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285B1 -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 Google Patents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285B1
KR101289285B1 KR1020120107769A KR20120107769A KR101289285B1 KR 101289285 B1 KR101289285 B1 KR 101289285B1 KR 1020120107769 A KR1020120107769 A KR 1020120107769A KR 20120107769 A KR20120107769 A KR 20120107769A KR 101289285 B1 KR101289285 B1 KR 101289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nstant velocity
shafts
velocity joint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덴
Priority to KR1020120107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285B1/ko
Priority to PCT/KR2013/007307 priority patent/WO20140512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0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in which the coupling is specially adapted to constant velocity-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등속 구동축은 각기 중공부가 형성되며, 요크를 갖는 제1 내지 제3 샤프트와, 제1 및 제2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며 2쌍의 동력 전달요소로 길이 조절하는 제1 등속 조인트와, 제2 및 제3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며 2개의 동력 전달 요소로 동력 전달을 수행하는 제2 등속 조인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등속 조인트는 일단에 중공부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일단에 중공부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중심축에 끼워지는 조절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중심축에 대해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조절축과, 중심축과 요크의 사이에 끼워져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링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Constant velocity joint and constant velocity driving shaf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터링 기능 및 축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한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적용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유니버셜 조인트는 현존하는 등속 조인트에 적용하여 센터링 및 지지장치의 한계로 인해 고속 및 고부하가 동시에 적용되는 조건에서 원활하게 작동되는 등속 조인트를 설계하는 점이 용이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유니버셜 조인트는 전달 토크가 크고 꺽임각이 큰 동력전달 체계에서는 기존 사용중인 프로펠러 축이나 등속조인트로는 꺽임 각과 전달 토크의 한계를 갖게 된다.
등속 조인트는 전달 토크가 비교적 낮은 승용차나 RV 차량에 적용되며, 전달 토크가 큰 중,대형 트럭 및 버스는 프로펠러 축이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등속 조인트는 동력전달의 정숙성 꺽임 각 등이 우수하지만, 전달 토크가 적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0093호(특허문헌 1)는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 사이의 각속도의 동등한 순간 전달을 위한 조건들이 제어 기구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정속커플링으로서, 상기 제1 샤프트의 제1 샤프트 회전축선, 상기 제2 샤프트의 제2 샤프트 회전축선, 제어기구, 상기 제2 샤프트 회전축선에 수직한 축선을 가지며, 제1 샤프트 제어 핀을 구비하는 제1 샤프트 보스, 및 제2 샤프트 제어 핀을 구비하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의 제2 샤프트 요크로서, 상기 제2 샤프트 제어 핀의 축선, 상기 제2 샤프트 회전축선 및 상기 제2 샤프트 요크의 저어널에 의해 형성되는 축선이 상기 커플링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교차하고, 상기 제어기구가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의 사이에서 일정한 속도 특성을 얻도록 커플링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짐벌 기구(gimbal mechanism)에 의해 출력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입력 샤프트를 갖는 정속 조인트가 제공되므로, 상기 정속 조인트는 입력 축선과 출력 축선에 대해 상기 짐벌 기구를 구속하는 기계식 제어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시 입력 샤프트와 출력 샤프트 사이의 예정된 각도 범위에 걸쳐 정속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30093호(등록일:2009.11.27)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등속 조인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큰 토크 및 각도 변위를 얻을 수 있는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속유지를 위한 조절장치를 설치하므로 동력 전달시 등속성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는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볼 대신 핀을 이용하게 되므로 보다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으며, 아울러 향상된 내구성과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는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여전히 다른 목적은 단순한 원리와 구조에 의해 동작하게 되고 아울러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므로 각도 변위를 넓게 할 수 있는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등속 구동축은 일단에 중공부(hallow portion)가 형성되며, 제1 요크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양단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2 요크 및 제4 요크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일단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3 요크를 갖는 제3 샤프트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사이와 상기 제2 및 제3 샤프트 사이에는 각각 동력전달부와 조절부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등속 조인트(A형 및 B형)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1,A2,A3)의 동력전달부는 길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지고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1,B2,B3)의 동력전달부는 중심이 고정되는 복수개의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지고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등속 조인트는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중심축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조절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조절부재에 각기 연결되며,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조절축과; 중심축과 요크의 사이에 끼워져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링크 또는 고정 중심점을 갖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조절부재는 중심축을 따라 회전 및 미끄럼 운동하고 제1 및 제2 조절축은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등속 구동축은 복수개의 샤프트의 사이에 제1 및 제2 등속조인트를 설치함에 의해 구동의 등속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구동축의 길이 변화에도 순응하여 충격도 완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은 등속 조인트의 조절축이 샤프트의 중공부의 내측을 이동하면서 중심축의 변위 없이도 안정되게 이동하므로 전달 토크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링크가 이동 가능하므로 구동축의 길이변화에 순응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은 샤프트와 샤프트 사이의 꺽임 각도도 넓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속 구동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속 구동축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속 구동축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는 제1 등속 조인트(A1)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제2 등속 조인트(B1)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제1 등속 조인트(A2)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는 제2 등속 조인트(B2)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제1 등속 조인트(A3)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제2 등속 조인트(B3)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제2 등속 조인트(B1)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등속 조인트 및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속 구동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샤프트(10,20,60)와, 제1 등속 조인트(first constant velocity joint)(A1) 및 제2 등속 조인트(second constant velocity joint)(B1)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 샤프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중공부(hallow portion)(14)가 형성되며, 제1 요크(first yoke)(12)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샤프트(20)는 제1 샤프트(10)와 유사하게 양단에 중공부(24)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제2 요크(second yoke)(22)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이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4 요크(fourth yoke)(82)가 설치된다. 또한, 제3 샤프트(60)는 일단에 중공부(64)가 형성되며, 제3 요크(third yoke)(6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 등속 조인트(first constant velocity joint)(A1)는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10,20)의 사이에 설치되며, 동력 전달부와 조절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길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링크로써, 상기 링크는 후술하게 되는 제1 내지 제4 링크(50,52,54,56)이다. 상기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샤프트(10,20)의 중공부(14,24)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제1 및 제2 조절축(16,26)과, 제1 중심축(30)에 각기 끼워지는 조절부재(42,43)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 중심축(30)에는 베어링(111)을 끼우고 조절부재(42,43)를 끼우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중심축(30)은 제1 및 제2 샤프트(10,20)의 중심축(도시되지 않음)의 교점을 지나며 각을 이등분하는 축이다. 그리고, 제1 중심축(30)과 관련하여 마찰이 발생되는 부분에는 레이디얼 베어링, 드러스트 베어링, 니들 베어링 등의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의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하게 된다.
제1 등속 조인트(A1)의 동력 전달부에서, 복수개의 링크(50,52,54,56)는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연결부재(link connecting member) (40,44,41,45)에 각기 연결되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링크(50,52)는 링크 연결부재(40,44)와 제1 요크(12)에 핀(8)에 의해 연결되고, 다른 한 쌍의 링크(54,56)는 링크 연결부재(41,45)에 핀(8)에 의해 연결된다.
제1 등속 조인트(A1)의 조절부에서, 제1 및 제2 조절축(16,26)은 제1 및 제2 샤프트(10,20)의 중공부(14,2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16,26)은 일측이 제1 중심축(30)에 삽입된 조절부재(42,43)에 끼워지고, 타측이 제1 및 제2 샤프트(10,20)의 중공부(14,24)에 삽입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16,26)은 후술하는 제1 내지 제4 링크(50,52,54,56)의 이동에 상응하여 제1 및 제2 샤프트(10,20)의 중공부(14,24)내에서 각기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등속 조인트(A1)의 조절부에서, 조절부재(42,43)는 제1 중심축(centering shaft)(30)에 끼워지고, 아울러 링크 연결부재(40,44,41,45)도 제1 중심축(centering shaft)(30)에 조절부재(42,43)와 간격을 두고 끼워지게 된다. 상기 조절부재(42,43)에는 제1 및 제2 조절축(16,26)이 끼워지고, 조절부재(40,44)에는 제1 및 제2링크(50,52)가 끼워지며, 조절부재(41,45)에는 제3 및 제4 링크(54,56)가 끼워지게 된다. 즉, 제1 및 제2 링크(50,52)는 조절부재(40,44)와 제1 요크(12)의 사이에 끼워지고, 제3 및 제4링크(54,56)는 조절부재(41,45)와 제2 요크(22)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므로 제1 샤프트(10)와 제2 샤프트(20) 사이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등속 조인트(A1)는 제1 샤프트(10)에 동력이 전달되게 되면, 제1 및 제2 링크(50,52)가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제1 조절축(16)이 제1 샤프트(10)의 중공부(14)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링크(54,56)는 제1 및 제2 링크(50,52)의 이동에 상응하여 이동하게 되고, 제2 조절축(26)도 제1 조절축(16)에 상응하여 제2 샤프트(20)의 중공부(24)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링크(50,52)는 2쌍의 링크 연결부재(40,44;41,45)에 의해 제3 및 제4 링크(54,56)와 연결되고, 제1 및 제2 조절축(16,26)이 제1 중심축(30)에 끼워진 조절부재(42,43)에 각기 끼워지므로 상기 제1 및 제2 링크와, 2쌍의 링크 연결부재의 연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16,26)은 제1 내지 제4 링크(50,52,54,56)의 동작시 제1 및 제2 샤프트(10,20)의 중공부(14,24)내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링크(50,52)와 제3 및 제4 링크(54,56)는 제1 중심축(30)의 외측으로 설치된 링크 연결부재(40,44;41,45)에 설치되므로 폭을 넓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절축(16,26)은 조절부재(42,43)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샤프트(10,20)의 중공부(14,24)내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되게 제1 및 제2 샤프트(10,20)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16,26)은 제1 중심축(30)에 대해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하며 아울러 제1 및 제2 샤프트(10,20)의 중공부(14,24)내에서 좌,우로 미끄럼 이동되게 된다.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및 제2 샤프트(10,20)만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2 샤프트(20)의 타측(타단)에 설치된 제4 요크(82)는 배제하고 사용하게 된다. 참고로, 후술하게 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등속 조인트에서 등속조인트는 2개의 샤프트의 사이에 설치하게 되므로 샤프트에 대한 기수 인용(제1샤프트 내지 제6 샤프트)에 대하여 다른 샤프트라고 간주하지 않기를 바란다.
한편, 상기 제2 등속 조인트(second constant velocity joint)(B1)는 동력 전달부 및 조절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1)에서, 동력 전달부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이 고정되는 2개의 동력전달부재 즉, 내측부재(90) 및 외측부재(92)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내측 부재(inner member)(90)는 제2 샤프트(20)의 제4 요크(82)에 피봇되게 연결되고, 상기 외측 부재(outer member)(92)는 제3 샤프트(60)의 제3 요크(62)에 피봇되게 연결된다. 상기 내측 및 외측부재(90,92)에는 소정 거리를 두고 제2 중심축(70)이나 핀(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어(93,95)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중심은 내측부재(90) 및 외측부재(92)를 2개의 축으로 연결할 경우 2개의 축의 교점을 의미한다.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1)에서,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샤프트(20,60)의 중공부(24,64)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36,66)과 조절부재(72,74)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조절부의 제3 및 제4 조절축(36,6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샤프트(20,60)의 중공부(24,64)에 이동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조절부재(72,74)에는 제2 중심축(70)이 끼워지고, 상기 조절부재(72,74)에는 제3 및 제4 조절축(36,66)이 각기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제3 및 제4 조절축(36,66)은 일측이 제2 중심축(70)에 삽입된 조절부재(72,74)에 끼워지고, 타측이 제2 및 제3 샤프트(20,60)의 중공부(24,6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2 중심축(70)에도 전술한 제1 중심축(30)과 마찬가지로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베어링(111)을 끼우고 조절부재(72,74)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제2 중심축(70)은 제2 및 제3 샤프트(20,60)의 중심축(도시되지 않음)의 교점을 지나며 각을 이등분하는 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등속 조인트(B1)는 제2 중심축(70)에 한 쌍의 조절부재(72,74)가 삽입되고, 조절부재(72,74)에 제3 및 제4 조절축(36,66)이 끼워지게 되므로 제3 및 제4 조절축(36,66)은 제2 중심축(70)에 대해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절부재(72,74)가 제2 중심축(70)에 끼워지게 되므로 제3 및 제4 조절축(36,66)의 이동시 상기 조절부재(72,74)는 제2 중심축(70)에 대하여 회전 및 미끄럼 운동하게 되므로 제3 및 제4 조절축(36,66)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절부의 제3 및 제4 조절축(36,66)은 2자유도 운동 및 미끄럼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1)는 전술한 제1 등속 조인트(A1)의 복수개의 링크 및 링크 연결부재를 줄이기 위하여 동일한 구조의 외측 부재(92) 및 내측 부재(90)를 적용하여 전체적인 부재의 수를 줄여 간단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외측 부재(92)는 제3 샤프트(60)의 제3 요크(62)에 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3 샤프트(6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내측부재(90)는 제2 샤프트(20)의 제4 요크(82)에 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고 제2 샤프트(2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중심축(70)을 중심으로 상기 내측 부재(90) 및 외측 부재(92)가 연결되므로 별도의 구성요소가 요구되지 않게 된다. 즉, 내측 부재(90) 및 외측 부재(92)는 각기 핀(도시되지 않음)과 제2 중심축(70)에 연결된다.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 및 제3 샤프트(20,60)만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2 샤프트(20)의 일측에 설치된 제2 요크(22)는 배제하고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 샤프트는 단순히 샤프트들의 구분을 위하여 사용한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2개의 샤프트(즉, 제1 및 제2 샤프트)로 명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1)는 동력전달 원리적으로 제2 등속 조인트(B1)와 동일하지만, 거리 조절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동력전달부에서 2개의 동력전달부재 대신 2쌍의 링크(링크부재)로 대체한 형태이다. 따라서, 중심점이 고정된 단순한 형태의 제2 등속조인트를 중심으로 등속 동력전달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등속 조인트(B)는 도 2,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위치한 제2 중심축(70)에 설치된 한 쌍의 조절부재(72,74)는 제2 중심축(70)상에서 각각 2자유도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제3 및 제4 조절축(36,66)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조절부재(72,74)는 서로 구속된 상태에서 제2 중심축(70)을 따라 회전 및 미끄럼 운동을 하며, 상기 조절부재(72,74)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2 및 제3 샤프트(20,60)의 중공부(24,64)를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배치된 제2 등속 조인트(B1)의 조절부는 제2 중심축(70)을 중심으로 양측에 연결 배치된 동력 전달부재(내측부재(90) 및 외측부재(92))와 제2 및 제3 샤프트(20,60)가 기하학적으로 대칭인 형태로 유지되도록 구속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및 제3 샤프트(20,60)가 어떤 각도를 이루든지 상관없이 2개의 샤프트 및 연결된 모든 부재들은 제2 중심축(70)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태이므로 각 부위는 항상 같은 대응 위치와 마주보게 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심축(70)(도2 참조)의 중심을 센터라인(CL: Center Line)이라고 가정하고, 상기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제2 샤프트(20)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3 샤프트(60)를 임의의 각도로 이동시켜도 2개의 샤프트(중심선이 도시됨) 및 연결된 모든 부재들이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므로 각 부위는 대응 부위와 항상 같은 위치에서 마주보게 된다(즉, 도 13에서, 제2 샤프트(20)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 등속 조인트(B1)의 제3 샤프트(30)를 화살표(AR1) 내지 화살표(AR3) 단계와 같이 임의의 각도로 이동시켜도 각 부위는 대응 부위와 항상 같은 위치에서 마주보게 된다). 참고로, 도 13에서 SL1 및 SL2는 제2 및 제3 샤프트(20,60)의 센터라인이다.
그러므로, 상기 2개의 샤프트(제2 및 제3 샤프트(20,60)) 중 하나의 샤프트를 입력축으로 회전시키면 타측의 샤프트도 입력축의 대응 위치를 따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출력축이 된다.
이러한 원리는 본 발명의 모든 등속 조인트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기하학적 기본 원리로서 임의의 각도를 갖는 2개의 축 간의 동력전달의 등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부를 구성한 배경이 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속 구동축을 도 3,도 4, 도 9 및 도 10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속 구동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샤프트(10a,20a,160)와, 제1 등속 조인트(first constant velocity joint)(A2)와, 제2 등속 조인트(second constant velocity joint)(B2)로 크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 샤프트(10a)는 일단에 중공부(14a)가 형성되며, 제1 요크(12a)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샤프트(20a)는 제1 샤프트(10a)와 유사하게 양단에 중공부(24a)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제2 요크(22a)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이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4 요크(82a)가 설치된다. 또한, 제3 샤프트(160)는 일단에 중공부(164)가 형성되며, 제3 요크(16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2)는 전술한 제1 등속 조인트(A1)와 유사하게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10a,20a)의 사이에 설치되며, 동력 전달부와 조절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등속 조인트(A1)와의 차이점은 상기 제1 요크(12a) 및 제2 요크(22a)에 각기 한 쌍이 아닌 한 개의 핀(도시되지 않음)으로 링크를 동축에 설치하여 공간을 활용하는 점에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길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링크로써, 상기 링크는 후술하게 되는 제1 내지 제4 링크(50a,52a,54a,56a)이다. 상기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샤프트(10a,20a)의 중공부(14a,24a)를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조절축(16a,26a)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두 부분(30a,31a)으로 이루어진 제1 중심축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조절부재(42a,43a)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 등속 조인트(A2)의 동력 전달부에서, 복수개의 링크(50a,52a,54a,56a)는 도 3,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연결부재(40a,44a,41a,45a)에 각기 연결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링크(50a,52a)는 링크 연결부재(40a,44a)와 제1 요크(12a)에 핀(8)에 의해 연결되고, 다른 한 쌍의 링크(54a,56a)는 링크 연결부재(41a,45a)에 핀(8)에 의해 연결된다.
제1 등속 조인트(A2)의 조절부에서, 조절부재(42a,43a)는 제1 중심축(30a,31a)에 끼워지고, 아울러 링크 연결부재(40a,44a,41a,45a)도 제1 중심축(30a,31a)에 끼워진 조절부재(42a,43a)와 간격을 두고 끼워지게 된다. 상기 제1 중심축(30a,31a)에 끼워진 복수개의 조절부재(42a,43a)의 사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립링(35a,35b)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조절부재(42a,43a)에는 제1 및 제2 조절축(16a,26a)이 끼워지고, 조절부재(40a,44a)에는 제1 및 제2링크(50a,52a)가 끼워지며, 조절부재(41a,45a)에는 제3 및 제4 링크(54a,56a)가 끼워지게 된다. 즉, 제1 및 제2 링크(50a,52a)는 조절부재(40a,44a)와 제1 요크(12a)의 사이에 끼워지고, 제3 및 제4링크(54a,56a)는 조절부재(41a,45a)와 제2 요크(22a)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므로 제1 샤프트(10a)와 제2 샤프트(20a) 사이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및 제2 샤프트(10a,20a)만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2 샤프트(20a)의 타측에 설치된 제4 요크(82a)는 배제하고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등속 조인트(A2)는 제1 실시예의 제1 등속 조인트(A1)와 동작 관계가 유사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 등속 조인트(B2)는 제2 및 제3 샤프트(20a,160)의 사이에 설치되며, 동력전달부와 조절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2)의 동력전달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이 고정되는 2개의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서로 다른 구조의 링형부재(ring-type member)(180)와 십자형 부재(170)이다.
상기 링형 부재(180)는 제3 샤프트(160)의 요크(162)에 피봇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링형 부재(18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십자형 부재(170)를 끼우기 위한 복수개의 보어(183)가 형성된다. 상기 십자형 부재(170)는 링형 부재(180)의 보어(183)에 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2)의 조절부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샤프트(20a,160)의 중공부(24a,164)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제5 및 제6 조절축(136,166)과, 십자형 부재(170)에 설치된 조절부재(172,174)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십자형 부재(170)의 한 개의 축이 중심축의 역할을 수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5 및 제6 조절축(136,166)은 제2 및 제3 샤프트(20a,160)의 중공부(24a,164)에 좌,우로 이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5 및 제5 조절축(136,166)은 절곡된 형태이고, 십자형 부재(170)에 설치된 조절부재(172,174)에 각기 연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조절부재(172,174)는 십자형 부재(170)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십자형 부재(170)는 일측이 제2 샤프트(20a)의 제4 요크(82a)에 연결되고, 타측이 링형 부재(18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등속 조인트(B2)는, 십자형 부재(170)의 일축에 한 쌍의 조절부재(172,174)가 삽입되고, 조절부재(172,174)에 제5 및 제6 조절축(136,166)이 끼워지게 되므로 제5 및 제6 조절축(136,166)은 전술한 제2 등속 조인트(B1)와 유사하게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재(172,174)는 십자형 부재(170)의 일측에 끼워지게 되므로 제5 및 제6 조절축(136,166)의 이동시 조절부재(172,174)는 십자형 부재(170)의 일축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므로 제5 및 제6 조절축(136,166)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2)는 전술한 제2 등속 조인트(B1)의 제2 중심축(70)과 내측부재(90) 대신에 십자형 부재(170)를 적용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제2 등속 조인트(B2)의 다른 동작관계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 및 제3 샤프트(20a,160)만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2 샤프트(20a)의 일측에 설치된 제2 요크(22a)는 배제하고 사용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게 되는 개별적인 등속 조인트에서는 모두 상기와 같이 적용하게 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속 구동축을 도 5, 도 6, 도 11 및 도 12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속 구동축은 제1 내지 제3 샤프트(310,420,560)와, 제1 등속 조인트(A3)와, 제2 등속 조인트(B3)로 크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 샤프트(310)는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일측)에 중공부(hallow portion)(314)가 형성되며, 제1 요크(3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 샤프트(420)는 양단에 중공부(424)가 형성되며, 제2 및 제 4 요크(422,462)를 구비한다. 또한, 제3 샤프트(560)는 일단에 중공부(564)가 형성되며, 제3 요크(56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3)는 제1 및 제2 샤프트(310,410)의 사이에 설치되며, 동력전달부와 조절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 등속 조인트(A3)의 동력전달부는 길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링크 및 연결링크로 이루어지고,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진다.
제1 등속 조인트(A3)에서, 동력전달부의 복수개의 링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링크(351,352,361,362)이고, 복수개의 연결링크는 제1 및 제2 연결링크(350,360)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3 링크(351,361)는 제1 연결링크(350)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및 제4 링크(352,362)는 제2 연결링크(360)에 의해 연결된다.
제1 및 제2 링크(351,352)는 조절부재(342)와 제1 요크(312)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3 및 제4 링크(361,363)는 조절부재(343)와 제2 요크(412)의 사이에 설치되므로 제1 샤프트(310)와 제2 샤프트(410) 사이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4 연결링크(350,360)는 중심축(330)에 삽입되도록 원통부(355,365)가 각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링크 (351,352,361,362) 및 제1 및 제2 연결링크(350,360)는 중심축(330)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핀 (381,382, 383,391, 392,393) (581,582, 583,591, 592,593)에 의해 각기 연결되게 된다.
제1 등속 조인트(A3)에서, 조절부의 조절축(316,326)은 중심축(330)에 끼워진 복수개의 조절부재(342,343)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조절축(adjusting shaft)(316,326)은 제1 및 제2 샤프트(310,410)의 중공부(314,42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복수개의 조절부재(adjusting members)(342,343)는 중심축(330)에 간격을 두고 끼워지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링크 연결부재(link connecting members)(332,334)는 조절부재(342,343)와 간격을 두고 중심축(330)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중심축(330)은 제1 샤프트(310) 및 제2 샤프트(410)의 중심축(도시되지 않음)의 교점을 지나며 각을 이등분하는 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등속 조인트(A3)에서, 제1 샤프트(310)에 동력이 전달되게 되면, 제1 및 제2 링크(351,352)가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조절축(316)이 제1 샤프트(310)의 중공부(314)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링크(361,362)는 제1 및 제2 링크(351,352)의 이동에 상응하여 이동하게 되고, 조절축(326)도 조절축(316)에 상응하여 제2 샤프트(410)의 중공부(424)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351,352)와 제3 및 제4 링크(361,362)는 중심축(330)에 끼워진 제1 연결링크(350) 및 제4 연결링크(360)에 상호 복수개의 핀(381,382,383,391,392,393) 및 핀(581,582,583,591,592,593)에 의해 연결되므로 안정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축(316,326)은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342,343)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샤프트(310,410)의 중공부(314,424)내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되게 제1 및 제2 샤프트(310,410)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축(316,326)은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하며 아울러 제1 및 제2 샤프트(310,410)의 중공부(314,424) 내에서 좌,우로 미끄럼 이동되게 된다.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및 제2 샤프트(310,410)만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2 샤프트(410)의 타단(타측)에 설치된 제2 요크(462)는 배제하고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3)는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샤프트(410,560)의 사이에 설치되며, 동력전달부와 조절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중심이 고정되는 동력 전달부재로서, 링형부재(480)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샤프트(410,560)의 중공부(424,564)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조절축(426,526)은 제2 및 제3 샤프트(410,560)의 중공부(424,56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축(426,526)은 십자형 부재(470)에 연결된 복수개의 조절부재(472,574)에 각기 연결된다. 여기서, 조절부재(472,574)는 십자형 부재(470)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링형부재(480)는 제3 샤프트(560)의 제3 요크(562)에 핀(492,492)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부위에는 복수개의 보어(495)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조절부재(472,574)는 1개의 연결부(476)를 갖는 제1 조절부재(472)와, 2개의 연결부(576,578)를 갖는 제2 조절부재(57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조절부재(574)의 2개의 연결부(576,578)의 사이에 제1 조절부재(472)의 1개 연결부(476)가 삽입되어 십자형 부재(470)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십자형 부재(470)는 일측이 제2 샤프트(410)의 제4요크(462)에 핀(482,484)에 의해 연결되고, 타측이 분할축(442,444)을 끼워서 링형 부재(480)에 연결된다. 즉, 십자형 부재(470)는 직교하는 2개의 축을 가지고, 1개의 축은 제2 샤프트(410)의 제4요크(462)에 끼워지고, 다른 1개의 축은 링형부재(48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등속 조인트(B3)에서, 십자형 부재(470)의 일측에는 한 쌍의 조절부재(472,574)가 삽입되고, 조절부재(472,574)에는 조절축(426,526)이 끼워지게 되므로 조절축(426,526)은 자유롭게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조절축(426,526)은 제2 및 제3 샤프트(410,560)의 중공부(424,564)내에서 미끄럼 이동을 할 수 있게 구성되므로 2자유도 운동 및 미끄럼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한편, 제2 등속 조인트(B3)의 다른 동작 관계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제2 등속 조인트(B2)와 거의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등속 구동축에 대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각기 2개씩 6개의 등속 조인트(3 종류의 제1 등속 조인트(A1,A2,A3) 및 3 종류의 제2 등속 조인트(B1,B2,B3))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6개의 등속 조인트의 위치는 서로 바꿔서도 사용할 수도 있고, 동일 종류의 등속 조인트가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임의의 A형 하나와 B형 하나를 짝을 지어 등속 조인트를 구성할 수 있으며, A형과 A형 또는 B형과 B형을 짝을 지어 등속 조인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B형 한 쌍을 이용하여 등속 구동축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축 길이의 조절을 위하여 별도의 미끄럼 요소를 필요로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하여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은 자동차 분야는 물론 동력을 전달하는 메카니즘을 갖는 다양 기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10: 제1 샤프트 14: 중공부
16: 제1 조절축 20: 제2 샤프트
24: 중공부 26: 제2 조절축
30: 제1 중심축 36: 제3 조절축
42,43: 조절부재 50,52,54,56: 제1 내지 제4 링크
60: 제3 샤프트 66: 제4 조절축
70: 제2 중심축 72,74: 조절부재
90: 내측부재 92: 외측부재
170: 십자형 부재 172,174: 조절부재
280: 링형부재 A1,A2,A3: 제1 등속 조인트
B1,B2,B3: 제2 등속 조인트

Claims (31)

  1. 제1 요크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제2 요크 및 제4 요크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제3 요크를 갖는 제3 샤프트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사이와 상기 제2 및 제3 샤프트 사이에는 각각 동력전달부와 조절부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등속 조인트(A1,B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1)의 동력전달부는 길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지고,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1)의 동력전달부는 중심이 고정되는 2개의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지고,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 동력전달부재중 1개의 동력전달부재는 제2 및 제3 요크 중의 1개의 요크와 다른 1개의 동력전달부재에 직교되는 2개의 축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며, 동력전달부재의 중심은 2개의 축의 교점인 것을 특징으로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1)의 조절부의 조절축은 제1 및 제2 조절축으로 이루어지고, 조절부의 조절부재는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심축의 교점을 지나며 각을 이등분하는 제1 중심축에 대칭으로 연결되어 제1 중심축에 대해 회전 및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은 일측이 제1 중심축에 베어링을 끼워 삽입 설치된 조절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 삽설되어 미끄럼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1)의 동력 전달부의 중심이 고정되는 2개의 동력 전달부재는 내측부재 및 외측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1)의 조절부의 조절축은 제3 및 제4 조절축으로 이루어지며, 조절부의 조절부재는 제2 및 제3 샤프트의 중심축의 교점을 지나며 각을 이등분하는 제2 중심축에 대칭으로 연결되어 제2 중심축에 대해 회전 및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조절축은 일측이 제2 중심축에 베어링을 끼우고 삽입 설치된 조절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및 제3 샤프트의 중공부에 삽설되어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7. 일단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1 요크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양단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2 요크 및 제4 요크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일단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3 요크를 갖는 제3 샤프트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사이와 상기 제2 및 제3 샤프트 사이에는 각각 동력전달부와 조절부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등속 조인트(A2, B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2)의 동력전달부는 길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지고,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2)의 동력전달부는 링형 부재와 십자형 부재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지고,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2)의 조절부의 복수개의 조절축은 제1 및 제2 조절축이며,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은 제1 중심축에 대칭으로 끼워진 복수개의 조절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2)의 조절부의 복수개의 조절축은 제5 및 제6 조절축이고, 상기 제5 및 제6 조절축은 십자형 부재의 일측에 설치된 조절부재에 각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11. 일단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1 요크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양단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2 및 제4 요크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일단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3 요크를 갖는 제3 샤프트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사이와 상기 제2 및 제3 샤프트 사이에는 각각 동력전달부와 조절부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등속 조인트(A3,B3)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3)의 동력전달부는 길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링크 및 연결링크로 이루어지고,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3)의 동력전달부는 링형 부재와 십자형 부재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지고, 조절부는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3)의 복수개의 조절축은 십자형 부재에 연결된 복수개의 조절부재에 각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3)의 조절부의 조절축은 링크 연결부재에 수직으로 배치된 중심축에 끼워진 복수개의 조절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중심축은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심축의 교점을 지나며 각을 이등분하는 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속 조인트(A3)의 동력전달부의 복수개의 링크는 제1 내지 제4 링크이고, 복수개의 연결링크는 제1 및 제2 연결링크이며, 상기 제1 및 제3 링크는 제1 연결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및 제4 링크는 제2 연결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링크는 중심축에 삽입되도록 원통부가 각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링크는 중심축에 끼워진 제1 및 제2 연결링크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핀에 의해 각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등속 조인트(B3)의 조절부의 복수개의 조절축은 십자형 부재에 설치된 복수개의 조절부재에 각기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재는 각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부재는 일측이 제2 샤프트의 제2요크에 연결되고, 타측이 분할축을 끼워서 링형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19.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제1 중심축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조절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조절부재에 각기 연결되며, 제1 중심축에 대하여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조절축과;
    제1 중심축과 요크의 사이에 끼워져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중심축은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심축의 교점을 지나며 각을 이등분하는 축이며,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은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크는 제1 중심축에 끼워진 복수개의 링크 연결부재에 각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
  21.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요크에 피봇되게 연결되는 외측부재와;
    상기 제2 샤프트의 요크에 피봇되게 연결되며, 제2 중심축에 삽입 설치되는 내측부재와;
    제2 중심축에 끼워지는 한 쌍의 조절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제2 중심축에 대하여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조절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중심축은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심축의 교점을 지나며 각을 이등분하는 축이며,
    상기 내측부재는 외측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은 한 쌍의 조절부재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절부재는 제2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 및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
  23. 중공부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중공부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의 사이의 교점을 지나며 각을 이등분하는 중심축에 끼워지는 한 쌍의 조절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조절부재에 연결되어 중심축에 대해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조절축과;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의 사이에 끼워져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은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사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립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
  25.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중의 어느 하나의 요크에 피봇되게 연결되는 링형 부재와;
    십자형 부재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조절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복수개의 조절부재에 연결되어 십자형 부재의 일측에 대해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조절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은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
  26.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내측에 중공부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내측에 중공부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제1 및 제2 샤프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중심축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중심축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연결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중심축에 대해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조절축과;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 사이에 끼워져서 길이를 조정하는 복수개의 링크와;
    상기 복수개의 링크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연결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중심축은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심축의 교점을 지나며 각을 이등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은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
  27. 삭제
  28.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내측에 중공부를 갖는 제1 샤프트와;
    일측에 요크가 형성되며, 내측에 중공부를 갖는 제2 샤프트와;
    직교하는 2개의 축을 가지며, 그 중 1개의 축이 제1 샤프트의 요크에 끼워지는 십자형 부재와;
    상기 십자형 부재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조절부재와;
    직교하는 2개의 축을 가지며, 그 중 1개의 축은 제2 샤프트의 요크에 연결되고, 다른 1개의 축은 십자형 부재의 다른 축에 연결되는 링형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십자형 부재의 일축에 대해 2자유도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조절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조절축은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
  29. 삭제
  30. 내측에 중공부(hallow portion)가 형성되며, 요크(yoke)를 갖는 제1 샤프트와;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요크(yoke)를 갖는 제2 샤프트와;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요크(yoke)를 갖는 제3 샤프트와;
    상기 제1 내지 제3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등속 조인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등속 조인트는 각각 길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조절부를 갖는 제1 등속조인트(A1)와; 중심이 고정되는 2개의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조절부를 갖는 제2 등속조인트(B1)와; 길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조절부를 갖는 제1 등속조인트(A2)와; 링형 부재와 십자형 부재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조절부를 갖는 제2 등속조인트(B2)와; 길이 조절되는 복수개의 링크 및 연결링크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조절부를 갖는 제1 등속조인트(A3)와; 링형 부재와 십자형 부재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등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샤프트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조절축과 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조절부를 갖는 제2 등속조인트(B3) 중의 어느 한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31. 내측에 중공부(hallow portion)가 형성되며, 요크(yoke)를 갖는 제1 샤프트와;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요크(yoke)를 갖는 제2 샤프트와;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요크(yoke)를 갖는 제3 샤프트와;
    상기 제1 내지 제3 샤프트 사이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며, 제1 내지 제3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19항 내지 제26항,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등속 조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 조인트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KR1020120107769A 2012-09-27 2012-09-27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KR101289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69A KR101289285B1 (ko) 2012-09-27 2012-09-27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PCT/KR2013/007307 WO2014051258A1 (ko) 2012-09-27 2013-08-14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69A KR101289285B1 (ko) 2012-09-27 2012-09-27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285B1 true KR101289285B1 (ko) 2013-07-24

Family

ID=4899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769A KR101289285B1 (ko) 2012-09-27 2012-09-27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9285B1 (ko)
WO (1) WO20140512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7934A (zh) * 2021-02-26 2021-06-25 天津大学 一种同构式虎克铰链丝驱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812A (ko) * 1992-11-05 1994-06-22 베른트 하크포르트 분절식 커플링
JPH1122744A (ja) * 1997-07-02 1999-01-26 Nippon Seiko Kk ダブルカルダン式等速ジョイント
JP2004506151A (ja) 2000-08-02 2004-02-26 メルチョール,ダウマル カステリョン 改良型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
JP2009250256A (ja) 2008-04-01 2009-10-29 Toyota Motor Corp 等速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812A (ko) * 1992-11-05 1994-06-22 베른트 하크포르트 분절식 커플링
JPH1122744A (ja) * 1997-07-02 1999-01-26 Nippon Seiko Kk ダブルカルダン式等速ジョイント
JP2004506151A (ja) 2000-08-02 2004-02-26 メルチョール,ダウマル カステリョン 改良型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
JP2009250256A (ja) 2008-04-01 2009-10-29 Toyota Motor Corp 等速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7934A (zh) * 2021-02-26 2021-06-25 天津大学 一种同构式虎克铰链丝驱动装置
CN113027934B (zh) * 2021-02-26 2022-06-24 天津大学 一种同构式虎克铰链丝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1258A1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093B1 (ko) 정속 커플링 및 그 제어 시스템
US3306077A (en) Universal joints
JP6198751B2 (ja) 連続可変トロイダル変速機
US20110130212A1 (en) Variable Axial-Angle Coupling
CA2435895A1 (en) Cam bar centering mechanism
EP2998081B1 (en) Link actuation device
CN110576426A (zh) 一种三平移并联机构
KR102009291B1 (ko) 로봇 관절 장치
KR101289285B1 (ko)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US3263447A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3036446A (en) Universal joint
JP2008051226A (ja) 自在継手
US9784327B2 (en) Centering mechanism for double cardan joints
KR20120070458A (ko) 링크 길이가 가변되는 병렬로봇
KR20080026967A (ko) 광각조인트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용 조향장치
CN103807309A (zh) 具有控制机构的等速万向节
KR20150141269A (ko) 가변형 광각 조인트
US20170050312A1 (en) Parallel Kinematics Robot With Rotational Degrees Of Freedom
US3789625A (en) Bisecting plane rotary motion transmission device
EP2971825B1 (en) High angle universal coupling with constant or near constant characteristics
JP4805301B2 (ja) パラレルメカニズム
CN108087439B (zh) 旋转传递装置
CN107327509B (zh) 万向联轴器
KR20140073069A (ko)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RU2761158C1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дачи вращения между параллельными вал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