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069A -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069A
KR20140073069A KR1020120140769A KR20120140769A KR20140073069A KR 20140073069 A KR20140073069 A KR 20140073069A KR 1020120140769 A KR1020120140769 A KR 1020120140769A KR 20120140769 A KR20120140769 A KR 20120140769A KR 20140073069 A KR20140073069 A KR 20140073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ar wheel
coupling
input
l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069A/ko
Publication of KR2014007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18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omprising a mechanical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means of the different axles
    • B62D7/154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omprising a mechanical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means of the different axles provided with electrical as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양측 후륜 휠을 일체로 조향하는 동시에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킨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축에 결속된 구동 풀리를 통해 타이밍 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 제1 종속 풀리를 통해 상기 타이밍 벨트의 좌우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입력된 동력을 직각으로 방향 전환하여 출력하는 제1 커플링; 제2 종속 풀리를 통해 상기 타이밍 벨트의 좌우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입력된 동력을 직각으로 방향 전환하여 출력하는 제2 커플링; 상기 제1 커플링과 좌측 후륜 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플링에서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좌측 후륜 휠을 움직이는 제1 리드스크류 유닛; 상기 제2 커플링과 우측 후륜 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커플링에서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우측 후륜 휠을 움직이는 제2 리드스크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Rear wheel steer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양측 후륜 휠을 일체로 조향하는 동시에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킨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객들의 차량 편의 및 안전에 대한 요구 및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샤시 제어 시스템의 장착률 또한 높아지고 있다. 상기 샤시 제어 시스템 중에 하나인 후륜 조향(Rear Wheel Steering : RWS) 시스템은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에 액추에이터를 설치하여 후륜 휠도 조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저속일 때는 회전 반경을 작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고속 주행시 장애물에 의한 회피 상황에서는 횡미끄럼각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후륜 조향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리어 서스펜션 중 크로스멤버에 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으로 모터와 감속기 등으로 이루어진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데, 이때 차량의 레이아웃 변형 및 액추에이터 설치에 의한 크로스멤버의 변형으로 인해 초래되는 내구 성능 변화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를 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후륜 조향 시스템의 장착 위치 및 장착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후륜 조향 시스템은 액추에이터(1)가 리어 크로스멤버(2)에 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후륜 휠(3,4)과 연결되어 있는 링크(5,6)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5,6)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후륜 휠(3,4)이 조향되도록 한다.
이러한 후륜 조향을 위해서는 상기 액추에이터(1)가 후륜 휠(3,4)과 연결된 링크(5,6)를 직접 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데, 이때 상기 액추에이터(1)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링크(5,6)를 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으로 밀고 당겨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액추에이터(1)가 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계 자유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조 및 위치가 제한될 수 밖에 없어, 결국 상기 액추에이터를 리어 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리어 크로스멤버에 후륜 휠의 조향을 위한 액추에이터를 장착함에 있어 동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소정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양측 후륜 휠을 일체로 조향 가능한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에 결속된 구동 풀리를 통해 타이밍 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 제1 종속 풀리를 통해 상기 타이밍 벨트의 좌우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입력된 동력을 직각으로 방향 전환하여 출력하는 제1 커플링; 제2 종속 풀리를 통해 상기 타이밍 벨트의 좌우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입력된 동력을 직각으로 방향 전환하여 출력하는 제2 커플링; 상기 제1 커플링과 좌측 후륜 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플링에서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좌측 후륜 휠을 움직이는 제1 리드스크류 유닛; 상기 제2 커플링과 우측 후륜 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커플링에서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우측 후륜 휠을 움직이는 제2 리드스크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커플링은, 일측단이 제1 종속 풀리의 축과 동축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동력입력홀이 형성된 입력축; 일측단이 제1 리드스크류 유닛의 입력부와 동축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동력출력홀이 형성된 출력축;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이루는 각도에 맞게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단이 입력축의 각 동력입력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단이 출력축의 각 동력출력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바;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커플링은, 일측단이 제2 종속 풀리의 축과 동축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동력입력홀이 형성된 입력축; 일측단이 제2 리드스크류 유닛의 입력부와 동축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동력출력홀이 형성된 출력축;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이루는 각도에 맞게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단이 입력축의 각 동력입력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단이 출력축의 각 동력출력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바;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좌우 양측의 후륜 휠과 제1 및 제2 리드스크류 유닛 사이에는 각기 리드스크류 유닛에 의해 밀림 또는 당겨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후방링크와 제2 후방링크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 장치는 액추에이터를 리어 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 불가능한 경우, 후륜 조향을 위한 동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소정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장착 위치 및 구조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 장치는 하나의 모터로 양측 후륜 휠을 동시에 일체로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독립제어(두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양측 휠을 각각 제어함) 대비 원가/중량 절감 및 성능 최적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후륜 조향 장치의 장착 위치 및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후륜 조향 장치에 사용한 커플링의 구성 및 작동형태를 일 예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 장치의 작동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륜 휠을 제어하기 위한 후륜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륜 조향을 위한 액추에이터를 리어 크로스멤버에 길이방향(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설치 불가능한 경우 동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소정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장착 위치 및 구조를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후륜 휠과 연결되어 있는 링크에 연결되는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 장치는 후륜 조향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0), 이 모터(10)와 후방링크(21,22) 사이에 연결되는 커플링(30,40) 및 리드스크류 유닛(50,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10)는 후륜 조향을 위한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축에 구동 풀리(11)가 동축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풀리(11)에는 타이밍 벨트(12)가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걸린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 풀리(11)는 타이밍 벨트(12)의 중앙에 맞물려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타이밍 벨트(12)의 좌우 양측에는 제1 종속 풀리(13)와 제2 종속 풀리(14)가 각각 맞물려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종속 풀리(13,14)는 각각 제1 커플링(30)과 제2 커플링(40)에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30,40)을 통해 리드스크류 유닛(50,60)에 모터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30,40)은 모터(1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면서 후륜 조향을 위한 모터(10)의 회전 동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30,40)에는 각각 제1 리드스크류 유닛(50)과 제2 리드스크류 유닛(6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리드스크류 유닛(50,60)은 각각 좌우 후륜 휠(3,4)과의 사이에 연결된 제1 후방링크(21)와 제2 후방링크(22)를 움직여주는 것으로, 모터(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후방링크(21,22)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리드스크류 유닛(50)은 그 출력부(미도시)가 좌측 후륜 휠(3)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방링크(23)와 제1 후방링크(21) 중 선택된 하나의 링크인 제1 후방링크(21)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1 후방링크(21)를 밀거나 당김으로 후륜 휠(3)을 움직여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리드스크류 유닛(50)과 비연결된 다른 하나의 링크인 제1 전방링크(23)는 좌측 후륜 휠(3)과 리어 크로스멤버(2) 사이에 연결되어서, 제1 후방링크(21)가 리드스크류 유닛(50)에 의해 움직이게 될 때 연동하게 되는 좌측 후륜 휠(3)의 일측을 지지해주어 조향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의 제1,2 전방링크(23,24)와 제1,2 후방링크(21,22)는 리드스크류 유닛(50,60)과 후륜 휠(3,4) 사이에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 유닛(50,60)에 의한 밀림 또는 당겨짐 시 그 동작이 제한되지 않도록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가능하게(혹은 회전가능한 조인트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후륜 조향 장치는 모터(1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2 리드스크류 유닛(60)은 상기의 제1 리드스크류 유닛(50)과 동일 구조로 우측 후륜 휠(4)과 연결되어서 휠(4)을 움직여주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스크류 유닛(50,60)이 후방링크(21,22)와 연결된 형태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리드스크류 유닛(50,60)이 전방링크(23,24)와 연결되고 후방링크(21,22)는 리어 크로스멤버(2)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후륜 조향 장치는 설계 자유도가 증대되어 리어 크로스멤버(2) 상에 설치 가능하게 되며, 하나의 모터(10)를 이용하여 양측 후륜 휠(3,4)을 일체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 장치에 적용된 제1 커플링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플링(30)은 제1 종속 풀리(13)의 축과 동축을 이루며 연결되는 입력축(31)과, 제1 리드스크류 유닛(50)과 연결되는 출력축(32)과, 그리고 서로 직각 배열된 입력축(31)과 출력축(32) 간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바(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력축(31)과 출력축(32) 간의 배열 각도, 제1 종속 풀리(13)의 축과 리드스크류 유닛(50) 간의 배열 각도, 그리고 각 동력전달바(33)의 절곡 각도는 모두 90°를 이룬다.
그리고,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출력축(32)은 제1 리드스크류 유닛(50)의 입력부와 동축을 이루며 연결된다.
상기 입력축(31)은 그 일측단이 제1 종속 풀리(13)의 축과 동축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동력입력홀(34)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구비되며, 각 동력입력홀(34)은 상기 타측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동일한 직경 및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출력축(32)은 그 일측단이 제1 리드스크류 유닛(50)의 입력부와 동축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동력출력홀(35)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구비되며, 각 동력출력홀(35)은 상기 타측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동일한 직경 및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바(35)는 원형 단면의 봉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 그 일측단이 입력축(31)의 각 동력입력홀(34) 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단은 출력축의 각 동력출력홀(35) 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제1 커플링(30)은 제1 종속 풀리(13)의 축과 연결된 입력축(31)과, 그리고 제1 리드스크류 유닛(50)과 연결된 출력축(32)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도 동력전달바(33)의 회전 및 직선 이동에 의해 입력축(31)의 회전동력을 출력축(32)으로 완벽하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커플링(30)의 작동방식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후륜 조향 장치에 적용된 제1 커플링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 커플링의 작동원리가 일 예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31)에 동력입력홀(34)이 4개로 형성된 것으로 가정하여 각 동력입력홀을 제1,2,3,4 동력입력홀(34a,34b,34c,34d)로 칭하기로 하고, 또한 상기 출력축(32)에 동력출력홀(35)도 4개로 형성된 것으로 가정하여 각 동력출력홀을 제1,2,3,4 동력출력홀(35a,35b,35c,35d)로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3,4 동력입력홀(34a,34b,34c,34d)과 제1,2,3,4 동력출력홀(35a,35b,35c,35d) 내에 양단이 출입가능하게 삽입되는 동력전달바(33)를 제1,2,3,4 동력전달바(33a,33b,33c,33d)로 칭하기로 한다.
도 3에는 제1 커플링의 입력축 및 출력축이 한번 회전하는 상태가 구분 동작으로 순차 도시되어 있다.
제1 종속 풀리(13)의 축이 회전됨에 의해 회전력이 입력축(31)으로 입력되면, 상기 입력축(3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출력축(32)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축(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입력축(31)의 제1,2,3,4 동력입력홀(34a,34b,34c,34d)에 삽입되어 있는 제1,2,3,4 동력전달바(33a,33b,33c,33d)의 일단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그 원주상 위치가 변경되고, 동시에 출력축(32)의 제1,2,3,4 동력출력홀(35a,35b,35c,35d)에 삽입되어 있는 제1,2,3,4 동력전달바(33a,33b,33c,33d)의 타단부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그 원주상 위치가 변경되어, 결국 입력축(31)으로 입력된 회전동력이 출력축(32)으로 완벽하게 전달된다.
이러한 제1 커플링(30)의 작동 상태를 입력축(31)의 제1 동력입력홀(34a)과 출력축(32)의 제1 동력출력홀(35a)에 양단이 삽입되어 있는 제1 동력전달바(33a)의 움직임만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를 보면, 입력축(31)과 출력축(32) 간의 최대 직각 거리 즉, 입력축(31)의 제1 동력입력홀(34a)과 출력축(32)의 제1 동력출력홀(35a) 간의 직각 거리가 최대로 멀어진 상태에서, 제1 동력전달바(33a)의 양단부는 제1 동력입력홀(34a)과 제1 동력출력홀(35a)로부터 최대로 빠져나온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3의 (b) 및 (c)에 보이듯이, 제1 동력입력홀(34a)의 원주상 위치가 시계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변경되고, 동시에 제1 동력입력홀(34a) 내에 삽입된 제1 동력전달바(33a)의 일단부의 위치도 동일하게 변경되며, 이와 동시에 제1 동력전달바(33a)의 타단부는 출력축(32)의 제1 동력출력홀(35a) 내에 삽입된 상태로 시계반대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게 되어, 결국 제1 동력전달바(33a)의 타단부가 제1 동력출력홀(35a)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출력축(32)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도 3의 (b) 및 (c)에 보이는 바와 같이, 입력축(31)의 제1 동력입력홀(34a)과 출력축(32)의 제1 동력출력홀(35a) 간의 직각 거리가 최대로 좁혀진 상태에서, 제1 동력전달바(33a)의 양단부가 제1 동력입력홀(34a)과 제1 동력출력홀(35a)에 각각 삽입된 상태인바, 이는 제1 동력전달바(33a)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동력입력홀(34a)과 제1 동력출력홀(35a)에 최대로 삽입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이어서, 도 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축(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동력전달바(33a)의 양단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회전되면서 입력축(31)의 제1 동력입력홀(34a)과 출력축(32)의 제1 동력출력홀(35a)로부터 최대로 빠져나온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 동력전달바(33a)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제2,3,4 동력전달바(33b,33c,33d) 역시 연속적이면서 순차적으로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되며, 결국 입력축(31)의 회전동력이 직각을 이루고 있는 출력축(32)으로 전달되게 된다.
전술한 제1 커플링(30)의 구조 및 작동방식은 우측의 후륜 휠(4)과 연결되는 제2 커플링(4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커플링(30,40)은, 각기 입력축(31,41)에 회전력이 입력됨에 따라 각 동력전달바(33,43)의 일단부가 입력축(31,41)의 동력입력홀(34,44)을 출입하면서 입력축(31,41)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동시에 각 동력전달바(33,43)의 타단부가 출력축(32,42)의 동력출력홀(35,45)을 출입하면서 출력축(32,42)을 입력축(31,41)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터(10)의 회전동력을 리드스크류 유닛(50,60)으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 장치의 작동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a)에는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경우 후륜 휠이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조향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되면, 모터(1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풀리(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타이밍 벨트(12)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타이밍 벨트(12)의 회전에 의해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종속 풀리(13)와 제2 종속 풀리(14)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각 종속 풀리(13,14)의 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커플링(30) 및 제2 커플링(40)의 입력축(31,41)이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의 입력축(31,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동력전달바(33,43)들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1 및 제2의 출력축(32,42)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동시에 각 출력축(32,42)에 일체로 연결된 제1 및 제2 리드스크류 유닛(50,60)은 각기 출력축(32,42)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제1 후방링크(21)를 좌측으로 밀어주고 제2 후방링크(22)를 좌측으로 당겨준다.
본 발명의 후륜 조향 장치는 제1 및 제2의 출력축(32,42)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의 입력축(31,4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절대적으로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나, 하나의 모터(1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 출력축(32,42)이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모터(10)의 회전동력이 각 커플링(30,40)을 통해 제1 및 제2 리드스크류 유닛(50,60)으로 전달되면, 일측의 리드스크류 유닛은 일측의 후방링크를 당겨주게 되고 동시에 타측의 리드스크류 유닛은 타측의 후방링크를 밀어주며 후륜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의 (b)에는 모터(1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경우 후륜 휠(3,4)이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조향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모터(10)의 회전방향에 따라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들의 회전방향이 변경될 뿐 기본적인 동작방식은 상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후륜 조향 장치는 모터(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 양측 후륜 휠(3,4)의 조향 방향이 일체로 변경되어진다.
10 : 모터
11 : 구동 풀리
12 : 타이밍 벨트
13 : 제1 종속 풀리
14 : 제2 종속 풀리
21 : 제1 후방링크
22 : 제2 후방링크
30 : 제1 커플링
31 : 입력축
32 : 출력축
33 : 동력전달바
40 : 제2 커플링
41 : 입력축
42 : 출력축
43 : 동력전달바
50 : 제1 리드스크류 유닛
60 : 제2 리드스크류 유닛

Claims (5)

  1. 축에 결속된 구동 풀리를 통해 타이밍 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
    제1 종속 풀리를 통해 상기 타이밍 벨트의 좌우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입력된 동력을 직각으로 방향 전환하여 출력하는 제1 커플링;
    제2 종속 풀리를 통해 상기 타이밍 벨트의 좌우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입력된 동력을 직각으로 방향 전환하여 출력하는 제2 커플링;
    상기 제1 커플링과 좌측 후륜 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플링에서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좌측 후륜 휠을 움직이는 제1 리드스크류 유닛;
    상기 제2 커플링과 우측 후륜 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커플링에서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우측 후륜 휠을 움직이는 제2 리드스크류 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은,
    일측단이 제1 종속 풀리의 축과 동축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동력입력홀이 형성된 입력축;
    일측단이 제1 리드스크류 유닛의 입력부와 동축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동력출력홀이 형성된 출력축;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이루는 각도에 맞게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단이 입력축의 각 동력입력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단이 출력축의 각 동력출력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링은,
    일측단이 제2 종속 풀리의 축과 동축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동력입력홀이 형성된 입력축;
    일측단이 제2 리드스크류 유닛의 입력부와 동축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면에는 복수 개의 동력출력홀이 형성된 출력축;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이루는 각도에 맞게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단이 입력축의 각 동력입력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단이 출력축의 각 동력출력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양측의 후륜 휠과 제1 및 제2 리드스크류 유닛 사이에는 각기 리드스크류 유닛에 의해 밀림 또는 당겨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후방링크와 제2 후방링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은 각기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입력축의 동력입력홀 및 출력축의 동력출력홀들은 동일한 직경 및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KR1020120140769A 2012-12-06 2012-12-06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KR20140073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769A KR20140073069A (ko) 2012-12-06 2012-12-06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769A KR20140073069A (ko) 2012-12-06 2012-12-06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069A true KR20140073069A (ko) 2014-06-16

Family

ID=5112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769A KR20140073069A (ko) 2012-12-06 2012-12-06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0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1487B2 (en) 2017-04-12 2019-09-2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ar wheel steering system
US10486052B2 (en) 2017-06-09 2019-11-26 Hyundai Motor Company Driving mode changeable mobilit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1487B2 (en) 2017-04-12 2019-09-2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ar wheel steering system
US10486052B2 (en) 2017-06-09 2019-11-26 Hyundai Motor Company Driving mode changeable mobilit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99521A1 (ja) 変速機構
US9726264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P1671832A3 (en) Electric wheel drive apparatus
EP3225508A1 (en) Clutch, steering devic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clutch
KR20110062628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CN101380737B (zh) 一种内置输出驱动轴的主动虎克铰机构
JP2016203758A (ja) 車両の後輪操舵装置
JP6837910B2 (ja) 全方向移動車両
KR20140073069A (ko) 자동차의 후륜 조향 장치
KR101836744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조향각 제한장치
US10189156B2 (en) Industrial robot
KR20050060696A (ko) 조향기어비 가변장치
JP2007078134A (ja) 駆動力配分装置
JP2007038893A (ja) 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CN102537262A (zh) 一种电子驻车装置和应用了该装置的电子驻车系统
KR20080026967A (ko) 광각조인트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용 조향장치
KR102344133B1 (ko) 회전식 조향장치
JP7456127B2 (ja) 駆動輪駆動装置
KR20110133307A (ko) 다양한 관절 형태에 적응가능한 액츄에이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관절 구조체
CN113383173B (zh) 联轴器布置
EP2801508B1 (en) Coupling in a tiltable steering column
KR100318890B1 (ko)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식 운행 시스템을 위한조향/구동 일체식 메커니즘
CN114537507B (zh) 一种解耦或耦合装置、转向系统及车辆
JP2015166223A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1854108B1 (ko) 차량용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