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041A - 튜브형 헬멧 - Google Patents

튜브형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041A
KR20210098041A KR1020200011737A KR20200011737A KR20210098041A KR 20210098041 A KR20210098041 A KR 20210098041A KR 1020200011737 A KR1020200011737 A KR 1020200011737A KR 20200011737 A KR20200011737 A KR 20200011737A KR 20210098041 A KR20210098041 A KR 2021009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ortion
head
point
air
tub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일
Original Assignee
김정일
주식회사 여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일, 주식회사 여명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김정일
Priority to KR102020001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8041A/ko
Publication of KR2021009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2Collapsib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1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 A42B3/122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inflatable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를 주입하면 완충 기능을 갖는 두상 형태의 헬멧이 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두부 보호 용도로 착용할 수 있고, 공기를 제거하면 부피가 작아져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으며, 헬멧에 외부충격이 가해져도 튜브 내의 공기 유동 현상이 최대한 억제되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튜브형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헬멧은, 제1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주입시 전개되어 두상과 유사한 형태가 되는 두부 튜브부와; 제2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부 튜브부의 좌측에 상기 두부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좌측 튜브부; 및 제3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부 튜브부의 우측에 상기 두부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우측 튜브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공기충진 공간은 상호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좌측 튜브부는 상기 두부 튜브부의 좌측영역에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좌측 튜브부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은 각각 상기 두부 튜브부에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튜브형 헬멧{TUBE TYPE HELMET}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주입하면 완충 기능을 갖는 두상 형태의 헬멧이 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두부 보호 용도로 착용할 수 있고, 공기를 제거하면 부피가 작아져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튜브형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은 오토바이 등과 같은 이륜차를 탈 때 사고로부터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헬멧은 내부에 발포수지류의 완충재가 들어 있고, 외부는 딱딱한 화이바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헬멧은 부피가 크고 무거워 이의 착용시 또는 휴대시 불편하여 헬멧 착용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헬멧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고 휴대하는데 거부감이 들지 않는 헬멧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튜브형 헬멧은 공기를 주입하면 완충 기능을 갖는 두상 형태의 헬멧이 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두부 보호 용도로 착용할 수 있고, 비착용시에는 공기를 제거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구이다.
이러한 종래 튜브형 헬멧은 단순히 하나의 튜브체로 이루어져 있었다. 즉, 하나의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튜브체 내부의 전체 공간에 공기가 공급되고, 이러한 전체 공간이 모두 공기로 충진되면 헬멧 형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단순히 하나의 튜브체로 구성된 튜브형 헬멧은 제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튜브형 헬멧은 내부 공기 충진 공간이 모두 하나로 연통되어 있어, 헬멧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튜브 내의 공기가 충격이 가해진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즉, 공기 유동 현상)되고, 이로 인하여 충격에 대한 반항력이 일시적으로 상쇄되어 안전성이 급격히 저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특허 1(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06291호) 및 선행특허 2(한국등록특허 제10-0566578호)와 같은 튜브형 헬멧이 제안되었다.
즉,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를 독립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셀 구조로 만들어, 복수의 튜브 셀이 상호 물리적 공간적으로 구분 및 단절되어 있는 튜브체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복수 개의 독립 셀 구조를 갖는 튜브형 헬멧은 각각의 튜브 셀마다 공기 주입구를 형성하여야 하고, 각 튜브 셀에 공기를 각각 주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특허 2와 같이 구성할 경우 부품수(즉, 작동튜브(20), 스프링(14), 볼(15), 밸브(30), 작동편(32) 등), 금형비용, 제조 공정수 및 제조 시간이 대폭 늘어나 결국 제조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06291호(2003.01.23.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566578호(2006.03.24.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를 주입하면 완충 기능을 갖는 두상 형태의 헬멧이 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두부 보호 용도로 착용할 수 있고, 공기를 제거하면 부피가 작아져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튜브형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튜브형 헬멧을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물리/공간적으로 분할된 독립 셀 구조로 제조하지 않고, 단순히 하나의 튜브체 형태로 제조하더라도 마치 복수 개의 독립 셀 구조로 제조된 헬멧과 동일한 효과(즉, 외부충격에 의한 튜브 내 공기 유동 현상 방지)를 발휘할 수 있는 튜브형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헬멧은, 제1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주입시 전개되어 두상과 유사한 형태가 되는 두부 튜브부와; 제2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부 튜브부의 좌측에 상기 두부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좌측 튜브부; 및 제3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부 튜브부의 우측에 상기 두부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우측 튜브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공기충진 공간은 상호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좌측 튜브부는 상기 두부 튜브부의 좌측영역에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좌측 튜브부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은 각각 상기 두부 튜브부에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우측 튜브부는 상기 두부 튜브부의 우측영역에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측 튜브부의 제3 지점과 제4 지점은 각각 상기 두부 튜브부에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헬멧에 의하면, 공기를 주입하면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헬멧으로 착용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 착용감이 좋으며, 공기를 제거하면 부피가 작아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헬멧에 의하면, 튜브형 헬멧을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물리/공간적으로 분할된 독립 셀 구조로 제조하지 않고, 단순히 하나의 튜브체 형태로 제조하더라도 마치 복수 개의 독립 셀 구조로 제조된 헬멧과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두부 튜브부, 제1 좌측 튜브부, 제1 우측 튜브부가 마치 독립적으로 분할 셀과 같이 작용하여, 결국 헬멧에 외부충격이 가해져도 튜브 내 공기가 충격영역에서 타영역으로 이동하는 공기 유동 현상이 최대한 억제되어 충격에 대한 반항력이 증가하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헬멧의 안전성은 높일 수 있으면서도 헬멧을 단순히 하나의 튜브체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바, 단일 튜브체 외에는 별도의 구성 내지 부품이 필요하지 않고, 튜브형 헬멧 제조 공정이 상당히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금형비용, 제조공정수, 제조시간 등을 크게 감축할 수 있어 결국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헬멧의 공기 주입 전 하측 구조를 도시한 하면도.
도 2는 도 1의 A 방향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헬멧의 공기 주입 후 상측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
도 5는 도 4의 C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헬멧의 공기 주입 전 하측 구조를 도시한 하면도.
도 7은 도 1의 D 방향 단면도.
도 8은 도 1의 E 방향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헬멧의 공기 주입 후 상측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헬멧을 사용자 머리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착용 상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갖다" 등의 용어는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는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대상 부분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헬멧의 공기 주입 전 하측 구조를 도시한 하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방향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헬멧의 공기 주입 후 상측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C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헬멧은 두부 튜브부 (10), 제1 좌측 튜브부(20), 제1 우측 튜브부(30), 공기 주입구(93) 및 턱받침부(90,91)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끼움홈(70,71), 등화장치(72,73), 돌기부(60) 및 통기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헬멧은 내부 밀폐공간으로 공기주입시 팽창하여 부피가 커지고, 주입공기의 제거시 부피가 작아지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 튜브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는 착용자의 머리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두부 튜브부(10)와, 두부 튜브부(10)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 좌측 튜브부(20)와, 두부 튜브부(10)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1 우측 튜브부(30)를 포함한다.
두부 튜브부(10)는 주입 공기로 채워질 수 있는 밀폐 공간(이하, '제1 공기충진 공간'이라 함)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 주입시 부피가 커지며 전개되어 두상과 유사한 형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부 튜브부(10)는 공기 주입구(93)를 통해 외부공기가 제1 공기충진 공간으로 공급되고, 제1 공기충진 공간이 주입공기로 채워지면 상하로 전개되어 종국에는 반구, 타원형 반구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좌측 튜브부(20)는 주입 공기로 채워질 수 있는 밀폐 공간(이하, '제2 공기충진 공간'이라 함)이 형성되어 있고, 두부 튜브부(10)의 좌측영역에 두부 튜브부 (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길이방향'이란 두부 튜브부(10)의 뒤쪽(즉, 헬멧 착용자 머리 후방)에서 앞쪽(즉, 헬멧 착용자 머리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제1 좌측 튜브부(20)는 두부 튜브부(10)의 좌측영역에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제1 좌측 튜브부(20)의 제1 지점(21)과 제2 지점(22)은 각각 두부 튜브부 (10)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좌측 튜브부(20)는 두부 튜브부(10)의 좌측 길이방향 영역(이하, '좌측영역'이라 약칭함)과 대향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좌측 튜브부(20)는 두부 튜브부(10)의 좌측영역에 두부 튜브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좌측 튜브부(20)의 전술한 제1 지점(21)은 제1 좌측 튜브부(20)의 앞단부 지점이고, 제2 지점(22)은 제1 좌측 튜브부(20)의 뒷단부 지점일 수 있다. 상기 경우, 제1 좌측 튜브부(20)의 앞단부(21)와 뒷단부(22)는 두부 튜브부 (10)의 좌측영역의 앞단부와 뒷단부에 각각 접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두부 튜브부(10)의 좌측영역의 양단부(즉, 앞단부 및 뒷단부)와 제1 좌측 튜브부(20)의 양단부(즉, 앞단부 및 뒷단부; 21,22)는 '∥'모양으로 상호 밀착되며 접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두부 튜브부(10)의 좌측영역의 전술한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좌측영역과 제1 좌측 튜브부(20)의 양단부(21,22)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대략 '∨' 단면 모양의 구조(즉, 비접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확장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좌측 튜브부(20)는 제1 지점(21)(즉, 앞단부)과 제2 지점(22)(즉, 뒷단부)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지점이 두부 튜브부 (10)에 접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좌측 튜브부(20)의 제2 공기충진 공간은 두부 튜브부(10)의 제1 공기충진 공간과 상호 연통되어 있어, 제1 공기충진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시 해당 공기는 제1 공기충진 공간을 거쳐 제2 공기충진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우측 튜브부(30)는 주입 공기로 채워질 수 있는 밀폐 공간(이하, '제3 공기충진 공간'이라 함)이 형성되어 있고, 두부 튜브부(10)의 우측영역에 두부 튜브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제1 우측 튜브부(30)는 두부 튜브부(10)의 우측영역에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제1 우측 튜브부(30)의 제3 지점(31)과 제4 지점(32)은 각각 두부 튜브부 (10)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우측 튜브부(30)는 두부 튜브부(10)의 우측 길이방향 영역(이하, '우측영역'이라 약칭함)과 대향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우측 튜브부(30)는 두부 튜브부(10)의 우측영역에 두부 튜브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우측 튜브부(30)의 전술한 제3 지점(31)은 제1 우측 튜브부(30)의 앞단부 지점이고, 제4 지점(32)은 제1 우측 튜브부(30)의 뒷단부 지점일 수 있다. 상기 경우, 제1 우측 튜브부(30)의 앞단부(31)와 뒷단부(32)는 두부 튜브부(10)의 우측영역의 앞단부와 뒷단부에 각각 접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두부 튜브부(10)의 우측영역의 양단부(즉, 앞단부 및 뒷단부)와 제1 우측 튜브부(30)의 양단부(즉, 앞단부 및 뒷단부; 31,32)는 '∥'모양으로 상호 밀착되며 접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두부 튜브부(10)의 우측영역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우측영역과 제1 우측 튜브부(30)의 양단부(31,32)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대략 '∨' 단면 모양의 구조(즉, 비접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확장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우측 튜브부(30)는 제3 지점(31)(즉, 앞단부)과 제4 지점(32)(즉, 뒷단부)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지점이 두부 튜브부(10)에 접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우측 튜브부(30)의 제3 공기충진 공간은 두부 튜브부(10)의 제1 공기충진 공간과 상호 연통되어 있어, 제1 공기충진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시 해당 공기는 제1 공기충진 공간을 거쳐 제3 공기충진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두부 튜브부(10), 제1 좌측 튜브부(20) 및 제1 우측 튜브부 (30)는 PVC 등의 합성수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턱받침끈(90)은 두부 튜브부(10)를 두부에 착용시 헬멧이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턱받침부는 제1 좌측 튜브부(20)와 제2 우측 튜브부(50)에 일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턱받침끈(90)을 포함한다. 턱받침끈(90)의 양단부는 리벳 등의 결착수단을 통해 제1 좌측 및 제1 우측 튜브부(30)에 각각 결착될 수 있고, 벨크로, 걸림고리, 똑딱단추 등이 부착되어 턱받침끈(90)의 탈착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턱받침부는 턱받침끈(9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턱받침대(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턱받침대(91)는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시 착용자의 턱부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턱받침대(91)의 내면(즉, 착용자의 턱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다수 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턱받침대(91)의 냄변과 착용자의 턱 간에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끼움홈(70,71)은 두부 튜브부(10)에 등화장치(72,73)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두부 튜브부(10)의 제1 공기충진 공간에 공기를 주입시 두부 튜브부(10)의 내면보다 움푹 들어간 요홈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끼움홈(70,71)은 두부 튜브부(10)의 앞쪽 영역과 뒤쪽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등화장치(72,73)는 끼움홈(70,7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 고정되는 점등 내지 점멸 장치로서, 예컨대, 앞쪽 끼움홈(70)에 장착되는 등화장치(72)는 라이트 기능의 램프로 구성하고, 뒤쪽 끼움홈(71)에 장칙되는 등화장치(73)는 점멸 기능의 램프로 구성할 수 있다.
통기부(80)는 두부 튜브부(10)에 구멍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시 헬멧의 내측과 외측 간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구성이다.
통기부(8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60)는 제1 공기충진 공간에 공기 주입시, 두부 튜브부(10)의 내면 상에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돌기부(60)는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시 착용자 머리에 접촉되어 착용자 머리 상에 두부 튜브부(10)를 지지한다. 따라서, 두부 튜브부(10)의 돌기부(60)를 제외한 내면은 착용자 머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착용자 머리가 헬멧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더라도 헤어 스타일을 망가뜨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헬멧의 공기 주입 전 하측 구조를 도시한 하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D 방향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E 방향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헬멧의 공기 주입 후 상측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헬멧을 사용자 머리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착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헬멧은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되, 제1 실시예 대비 제2 좌측 튜브부(40)와, 제2 우측 튜브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좌측 튜브부(40)는 제4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좌측 튜브부(25)의 일측 길이방향 모서리부 측에 제1 좌측 튜브부(25)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제2 좌측 튜브부(40)는 제1 좌측 튜브부(25)의 일측 길이방향 모서리부에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제2 좌측 튜브부(40)의 제1' 지점(41)과 제2' 지점(42)은 각각 제1 좌측 튜브부(25)에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좌측 튜브부(40)는 제1 좌측 튜브부(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좌측 튜브부(40)의 전술한 제1' 지점(41)은 제2 좌측 튜브부(40)의 앞단부 지점이고, 제2' 지점(42)은 제2 좌측 튜브부(40)의 뒷단부 지점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좌측 튜브부(25)의 제1 지점(26)과 제2 지점(27)(즉, 앞단부 및 뒷단부)는 두부 튜브부(10)의 양단부(즉, 앞단부 및 뒷단부)에 '='모양으로 밀착되며 접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제2 좌측 튜브부(40)의 제1' 지점(41)과 제2' 지점(42)(즉, 앞단부 및 뒷단부)은 제1 좌측 튜브부(25)의 양단부(즉, 앞단부 및 뒷단부)에 '='모양으로 밀착되며 접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두부 튜브부(10)의 좌측영역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좌측영역과 제1 좌측 튜브부(25)의 양단부(27,27)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대략 '<' 모양의 단면 구조(즉, 비접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좌측 튜브부(25)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제2 좌측 튜브부(40)의 양단부(41,42)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대략 '>' 모양의 단면 구조(즉, 비접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확장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좌측 튜브부(40)는 제1' 지점(즉, 앞단부; 41)과 제2' 지점 (즉, 뒷단부; 42)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지점이 제1 좌측 튜브부(25)에 접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좌측 튜브부(40)의 제4 공기충진 공간은 제1 좌측 튜브부(25)의 제2 공기충진 공간과 상호 연통되어 있어, 제1 공기충진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시 해당 공기는 제1,2 공기충진 공간을 거쳐 제4 공기충진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제1 좌측 튜브부(25)는 두부 튜브부(10)의 내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제2 좌측 튜브부(40)는 두부 튜브부(10)의 외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좌측 튜브부(25)와 제2 좌측 튜브부(40)는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접철된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3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튜브형 헬멧은 제3 좌측 튜브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4 좌측 튜브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우, 제3 좌측 튜브부는 제2 좌측 튜브부(40)의 일측 길이방향 모서리부 측에 상기 제2 좌측 튜브부(4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4 좌측 튜브부는 제3 좌측 튜브부의 일측 길이방향 모서리부 측에 제3 좌측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경우, 제3 좌측 튜브부는 제2 좌측 튜브부(40)의 일측 모서리부에서 두부 튜브부(10)의 내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제4 좌측 튜브부는 제3 좌측 튜브부의 일측 모서리부에서 두부 튜브부(10)의 외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우측 튜브부(50)는 제5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우측 튜브부(35)의 일측 길이방향 모서리부 측에 제1 우측 튜브부(35)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제2 우측 튜브부(50)는 제1 우측 튜브부(35)의 일측 길이방향 모서리부에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제2 우측 튜브부(50)의 제3' 지점(51)과 제4' 지점(51)은 각각 제1 우측 튜브부(35)에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우측 튜브부(50)는 제1 우측 튜브부(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우측 튜브부(50)의 전술한 제3' 지점(51)은 제2 우측 튜브부(50)의 앞단부 지점이고, 제4' 지점(52)은 제2 우측 튜브부(50)의 뒷단부 지점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우측 튜브부(35)의 제3 지점(36)과 제4 지점(47)(즉, 앞단부 및 뒷단부)은 두부 튜브부(10)의 양단부(즉, 앞단부 및 뒷단부)에 '='모양으로 밀착되며 접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제2 우측 튜브부(50)의 제3' 지점(51)과 제4' 지점(52)(즉, 앞단부 및 뒷단부)은 제1 우측 튜브부(35)의 양단부(즉, 앞단부 및 뒷단부)에 '='모양으로 밀착되며 접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두부 튜브부(10)의 우측영역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우측영역과 제1 우측 튜브부(35)의 양단부(36,37)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대략 '>' 단면 모양의 구조(즉, 비접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우측 튜브부(35)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제2 우측 튜브부(50)의 양단부(51,52)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대략 '<' 단면 모양의 구조(즉, 비접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확장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우측 튜브부(50)는 제3' 지점(즉, 앞단부; 51)과 제4' 지점(즉, 뒷단부; 52)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지점이 제1 우측 튜브부(35)에 접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우측 튜브부(50)의 제5 공기충진 공간은 제1 우측 튜브부(35)의 제3 공기충진 공간과 상호 연통되어 있어, 제1 공기충진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시 해당 공기는 제1,3 공기충진 공간을 거쳐 제5 공기충진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제1 우측 튜브부(35)는 두부 튜브부(10)의 내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제2 우측 튜브부(50)는 두부 튜브부(10)의 외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우측 튜브부(35)와 제2 우측 튜브부(50)는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접철된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3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튜브형 헬멧은 제3 우측 튜브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4 우측 튜브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우, 제3 우측 튜브부는 제2 우측 튜브부(50)의 일측 길이방향 모서리부 측에 상기 제2 우측 튜브부(5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4 우측 튜브부는 제3 우측 튜브부의 일측 길이방향 모서리부 측에 제3 우측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경우, 제3 우측 튜브부는 제2 우측 튜브부(50)의 일측 모서리부에서 두부 튜브부(10)의 내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제4 우측 튜브부는 제3 우측 튜브부의 일측 모서리부에서 두부 튜브부(10)의 외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헬멧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제1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공기 주입구(93)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두부 튜브부(10)의 제1 공기충진 공간으로 주입되는 공기는 제1 좌측 튜브부(20)의 제2 공기충진 공간과 제1 우측 튜브부(30)의 제3 공기충진 공간으로도 유입된다.
공기 유입에 의해 두부 튜브부(10)가 팽창하게 되고, 동시에 제1 좌측 튜브부(20)와 제1 우측 튜브부(30)도 팽창하기 시작하며, 이후 공기가 충분히 주입되면 도 4와 같이 두부 튜브부(10), 제1 좌측 튜브부(20) 및 제1 우측 튜브부(30)가 전개되어 헬멧과 같은 형태가 된다.
공기 충전이 완료되면 공기 주입구(93)를 마개(95)로 닫고, 도 10과 같이 헬멧을 머리에 착용한 후, 해당 헬멧이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턱받침대(91)를 턱 아래에 위치시키고 턱받침끈(90)을 조절하여, 착용자 머리에 헬멧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공기 주입에 의해, 본 발명의 튜브형 헬멧이 최종적으로 헬멧 형태가 되었을 때를 살펴보면, 머리 튜부, 제1 좌측 튜브부(20) 및 제1 우측 튜브부(30)는 상호 연통되는 하나의 튜브체 형태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상호 분할된 복수 개의 독립 셀과 유사한 구조(즉, 두부 튜브부(10) 셀, 제1 좌측 튜브부(20) 셀, 제1 우측 튜브부(30) 셀)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튜브형 헬멧은 제1 좌측 튜브부(20)와 제2 우측 튜브부(50)는 전술한 접혀진 구조로 구성되고, 특히 제1 좌측 튜브부(20)의 양단부(21,22)와 제2 우측 튜브부(50)의 양단부(31,36)는 각각 두부 튜브부(10)에 접합된 구조로 구성됨에 기인한다.
결국, 본 발명의 튜브형 헬멧에 의하면, 튜브형 헬멧을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물리/공간적으로 분할된 독립 셀 구조로 제조하지 않고, 단순히 하나의 튜브체 형태로 제조하더라도 마치 복수 개의 독립 셀 구조로 제조된 헬멧과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튜브형 헬멧은 제1 좌측 튜브부(20)와 제1 우측 튜브부의 양단이 두부 튜브부(10)에 접합된 구조에 의해, 이들 내부 공간에 공기가 충진되면 제1 좌측 튜브부(20)와 제2 우측 튜브부(50)의 내부 공기압은 두부 튜브부(10)의 내부 공기압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두부 튜브부(10), 제1 좌측 튜브부(20), 제1 우측 튜브부(30)가 마치 독립적으로 분할된 셀과 같이 작용하여, 결국 헬멧에 외부충격이 가해져도 튜브 내의 공기가 충격영역에서 타영역으로 이동하는 공기 유동 현상이 최대한 억제되어 충격에 대한 반항력이 증가하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헬멧의 안전성은 높일 수 있으면서도 헬멧을 단순히 하나의 튜브체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바, 단일 튜브체 외에는 별도의 구성 내지 부품이 필요하지 않고, 튜브형 헬멧 제조 공정이 상당히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금형비용, 제조공정수, 제조시간 등을 크게 감축할 수 있어 결국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되, 다만 제1 실시예 대비 공기로 충진된 제2 좌측 튜브부(40)와 제2 우측 튜브부(50)가 더 형성되어, 마치 상호 독립적으로 분할된 5개의 셀 유사 구조(즉, 두부 튜브부(10) 셀, 제1 좌측 튜브부(25) 셀, 제2 좌측 튜브부(40) 셀, 제1 우측 튜브부(35) 셀, 제2 우측 튜브부(50) 셀)를 형성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 대비 두 개의 셀(제2 좌측 튜브부(40), 제2 우측 튜브부(50))이 더 형성되는 바, 공기 유동 억제 효과 및 안전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두부 튜브부 20, 25: 제1 좌측 튜브부
21, 26: 제1 지점 22, 27: 제2 지점
31, 36: 제3 지점 32, 37: 제4 지점
30, 35: 제1 우측 튜브부 40: 제2 좌측 튜브부
41: 제1' 지점 42: 제2' 지점
50: 제2 우측 튜브부 51: 제3' 지점
52: 제4' 지점 60: 돌기부
70, 71: 끼움홈 72, 73: 등화장치
80: 통기부 90: 턱받침끈
91: 턱받침대 93: 공기 주입구
95: 마개

Claims (12)

  1. 제1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주입시 전개되어 두상과 유사한 형태가 되는 두부 튜브부;
    제2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부 튜브부의 좌측에 상기 두부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좌측 튜브부; 및
    제3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부 튜브부의 우측에 상기 두부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우측 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공기충진 공간은 상호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제1 좌측 튜브부는 상기 두부 튜브부의 좌측영역에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좌측 튜브부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은 각각 상기 두부 튜브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우측 튜브부는 상기 두부 튜브부의 우측영역에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측 튜브부의 제3 지점과 제4 지점은 각각 상기 두부 튜브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2. 제1 항에 있어서,
    제4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좌측 튜브부 측에 상기 제1 좌측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좌측 튜브부; 및
    제5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우측 튜브부 측에 상기 제1 우측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우측 튜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공기충진 공간은 상호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제2 좌측 튜브부는 상기 제1 좌측 튜브부에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좌측 튜브부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은 각각 상기 제1 좌측 튜브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우측 튜브부는 상기 제2 우측 튜브부에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우측 튜브부의 제3' 지점과 제4' 지점은 각각 상기 제1 우측 튜브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측 튜브부는 상기 두부 튜브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제1 좌측 튜브부의 앞단부 지점이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좌측 튜브부의 뒷단부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측 튜브부는,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지점이 상기 두부 튜브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좌측 튜브부는 상기 제1 좌측 튜브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제2 좌측 튜브부의 앞단부 지점이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2 좌측 튜브부의 뒷단부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좌측 튜브부는,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지점이 상기 제1 좌측 튜브부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측 튜브부는 상기 두부 튜브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좌측 튜브부는 상기 두부 튜브부의 외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2 좌측 튜브부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접철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측 튜브부는 상기 두부 튜브부의 내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우측 튜브부는 상기 두부 튜브부의 외측방향으로 접혀진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2 우측 튜브부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접철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9.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튜브부는 상기 제1 공기충진 공간에 공기 주입시 요홈 구조의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 고정되는 등화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튜브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11.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튜브부를 사용자 머리에 착용시, 상기 두부 튜브부가 착용자 머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턱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12.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튜브부는,
    상기 제1 공기충진 공간에 공기 주입시, 상기 두부 튜브부의 내면 상에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헬멧.
KR1020200011737A 2020-01-31 2020-01-31 튜브형 헬멧 KR20210098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37A KR20210098041A (ko) 2020-01-31 2020-01-31 튜브형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37A KR20210098041A (ko) 2020-01-31 2020-01-31 튜브형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041A true KR20210098041A (ko) 2021-08-10

Family

ID=7731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737A KR20210098041A (ko) 2020-01-31 2020-01-31 튜브형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804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291A (ko) 2001-07-12 2003-01-23 정승원 헬멧
KR100566578B1 (ko) 2003-10-15 2006-03-30 함의신 멀티셀 튜브를 이용한 충격 흡수 헬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291A (ko) 2001-07-12 2003-01-23 정승원 헬멧
KR100566578B1 (ko) 2003-10-15 2006-03-30 함의신 멀티셀 튜브를 이용한 충격 흡수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117B2 (en) Ventilated air liner for a helmet
KR101081672B1 (ko) 안전헬멧용 두부보호체와 이러한 두부보호체를 구비한안전헬멧
US8566969B2 (en) Adjustable fitting helmet
KR102207958B1 (ko) 헬멧
US20140020158A1 (en) Multilayer impact attenuating insert for headgear
US20210085012A1 (en) Protective helmet comprising a mechanical sizer-adjusting system
US20100180362A1 (en) Adjustable fitting helmet
ES2859468T3 (es) Casco de seguridad con un forro interior cómodo ajustable
ES2732910T3 (es) Forro protector, casco que comprende dicho forro y su uso
JP6715846B2 (ja) スポーツ用、特にスキーをするときに使用する保護ヘルメット
US20160015111A1 (en) Impact-absorbing helmet
ES2702251T3 (es) Banda de soporte para la frente para cascos y casco provisto con dicha banda de soporte para la frente
KR102099555B1 (ko) 접이식 헬멧
US3486169A (en) Helmet combination suspension
US10595577B1 (en) Lewis helmet
KR20210098041A (ko) 튜브형 헬멧
KR102197046B1 (ko) 재난 보호용 헬멧
US9808043B2 (en) Protective fluidic-transfer helmet
KR20230001637U (ko) 인에어 헬멧
KR100406219B1 (ko) 헬멧
KR20150128363A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헬멧
CN210696153U (zh) 头盔的内缓冲结构
US10660391B2 (en) Helmet with floating brow band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KR101772773B1 (ko) 분리 가능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