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616B1 - 다이아프램 펌프 - Google Patents

다이아프램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616B1
KR101288616B1 KR1020110045810A KR20110045810A KR101288616B1 KR 101288616 B1 KR101288616 B1 KR 101288616B1 KR 1020110045810 A KR1020110045810 A KR 1020110045810A KR 20110045810 A KR20110045810 A KR 20110045810A KR 101288616 B1 KR101288616 B1 KR 10128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diaphragm
diaphragm pump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976A (ko
Inventor
안기원
Original Assignee
배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방희 filed Critical 배방희
Priority to KR102011004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616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4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5/047Pumps having electric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다이아프램 펌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이아프램 펌프는, 메인 하우징; 메인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는 모터; 모터의 구동축에 편향되게 결합되어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수평운동을 함으로써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다이아프램 펌프구동유닛; 메인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밸브 하우징; 및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배기밸브 및 안전밸브를 일체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임으로써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gm pump}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 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배기밸브 및 안전밸브를 일체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임으로써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다이아프램 펌프에 관한 것이다.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gm Pump)는 다이아프램의 운동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용적형 펌프의 일종이다. 즉, 다이아프램 펌프는 다이아프램이 진동함에 따라 펌프실의 압력이 변화되면서 유체를 흡입 및 토출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으로, 적용되는 유체에 작동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아니하고 가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펌프를 말한다.
종래의 다이아프램 펌프는 내주면에 환형의 리브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과 모터 샤프트가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이 상호 결합되고,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사이에 흡입공과 토출공이 형성된 밸브지지체가 수납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환형의 리브의 외측과 밸브지지체 사이 공간은 흡입되는 유체가 잔류하는 입수실을 형성하며, 환형의 리브의 내측과 밸브지지체 사이 공간은 유체가 토출되는 출수실을 형성하고, 밸브지지체와 하부 하우징 사이에는 유체를 흡입 및 토출시키도록 압력변화가 발생하는 복수의 펌프실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밸브지지체에는 흡입공과 토출공을 각각 개폐시키는 밸브가 지지되며, 하부 하우징에는 모터 샤프트가 지지되는바, 이 샤프트에는 편심된 샤프트가 고정설치되고, 샤프트의 외주에는 베어링이 결합된 채로 하부 하우징에 지지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에는 각 펌프실과 연통되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각 개구에는 편심 회전되는 베어링에 연동되어 좌우로 진동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동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는 다이아프램이 개재된 채로 그 가장자리가 밸브지지체와 하부 하우징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종래의 다이아프램 펌프는 편심 회전되는 베어링에 의해서 각 이동부재가 순차적으로 좌우로 진동함과 동시에 각부분의 다이아프램이 순차적으로 좌우로 진동되면서 각 펌프실의 압력이 감소 또는 증가함에 따라 입수밸브와 출수밸브가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유체가 펌핑되도록 작동된다.
하지만, 종래의 다이아프램 펌프는 편심 회전되는 베어링의 회전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려움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량의 유체를 유입 및 토출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이아프램 펌프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조립 및 분해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이아프램 펌프는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안전밸브와, 펌프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외부배기밸브가 펌프와 일체화되지 못하고 각각 마련됨에 따라 장치가 차지하는 전체 부피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장치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다수의 배관을 통해 펌프와 밸브들을 연결하게 되어 잔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배기밸브 및 안전밸브를 일체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임으로써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다이아프램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편향되게 결합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수평운동을 함으로써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다이아프램 펌프구동유닛;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밸브 하우징; 및 상기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외부배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결합 하우징; 및 상기 결합 하우징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일측에 공기배출공이 관통형성되는 하우징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배기밸브는, 상기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배출공을 밀폐시키며, 상기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배출공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외부 신호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공기배출공을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외부배기밸브는, 상기 결합 하우징의 하면에 장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내부에 수용되며 외부 신호의 입력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요크수용공의 하측에 삽입되는 회복 스프링; 및 상기 요크수용공의 상측에 삽입되며, 상기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로부터 전달되는 자기력을 통해 자화됨으로써 상기 회복 스프링을 탄성 가압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기배출공을 개방시키는 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하우징은, 상기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 하우징의 하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결합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을 취합(聚合)하는 취합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하우징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취합관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기관의 내측에 마련되는 안전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 펌프는, 상기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된 공기가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취합관의 내측에 마련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 펌프구동유닛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대하여 편향되게 결합되는 편심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 부에 축 삽입공이 형성되며 측면 둘레를 따라 4개의 끼움홈이 함몰 형성되는 허브; 상기 끼움홈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끼움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팅로드와, 다이아프램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커넥터; 및 상기 다이아프램의 타측면을 덮도록 상기 헤드부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헤드캡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하우징에는, 상기 헤드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4개의 관통공이 각각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 펌프는, 상기 관통공을 각각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관통공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오목홈이 각각 함몰 형성되는 4개의 하우징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오목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기밸브; 및 상기 흡기밸브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오목홈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기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탄성을 갖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는 각각, 상기 다이아프램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통기 슬릿; 및 상기 통기 슬릿의 내부에 마련되는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하단부에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마련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덮개에는, 상기 흡기밸브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오목홈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흡기홈; 및 상기 배기밸브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오목홈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배기밸브 및 안전밸브를 다이아프램 펌프에 일체로 마련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임으로써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다이아프램 펌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 펌프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다이아프램 펌프구동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허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다이아프램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측에서 바라본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결합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하측에서 바라본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결합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외부배기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4는 흡기밸브가 작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5는 배기밸브가 작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다이아프램 펌프는 카시트 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이아프램 펌프가 카시트 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용도 이외의 다른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 펌프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다이아프램 펌프구동유닛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허브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다이아프램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상측에서 바라본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결합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8은 하측에서 바라본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결합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외부배기밸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14는 흡기밸브가 작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며, 도 15는 배기밸브가 작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 펌프(10)는 구동축(110)을 포함하는 모터(100)와, 모터(100)의 구동축(110)에 편향되게 결합되는 다이아프램 펌프구동유닛(200, 이하 '펌프구동유닛(200)'이라 함)과, 펌프구동유닛(200)에 결합 고정되는 다이아프램(300)과, 펌프구동유닛(200)을 내부에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400)과, 메인 하우징(400)에 형성된 관통공(400a)을 덮도록 마련되는 하우징덮개(500)와, 메인 하우징(400)의 상측에 결합되며 각종 밸브(620, 640, 700)가 수용되는 밸브 하우징(600)과, 카시트 에어백(미도시)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외부배기밸브(700)를 포함한다.
모터(100)는 펌프구동유닛(200)이 진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펌프구동유닛(200)에 결합된 편심축(120)에 대해 편향되게 결합되는 구동축(1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모터(100)는 일반적인 유압 모터, 공압 모터, 스태핑 모터, 서보 모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펌프구동유닛(200)은 모터(10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메인 하우징(400) 내부의 공기가 하우징덮개(500)와 오목홈(500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하우징덮개(500)와 오목홈(500a)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유출공(630b)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펌프구동유닛(200)은 편심축(120)이 삽입되는 축 삽입공(210a)이 관통형성되며 측면 둘레를 따라 4개의 끼움홈(211)이 형성되는 허브(210)와, 끼움홈(211)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4개의 커넥터(220)와, 커넥터(220)의 헤드부(223)에 각각 결합되어 다이아프램(300)을 고정하는 4개의 헤드캡(230)을 포함한다.
허브(210)는 편심축(120)이 삽입되는 축 삽입공(210a)이 중앙 영역에 관통형성되며, 측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4개의 끼움홈(211)이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모터(100)의 구동축(110)의 회전에 따라 생성되는 회전운동을 다이아프램(300)의 수평운동(도 10 내지 도 13의 +X 또는 -X 방향으로의 운동 및 +Y 또는 -Y 방향으로의 운동, 이하 동일)으로 전환하여 주는 구성이다.
허브(210)는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4개의 끼움홈(211)과, 끼움홈(211)의 하측을 덮는 제1 덮개(214)와, 끼움홈(211)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격벽(212, 213) 사이에서 상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덮개끼움돌기(215)와, 덮개끼움돌기(215)에 결합되며 끼움홈(211)의 상측을 덮는 제2 덮개(216)를 포함한다.
끼움홈(211)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격벽(212, 213)에 의하여 구획되도록 허브(21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공간이다. 여기서 격벽(212, 213)은 4개의 끼움홈(2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도록 허브(2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총 4개로 마련되는 구조물을 말한다.
격벽(212, 213)은 각각, 후술하는 커넥터(220)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끼움홈(211)이 커넥터(220)의 덧살부(221a)보다 약간 큰 크기를 갖도록, 즉 커넥터(220)의 덧살부(221a)를 기준으로 서로 일정간격 벌어지도록 마련된다(도 4 참조).
제1 덮개(214)는 끼움홈(211)의 하단부, 즉 격벽(212, 213)의 하단부를 덮도록 허브(210)의 하측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덮개(214)는 커넥터(220)의 제1 삽입돌기(221b)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 돌출부(214b)와, 편심축(12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2 돌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214b)는 제1 덮개(214)의 하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어 커넥터(220)의 제1 삽입돌기(221b)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돌출부(214b)를 관통하여서는 제1 덮개(214)의 제1 돌기삽입공(214a)과 상호 연통되는 제1 연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커넥터(220)의 제1 삽입돌기(221b)는 제1 덮개(214)의 제1 돌기삽입공(214a) 및 제1 돌출부(214b)의 제1 연통공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펌프구동유닛(200)의 조립시 임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유사하게 모터(100)의 구동축(110)에 편향되게 결합되는 편심축(120)은 제1 덮개(214)의 제2 돌출부의 제2 연통공(미도시) 및 허브(210)를 관통하는 축 삽입공(210a)에 삽입됨으로써 펌프구동유닛(200)의 조립시 임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덮개끼움돌기(215)는 후술하는 제2 덮개(216)가 허브(210)의 상단부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격벽(212, 213)의 상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허브(210)의 끼움홈(211)은 총 4개로, 또한 끼움홈(211)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212, 213)은 총 4개로 마련되는바 덮개끼움돌기(215)는 한 쌍의 격벽(212, 213) 마다 한 개씩 총 4개로 마련된다.
제2 덮개(216)는 허브(210)의 상단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커넥터(220)의 상단부를 구속함으로써 제1 덮개(214)와 함께 커넥터(220)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제2 덮개(216)는 커넥터(220)의 끼움부(221)의 제2 삽입돌기(221c)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3 돌출부(216b)와, 편심축(12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제4 돌출부(216d)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덮개(216)에는 전술한 덮개끼움돌기(215)가 삽입되기 위한 끼움돌기삽입공(216f)이 관통형성된다.
제3 돌출부(216b)는 제2 덮개(216)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어 커넥터(220)의 제2 삽입돌기(221c)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3 돌출부(216b)를 관통하여서는 제2 덮개(216)의 제2 돌기삽입공(216a)과 상호 연통되는 제3 연통공(216c)이 형성된다. 즉, 커넥터(220)의 끼움부(22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 삽입돌기(221c)는 제2 덮개(216)의 제2 돌기삽입공(216a) 및 제3 돌출부(216b)의 제3 연통공(216c)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펌프구동유닛(200)의 조립시 임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유사하게 모터(100)의 구동축(110)에 편향되게 결합되는 편심축(120)은 허브(210)를 관통하는 축 삽입공(210a) 및 제2 덮개(216)의 제4 돌출부(216d)의 제4 연통공(216e)에 삽입됨으로써 펌프구동유닛(200)의 조립시 임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덮개(216)는 끼움돌기삽입공(216f)을 따라 4개의 덮개끼움돌기(215)가 각각 삽입 고정됨으로써 허브(210)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펌프구동유닛(200)은 각 구성을 용접 결합함이 없이 순서에 따라 간단하게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의 편의성이 도모되며, 이를 통해 각 구성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라도 이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넥터(220)는 허브(210)의 끼움홈(211)에 끼움되어 편심축(120)의 운동에 따라 미리 결정된 소정의 각도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이에 결합 고정된 다이아프램(300)이 수평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커넥터(220)는 끼움홈(211)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끼움되는 끼움부(221)와, 다이아프램(300)의 일측면이 결합되는 헤드부(223)와, 끼움부(221) 및 헤드부(223)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팅로드(222)를 포함한다.
끼움부(221)는 끼움홈(211)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부분으로, 일단부에 마련되는 덧살부(221a)와, 덧살부(221a)의 하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삽입돌기(221b)와, 덧살부(221a)의 상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2 삽입돌기(221c)를 포함한다.
덧살부(221a)는 커넥팅로드(222)보다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갖도록 커넥팅로드(222)의 일단부에 단차지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덧살부(221a)는 끼움홈(211)에 끼움된 후 편심축(120)의 운동에 따라 끼움홈(211)에 대하여 상대회동하게 됨으로써 이에 일체로 연결된 커넥터(220)가 끼움홈(211)에 대하여 상대회동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끼움홈(211)을 구획하는 한 쌍의 격벽(212, 213)은 끼움홈(211)이 덧살부(221a)의 두께에 비하여 큰 폭을 갖도록 서로 일정간격 벌어지게 마련됨으로써 덧살부(221a)는 미리 결정된 소정의 범위 내에서만 끼움홈(211)에 대하여 상대회동하게 된다.
커넥팅로드(222)는 덧살부(221a)와 헤드부(223)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헤드부(223)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보강부(222a)와, 보강부(222a)로부터 단차지게 마련되어 끼움부(221)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2b)를 포함한다.
보강부(222a)는 연장부(222b)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갖도록 연장부(222b)의 일단부에 단차지게 마련되는 것이다. 보강부(222a)는 커넥팅로드(222)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커넥팅로드(222)의 일정한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연장부(222b)는 끼움부(221)와 보강부(222a) 사이를 연결하는 얇은 판재형상의 부재를 말한다.
헤드부(223)는 보강부(222a)의 일단부에 원형 단면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헤드부(223)는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헤드삽입돌기(223a)와, 다이아프램(300) 및 헤드캡(23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B)가 삽입되도록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캡체결공(223b)을 포함한다.
헤드삽입돌기(223a)는 다이아프램(3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헤드결합공(300b)을 따라 삽입된 후 헤드캡(230)에 형성된 제3 캡체결공(230a)에 끼움됨으로써 다이아프램(300)이 커넥터(220)와 헤드캡(23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제2 캡체결공(223b)은 다이아프램(3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캡체결공(300a) 및 헤드캡(23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 캡체결공(230b)과 상호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볼트(B)가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즉, 커넥터(220) 및 헤드캡(230)의 사이에 다이아프램(300)을 배치한 뒤 제1 캡체결공(300a), 제2 캡체결공(223b) 및 제4 캡체결공(230b)을 따라 볼트(B)를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커넥터(220) 및 헤드캡(230)의 사이에 다이아프램(30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다이아프램(300)은 메인 하우징(400)과 하우징덮개(500)의 오목홈(500a) 사이의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오목홈(500a)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오목홈(500a)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이아프램(300)은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이에 따라 커넥터(220)의 운동에 대응하여 그 형상이 변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이아프램(300)은 오목홈(500a) 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밸브(310)와, 오목홈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기밸브(320)를 포함한다.
흡기밸브(310)는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오목홈(500a)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이아프램(300)의 일측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흡기밸브(310)는 다이아프램(30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통기 슬릿(311)과, 통기 슬릿(311)의 내부에 마련되는 복원부(312)를 포함한다.
통기 슬릿(311)은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오목홈(500a) 측으로 일차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통기 슬릿(31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호형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복원부(312)는 통기 슬릿(311)을 통해 오목홈(500a)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공압에 따라 오목홈(500a) 측으로 변형되도록 마련되어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오목홈(500a) 측으로 이차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공기는 일차적으로 통기 슬릿(311)을 통과하면서 유입되게 되는데, 이 경우 유입되는 공기의 공압에 의해 복원부(312)가 오목홈(500a) 측으로 소정 각도 꺾이며 변형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복원부(312)는 하단부에 마련되는 지지부(312a)와, 지지부(312a)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312b)를 포함한다.
지지부(312a)는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공압에 의해 오목홈(500a) 측으로 꺾임 변형되는 확장부(312b)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확장부(312b)는 통기 슬릿(31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공압에 의해 변형되거나 더 이상 공기의 유입이 없을 경우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원되는 구성이다.
즉, 지지부(312a)에 의하여 그 하단부가 지지되는 확장부(312b)는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공기의 공압에 따라 오목홈(500a) 측으로 꺾임 변형되나, 더 이상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다이아프램(300)의 특성에 따라 원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또한, 복원부(312)는 일측면이 메인 하우징(400)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므로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로부터 오목홈(500a) 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는 있게 되나 오목홈(500a)에 수용된 공기가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로 다시 유출되지는 않도록 함으로써 일종의 체크밸브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면, 흡기밸브(310)가 구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2에서는 +X 방향과 +Y 방향에 배치된 다이아프램(300) 및 하우징덮개(500)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X 방향과 -Y 방향에 배치된 다이아프램(300) 및 하우징덮개(500)는 +X 방향과 +Y 방향에 배치된 다이아프램(300) 및 하우징덮개(500)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마련된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좌측방향(-Y 방향, 도 2 참조)의 커넥터(220)가 우측방향(+Y 방향, 도 2 참조)으로 이동하면 다이아프램(300)의 형상이 변화하면서 하우징덮개(500)와 다이아프램(300) 상호 간의 체적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하우징(400)의 하측으로부터 유입되어 메인 하우징(4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는, 흡기밸브(310) 및 하우징덮개(500)의 흡기홈(500b)을 거쳐 하우징덮개(500)의 오목홈(500a) 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흡기밸브(310)의 확장부(312b)는 하우징덮개(500)의 흡기홈(500b) 측으로 꺾임 변형됨으로써 오목홈(500a)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만들어준다.
한편, 배기밸브(320)는 오목홈(500a)에 수용된 공기가 결합 하우징(610)을 거쳐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흡기밸브(310)에 인접한 다이아프램(300)의 일측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배기밸브(320)는 다이아프램(30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통기 슬릿(321)과, 통기 슬릿(321)의 내부에 마련되는 복원부(322)를 포함한다. 또한, 복원부(322)는 하단부에 마련되는 지지부(322a)와, 지지부(322a)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322b)를 포함한다.
확장부(322b)는 그 일측면이 하우징덮개(50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오목홈(500a)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는 있으나, 외부공기가 오목홈(500a) 측으로 유입되지는 못하도록 함으로써 일종의 체크밸브 역할을 하게 된다.
기타, 통기 슬릿(321), 지지부(322a) 및 확장부(322b)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흡기밸브(310)의 통기 슬릿(311), 지지부(312a) 및 확장부(312b)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배기밸브(320)가 구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우측방향(+Y 방향, 도 2 참조)의 커넥터(220)가 우측방향(+Y 방향, 도 2 참조)으로 이동하면 다이아프램(300)의 형상이 변화하면서 하우징덮개(500)와 다이아프램(300) 상호 간의 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덮개(500)의 오목홈(500a)에 수용되어 이는 공기는 하우징덮개(500)의 배기공(500c) 및 배기밸브(320)를 거쳐 후술하는 결합 하우징(610)의 연결관(611)으로 유입되며, 연결관(611)으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취합관(613) 및 호스연결부(631)를 거쳐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배기밸브(320)의 확장부(322b)는 메인 하우징(400)의 내측으로 꺾임 변형됨으로써 연결관(611)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만들어준다.
한편, 메인 하우징(400)은 펌프구동유닛(200)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메인 하우징(400)의 상단부에는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홈(410, 420, 430, 440)이 형성되며, 이러한 홈(410, 420, 430, 440)에는 후술하는 밸브 하우징(600)의 연결관(611, 612)이 각각 삽입되어 메인 하우징(4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덮개(500)는 메인 하우징(40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400a)을 덮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하우징덮개(500)는 내측면에 관통공(40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오목홈(500a)과, 전술한 흡기밸브(310)가 마련된 위치에서 오목홈(500a)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흡기홈(500b)과, 전술한 배기밸브(320)가 마련된 위치에서 오목홈(500a)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배기공(500c)를 포함한다.
오목홈(500a)은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일차적으로 저장한 뒤 이를 다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우징덮개(500)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구성이며, 흡기홈(500b)은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오목홈(500a)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공간과 오목홈(500a)을 서로 연통시키는 구성이고, 배기공(500c)은 오목홈(500a)에 수용된 공기가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오목홈(500a)과 연결관(611, 612)을 서로 연통시키는 구성이다.
한편, 밸브 하우징(600)은 각종 밸브(620, 640, 7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메인 하우징(4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밸브 하우징(600)은 메인 하우징(400)의 상측에 결합되는 결합 하우징(610)과, 결합 하우징(610)의 분기관(614) 내부에 마련되는 안전밸브(620)와, 결합 하우징(610)의 상면을 덮는 하우징 리드(630)와, 취합관(613)의 내부에 마련되는 체크밸브(640)를 포함한다.
결합 하우징(61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400)의 상측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외부배기밸브(700)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한 쌍의 연결관(611, 612)과, 연결관(611, 612)을 취합하는 취합관(613)과, 취합관(613)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614)을 포함한다.
연결관(611, 612)의 양단부는 각각 전술한 메인 하우징(400)의 홈(410, 420, 430, 440)에 삽입되며, 각각의 연결관(611, 612)에는 상호 연통되는 연결공(611a, 612a)들이 관통형성됨으로써 펌프구동유닛(200)의 구동에 따라 메인 하우징(400)의 배기밸브(320)을 걸쳐 배출되는 공기가 취합관(613)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취합관(613)은 연결관(611, 612)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취합하여 결합 하우징(610)의 내부로 재전달하는 구성이며, 분기관(614)은 안전밸브(62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취합관(613)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는 구성이다.
취합관(613)의 내부에는 연결공(611a, 612a)과 연통되는 취합공(613a)이 관통형성되며, 분기관(614)의 내부에는 취합공(613a)과 연통되는 분기공(614a)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안전밸브(620)는 일반적인 체크밸브로 마련되어 분기공(614a)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취합공(613a)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의 압력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안전밸브(620)가 열림으로써 전달되는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물론 안전밸브(620)는 외부의 공기가 분기공(614a)을 따라 결합 하우징(610)의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또한 취합관(613)의 내부에는 체크밸브(640)가 마련되어 취합공(613a)을 따라 전달되는 공기가 하우징 리드(630)의 외부유출공(630b)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체크밸브(640)는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가 메인 하우징(400)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 리드(630)는 결합 하우징(6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하우징 리드(630)의 상측에는 카시트 에어백과 연결되는 호스가 연결되기 위한 호스연결부(631)가 마련되며, 이러한 호스연결부(631)에는 외부유출공(630b)이 관통 형성되어 결합 하우징(610)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 리드(630)의 일측에는 공기배출공(630a)이 관통 형성되어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된 공기를 외부로 재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외부배기밸브(700)는 외부 신호의 입력에 따라 하우징 리드(630)에 형성된 공기배출공(63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선택적이라 함은 운전자가 입력하는 신호에 따라 카시트 에어백을 부풀리는 경우에는 공기배출공(630a)을 밀폐하며, 카시트 에어백의 공기를 빼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기배출공(630a)을 개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배기밸브(7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하우징(610)의 하면에 장착되는 브래킷(710)과, 브래킷(710)에 수용되는 코일부(720)와, 코일부(720)의 요크수용공(720a)에 삽입되는 회복 스프링(730)과, 외부 신호의 입력에 따라 공기배출공(63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요크(740)를 포함한다.
브래킷(710)은 결합 하우징(610)의 하면에 마련된 브래킷 수용홈(610a)에 삽입 장착되는 자성체 금속성 부재이며, 코일부(720)는 내부에 다수의 코일이 감긴 상태로 마련되어 외부 신호의 입력에 따라 요크(740)를 자화시키는 구성이다.
코일부(720)의 중앙 부분에는 요크수용공(720a)이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요크수용공(720a)을 따라서는 먼저 회복 스프링(730)이 삽입되고 그 상측으로 요크(740)가 삽입되며, 마지막으로 차폐판(750)이 덮여짐으로써 솔레노이브 밸브 형식의 외부배기밸브(700)가 완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운전자가 카시트 에어백을 부풀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부배기밸브(70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요크(740)는 회복 스프링(730)에 의하여 공기배출공(630a)을 막은 상태로 유지된다.
만약 운전자가 카시트 에어백의 공기를 빼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부배기밸브(700)에 전력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코일부(720)가 요크(740)를 자화시키고 자화된 요크(740)는 회복 스프링(730)을 누르면서 브래킷(710) 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요크(740)의 이동에 따라 공기배출공(630a)이 개방되며 결국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 펌프(10)의 구동원리를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카시트 에어백을 부풀리기 위해 운전자가 외부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먼저 모터(100)의 단자(100a)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축(110)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축(110)에 결합된 편심축(120)이 운동하게 된다. 다만, 편심축(120)은 모터(100)의 구동축(110)에 대하여 편향되게 결합되어 있는바, 편심축(120)의 운동은 모터(100)의 구동축(110)과 동일축선을 기준으로 한 회전운동이 아니라 허브(210)가 모터(100) 구동축(110)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큰 원을 그리도록 하는 구동축(110) 중심축선에 대한 편심 운동이 된다.
이처럼, 허브(210)가 편심운동을 하게 되면 허브(210)의 끼움홈(211)에 끼움된 커넥터(220)가 끼움홈(211)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300)이 변형되고, 결국 다이아프램(300)과 오목홈(500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체적이 변화하게 된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210)가 0˚로부터 90˚까지 회전하게 되면, 다이아프램 펌프(10)의 좌측 방향(도 10의 -X 방향, 이하 동일)에 마련된 커넥터(220)가 상측 방향(도 10의 +Y 방향, 이하 동일)으로 기울어지는 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좌측 방향 다이아프램(300)과 좌측 방향의 오목홈(500a) 사이에 형성된 공간(S1)의 체적이 줄어드는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마찬가지로, 다이아프램 펌프(10)의 상측 방향에 마련된 커넥터(220)가 우측 방향(도 10의 +X 방향, 이하 동일)으로 기울어지는 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측 방향 다이아프램(300)과 상측 방향의 오목홈(500a) 사이에 형성된 공간(S2)의 체적이 늘어나는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동일하게 다이아프램 펌프(10)의 우측 방향에 마련된 커넥터(220)는 상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운동을 하며, 다이아프램 펌프(10)의 하측 방향(도 10의 -Y 방향, 이하 동일)에 마련된 커넥터(220)는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우측 방향 다이아프램(300)과 우측 방향의 오목홈(500a) 사이에 형성된 공간(S3)의 체적은 증가하고, 하측 방향 다이아프램(300)과 하측 방향의 오목홈(500a) 사이에 형성된 공간(S4)의 체적은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 공간(S1, S2, S3, S4)의 변형에 따라 일부 공간(S1, S4)에 수용된 공기는 결합 하우징(610)을 거쳐 하우징 리드(630)의 외부유출공(630b) 측으로 전달됨으로써 카시트 에어백을 부풀리는데 사용되고, 다른 일부 공간(S2, S4)에는 메인 하우징(40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즉, 메인 하우징(40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는 흡기밸브(310) 및 흡기홈(500b)을 거쳐 오목홈(500a)으로 이동된 후 어느 한 공간(S2)에 저장되며, 다른 어느 한 공간(S1)에 저장된 공기는 오목홈(500a)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기공(500c)을 따라 유출된 후 배기밸브(320), 연결관(611, 612), 취합관(613) 및 호스연결부(631)를 거쳐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허브(210)가 90˚부터 180˚까지 회전하는 경우, 180˚로부터 270˚까지 회전하는 경우 및 270˚부터 0˚까지 회전하는 경우의 공간(S1, S2, S3, S4)의 체적변화와, 이에 따른 공기의 유입 및 유출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사항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카시트 에어백의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펌프구동유닛(200)이 구동되지 않고 외부배기밸브(700)만이 구동되어 요크(740)가 공기배출공(630a)을 개방시키고, 카시트 에어백과 대기압과의 압력 차에 따라 카시트 에어백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다이아프램 펌프(10)는 외부배기밸브(700) 및 안전밸브(620)를 다이아프램 펌프(10)에 일체로 마련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임으로써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다이아프램 펌프 100 : 모터
200 : 펌프구동유닛 300 : 다이아프램
400 : 메인 하우징 500 : 하우징덮개
600 : 밸브 하우징 700 : 외부배기밸브

Claims (12)

  1.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편향되게 결합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수평운동을 함으로써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다이아프램 펌프구동유닛;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밸브 하우징; 및
    상기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 펌프구동유닛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대하여 편향되게 결합되는 편심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 부에 축 삽입공이 형성되며 측면 둘레를 따라 4개의 끼움홈이 함몰 형성되는 허브;
    상기 끼움홈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끼움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팅로드와, 다이아프램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커넥터; 및
    상기 다이아프램의 타측면을 덮도록 상기 헤드부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헤드캡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에는, 상기 헤드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4개의 관통공이 각각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결합 하우징; 및
    상기 결합 하우징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일측에 공기배출공이 관통형성되는 하우징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카시트 에어백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배출공을 밀폐시키며, 상기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배출공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외부 신호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공기배출공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결합 하우징의 하면에 장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내부에 수용되며 외부 신호의 입력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요크수용공의 하측에 삽입되는 회복 스프링; 및
    상기 요크수용공의 상측에 삽입되며, 상기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로부터 전달되는 자기력을 통해 자화됨으로써 상기 회복 스프링을 탄성 가압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기배출공을 개방시키는 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하우징은,
    상기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 하우징의 하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결합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을 취합(聚合)하는 취합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하우징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취합관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기관의 내측에 마련되는 안전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시트 에어백에 충진된 공기가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취합관의 내측에 마련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각각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관통공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오목홈이 각각 함몰 형성되는 4개의 하우징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오목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기밸브; 및
    상기 흡기밸브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오목홈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탄성을 갖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는 각각,
    상기 다이아프램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통기 슬릿; 및
    상기 통기 슬릿의 내부에 마련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하단부에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마련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덮개에는,
    상기 흡기밸브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오목홈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흡기홈; 및
    상기 배기밸브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오목홈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펌프.

KR1020110045810A 2011-05-16 2011-05-16 다이아프램 펌프 KR10128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810A KR101288616B1 (ko) 2011-05-16 2011-05-16 다이아프램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810A KR101288616B1 (ko) 2011-05-16 2011-05-16 다이아프램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976A KR20120127976A (ko) 2012-11-26
KR101288616B1 true KR101288616B1 (ko) 2013-07-22

Family

ID=4751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810A KR101288616B1 (ko) 2011-05-16 2011-05-16 다이아프램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1788A (zh) * 2018-12-27 2019-03-08 深圳市威曼斯特科技有限公司 环绕式真空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631A (ko) * 2002-01-15 2003-07-22 정동관 다이아프램 펌프
KR20070089024A (ko) * 2006-02-27 2007-08-30 차오 푸 흐수 정압형 다이아프램 펌프
KR20090019689A (ko) * 2007-08-21 2009-02-25 울박 키코 인코포레이션 다이아프램 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631A (ko) * 2002-01-15 2003-07-22 정동관 다이아프램 펌프
KR20070089024A (ko) * 2006-02-27 2007-08-30 차오 푸 흐수 정압형 다이아프램 펌프
KR20090019689A (ko) * 2007-08-21 2009-02-25 울박 키코 인코포레이션 다이아프램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976A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04759B (zh) 线性压缩机
EP2738387B1 (en) Diaphragm pump
EP1308622B1 (en) Diaphragm pump
CN108386347B (zh) 带电动机的泵
JP5775703B2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US20100028156A1 (en) Impeller and pump including the same
EP3730791B1 (en) Pump
US20020157902A1 (en) Lubricant supplying apparatus of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1881390B1 (ko) 전자진동형 다이어프램 펌프
KR101288616B1 (ko) 다이아프램 펌프
EP2241760B1 (en) Fan motor casing
JP2009024611A (ja) 小型ポンプ
KR101138133B1 (ko) 다이아프램 펌프구동유닛 및 이를 이용한 다이아프램 펌프
US7108490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nti-collision means
US20060292022A1 (en) Cylinder assembly for compress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N108778447B (zh) 互锁稳定的过滤器组件
CN117249083A (zh) 涡旋式压缩机
JP2008110112A (ja) 洗濯機用自吸式ポンプ装置及びその洗濯機用自吸式ポンプ装置の組立方法
KR100597837B1 (ko) 다이아후렘 펌프 및 다이아후렘 펌프에 사용되는다이아후렘
KR100193344B1 (ko) 다이아프램 펌프
KR101584233B1 (ko) 통합형 다이아프램식 펌프
JP2003269337A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EP4033095B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11415131B2 (en) Scroll compressor
JPH0942161A (ja) 小型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