입된 정보들을 기입한 최종 결과물을 경매보조자단말기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매정보확인부(130)는 생산자가 자신이 작성한 경매 신청서의 승인 여부와 경매 일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매방에 접속하게 되며, 접속시 최초 회원 가입시 제공되는 아이디나 비번을 참조하여 해당 생산자인지를 시스템에서 확인한 후 해당 생산자일 경우에 경매시간 및 승인 여부를 확인하도록 화면에 출력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소비자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비자단말기(200)는,
실시간으로 지역별 선별장의 영상 및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음성정보획득부(210)와,
상품 검색 및 경매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확인부(22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소비자들은 농수산물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며, 소비자가 선택한 지역 선별장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상기 영상음성정보획득부(210)에서 획득하여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보확인부(220)는 상품 검색 및 경매 결과를 확인하도록 구성하게 되는데, 상품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경매 결과 정보를 추출하여 경매 결과를 확인하도록 소비자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모든 수단과 단말기들의 정보 교환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제어부가 구성되게 되며, 정보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술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또한, 소비자단말기에 영상촬영장치가 구성되게 되면, 경매사와 영상 통화가 가능하게 되어 영상 통화 예약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경매보조자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매보조자단말기(300)는,
생산자단말기에 의해 송출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여 경매방에 등록하기 위한 경매정보등록부(310)와,
경매방에 접속하여 경매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경매시간확인부(32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경매보조자는 경매사와 쌍방향 음성 통화로 경매를 보조하게 되며, 상품 선별대에 상품을 올리고 내리는 업무를 보조하거나, 선별장 내 원격 영상감시제어 시설물(선별장관리수단)을 관리할 수 도 있다.
경매정보등록부(310)는 생산자단말기에 의해 송출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여 경매방에 등록하기 위하여 구성하게 되며, 경매시간확인부(320)를 통해 경매방에 접속하여 경매 시간을 확인하게 된다.
즉, 경매 진행을 위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경매 신청서 획득시 등록 업무 및 경매 시간 예약 업무를 실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경매사관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매사관리수단(400)은,
중앙경매관리수단에 경매방 개설 요청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경매방개설요청부(410)와,
경매방 개설 후, 경매방에 등록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기 위한 경매신청서획득부(420)와,
경매 신청서 획득시, 경매시간 기록 및 경매를 승인하기 위한 경매승인부(430)와,
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방송 정보를 선별장스피커로 제공하기 위한 방송정보제공부(440)와,
선별장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상품의 영상 및 음향을 획득하기 위한 상품영상음향획득부(450)와,
상품의 등급 및 가격을 포함한 경매 확인서를 중앙경매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경매확인서송출부(46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전문 경매사가 관리하는 수단을 의미하며, 등록 승인된 경매사에 의해 경매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경매방개설요청부(410)는 중앙경매관리수단에 경매방 개설 요청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때, 경매방이 개설되게 되며, 경매신청서획득부(420)에서 경매방 개설 후, 경매방에 등록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게 된다.
이후, 획득된 신청서를 경매사가 확인하고 경매시간과 경매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경매승인부(430)에 의해 경매시간 기록 및 경매를 승인하게 된다.
이때, 중앙경매관리수단에서 해당 기록 정보를 획득하여 경매방에 시간을 기록하여 생산자, 소비자들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방송정보제공부(440)는 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방송 정보를 선별장스피커로 제공하게 되며,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경매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경매사가 상품을 눈으로 확인하고 현장 발생음을 귀로 들어야 함으로 상품영상음향획득부(450)에서는 선별장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상품의 영상 및 음향을 획득하여 경매사가 확인할 수 있는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이후, 경매사는 경매 확인서의 등급 및 가격을 작성하는 란에 등급 및 가격을 작성하게 되며, 상기 경매확인서송출부(460)는 상품의 등급 및 가격을 포함한 경매 확인서를 중앙경매관리수단으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중앙경매관리수단은 경매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창에 상기 경매 확인서 정보를 올리게 되어 해당 경매 확인서를 생산자 혹은 소비자들이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게 된다.
또한, 예약된 소비자와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묻고 답하기의 게시판을 활용하여 의사 소통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선별장관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별장관리수단(500)은,
상품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촬영부(510)와,
중간도매상(감별사)의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음향획득부(520)와,
상품의 크기, 무게, 색, 당도, 산성도, 수분함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수단(530)과,
상기 영상촬영부, 음향획득부, 계측수단으로부터 영상, 음향, 계측 정보를 획득하여 경매사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선별장상품정보송출부(54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선별장관리수단에는 원격지에서 보고 듣고 방송하고 제어하여 상품 등급을 결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설치 구성되게 된다.
즉, 영상촬영부(510)는 상품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음향획득부(520)는 중간도매상(감별사)의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계측수단(530)은 상품의 크기, 무게, 색, 당도, 산성도, 수분함량을 계측하기 위하여 설치 구성하게 된다.
영상촬영부는 360도 회전을 통해 색, 크기, 품질 상태 등을 확인하게 되며, 음향획득부는 중간도매상(감별사)의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계측수단은 상품의 크기, 무게, 색, 당도, 산성도, 수분함량을 계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별장상품정보송출부(540)는 영상촬영부, 음향획득부, 계측수단으로부터 영상, 음향, 계측 정보를 획득하여 경매사관리수단으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다는 의미는, 고해상도의 CCTV를 통하여 상품을 세밀하게 확인하거나, 색상, 크기, 상품상태 등을 육안으로 검사하거나, 전문경매사와 소비자,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영상통화를 의미하게 된다.
이때, 영상통화를 위한 기술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또한, 듣는다는 의미는, 선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 발생음을 듣거나, 경매사가 방송한 음성을 듣거나, 경매 보조자가 말한 음성을 경매사가 듣는(쌍방향 음향 전송)다거나, 전문경매사와 소비자,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쌍방향 음성 통화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음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은 생략하고, 영상 정보 및 계측 데이터만으로 상품의 등급 및 가격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당업자들은 시스템 설계시 현장 상황에 맞게 음성 제공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생략하고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경매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방송한다는 의미는, 전문 경매사가 선별장에 상주하는 경매보조자에게 방송을 통해 지시(ㅇㅇ상품을 올려주세요, ㅇㅇ상품을 내려주세요)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한다는 의미는, 선별장에 있는 상품선별대(마치 전자레인지와 같이 상품을 모터를 이용해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음.)를 회전시켜 CCTV로 검사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시료 검사가 필요한 경우 경매사가 해당 시료를 선택하고 시료 주입량만 입력하면 적량의 해당 시료가 주입 제어가 되거나 카메라를 좌우상하(Pan/Tilt), 확대/축소(Zoom In/Zoom Out)하거나, 전등 켜고 끄기, 방송 켜고 끄기 등을 의미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의 중앙경매관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경매관리수단(600)은,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방 개설 요청신호를 획득하여 경매방을 개설하기 위한 경매방개설부(610)와,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 확인서의 가격에 책정된 수수료를 적용시켜 최종 가격을 결정하기 위한 최종가격결정부(620)와,
선별장관리수단으로부터 상품의 영상과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 및 계측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중앙경매관리상품정보획득부(630)와,
책정된 수수료 정보, 중앙경매관리상품정보획득부에서 획득된 상품의 영상, 음향, 계측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있는 중앙경매관리디비(640)와,
접속된 소비자단말기로 상기 중앙경매관리디비에 저장된 상품의 영상, 음향, 계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경매관리상품정보제공부(650)와,
소비자단말기로부터 주문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생산자단말기로 주문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부(66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센터 운영자가 각 선별장에 있는 장치들을 제어하게 되며, 소비자에게 데이터 제공(품목별 각 선별장으로부터 수집된 자료 저장(영상/음향/계측), 계약체결(인터넷을 통한 주문 결제), 배송 등을 총괄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상기 경매방개설부(610)는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방 개설 요청신호를 획득하여 경매방을 개설하게 된다.
상기 최종가격결정부(620)는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 확인서의 가격에 책정된 수수료를 적용시켜 자동 계산으로 최종 가격을 결정하게 되는데, '상품 가격 = 생산지가격 + 중간도매상 이윤 + 시스템이용 수수료'로 이루어져 최종 소비자가 구매하는 소비자 가격은 종래보다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수수료는 센터 운영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수정되며 중앙경매관리디비에 저장되어 자동 계산시 값이 참조된다.
상기 중앙경매관리상품정보획득부(630)는 선별장관리수단으로부터 상품의 영상과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 및 계측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중앙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중앙경매관리디비에 저장된다.
상기 중앙경매관리디비(640)에는 책정된 수수료 정보, 중앙경매관리상품정보획득부에서 획득된 상품의 영상, 음향, 계측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게 된다.
즉, 책정된 수수료 정보는 시스템 이용 수수료, 경매사의 수수료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중앙경매관리상품정보제공부(650)는 접속된 소비자단말기로 상기 중앙경매관리디비에 저장된 상품의 영상, 음향, 계측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즉, 소비자단말기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중앙경매관리상품정보제공부를 통해 상품의 영상, 음향, 계측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문요청부(660)는 소비자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생산자단말기로 주문 요청하기 위한 중간 처리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주문시 결제는 일반적인 결제 기술을 활용하게 되며 결제 방식은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다음은 전체적인 경매 흐름을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생산자는 각 지역별 거점 선별장에 상주하는 경매보조자에게 경매 신청서 제출하게 되며, 경매보조자는 접수된 경매 신청서를 농수산물 쇼핑몰 경매방에 등록하게 된다.
이후, 전문 경매사가 경매방에 등록된 경매 신청서를 확인한 후 경매 시간을 기록하고 승인하게 된다.
이후, 생산자와 경매보조자는 경매시간을 경매방을 통해 확인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은 경매 신청 및 접수, 등록, 승인의 절차이며, 접수, 등록, 승인 여부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해당인의 핸드폰 문자메시지(SMS)로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경매 진행과정이다.
즉, 생산자는 전문 경매사로부터 경매 승인 여부 및 시간을 확인하며, 경매시간 30분 전에 산지에서 수확한 상품을 각 지역별 거점 선별장으로 가져온다.
이후, 경매보조자는 경매 승인서와 상품이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고, 경매시간이 되면 전문 경매사가 방송으로 경매시작을 알리고 경매 보조자에게 '상품을 선별대 위에 올려 주십시오'라고 알려주게 되고, 경매보조자는 상품을 선별대 위에 올리게 된다.
이후, 전문 경매사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의 등급 및 가격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자동으로 모든 과정의 영상 및 음향을 실시간 동영상으로 제공하고 중앙경매관리수단에 저장한다.
다음은 경매 완료이다.
전문 경매사는 결정된 상품의 등급 및 가격을 등록하고 경매 확인서를 작성하고, 이때, 자동으로 결정된 가격에 시스템 이용 수수료 및 전문 경매사 수수료 등을 적용시켜 최종 가격을 표시하게 되며, 생산자는 경매방을 통해 최종 경매 확인서로 상품 등급과 가격을 확인하고 이의가 있을시 전문 경매사 게시판에 글을 등록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전문 경매사는 게시판에 기재된 이의 내용에 대한 답변 글을 작성한다.
또한, 소비자는 진행중인 경매의 경우 실시간으로 보고 들을 수 있으며, 완료된 경매의 경우 저장된 영상으로 보고 들을 수 있다.
의문사항이 있을시 전문 경매사와 영상통화를 예약하거나, 경매방 게시판을 통해 글을 남기면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전체 구매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실 적정가격이 책정되므로 생산자, 중간도매인, 소비자에게 모두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활용하게 되면, 산지와 소비자간 직배송으로 유통비가 절감되며, 동시에 유통기간 단축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국가 물류비 절감 효과 및 신선한 농수산물 섭취가 가능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생산자단말기
200 : 소비자단말기
300 : 경매보조자단말기
400 : 경매사관리수단
500 : 선별장관리수단
600 : 중앙경매관리수단

Claims (7)

  1.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에 있어서,
    지역별 선별장에 설치 구성된 경매보조자단말기에 경매 신청서를 제공하며, 경매방에 접속하여 경매시간 및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생산자단말기(100)와;
    실시간으로 지역별 선별장의 영상 및 음성을 획득하며, 상품 검색 및 경매 진행 상황 및 결과를 확인하며, 주문 결제 처리하기 위한 소비자단말기(200)와;
    상기 생산자단말기에 의해 송출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여 경매방에 등록하며, 경매방에 접속하여 경매보조자가 경매 승인 여부와 경매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경매보조자단말기(300)와;
    경매방에 등록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여 경매승인부를 통해 경매시간 기록 및 경매를 승인하며, 선별장스피커에 방송 정보를 제공하며, 선별장에 위치한 상품의 영상 및 음향을 획득하며, 상품의 등급 및 가격을 포함한 경매 확인서를 중앙경매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경매사관리수단(400)과;
    상품의 영상과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 및 계측 정보를 획득하여 경매사관리수단으로 선별장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선별장관리수단(500)과;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방 개설 요청신호를 획득하여 경매방을 개설하며,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 확인서의 가격에 책정된 수수료를 적용시켜 최종 가격을 결정하며, 선별장관리수단으로부터 상품의 영상과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 및 계측 정보를 획득하여 접속된 소비자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중앙경매관리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단말기(100)는,
    중앙경매관리수단에서 제공되는 경매 신청서를 참조하여 생산자에 의해 작성한 경매에 필요한 생산자 정보, 상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상품정보획득부(110)와,
    상품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경매 신청서와 매칭시킨 후, 생산자 정보와 상품 정보가 기입된 경매 신청서를 경매보조자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경매신청서제공부(120)와,
    경매방에 접속하여 경매시간 및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경매정보확인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단말기(200)는,
    실시간으로 지역별 선별장의 영상 및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음성정보획득부(210)와,
    상품 검색 및 경매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확인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매보조자단말기(300)는,
    생산자단말기에 의해 송출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여 경매방에 등록하기 위한 경매정보등록부(310)와,
    경매방에 접속하여 경매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경매시간확인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매사관리수단(400)는,
    중앙경매관리수단에 경매방 개설 요청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경매방개설요청부(410)와,
    경매방 개설 후, 경매방에 등록된 경매 신청서를 획득하기 위한 경매신청서획득부(420)와,
    경매 신청서 획득시, 경매시간 기록 및 경매를 승인하기 위한 경매승인부(430)와,
    음향장치로부터 획득된 방송 정보를 선별장스피커로 제공하기 위한 방송정보제공부(440)와,
    선별장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상품의 영상 및 음향을 획득하기 위한 상품영상음향획득부(450)와,
    상품의 등급 및 가격을 포함한 경매 확인서를 중앙경매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경매확인서송출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관리수단(500)은,
    상품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촬영부(510)와,
    중간도매상(감별사)의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음향획득부(520)와,
    상품의 크기, 무게, 색, 당도, 산성도, 수분함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수단(530)과,
    상기 영상촬영부, 음향획득부, 계측수단으로부터 영상, 음향, 계측 정보를 획득하여 경매사관리수단으로 송출하기 위한 선별장상품정보송출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경매관리수단(600)은,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방 개설 요청신호를 획득하여 경매방을 개설하기 위한 경매방개설부(610)와,
    경매사관리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경매 확인서의 가격에 책정된 수수료를 적용시켜 최종 가격을 결정하기 위한 최종가격결정부(620)와,
    선별장관리수단으로부터 상품의 영상과 등급 책정과정의 음향 정보 및 계측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중앙경매관리상품정보획득부(630)와,
    책정된 수수료 정보, 중앙경매관리상품정보획득부에서 획득된 상품의 영상, 음향, 계측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있는 중앙경매관리디비(640)와,
    접속된 소비자단말기로 상기 중앙경매관리디비에 저장된 상품의 영상, 음향, 계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경매관리상품정보제공부(650)와,
    소비자단말기로부터 주문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생산자단말기로 주문 요청하기 위한 주문요청부(6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KR1020120084353A 2012-08-01 2012-08-01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KR10128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53A KR101289869B1 (ko) 2012-08-01 2012-08-01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53A KR101289869B1 (ko) 2012-08-01 2012-08-01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869B1 true KR101289869B1 (ko) 2013-07-26

Family

ID=4899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353A KR101289869B1 (ko) 2012-08-01 2012-08-01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244A1 (ko) * 2016-03-31 2017-10-05 주식회사 포넥스트 전자경매 시스템 및 관리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915A (ko) * 2000-10-27 2001-01-05 황경수 웹카메라를 이용한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010000632A (ko) * 2000-10-10 2001-01-05 이경목 실시간 상호 인터넷 분할 경매 방법
KR20110056802A (ko) * 2009-11-23 2011-05-31 정선호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이용한 원격 경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632A (ko) * 2000-10-10 2001-01-05 이경목 실시간 상호 인터넷 분할 경매 방법
KR20010000915A (ko) * 2000-10-27 2001-01-05 황경수 웹카메라를 이용한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110056802A (ko) * 2009-11-23 2011-05-31 정선호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이용한 원격 경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244A1 (ko) * 2016-03-31 2017-10-05 주식회사 포넥스트 전자경매 시스템 및 관리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0800B2 (en) Data collection, storage, and processing system using one or more inputs
US201901564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partment rental inspections without presence of brokers or rental agents
US10706463B2 (en) Integration of remote bidders into multiple and simultaneous live auctions
US200802351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sting combined online and live auctions
CN107194792A (zh) 一种验真方法及验真系统
US20080195523A1 (en) Transferring products to various platforms
US202100820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facilities in real-time
KR20190130182A (ko)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CN204856603U (zh) 基于竞价系统的户外广告机
KR20210050018A (ko) 비디오 커머스를 활용한 농업, 축산업, 임업, 수산업 생산품 판매 시스템 및 이의 판매 방법
CN106101753A (zh) 一种音视频互动直播管理系统
KR20210007869A (ko) 미분양 부동산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18728A (ko) 다중채널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다중채널 온라인 쇼핑 방법
KR101289869B1 (ko) 원격 영상감시제어를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시스템
CN106997503A (zh) 影院智能化管理系统
AU20162011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ntal valuation data
CN109389754A (zh) 基于物联网信息传播技术的散装咖啡自动售卖系统及方法
WO2010096794A1 (en) Web-based auction system
KR20150028381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다채널 야외 생중계용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공 방법
US201202329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ving-image advertisements and coupons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N114037412A (zh) 基于云平台的售卖摊位智慧城市管理系统
US20140379398A1 (en) Shared digital content based problem resolution system and method
RU115101U1 (ru) Интерактивная система приобретения товаров
US201602325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geopraphical views with remote users through an online marketplace
KR101370262B1 (ko) 부동산 경매 공동투자 실시간 화상회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