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460B1 - 레저용 헬멧 - Google Patents

레저용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460B1
KR101289460B1 KR1020130016010A KR20130016010A KR101289460B1 KR 101289460 B1 KR101289460 B1 KR 101289460B1 KR 1020130016010 A KR1020130016010 A KR 1020130016010A KR 20130016010 A KR20130016010 A KR 20130016010A KR 101289460 B1 KR101289460 B1 KR 101289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leisure
connecting portion
hea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율
Original Assignee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460B1/ko
Priority to PCT/KR2013/009525 priority patent/WO20141263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2Collapsib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라인스케이트, 자전거, 보드 등을 탈 때는 물론이고, 낚시나 등산을 할 때도 사용할 수 있는 레저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경량이면서 완충성이 우수하고, 배낭 등에 넣어 보관할 수 있는 휴대성을 갖도록 한 레저용 헬멧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자유롭게 굴절되도록 발포성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레저용 헬멧을 제조하되; 상기 레저용 헬멧은 머리의 정수리 부분과 접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서 이마 쪽으로 연결된 전면부재와; 연결부에서 뒤통수 쪽으로 연결된 배면부재와; 연결부에서 양쪽 옆머리 쪽으로 연결되는 좌면부재 및 우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의 양측가장자리와 이에 대응하는 좌면부재와 우면부재의 앞쪽 가장자리, 그리고 배면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하는 좌면부재와 우면부재의 뒤쪽 가장자리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호 결합하는 길이조절 가능한 부재결속수단과; 상기 좌면부재와 우면부재의 아래쪽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호 결합하는 길이조절 가능한 헬멧결속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저용 헬멧{Helmets for leisure}
본 발명은 인라인스케이트, 자전거, 보드 등을 탈 때는 물론이고, 낚시나 등산을 할 때도 사용할 수 있는 레저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량이면서 완충성이 우수하고, 배낭 등에 넣어 보관할 수 있는 휴대성을 갖도록 한 레저용 헬멧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라인스케이트, 자전거, 보드 등을 이용하는 레저 문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라인스케이트, 자전거, 보드 등을 이용하는 경우 안전장비로 레저용 헬멧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헬멧은 일체형 구성으로 부피가 커 보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자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지고 있으며, 헬멧을 접어 휴대할 수 있는 수단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 10-2011-0012556호(2011.02.09.)의 레저용 접이식 헬멧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레저용 접이식 헬멧의 구성은 레저용 접이식 헬멧에 있어서, 본체를 형성하는 끝 부분이 구형인 중심부, 측면부와, 이 둘을 연결해주는 리벳과; 헬멧 전체를 묶어주는 중심부 벨트, 측면부 벨트와 이들을 고정시켜 주는 홈과; 중심부 벨트, 측면부 벨트를 쪼여주는 버클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헬멧을 미 착용시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호형의 중심부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부피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실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110012556 A 2011.02.09.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일체형 구성의 헬멧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경량으로 제조하면서도 외부 충격을 충분히 완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배낭 등에 넣어 보관할 수 있는 휴대성을 갖도록 한 레저용 헬멧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자유롭게 굴절되도록 발포성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레저용 헬멧을 제조하되; 상기 레저용 헬멧은 머리의 정수리 부분과 접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서 이마 쪽으로 연결된 전면부재와; 연결부에서 뒤통수 쪽으로 연결된 배면부재와; 연결부에서 양쪽 옆머리 쪽으로 연결되는 좌면부재 및 우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의 양측가장자리와 이에 대응하는 좌면부재와 우면부재의 앞쪽 가장자리, 그리고 배면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하는 좌면부재와 우면부재의 뒤쪽 가장자리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호 결합하는 길이조절 가능한 부재결속수단과; 상기 좌면부재와 우면부재의 아래쪽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호 결합하는 길이조절 가능한 헬멧결속수단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배면부재의 아래쪽 가장자리 양측으로 헬멧결속수단의 결속끈 중 하나를 결속하여 헬멧을 보다 안전성 있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레저용 헬멧의 표면에 완충돌기를 더 형성하여 완충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완충돌기의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중량 감소가 이루어지면서 완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을 사용할 경우 제조가 간단하여 생산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경량이므로 착용감이 우수하다.
부재결속수단과 헬멧결속수단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프리 사이즈로 사용이 가능하다.
굴절성이 우수하여 미 사용시 접어 배낭에 내입하여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하다.
부력성을 가지므로 수상레저용으로 사용할 경우 비상 부력재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개 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에 적용되는 부재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에 적용되는 헬멧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에 적용되는 헬멧결속수단의 다른 예의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의 다른 예의 전개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의 또 다른 예의 전개 상태 평면도
도 8은 도 6, 도 7에 적용된 완충돌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6, 도 7에 적용될 수 있는 완충돌기의 다른 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전개 상태 평면도, 도 3,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에 적용되는 부재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및 헬멧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1)은 자유롭게 굴절되도록 발포성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성 합성고무는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BR(부타디엔 고무), NBR(니트릴 고무), EPDM(에칠렌 프로필렌 고무), HSR(하이스티렌 고무) 등의 범용 합성고무와, SBS(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 SEBS(스티렌 에칠렌부틸렌 스티렌), SEPS(스티렌 에칠렌 프로필렌 스티렌)등의 열가소성고무의 단독 또는 혼합품에, 가교제, 발포제를 필수적으로 배합하고, 가공조제, 연화제, 노화방지제, 안료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하여, 금형에 넣고 일정의 열과 시간 동안 가압하여 발포시켜 얻는 것을 말한다.
상기 레저용 헬멧(1)은 10~20mm 두께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머리의 정수리 부분과 접하는 연결부(2)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전면부재(3)와 배면부재(4) 및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를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마치 풍차와 같은 형상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결부(2)에서 이마 쪽으로 전면부재(3)를 연결하고, 연결부(2)에서 뒤통수 쪽으로 배면부재(4)를 연결한다.
그리고 연결부(2)에서 양쪽 옆머리 쪽으로 좌면부재(5) 및 우면부재(6)를 각각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각 부재들은 연결부(2)를 기준으로 분할 구성되며, 이들 각 부재들의 경우 제조단계에서 미리 분할되거나 판상으로 제조된 것을 재단하는 방법으로 분할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쪽에 형성된 분할점에는 각 부재들이 외력에 의해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예방하도록 릴리프 홀(7)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2) 및 각 구성부재들을 포함하는 레저용 헬멧(1)의 표면에는 굴절 가능한 보호필름(8)을 얇게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전면부재(3)의 양측가장자리와 이에 대응하는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의 앞쪽 가장자리, 그리고 배면부재(4)의 양측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하는 좌면부재(4)와 우면부재(6)의 뒤쪽 가장자리에 일단이 고정되는 부재결속수단(9)을 설치한다.
상기 부재결속수단(9)은 일단이 각 구성부재에 고정되는 벨트(9a)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암버클(9b)과 숫버클(9c)을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전면부재(3)와 배면부재(4) 및 좌/우면부재(5)(6)를 부재결속수단(9)으로 상호 결합할 경우 머리의 크기에 구애 없이 프리 사이즈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의 아래쪽에는 헬멧결속수단(10)을 설치한다.
상기 헬멧결속수단(10)은 일단이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의 아래쪽 전후에 고정되는 2가닥의 벨트(10a)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암버클(10b)과 숫버클(10c)을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재결속수단(9) 및 헬멧결속수단(10)은 상기와 같이 버클타입으로 구성하고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매직테이프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에 적용되는 헬멧결속수단의 다른 예의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한 레저용 헬멧(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헬멧결속수단(10)은 일단이 좌면부재(5)와 배면부재(4), 그리고 우면부재(6)와 배면부재(4) 각각 고정되는 2가닥의 벨트(10a)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암버클(10b)과 숫버클(10c)을 결합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헬멧결속수단(10)을 당겨 결속할 때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 및 배면부재(4)가 함께 머리쪽으로 당겨져 밀착되는 구성이므로 보다 안정성 있는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의 다른 예의 전개 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의 또 다른 예의 전개 상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레저용 헬멧(1)은 표면에 완충돌기(1a)를 더 형성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는 도 6, 도 7과 같이 반구형 또는 육각기둥형 등으로 완충돌기(1a)를 형성한다.
상기 완충돌기(1a)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각기둥형, 반타원형, 삼각기둥형 등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완충돌기(1a)가 형성될 경우 베이스 역할을 하는 연결부(2)와 전면부재(3), 배면부재(4), 좌면부재(5), 우면부재(6)는 개략 5~10mm의 두께로 제작하고, 완충돌기(1a)는 5~10mm의 높이로 형성하는 구성을 통해서 재료비를 절감하면서도 완충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완충돌기(1a)는 도 8과 같이 속이 차 있도록 구성하거나, 도 9와 같이 머리쪽이 개구된 공간부(1b)를 형성하여 속이 비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도 9와 같이 속이 비어 있도록 구성할 경우 재료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레저용 헬멧(1)의 경량화와 더불어 완충성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레저용 헬멧(1)은 인라인스케이트, 자전거, 보드 등을 탈 때 머리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특히 휴대성이 우수하다.
즉, 본 발명을 미 사용시에는 전면부재(3) 및 배면부재(4)와, 좌면부재(5) 및 우면부재(6)를 연결하고 있는 부재결속수단(9)의 암버클(9b)과 숫버클(9c)을 분리한 상태에서 연결부(2)를 중심으로 펼친 상태에서 전면부재(3)와 배면부재(4)와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연결부(2)쪽으로 접어 배낭 등에 내입하면 되므로 종래 헬멧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휴대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2)를 중심으로 펼친 상태에서 전면부재(3)와 배면부재(4)와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 이렇게 4조각으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2조각이나 3조각 또는 5~8조각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레저용 헬멧 1a:완충돌기
1b:공간부 2:연결부
3:전면부재 4:배면부재
5:좌면부재 6:우면부재
7:릴리프 홀 8:보호필름
9:부재결속수단 9a,10a:벨트
9b,10b:암버클 9c,10c:숫버클
10:헬멧결속수단

Claims (9)

  1. 자유롭게 굴절되도록 발포성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머리의 정수리 부분과 접하는 연결부(2)와;
    연결부(2)에서 이마 쪽으로 연결된 전면부재(3)와;
    연결부(2)에서 뒤통수 쪽으로 연결된 배면부재(4)와;
    연결부(2)에서 양쪽 옆머리 쪽으로 각각 연결된 좌면부재(5) 및 우면부재(6)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며;
    상기 전면부재(3)의 양측가장자리와 이에 대응하는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의 앞쪽 가장자리, 그리고 배면부재(4)의 양측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하는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의 뒤쪽 가장자리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설치한 부재결속수단(9)과;
    상기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의 아래쪽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설치한 헬멧결속수단(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헬멧.
  2. 자유롭게 굴절되도록 발포성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머리의 정수리 부분과 접하는 연결부(2)와;
    연결부(2)에서 이마 쪽으로 연결된 전면부재(3)와;
    연결부(2)에서 뒤통수 쪽으로 연결된 배면부재(4)와;
    연결부(2)에서 양쪽 옆머리 쪽으로 각각 연결된 좌면부재(5) 및 우면부재(6)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며;
    상기 전면부재(3)의 양측가장자리와 이에 대응하는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의 앞쪽 가장자리, 그리고 배면부재(4)의 양측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하는 좌면부재(5)와 우면부재(6)의 뒤쪽 가장자리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설치한 부재결속수단(9)과;
    좌면부재(5)와 배면부재(4), 그리고 우면부재(6)와 배면부재(4)의 아래쪽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설치한 헬멧결속수단(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헬멧.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를 기준으로 분할 구성되는 전면부재(3)와 배면부재(4), 그리고 좌면부재(5) 및 우면부재(6)가 연결되는 연결부(2)쪽에 형성된 분할점에는 릴리프 홀(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헬멧.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부(2)와 전면부재(3), 배면부재(4), 좌면부재(5), 우면부재(6)의 표면에는 완충돌기(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헬멧.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1a)는 반구형, 육각기둥형, 사각기둥형, 반타원형, 삼각기둥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헬멧.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1a)는 머리쪽이 개구된 공간부(1b)를 형성하여 속이 비어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헬멧.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와 전면부재(3), 배면부재(4), 좌면부재(5), 우면부재(6)의 표면에는 굴절 가능한 보호필름(8)을 얇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헬멧.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와 전면부재(3), 배면부재(4), 좌면부재(5), 우면부재(6)는 제조단계에서 미리 분할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헬멧.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와 전면부재(3), 배면부재(4), 좌면부재(5), 우면부재(6)는 판상으로 제조된 것을 재단하여 분할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헬멧.
KR1020130016010A 2013-02-14 2013-02-14 레저용 헬멧 KR101289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010A KR101289460B1 (ko) 2013-02-14 2013-02-14 레저용 헬멧
PCT/KR2013/009525 WO2014126321A1 (ko) 2013-02-14 2013-10-24 레저용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010A KR101289460B1 (ko) 2013-02-14 2013-02-14 레저용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460B1 true KR101289460B1 (ko) 2013-07-24

Family

ID=4899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010A KR101289460B1 (ko) 2013-02-14 2013-02-14 레저용 헬멧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9460B1 (ko)
WO (1) WO20141263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345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고도 접이식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90B1 (ko) * 2020-01-03 2020-08-10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가변형 헬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8176A1 (en) 1994-09-14 1996-03-21 Sportscope Recreational Products, Inc. Foldable padded helmet
JP2001073220A (ja) 1999-09-03 2001-03-21 Sekiya Zoki Kk ヘルメット
JP2002339140A (ja) 2001-05-11 2002-11-27 Taiyo Plast Kogyosho:Kk 頭部保護キャップ
KR100938109B1 (ko) 2009-07-03 2010-01-21 김현복 헬멧 완충재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6137A (en) * 1984-01-20 1986-01-28 Gooding Elwyn R Inflatable baffled liner for protective headgear and other protective equipment
US5173970A (en) * 1992-01-15 1992-12-29 Roy Shifrin Combined visored cap type protective helmet and pouch for bicyclists or the like
US5996126A (en) * 1998-07-22 1999-12-07 Cairns & Brother Inc. Crown pad and head-protective helmet
KR100454294B1 (ko) * 2002-09-02 2004-10-26 김병기 머리 보호용 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8176A1 (en) 1994-09-14 1996-03-21 Sportscope Recreational Products, Inc. Foldable padded helmet
JP2001073220A (ja) 1999-09-03 2001-03-21 Sekiya Zoki Kk ヘルメット
JP2002339140A (ja) 2001-05-11 2002-11-27 Taiyo Plast Kogyosho:Kk 頭部保護キャップ
KR100938109B1 (ko) 2009-07-03 2010-01-21 김현복 헬멧 완충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345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고도 접이식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6321A1 (ko)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8100B1 (en) Football helmet with raised plateau
ES2843955T3 (es) Un casco
KR101410160B1 (ko) 조절 장치를 갖는 충격 흡수 라이너
US6681408B2 (en) Impact resistant structure of safety helmet
ES2702250T3 (es) Casco con una banda de soporte para la frente
RU2688393C1 (ru) Многоэлементная геометричес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поглощения и рассеивания энергии, выделяющейся при ударе, и защитный шлем, содержащий эту конструкцию
WO2015166598A1 (ja) ヘルメット
ES2702251T3 (es) Banda de soporte para la frente para cascos y casco provisto con dicha banda de soporte para la frente
KR101289460B1 (ko) 레저용 헬멧
KR102197046B1 (ko) 재난 보호용 헬멧
CN102697230A (zh) 消防员城市抢险救援头盔佩戴装置
JP2016145439A (ja) 3点ハンモック装着型ヘルメット
KR102250259B1 (ko) 라이딩용 백팩
KR101772773B1 (ko) 분리 가능 헬멧
CN101738140A (zh) 一种衬垫式防弹头盔悬挂系统
JP5808872B1 (ja) 3点ハンモック装着型ヘルメット
KR102463746B1 (ko) 접이식 헬멧
KR20200019349A (ko) 접이식 헬멧
KR102356898B1 (ko) 분리형 헬멧
KR102458517B1 (ko) 폴더블 헬멧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01637U (ko) 인에어 헬멧
CN201643631U (zh) 一种新型头盔
KR20160093916A (ko) 충격흡수패드가 부착된 안전모
JP7363020B2 (ja) 衝撃を吸収する構造、およびヘルメット
KR20210098041A (ko) 튜브형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