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872B1 -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8872B1 KR101288872B1 KR1020110127483A KR20110127483A KR101288872B1 KR 101288872 B1 KR101288872 B1 KR 101288872B1 KR 1020110127483 A KR1020110127483 A KR 1020110127483A KR 20110127483 A KR20110127483 A KR 20110127483A KR 101288872 B1 KR101288872 B1 KR 1012888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door panel
- furniture
- bracket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07—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the hinges having two or more pins and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61—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ngular arrangement to the wing or the fr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패널에 홈을 내는 등의 현장에서 추가적인 작업 없이 가구 바디 및 도어패널에 바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구의 바디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과, 가구의 도어패널 개폐에 따라 전후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가구의 도어패널에 장착되는 이동브라켓와, 그리고 일측은 고정브라켓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이동브라켓과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에서는 상기 본체가 연결되는 매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매개수단은 절곡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이동브라켓은 홈 내기 작업에 의한 도어패널 손상방지를 위해 함몰부가 없는 판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가구의 바디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과, 가구의 도어패널 개폐에 따라 전후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가구의 도어패널에 장착되는 이동브라켓와, 그리고 일측은 고정브라켓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이동브라켓과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에서는 상기 본체가 연결되는 매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매개수단은 절곡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이동브라켓은 홈 내기 작업에 의한 도어패널 손상방지를 위해 함몰부가 없는 판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구의 도어패널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 도어개폐장치의 경우 개폐장치를 도어패널에 장착시키기 위해 도어패널에 홈을 내어야만 했던 구조 및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도어패널에 홈을 내지 않고 바로 개폐장치를 결합시킴으로서 홈을 내기 위한 설비가 필요 없고, 홈 내기 공정 중 발생하는 작업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파티클 보드나 합판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패널의 홈 내기 작업시 발생하는 톱밥이나 미세 먼지와 같은 부산물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는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중화된 가구는 파티클보드를 본드와 혼합 교반 후, 패널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이 패널에 필름지를 전후면 멤브레인하여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문에 사용되는 도어개폐장치는, 우선 도어 패널에 일정한 크기의 요홈을 내고, 이 요홈에 삽입되는 크기의 수용부를 가지는 브라켓을 장착시킨 후 이를 가구 바디를 기준으로 도어 패널의 회동을 가능케하는 힌지와 연결하는 구성인 바, 상기 도어패널의 요홈과 브라켓의 수용부는 힌지가 회전할 때의 회전 공간을 확보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수용부가 수용되는 요홈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다음의 문제점이 발행하는데,
첫째, 상기 요홈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천공기로 일정한 두께의 요홈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천공장치라는 장비가 필요하고, 천공과정 중에 발생하는 작업자의 부상문제가 발생한다.
둘째, 통상적인 가구는 파티클보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천공시 파티클보드가 외부로 밀려나오게 되고 이 파티클보드 찌꺼기를 버리는데 비용이 발생하고, 건강에 해로운 문제점이 있다.
셋째, 천공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공정 추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용이 발생되고, 조립식 가구의 경우 현장에서 조립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천공장치가 필요하므로 현장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구 바디에 도어패널을 장착하여 개폐시키는 경우 종래에 도어패널에 홈을 낸 후 개폐장치를 장착시키던 것에서 탈피하여 도어패널에 홈을 내지 않고 바로 개폐장치를 결합시킴으로써 홈을 내기 위한 설비가 필요 없고, 홈 내기 공정 없이 별도의 브라켓만을 장착하면 되므로 작업 공정이 줄어들며, 홈 내기 공정 중 발생하는 작업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파티클 보드나 합판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패널의 홈 내기 작업 시 발생하는 톱밥이나 미세 먼지와 같은 부산물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고,
이러한 기능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와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되는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좌우의 회동각을 갖는 여닫이 도어패널이 아닌 상하의 회동각을 갖는 여닫이 도어패널(통상적으로 이러한 도어패널이 구비된 장을 플랩장이라고 함)의 경우 상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는 안정된 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는,
가구의 바디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과, 가구의 도어패널 개폐에 따라 전후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가구의 도어패널에 장착되는 이동브라켓와, 그리고 일측은 고정브라켓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이동브라켓과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에서는 상기 본체가 연결되는 매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매개수단은 절곡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이동브라켓은 홈 내기 작업에 의한 도어패널 손상방지를 위해 함몰부가 없는 판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매개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고정브라켓과 연결되고, 본체에 구비된 선회중심부와 연결되는 제1 매개부재와, 제1 매개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매개수단의 절곡동작을 가능케하고 상기 이동브라켓의 제1 힌지결합부와 연결되는 제2 매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꺾임 구조를 가지는 두 지지체와, 상기 두 지지체의 하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음부는 지지체 후방부위에 형성되어 지지체 전방 부위에는 매개수단의 절곡 동작을 위한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는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는 이동브라켓과 이와 결합되는 본체 사이에는 스토퍼가 삽입되어 도어패널의 회동각을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는 도어패널에 홈을 내지 않고 바로 도어개폐장치를 결합시킴으로써 홈을 내기 위한 설비가 필요 없고, 홈 내기 공정 없이 별도의 브라켓만을 장착하면 되므로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홈 내기 공정 중 발생하는 작업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파티클 보드나 합판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패널의 홈 내기 작업 시 발생하는 톱밥이나 미세 먼지와 같은 부산물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가구의 손상방지구조 도입을 위해 채용된 매개수단과 관련하여 이를 절곡 가능하게 하고, 매개수단의 절곡 동작을 위한 공간부가 본체에 마련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 구현이 가능하여 개폐장치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장받게 되었으며,
아울러 도어패널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개폐장치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을 함께 얻을 수 있게 되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도어패널이 닫혀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어패널이 열려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도어개폐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의 전방부분(이동브라켓과 본체 및 제2 매개부재 부분)을 분해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의 개폐상태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의 고정브라켓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어패널이 열려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도어개폐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의 전방부분(이동브라켓과 본체 및 제2 매개부재 부분)을 분해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의 개폐상태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의 고정브라켓 부분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는 여닫이 도어패널을 가진 가구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여닫이 도어패널은 좌우 방향으로 회동각을 가지는 도어패널과 상하방향으로 회동각을 가지는 도어패널 모두 장착이 가능하다.
특히 상하방향으로의 회동각을 가지는 도어패널이 구비된 수납장을 플랩장이라고 하는데, 첨부된 도면에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를 도시함에 있어 도어개폐장치가 플랩장에 설치된다는 가정하에서 이와 대응되는 설치 방향으로 도어개폐장치를 도시하였음을 고지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5(A)의 경우 플랩장에 장착된 도어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도어패널(P)이 살짝 들어올려진 경우의 도어개폐장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 및 도 5(B)의 경우 도어패널(P)이 완전히 90도로 들어 올려진 경우의 도어개폐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특정하면 도어패널(P)이 열리는 방향을 전방 또는 전단으로 특정하고 그 반대방향 즉, 가구 바디(B)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 또는 후단으로 특정하여 이하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를 설명하였음을 밝힌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개폐장치는,
가구의 바디(B)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2)과,
가구의 도어패널(P) 개폐에 따라 전후진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가구의 도어패널(P)에 장착되는 이동브라켓(3)과, 그리고
일측은 고정브라켓(2)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이동브라켓(3)과 힌지결합되는 매개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매개수단의 일면에서는 본체(1)의 선회중심부(14)가 연결되어 본체의 선회중심부(14)를 기준으로 매개수단(4(41))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매개수단(4)은 절곡 동작이 가능한 것으로, 종국적으로는 매개수단의 절곡 동작에 의해 이동브라켓(3)이 부착되는 도어패널(P)에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동브라켓 역시 홈에 대응되는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이동브라켓(3)의 경우 홈 내기 작업에 의한 도어패널 손상방지를 위해 함몰부가 없는 판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본체(1)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는 꺾임 구조를 가지는 두 지지체(11)와, 상기 두 지지체의 하부 즉 하단을 연결하는 이음부(12)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체(11)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을 취하기 위해 꺾임 구조를 가지며, 두 지지체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12)는 상기 지지체의 후방부위에 형성된다.
즉, 지지체(11)의 전방 부위까지 상기 이음부(12)가 덮여지지 않는 상태로 지지체의 전방 부위에는 공간부(13)가 형성되는데, 이는 매개수단(4 (41, 42))의 절곡 동작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지지체(11) 전방의 단부는 후술할 이동브라켓(3)의 제2 힌지결합부(32)와 힌지 결합을 위한 브라켓 결합부(17)가 구비되며,
지지체(11) 후방 쪽으로는 제1 축(15)이 구비되어 후술하게 될 코일스프링(6)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축(15)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부로 그리고 전방으로 치우친 부분에는 후술하게 될 서포트 부재(7)의 단부가 감겨지는 제2 축(16)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의 공간부(13)를 통해 도어패널 개폐시 절곡 동작이 이루어지는 매개수단(4)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매개수단(4)은 일단부(41a)가 고정브라켓(2)의 매개수단 결합부(23)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매개부재(41)와, 상기 제1 매개부재의 타단부(41b)와 연결되어 매개수단의 절곡동작을 가능케하고 이동브라켓(3)과 연결되는 제2 매개부재(42)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 매개부재(41)는 본체에 구비된 선회중심부(14)에 결합되어 도어패널 개폐시 본체의 선회중심부(14)를 기준으로 제1 매개부재(41)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매개부재(42)는 일단부(42a)가 제1 매개부재의 타단부(41b)와 역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42b)는 이동브라켓(3)에 형성된 제1 힌지결합부(3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패널이 가구 바디에 닫혀 있는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매개수단(4)은 제1 매개부재의 타단부(41b)와 제2 매개부재의 일단부(42a)가 연결된 곳에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어패널이 열리는 경우 본체(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본체의 선회중심부(14)를 통해 본체와 연결된 제1 매개부재(41)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과정에서 매개수단 결합부(23)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매개부재의 일단부(41a)가 회전되고, 그리고 절곡된 매개수단이 펴지면서 도 2에서와 같은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매개부재(41)는 직성형 형태보다는 하나 이상의 꺾임부(41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어개폐에 따른 매개수단(4)의 운동시 직선 형태에 의한 운동반경에 비해 짧은 운동반경을 제공하면서도 안정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서포트 부재(7)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서포트 부재(7)는 본체(1)의 후방부와 고정브라켓(2)을 연결하는 부재인데,
도 3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트 부재(7)는 도어패널 개폐시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서포트 부재의 일단(7a)은 고정브라켓(2)에 형성된 제3 축(24)에 결합되고, 타단(7b)은 본체에 형성된 제2 축(16)에 결합됨으로써 본체의 후방부와 고정브라켓을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부재(7)는 평평한 판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꺾임 구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게 될 코일스프링(6)과의 작용에서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한 지지를 최대화시키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제2 축(16)에 감겨지는 서포트부재(7)의 양 단을 살펴보면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71)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게 될 서포트부재(7)와 접해있던 코일스프링(6)이 도어패널을 닫는 동작에서 요입부(71)에 의해 제2 축에 바로 접하도록 하여 닫힘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도입된 구성이다.
다음으로 본체(1)와 이동브라켓(3)이 연결되는 부위 즉, 본체의 브라켓 결합부(17)와 이동브라켓의 제2 힌지결합부(32) 사이에는 스토퍼(5)가 삽입 장착되어, 도어패널의 회동각 즉, 본체의 전후 운동을 제어한다.
상기 스토퍼(5)는 제2 힌지결합부(32)와 브라켓 결합부(17) 각각에 압력을 주어 이와 접하는 브라켓 결합부(17) 즉, 본체의 움직임을 멈추기 위한 구성인 것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평상형이 아닌 오목 형상의 와셔(5a)가 본 발명의 스토퍼(5)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각각의 연결부위에 오목형상의 와셔(5a)를 하나씩 사용해도 되겠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제어력을 높이기 위해 오목형상의 와셔 2개를 연결부위 각각에 사용하며, 2개를 배열함에 있어서도 오목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한 후 제2 힌지결합부(32)와 브라켓 결합부(17) 사이에 개재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스토퍼는 상기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어패널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 즉, 제2 힌지결합부에 대한 브라켓 결합부의 회전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도어패널의 회동각 제어를 위한 다른 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
즉 본체(1)의 후방에는 도어패널의 회동각 제어를 위한 코일스프링(6)이 구비되는데, 상기 코일스프링은 본체의 제1 축(15)에 감겨진 상태로 본체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스프링(6)은,
제1 축(15)에 감긴 코일부(61)와, 상기 코일부 일단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본체와 접하는 제1 탄지부(62)와, 상기 코일부 타단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상기 서포트 부재와 접하게 되는 제2 탄지부(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스프링(6)은 도 3 및 도 5(A)에서와 같이 코일부(61)가 제1 축(15)에 감긴 상태에서 제1 탄지부(62)는 본체쪽으로 밀는 힘이, 그리고 제2 탄지부(63)는 서포트 부재(7)쪽으로 밀어내려는 힘이 형성되면서 서포트 부재와 함께 본체를 고정브라켓으로부터 일정 간격 유지하면서 탄지하고 있는데,
도 5(B)에서와 같이 도어패널(P)을 개방하게 되면,
본체(1)가 전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본체에 감긴 코일스프링(6)과 접해있는 서포트부재(7)는 서포트 부재의 일단(7a)이 감긴 제3 축(24)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사포트 부재의 타단(7b)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2 축(16)에 감긴 서포트 부재(7)의 타단(7b)이 제2 탄지부(63)를 눌러줌으로서 도어패널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물론 도어패널를 닫는 과정에서 서포트 부재의 타단(7b)이 제2 탄지부(63)를 탄지하는 힘 이상이 작동하게 되면, 본체(1)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2 축(16)에 감긴 서포트 부재의 타단(7b)이 제2 탄지부(63) 표면을 타고 후방으로 이동되어 도 5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더욱이 전술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이 닫히는 과정에서 서포트부재(7)에 접해있던 코일스프링(6)의 제2 탄지부(63)가 서포트부재(7)가 회전함에 따라 요입부(7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제2 축에 바로 접하게 되면서 마지막 닫힘 과정에서 쉽게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는 도어패널의 개폐시 전후방으로 운동이 이루어지지만, 상기 운동은 일직선상의 전후방으로의 운동이 아니라 제1 매개부재의 회동에 따른 본체의 상하 이동이 함께 이루어지는 전후방으로의 운동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개폐장치를 도어패널(P)과 가구 바디(B)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 도어개폐장치의 추가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가구 바디(B)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브라켓(2)을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브라켓(2)은 가구 바디에 장착되는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를 덮는 구조의 덮개부(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에 매개수단결합부(23)가 구비되는바, 결국 제1 매개부재(41)와 고정브라켓(2)의 연결은 제1 매개부재(41)와 덮개부(22)의 연결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21)의 선단에는 걸림턱(21a)이 형성되어 고정브라켓의 가구 바디 장착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위치 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부(22)는 고정부(21)에 체결되어야 하는데,
도 6을 참조하여, 덮개부(22) 후방으로는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22a)와 그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의 결합공(21a)을 볼트(T)가 연결함으로써 덮개부와 고정부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덮개부(22)에는 제1 위치 조절수단이 구비되는데, 제1 위치 조절수단은 길게 요입된 요입부(22a)와, 상기 요입부 주변의 덮개부에 형성된 주름부(22a'), 그리고 요입부와 결합공을 관통하는 볼트(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고정부(21)를 가구 바디(B)에 장착한 후 도어패널(P)에 대한 이동브라켓 (3)의 장착시 고정브라켓의 미세한 위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이미 상기 제1 위치조절수단을 통해 장착된 고정부가 아닌 고정부를 덮고 있는 덮개부(22)의 전후 위치를 미세하게 이동시켜 위치조절을 하면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러한 위치 조정이 필요한 경우 볼트(T)를 푼 후 덮개부(22)를 전후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를 맞춘 후 볼트를 다시 조이는 작업을 하면 되는데,
볼트 체결시 덮개부에 형성된 주름부(22a')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체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덮개부와 접하는 고정부에도 동일한 주름부를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고정부와 덮개부의 체결은 덮개부 양 측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전한데, 역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요입부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덮개부에는 제2 결합공(22b)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부에는 내측으로 길게 요입된 제2 요입부(21b)가 형성되어 앞서 설명된 제1 위치조절수단과 동일한 방법으로 체결된다.
다음으로 이동브라켓(3)을 도어패널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이동브라켓(3)에 구비된 체결공(33)으로 볼트를 관통시켜 도어패널에 이동브라켓을 장착되는데, 본 발명의 이동브라켓은 홈 내기 작업에 의한 도어패널의 손상방지를 위해 함몰부가 없는 판상 형태이다.
따라서 이동브라켓 장착 과정에서 도어패널에 홈을 내거나 천공할 필요 없이 볼트를 통해 장착작업만 하면 되기에 설치 작업 역시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이동브라켓에 형성된 체결공 중 장공의 체결공(33a)이 있는데 이 역시 위치조절을 위한 구조로 사용된다. 즉 상기 장공의 체결공이 제2 위치조절수단이 될 수 있는데, 이동브라켓에 장착되는 도어패널과의 높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장공 형태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가 장착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양 옆으로 형성되는 상기 장공의 체결공(33a)은 볼트 구멍 여러 개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패널 장착에 있어 작업자가 정확한 위치 파악이 쉽게 이루어져 도어패널의 수평이 맞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11: 지지체 12: 이음부 13: 공간부
14: 선회중심부 15; 제1 축 16: 제2 축
17: 브라켓 결합부
2: 고정브라켓 21: 고정부 21a: 걸림턱 22: 덮개부
23: 매개수단결합부 24: 제3 축
3: 이동브라켓 31: 제1 힌지결합부 32: 제2 힌지결합부
33: 체결공 33a: 장공의 체결공
4: 매개수단 41: 제1 매개부재 42: 제2 매개부재
5: 스토퍼
6: 코일스프링 61: 코일부 62: 제1 탄지부 63: 제2 탄지부
7: 서포트 부재 71: 요입부
1: 본체 11: 지지체 12: 이음부 13: 공간부
14: 선회중심부 15; 제1 축 16: 제2 축
17: 브라켓 결합부
2: 고정브라켓 21: 고정부 21a: 걸림턱 22: 덮개부
23: 매개수단결합부 24: 제3 축
3: 이동브라켓 31: 제1 힌지결합부 32: 제2 힌지결합부
33: 체결공 33a: 장공의 체결공
4: 매개수단 41: 제1 매개부재 42: 제2 매개부재
5: 스토퍼
6: 코일스프링 61: 코일부 62: 제1 탄지부 63: 제2 탄지부
7: 서포트 부재 71: 요입부
Claims (4)
- 가구의 바디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
가구의 도어패널 개폐에 따라 전후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가구의 도어패널에 장착되는 이동브라켓; 및
일측은 고정브라켓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이동브라켓과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에서는 상기 본체가 연결되는 매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매개수단은 절곡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이동브라켓은 홈 내기 작업에 의한 도어패널 손상방지를 위해 함몰부가 없는 판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일단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제3 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2 축에 결합되면서 꺾임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의 후방부와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서포트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도어패널의 회동각 제어를 위한 코일스프링이 더 구비되되,
상기 코일스프링은 본체에 형성된 제1 축에 감긴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 일단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본체와 접하는 제1 탄지부와, 상기 코일부 타단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서포트 부재와 접하는 제2 탄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2 축에 결합되는 서포트 부재의 양 단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꺾임 구조를 가지는 두 지지체와,
상기 두 지지체의 하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음부는 지지체 후방부위에 형성되어 지지체 전방 부위에는 매개수단의 절곡 동작을 위한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는 이동브라켓과 이와 결합되는 본체 사이에는 스토퍼가 삽입되어 상기 코일스프링과 함께 도어패널의 회동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7483A KR101288872B1 (ko) | 2011-12-01 | 2011-12-01 |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7483A KR101288872B1 (ko) | 2011-12-01 | 2011-12-01 |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1264A KR20130061264A (ko) | 2013-06-11 |
KR101288872B1 true KR101288872B1 (ko) | 2013-07-23 |
Family
ID=4885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7483A KR101288872B1 (ko) | 2011-12-01 | 2011-12-01 |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887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2552Y1 (ko) * | 1990-09-06 | 1994-04-20 | 고동진 | 주방가구용 경첩 |
KR200283696Y1 (ko) * | 2002-04-29 | 2002-07-27 | 유피아이 주식회사 | 가구용 힌지의 열림각도 제한장치 |
KR20080002133U (ko) * | 2006-12-21 | 2008-06-25 | 도 형 김 | 가구용 경첩 |
KR20090026634A (ko) * | 2007-09-10 | 2009-03-13 |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가구용힌지의 보호 장치 |
-
2011
- 2011-12-01 KR KR1020110127483A patent/KR1012888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2552Y1 (ko) * | 1990-09-06 | 1994-04-20 | 고동진 | 주방가구용 경첩 |
KR200283696Y1 (ko) * | 2002-04-29 | 2002-07-27 | 유피아이 주식회사 | 가구용 힌지의 열림각도 제한장치 |
KR20080002133U (ko) * | 2006-12-21 | 2008-06-25 | 도 형 김 | 가구용 경첩 |
KR20090026634A (ko) * | 2007-09-10 | 2009-03-13 |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가구용힌지의 보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1264A (ko) | 2013-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03818B1 (ko) |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 |
JP5991805B2 (ja) | ヒンジ装置 | |
JP2016205128A (ja) | 摺動ドアのためのガイドデバイス | |
WO2020253305A1 (zh) | 滑轨及机柜 | |
JP5976296B2 (ja) | 扉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 |
JP2008008015A (ja) | 隠し蝶番 | |
KR101288872B1 (ko) | 가구의 손상방지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 |
WO2014038432A1 (ja) | 車両ドアの固定装置 | |
KR101284160B1 (ko) | 도어패널의 회동각제어구조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 |
KR101710692B1 (ko) |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 |
JP6570560B2 (ja) | 丁番 | |
KR20090023954A (ko) | 도어용 경첩 | |
KR20020087882A (ko) | 인터로크 장치 | |
CN218644087U (zh) | 铰链装置及冰箱 | |
JP2008255755A (ja) | 吊車型のランナーユニット | |
KR101416605B1 (ko) | 유지보수가 편리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설치구조 | |
CN110792351B (zh) | 弧形导轨组件、导向机构和平趟门装置 | |
KR20110132961A (ko) | 가구의 손상방지를 위한 개폐장치 | |
JP2009150060A (ja) | ドア装置 | |
JP5292275B2 (ja) | 開き戸装置における開放規制装置 | |
KR101441743B1 (ko) | 제어반용 도어의 개폐확인장치 | |
JP4152867B2 (ja) |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引戸の戸閉装置。 | |
JP5431773B2 (ja) |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 |
CN219197035U (zh) | 一种调节铰链 | |
JP5385940B2 (ja) | 戸開閉装置付き戸及び戸開閉装置用スペー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