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862B1 -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862B1
KR101287862B1 KR1020110002154A KR20110002154A KR101287862B1 KR 101287862 B1 KR101287862 B1 KR 101287862B1 KR 1020110002154 A KR1020110002154 A KR 1020110002154A KR 20110002154 A KR20110002154 A KR 20110002154A KR 101287862 B1 KR101287862 B1 KR 101287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vice
control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755A (ko
Inventor
임명식
Original Assignee
임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식 filed Critical 임명식
Priority to KR102011000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8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007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lectrical feed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 및 작동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의 연소에너지를 출력축의 회전력으로 출력하는 내연기관 엔진장치; 상기 엔진장치의 작동을 위한 각종 레버 및 스위치의 조작을 위해 배치되는 자동화 조작수단; 상기 엔진장치의 작동을 위한 상태량을 검출하는 센서장치; 및 상기 센서장치에 의해 검출된 상태량, 타이머의 설정값, 상기 스위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른 상기 엔진장치의 시동 및 정지를 위한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의 조작명령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및 그의 제어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eng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 및 작동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 엔진장치는 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사용하여 출력축의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엔진장치의 출력축은 운송용 차량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컴프레셔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의 입력축과 연결되어 그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엔진장치는 그의 시동을 위해 필요한 경우 감압레버, 시동레버 내지 시동키 등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하며, 연료공급의 조절을 위해서는 조속레버 내지 엑셀레버의 세밀한 조작이 필요하는 등의 그의 동력 발생 및 유지를 위해 각종 물리적인 조작이 필요하다. 더욱이, 상기 각종 조작을 위한 레버들은 엔진장치의 구동상태에 따라 조작의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이 적절히 조절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관리자 내지 작업자가 수동으로 복잡한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였다.
더욱이, 상기 엔진장치를 언제 기동하고 언제 정지시킬지 여부를 작업자가 대기하고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기동 및 정지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인력낭비가 심하고, 조작 실수시 펌프 등과 같은 연결장치의 공회전으로 인해 에너지 낭비가 발생됨과 아울러 잦은 고장 및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직접적인 전력투입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모터와 그의 제어장치가 선호되었으나, 전원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화석연료의 연소에너지를 사용하여 구동되되 그의 작동 과정이 자동화된 장치의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편의성 및 작동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연료의 연소에너지를 출력축의 회전력으로 출력하는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엔진장치의 작동을 위한 각종 레버 및 스위치의 조작을 위해 배치되는 자동화 조작수단; 상기 엔진장치의 작동을 위한 상태량을 검출하는 센서장치; 및 상기 센서장치에 의해 검출된 상태량, 타이머의 설정값, 상기 스위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른 상기 엔진장치의 시동 및 정지를 위한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의 조작명령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은 상기 각종 레버 및 스위치에 설정된 시간차에 대응하여 가압식 조작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각도만큼 돌출된 가압면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캠부와, 상기 컨트롤부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조작캠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캠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은 상기 컨트롤부에서 발생된 조작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인장조작모터와, 상기 인장조작모터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연동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전후방향 이동되어 상기 각종 레버를 인장식으로 조작하는 인장부와, 상기 인장부의 전후방향 이동제한치를 설정하도록 이격배치된 리미트스위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장치의 구동시 발생되는 충전전력이 입력되어 충전되며, 시동시 시동모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충전전력을 검출하도록 상기 축전지의 입력단과 검출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엔진장치의 시동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충전전력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장치의 구동을 리셋하고 상기 엔진장치의 재시동을 위한 조작명령을 발생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컨트롤부에 의해 자동화 조작수단이 구동되어 시동모터의 구동 전단계 조작을 위한 각종 레버 및 상기 시동모터의 구동스위치가 조작되고, 엔진장치의 시동작업이 수행되는 제1단계; 상기 시동모터의 구동을 정지하고 설정시간 경과 후 축전지의 입력단을 통하여 상기 엔진장치의 구동시 입력되는 충전전력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충전전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컨트롤부에 의해 상기 엔진장치의 재시동을 위하여 각종 레버 및 상기 시동모터의 구동스위치가 조작되고, 엔진장치의 시동작업이 반복 수행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엔진장치의 시동을 위한 각종 레버의 조작이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화 조작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작됨과 아울러 엔진장치의 시동 실패시 이를 감지하여 재시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관리자 내지 작업자가 부재시에도 안전적인 구동이 가능하고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센서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상태량에 따라 엔진장치의 구동 및 정지가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므로 상기 엔진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펌프 등과 같은 연결장치의 공회전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 내지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전원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연료만 주입하고 적은 용량의 밧데리만 제공되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넷째, 엔진장치의 각종 레버의 조작을 위한 자동화 조작수단이 조작캠부 내지 인장부에 의해 조작되되, 상기 조작캠부 내지 인장부는 기존의 엔진장치에 호환하여 적용될 수 있도록 설치가능하므로 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자동화된 조작수단에 의한 연결로드 및 클러치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장치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입력축에 엔진장치 출력축의 회전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동력전달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의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에 적용되는 자동화 조작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 투영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에 적용되는 자동화 조작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의 엔진장치에 복수개의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의 엔진장치에 적용되는 동력 클러치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의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는 내연기관 엔진장치(10), 자동화 조작수단(20), 센서장치(115), 축전지(110), 그리고 컨트롤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연기관 엔진장치(10)는 실린더 기통의 수에 상관없이 가솔린 내지 디젤 등과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에너지를 출력축의 회전력으로 출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운기용 엔진장치 및 그에 따른 각종 레버의 구성을 하나의 예로써 설명하나, 상기 엔진장치는 경운기용 엔진장치에 국한되지 않고 여타 다기통 엔진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20)은 상기 엔진장치(10)의 작동을 위한 각종 레버 및 스위치의 조작을 위해 상기 엔진장치(10)의 측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엔진장치(10)는 그의 출력축(도 4의 11)에 연결되는 장치의 작동을 위한 상태량을 검출하는 센서장치(115)에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상기 컨트롤부(1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트롤부(100)는 상기 센서장치(115)에 의해 검출된 상태량, 타이머의 설정값, 상기 충전부(110) 및 상기 스위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른 상기 엔진장치(10)의 시동 및 정지를 위한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20)의 작동을 위한 조작명령을 발생시킨다.
더욱이, 상기 엔진장치(10)의 구동시 발생되는 충전전력이 입력되어 충전되며, 시동시 시동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위한 구동전력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컨트롤부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11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시동모터는 수동식 스타터에 의한 외부 회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엔진장치 실린더의 감압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장치를 말한다.
따라서, 작업자의 초기 세팅 후 작업현장을 이탈한 경우에도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20)에 의해 엔진장치(10)의 시동이 개시되며, 상기 컨트롤부(100)는 원활한 시동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재시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명령을 발신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트롤부(100)는 상기 충전전력을 검출하도록 상기 축전지(110)의 입력단(111)과 검출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엔진장치(10)가 원활히 구동되는 경우 출력축과 연결된 발전부에서 발전되어 생성된 충전전력이 상기 축전지의 입력단(111)을 통하여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엔진장치(10)의 시동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충전전력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장치(10)의 시동이 불발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컨트롤부(100)는 구동을 리셋하고 상기 엔진장치(10)의 재시동을 위한 조작명령을 발생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에 적용되는 자동화 조작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 투영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20)은 조작캠부(21)와 캠구동모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작캠부(21)는 상기 각종 레버 및 스위치에 설정된 시간차에 대응하여 가압식 조작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각도만큼 돌출된 가압면이 형성되되, 조작을 위한 레버 내지 스위치의 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캠구동모터(22)의 회전축(22a)은 상기 컨트롤부(100)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조작캠부(21)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결합된다.
먼저, 상기 엔진장치(10)의 출력축과 연결되는 펌프 등의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수위 내지 공기압 등의 조건에 설정된 상태량에 도달된 것으로 센서장치(115)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검출신호는 컨트롤부(100)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엔진장치(10)의 시동을 위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트롤부(100)의 조작명령이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발신되면, 상기 캠구동모터(22)가 구동되어 회전축(22a)이 회전된다. 이때, 제1조작캠부(21a)는 시동레버(25)를 가압 조작하되, 상기 회전축(22a)이 서서히 회전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일정시간 동안 가압상태가 유지되도록 그의 가압면(21aa)이 소정각도의 원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조작캠부(21a)의 측부에 나란히 배치된 제2조작캠부(21b)는 회전축(22a)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되, 상기 제2조작캠부(21b)의 돌출된 가압면(21bb)은 제1스위치(27b)를 가압하여 조작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치(27b)의 가압조작시 엔진장치(10)의 시동모터가 구동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조작캠부(21b)의 가압면(21bb)은 상기 엔진장치(10)의 원활한 시동을 위하여 상기 제1조작캠부(21a)의 시동레버 가압조작상태와 소정시간 시차를 두고 제1스위치(27b)를 가압조작하도록 가압면(21bb)의 돌출된 각도가 조절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조작캠부(21b)의 측부에는 엔진장치(10)의 시동 후 캠구동모터(22)의 구동정지를 위한 제3조작캠부(21c)의 가압면부(21cc)가 제2스위치(27c)를 가압하도록 돌출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스위치(27b) 및 제2스위치(27c)는 상기 컨트롤부(100)와 전기적으로 신호연결되되, 제1스위치(27b)가 가압조작되면 컨트롤부(100)에 의해 시동모터가 구동되며 돌출된 가압면(21bb)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시동모터가 정지되고, 최종적으로 제2스위치(27c)가 가압조작되면 컨트롤부(100)에 의해 캠구동모터(22)의 구동이 정지된다.
물론, 상기 회전축(22a)에는 엔진장치로의 연료공급을 조절하는 조속레버 내지 엑셀레버도 와이어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당기는 방향으로 조작되어야 하는 조속레버 내지 엑셀레버의 경우에는 후술되는 인장조작모터 및 인장부에 의해 조작될 수도 있다.
상세히,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에 적용되는 자동화 조작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은 인장조작모터(32), 인장부(31), 그리고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부(37,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조작모터(32)는 컨트롤부(100)에서 발생된 조작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인장부(31)는 상기 인장조작모터(32)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연동축(32a)을 따라 선택적으로 전후방향 이동되어 상기 각종 레버를 인장식으로 조작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인장부(31)는 볼스크류 장치 내지 나사-너트부의 조합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인장조작모터(32)의 연동축(32a)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연동축(32a)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나사산과 결합된 볼스크류 장치 내지 너트부로 이루어진 인장부(31)가 직진이동되면서 조속레버 내지 엑셀레버 등과 같이 엔진장치로 연료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스프링(42)에 의해 탄발지지된 레버(41)를 인장 내지 인출하는 방식으로 인장하여 조작한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부(37,38)는 상기 인장부(31)의 전후방향 이동제한치를 설정하도록 이격 배치되되, 각각 컨트롤부(100)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된다.
즉, 상기 엔진장치(10)의 시동과정의 시작시점과 동시에 상기 인장부(31)가 상기 레버(41)를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인장부(31)가 일측의 리미트스위치부(37)를 가압하면 상기 인장조작모터(32)의 구동이 정지되며, 반대로 타측의 리미트 스위치(38)가 가압되면 엔진장치(1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컨트롤부(100)를 통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의 엔진장치에 복수개의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의 엔진장치에 적용되는 동력 클러치부의 단면도이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장치(10)의 출력축(11)에는 체인 내지 벨트를 이용하여 펌프(200), 공기압축기(201), 발전기(202) 등과 같은 복수개의 장치가 다단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200)의 경우 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장치(115)로는 수위센서 내지 수압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압축기(201)의 경우에는 공기압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발전기(202)의 경우에는 전압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장치(115)에 의해 검출되는 수위, 공기압, 전압 등의 상태량이 설정값에의 도달 여부에 따라 컨트롤부(100)는 동력 클러치부의 조작을 통해 구동이 필요한 장치로 출력축(11)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축(11)에는 다단식으로 연결되는 동력 클러치부(80)가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장치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입력축에 출력축(11)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엔진장치의 출력축(11)에는 복수개 장치의 입력축과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벨트(87)로 연결되도록 클러치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클러치부(80)는 풀리(85)와 클러치(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풀리(85)는 상기 출력축(11)에 구속되지 않도록 베어링(86)이 개재되어 상기 벨트(87)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82)는 상기 풀리(85)의 측면부에 접촉되어 선택적인 연동 회전되도록 마찰면(84)을 가지며, 상기 출력축(11)의 외면에 세레이션(83) 결합되어 상기 자동화된 조작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우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자동화된 조작수단(20)에 의해 가해지는 제어동력은 연결로드(81)를 통하여 상기 클러치(82)로 전달되어, 상기 클러치(82)가 선택적으로 좌우방향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로드(81)는 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됨과 아울러 회전핀(8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82)가 연결로드(81)의 조작에 대응하여 세레이션(83)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그의 마찰면(84)이 풀리(85)에 접촉되면, 상기 출력축(11)의 회전력이 클러치(82)의 마찰면(84)을 통하여 풀리(85) 및 벨트(87)로 전달되어 그와 연결된 장치를 구동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풀리(85)와 마찰면(84)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풀리(85)는 베어링(86)에 의해 윤활회전되도록 지지되므로 상기 출력축(11)의 회전력이 풀리(85)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자동화된 조작수단에 의한 연결로드(8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장치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입력축에 출력축(11)의 회전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의 엔진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센서장치(115)에 의해 검출된 상태량이 시동조건에 도달된 경우 내지 구동명령이 컨트롤부(100)로 입력되면, 자동화 조작수단(20)이 구동되어 시동모터의 구동 전단계 조작을 위한 레버 및 상기 시동모터의 구동스위치가 조작되고, 엔진장치(10)의 시동작업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시동모터의 구동을 정지하고 설정시간 경과 후 축전지(110)의 입력단(111)을 통하여 상기 엔진장치(10)의 구동시 입력되는 충전전력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충전전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엔진장치(10)의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전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컨트롤부(100)에 의해 상기 엔진장치(10)의 재시동을 위하여 각종 레버 및 상기 시동모터의 조작을 위해 자동화된 조작수단(20)의 캠구동모터(22) 내지 인장조작모터(32)가 작동되고, 엔진장치의 시동작업이 반복 수행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의 주변에 작업자 내지 관리자가 대기할 필요없이 엔진장치에 연료만 투입된다면 별도의 외부전원의 제공 없이도 센서장치(115) 등으로부터 검출된 상태량에 따라 엔진장치(10)가 구동 및 정지가 반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엔진장치(10)의 시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컨트롤부(100)가 자동적으로 파악하여 재시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엔진장치(10)의 구동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가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연료량을 감지하는 연료센서에 의하여 연료량이 일정량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부는 엔진구동이 시작되지 않고 구동 중인 경우에는 인장조작모터(32)를 역회전하여 엔진이 정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엔진장치 20: 자동화 조작수단
21: 캠조작부 22: 캠구동모터
31: 인장부 32: 인장조작모터
100: 컨트롤부 110: 축전지
115: 센서장치

Claims (6)

  1. 연료의 연소에너지를 출력축의 회전력으로 출력하는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엔진장치의 작동을 위한 각종 레버 및 스위치의 조작을 위해 배치되는 자동화 조작수단;
    상기 엔진장치의 작동을 위한 상태량을 검출하는 센서장치; 및
    상기 센서장치에 의해 검출된 상태량, 타이머의 설정값, 상기 스위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른 상기 엔진장치의 시동 및 정지를 위한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의 조작명령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은
    상기 각종 레버 및 스위치에 설정된 시간차에 대응하여 가압식 조작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각도만큼 돌출된 가압면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캠부와,
    상기 컨트롤부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조작캠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캠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조작수단은
    상기 컨트롤부에서 발생된 조작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인장조작모터와,
    상기 인장조작모터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연동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전후방향 이동되어 상기 각종 레버를 인장식으로 조작하는 인장부와,
    상기 인장부의 전후방향 이동제한치를 설정하도록 이격배치된 리미트스위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장치의 구동시 발생되는 충전전력이 입력되어 충전되며, 시동시 시동모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충전전력을 검출하도록 상기 축전지의 입력단과 검출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엔진장치의 시동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충전전력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장치의 구동을 리셋하고 상기 엔진장치의 재시동을 위한 조작명령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장치의 출력축에는 복수개 장치의 입력축과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벨트로 연결되도록 클러치부가 구비되되,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출력축에 구속되지 않도록 베어링이 개재되어 상기 벨트와 연결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의 측면부에 접촉되어 선택적인 연동 회전되도록 마찰면을 가지며, 상기 출력축의 외면에 세레이션 결합되어 상기 자동화된 조작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우 이동되도록 배치된 클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6. 컨트롤부에 의해 자동화 조작수단이 구동되어 시동모터의 구동 전단계 조작을 위한 각종 레버 및 상기 시동모터의 구동스위치가 조작되고, 엔진장치의 시동작업이 수행되는 제1단계;
    상기 시동모터의 구동을 정지하고 설정시간 경과 후 축전지의 입력단을 통하여 상기 엔진장치의 구동시 입력되는 충전전력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충전전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컨트롤부에 의해 상기 엔진장치의 재시동을 위하여 각종 레버 및 상기 시동모터의 구동스위치가 조작되고, 엔진장치의 시동작업이 반복 수행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의 제어방법.
KR1020110002154A 2011-01-10 2011-01-10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87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54A KR101287862B1 (ko) 2011-01-10 2011-01-10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54A KR101287862B1 (ko) 2011-01-10 2011-01-10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55A KR20120080755A (ko) 2012-07-18
KR101287862B1 true KR101287862B1 (ko) 2013-07-18

Family

ID=4671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154A KR101287862B1 (ko) 2011-01-10 2011-01-10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8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0403Y2 (ja) * 1988-03-14 1998-09-10 極東開発工業 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駆動源制御装置
KR100320374B1 (ko) 1997-11-07 2002-04-22 유아사 히로시 내연기관의자동정지장치및자동시동장치
JP2002309959A (ja) 2001-04-13 2002-10-23 Fuji Heavy Ind Ltd エンジン発電機のエンジン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2004239159A (ja) 2003-02-06 2004-08-26 Hitachi Ltd 内燃機関始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0403Y2 (ja) * 1988-03-14 1998-09-10 極東開発工業 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駆動源制御装置
KR100320374B1 (ko) 1997-11-07 2002-04-22 유아사 히로시 내연기관의자동정지장치및자동시동장치
JP2002309959A (ja) 2001-04-13 2002-10-23 Fuji Heavy Ind Ltd エンジン発電機のエンジン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2004239159A (ja) 2003-02-06 2004-08-26 Hitachi Ltd 内燃機関始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55A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3080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натяжением приводного ремня двигателя, система натяжения приводного ремня двигателя и автомобиль, содержащий такую систему
AU2005232994B2 (en) Cargo handling device for cargo handling industrial vehicle
US8843299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on-vehicle starter for starting engine
JP5736163B2 (ja) エンジン制御器用の電気エネルギーを供給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90107442A1 (en) High pressure piston pump actuating system using automotive starter system
US10961969B2 (en) Startup assistanc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7795392A (zh) 发动机起动系统
US20170008512A1 (en) Vehicle drive device
CN107795423B (zh) 发动机起动系统
KR101287862B1 (ko) 내연기관 엔진용 엔진제어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4411811B2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US7712445B2 (en) Fuel pressure boost method and apparatus
JP2006152868A5 (ko)
CN103382929A (zh) 汽油动力空压机
CN204553042U (zh) 柴油机电起动装置
US20150107542A1 (en) Engine
JP4075508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CN108953026A (zh) 发动机启动装置
JPH0243898B2 (ko)
CN104976012B (zh) 用于工业车辆智能起停系统及智能起停方法
CN113719390A (zh) 一种冗余起动柴油机及冗余起动柴油机的控制方法
US201200242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arting an engine using low electric power
CN209908722U (zh) 一种内燃机自动启停控制的空气压缩机
EP3376018A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crankshaft of an engine of a vehicle
JP2517001Y2 (ja) エンジンポンプ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