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941B1 -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941B1
KR101287941B1 KR1020110140490A KR20110140490A KR101287941B1 KR 101287941 B1 KR101287941 B1 KR 101287941B1 KR 1020110140490 A KR1020110140490 A KR 1020110140490A KR 20110140490 A KR20110140490 A KR 20110140490A KR 101287941 B1 KR101287941 B1 KR 101287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aw material
mat
fastening
screen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878A (ko
Inventor
박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9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2Sieving bulk materials during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06Particulate materials
    • F27D2003/0009Separation of different types of fines, e.g. by a b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스크린 장치는 개구를 형성하는 스크린 프레임, 설정된 입도 이하를 가지는 제선 원료를 통과시키는 스크린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 홀이 상기 개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크린 프레임에 지지되는 스크린 매트, 상기 스크린 프레임과 상기 스크린 매트 사이를 체결하며, 상기 스크린 매트 상에 노출되는 체결 유닛, 및 상기 스크린 매트 상에 노출된 상기 체결 유닛을 커버하며, 상기 스크린 매트 상으로 돌출된 원료 고착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린 장치{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선 원료의 입도를 선별하는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장치는 원료의 입도를 선별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로 제선 원료를 장입할 때, 제선 원료의 입도를 선별하는 스크린 장치가 사용된다.
제선 원료를 후공정(고로 장입 등)에서 요구되는 입도로 선별하는 종래의 스크린 장치는 제선 원료를 괴(塊)와 분(紛)으로 선별하는 스크린 매트, 스크린 매트를 지지하는 스크린 프레임, 및 스크린 매트와 스크린 프레임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스크린 장치는 체결 유닛이 스크린 매트 상에 노출되는데, 제선 원료의 입도를 선별하는 공정에서 제선 원료가 스크린 매트 상을 지나면서 체결 유닛 근처에서 고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린 매트 상에 제선 원료가 고착되는 것을 최소화한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개구를 형성하는 스크린 프레임, 설정된 입도 이하를 가지는 제선 원료를 통과시키는 스크린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 홀이 상기 개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크린 프레임에 지지되는 스크린 매트, 상기 스크린 프레임과 상기 스크린 매트 사이를 체결하며, 상기 스크린 매트 상에 노출되는 체결 유닛, 및 상기 스크린 매트 상에 노출된 상기 체결 유닛을 커버하며, 상기 스크린 매트 상으로 돌출된 원료 고착 방지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원료 고착 방지부는 상기 체결 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지붕부, 및 상기 지붕부로부터 상기 스크린 매트의 표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 유닛의 측부를 커버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붕부로부터 상기 스크린 매트의 표면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단부는 상기 스크린 매트의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스크린 매트와 상기 원료 고착 방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부, 상기 스크린 프레임, 상기 스크린 매트,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원료 고착 방지부를 관통하는 볼트, 상기 체결부와 상기 원료 고착 방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제1 너트, 및 상기 원료 고착 방지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스크린 매트 상에 제선 원료가 고착되는 것을 최소화한 스크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설정된 입도 이상을 가지는 제1 원료(P1) 및 설정된 입도 미만을 가지는 제2 원료(P2)를 포함하는 제선 원료(소결광, 코크스 등을 포함함)의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장치로서, 저장 호퍼(hopper)(100), 슈트(chute)(200), 스크린 유닛(screen unit)(300), 제1 이송부(500) 및 제2 이송부(600)를 포함한다.
저장 호퍼(100)는 괴(塊)인 제1 원료(P1) 및 분(紛)인 제2 원료(P2)를 포함하는 제선 원료를 저장하며, 슈트(200)와 연결되어 있다.
슈트(200)는 저장 호퍼(100)와 연결되어 저장 호퍼(100)에 저장된 제1 원료(P1) 및 제2 원료(P2)를 포함하는 제선 원료를 스크린 유닛(300)으로 방출한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유닛(300)은 슈트(200)로부터 방출된 제선 원료의 입도를 선별하며, 스크린 프레임(310), 스크린 매트(320), 체결 유닛(330) 및 원료 고착 방지부(340)를 포함한다.
스크린 프레임(310)은 스크린 매트(320)를 통과한 분인 제2 원료(P2)가 통과하는 개구(OP)를 형성하며, 스크린 매트(320)를 지지하고 있다.
스크린 매트(320)는 설정된 입도와 대응하는 스크린 홀(hole)(H)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린 홀(H)이 개구(OP)에 위치하도록 스크린 프레임(310)에 지지된다. 스크린 매트(320)는 스크린 홀(H)을 통해 설정된 입도 초과를 가지는 괴(塊)인 제1 원료(P1)를 거르고, 설정된 입도 이하를 가지는 분(紛)인 제2 원료(P2)를 통과시킨다. 스크린 매트(320)를 통과한 제2 원료(P2)는 스크린 유닛(300) 하에 위치하는 제1 이송부(500)로 이동하며, 스크린 매트(320)에 의해 걸러진 제1 원료(P1)는 스크린 유닛(300)를 지나 제2 이송부(600)로 이동한다.
체결 유닛(330)은 스크린 프레임(310)과 스크린 매트(320) 사이를 체결하며, 일 부분이 스크린 매트(320) 상에 노출되어 있다. 체결 유닛(330)은 체결부(331), 볼트(332), 제1 너트(333) 및 제2 너트(334)를 포함한다.
체결부(331)는 스크린 매트(320) 상에서 스크린 매트(320)와 원료 고착 방지부(340) 사이에 위치하며, 스크린 매트(320)를 스크린 프레임(310)에 지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체결부(331)는 스크린 매트(320) 상에 위치하여 스크린 매트(320) 상에서 노출되어 있다. 한편, 스크린 매트(320)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스크린 매트(320)는 체결부(331)를 사이에 두고 스크린 프레임(3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331)는 서로 이웃하는 스크린 매트(320)의 각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볼트(332)는 스크린 프레임(310), 스크린 매트(320), 체결부(331) 및 원료 고착 방지부(340)를 관통하고 있다. 볼트(332)와 스크린 프레임(310), 스크린 매트(320), 체결부(331) 및 원료 고착 방지부(340) 각각은 서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 너트(333)는 체결부(331)와 원료 고착 방지부(340) 사이에 위치하며, 볼트(332)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제2 너트(334)는 원료 고착 방지부(340) 상에 위치하며, 볼트(332)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원료 고착 방지부(340)는 스크린 매트(320) 상에 노출된 체결 유닛(330)의 체결부(331)를 커버하며, 스크린 매트(320) 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원료 고착 방지부(340)는 지붕부(341) 및 연장부(342)를 포함한다.
지붕부(341)는 체결 유닛(330)의 체결부(331)의 상부를 커버하며, 제선 원료가 스크린 매트(320)에 의해 입도가 선별될 때, 체결부(331)의 상측으로 제선 원료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붕부(341)의 단부로부터 스크린 매트(320) 방향으로 연장부(342)가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342)는 지붕부(341)의 단부로부터 스크린 매트(320)의 표면으로 연장되어 체결 유닛(330)의 체결부(331)의 측부를 커버한다. 연장부(342)는 제선 원료가 스크린 매트(320)에 의해 입도가 선별될 때, 체결부(331)의 측부로 제선 원료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장부(342)의 단부는 스크린 매트(320)와 접촉하고 있다. 연장부(342)는 지붕부(341)로부터 스크린 매트(320)의 표면으로 경사져 있으며, 이로 인해 제선 원료가 스크린 매트(320)에 의해 입도가 선별될 때, 연장부(342) 상으로 이동되더라도 연장부(342) 상에서 스크린 매트(320)로 슬라이딩(sliding)되어 스크린 매트(320)에 의해 입도가 선별된다. 즉, 제선 원료가 원료 고착 방지부(340)에 고착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원료 고착 방지부(340)가 체결 유닛(330) 중 스크린 매트(320)의 상부에 노출된 체결부(331)의 상측 및 측부를 커버함으로써, 제선 원료가 스크린 매트(320)에 의해 입도가 선별될 때, 제선 원료가 스크린 매트(320) 상부에 노출된 체결부(331)의 주변에 고착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다시 도 1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500)는 스크린 유닛(300)를 통과한 제2 원료(P2)를 이송하며, 제1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된 설정된 입도 미만을 가지는 제2 원료(P2)는 다시 제선 원료로 가공되어 저장 호퍼(100)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이송부(600)는 스크린 유닛(300)에 의해 걸러져 스크린 유닛(300)를 지난 제1 원료(P1)를 이송하며, 제2 이송부(600)로부터 이송된 설정된 입도 이상을 가지는 제1 원료(P1)는 고로로 장입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스크린 매트(320)를 스크린 프레임(310)에 지지하기 위한 체결 유닛(330)의 일부인 체결부(331)가 스크린 매트(320) 상부에서 노출되더라도, 원료 고착 방지부(340)가 체결부(331)를 커버하는 동시에 스크린 매트(320) 상으로 돌출됨으로써, 제선 원료가 스크린 매트(320)에 의해 입도가 선별될 때, 제선 원료가 스크린 매트(320) 상부에 노출된 체결부(331)의 주변에 고착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스크린 프레임(310), 스크린 매트(320), 체결 유닛(330), 원료 고착 방지부(340)

Claims (5)

  1. 개구를 형성하는 스크린 프레임;
    설정된 입도 이하를 가지는 제선 원료를 통과시키는 스크린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 홀이 상기 개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크린 프레임에 지지되는 스크린 매트;
    상기 스크린 프레임과 상기 스크린 매트 사이를 체결하며, 상기 스크린 매트 상에 노출되는 체결 유닛; 및
    상기 스크린 매트 상에 노출된 상기 체결 유닛을 커버하며, 상기 스크린 매트 상으로 돌출된 원료 고착 방지부
    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원료 고착 방지부는,
    상기 체결 유닛의 상부를 커버하는 지붕부; 및
    상기 지붕부로부터 상기 스크린 매트의 표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 유닛의 측부를 커버하는 연장부
    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붕부로부터 상기 스크린 매트의 표면으로 경사져 있는 스크린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연장부의 단부는 상기 스크린 매트의 표면과 접촉하는 스크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스크린 매트와 상기 원료 고착 방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부;
    상기 스크린 프레임, 상기 스크린 매트,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원료 고착 방지부를 관통하는 볼트;
    상기 체결부와 상기 원료 고착 방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제1 너트; 및
    상기 원료 고착 방지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제2 너트
    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
KR1020110140490A 2011-12-22 2011-12-22 스크린 장치 KR101287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490A KR101287941B1 (ko) 2011-12-22 2011-12-22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490A KR101287941B1 (ko) 2011-12-22 2011-12-22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878A KR20130072878A (ko) 2013-07-02
KR101287941B1 true KR101287941B1 (ko) 2013-07-19

Family

ID=4898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490A KR101287941B1 (ko) 2011-12-22 2011-12-22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9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616A (ko)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린 매트의 사목부 막힘 제거장치
KR20050023707A (ko) * 2003-09-02 2005-03-10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용 소립광 스크린 장치
KR20060102066A (ko) * 2005-03-22 2006-09-2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 호퍼용 플레이트 조절장치
KR100803974B1 (ko) 2006-10-25 2008-02-15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린 진동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616A (ko)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린 매트의 사목부 막힘 제거장치
KR20050023707A (ko) * 2003-09-02 2005-03-10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용 소립광 스크린 장치
KR20060102066A (ko) * 2005-03-22 2006-09-2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 호퍼용 플레이트 조절장치
KR100803974B1 (ko) 2006-10-25 2008-02-15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린 진동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878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2004009358D1 (de) Trommelsiebmaschine
CN204735420U (zh) 茶叶分选机
US11548032B2 (en) Method for removing wire-form objects, device for removing wire-form objects,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electrical apparatus component scrap
CN112638551A (zh) 线状物的去除方法、线状物的去除装置及电子、电气设备部件屑的处理方法
KR101287941B1 (ko) 스크린 장치
CN102294324A (zh) 一种立式细粒度筛分装置及筛分方法
CN205217340U (zh) 一种方便调整筛网角度的谷米筛分机
KR101367847B1 (ko) 스크린 장치
JP2017170387A (ja) 線状メタルの捕集装置
RU2405633C1 (ru) Многоситный вибрационный грохот
CN214812461U (zh) 一种堵料连锁监测装置
CN211217538U (zh) 一种烧结振动筛分系统
CN208505029U (zh) 一种排列式定量给料器
CN207158008U (zh) 一种饲料下料坑
KR20110046657A (ko) 고로 분소결광 또는 분코크스 입도 선별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6388167B2 (ja) 振動篩装置
KR101356059B1 (ko) 스크린 장치
CN203209302U (zh) 茶叶筛分机
CN208661764U (zh) 一种集成式分料斗
TWI762942B (zh) 原料分配裝置、電子/電氣機器零件屑之處理方法、及電子/電氣機器零件屑之原料分配方法
CN219682662U (zh) 一种粉碎回收物料的分筛装置
CN202803580U (zh) 一种小麦筛选分离装置
CN211515136U (zh) 一种烧结筛分系统
CN209438977U (zh) 一种矿粉原料分选装置的连接机构
CN107694912A (zh) 一种用于粮食收购的筛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