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342B1 -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342B1
KR101287342B1 KR1020110105613A KR20110105613A KR101287342B1 KR 101287342 B1 KR101287342 B1 KR 101287342B1 KR 1020110105613 A KR1020110105613 A KR 1020110105613A KR 20110105613 A KR20110105613 A KR 20110105613A KR 101287342 B1 KR101287342 B1 KR 10128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atient
bed
patient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404A (ko
Inventor
안희숙
오다형
Original Assignee
오다형
안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다형, 안희숙 filed Critical 오다형
Priority to KR102011010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3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3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intensive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수의 의료진이 집중된 한 장소에서 여러 환자들을 신속하게 치료해 줄 수 있으며, 같은 종류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집중적인 치료를 해주기 쉽고, 의료진 또는 문병객들이, 환자 또는 간병인의 얼굴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표지부위를 보고 환자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의료진이 환자의 위급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환자는 쉽게 의료진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같은 종류의 응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모아주는 복수 개의 응급환자유닛(1000), 상기 응급환자유닛(1000)과 결합하는 병상이며, 응급환자의 이동을 도와주고, 응급환자가 치료를 받으면서 안정을 취하고 있는 복수 개의 병상인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의 좌우를 가려주는 이동식 칸막이(3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Assembly device of medical treatment for emergency cases}
본 발명은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합병원의 응급환자실은 급하게 도착하는 환자들을 신속하게 수용하는 형태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의료진들이 움직이는 동선을 줄이는 배려 등이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
만약, 일정한 수의 의료진이 집중된 한 장소에서 여러 환자들을 신속하게 치료해 줄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같은 종류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집중적인 치료를 해주기 쉬운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의료진 또는 문병객들이, 환자 또는 간병인의 얼굴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표지부위를 보고 환자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만약, 의료진이 환자의 위급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환자는 쉽게 의료진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은 일정한 수의 의료진이 집중된 한 장소에서 여러 환자들을 신속하게 치료해 줄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려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같은 종류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집중적인 치료를 해주기 쉬운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려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진 또는 문병객들이, 환자 또는 간병인의 얼굴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표지부위를 보고 환자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려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진이 환자의 위급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환자는 쉽게 의료진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려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같은 종류의 응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모아주는 복수 개의 응급환자유닛(1000), 상기 응급환자유닛(1000)과 결합하는 병상이며, 응급환자의 이동을 도와주고, 응급환자가 치료를 받으면서 안정을 취하고 있는 복수 개의 병상인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의 좌우를 가려주는 이동식 칸막이(3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 일정한 수의 의료진이 집중된 한 장소에서 여러 환자들을 신속하게 치료해 줄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같은 종류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집중적인 치료를 해주기 쉬운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의료진 또는 문병객들이, 환자 또는 간병인의 얼굴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표지부위를 보고 환자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의료진이 환자의 위급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환자는 쉽게 의료진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가 응급환자실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응급환자유닛(10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이 응급환자유닛(1000)의 병상 접촉부(1500)와 결합하기 위해 이동 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응급환자유닛(1000),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 이동식 칸막이(30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가 응급환자실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같은 종류의 응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모아주는 복수 개의 응급환자유닛(1000), 상기 응급환자유닛(1000)과 결합하는 병상이며, 응급환자의 이동을 도와주고, 응급환자가 치료를 받으면서 안정을 취하고 있는 복수 개의 병상인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의 좌우를 가려주는 이동식 칸막이(30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응급환자실에 설치된 2개의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응급환자유닛(1000)에는 복수 개의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이 결합될 수 있어서, 일정한 수의 의료진이 집중된 한 장소인 상기 응급환자유닛(1000)을 중심으로 여러 환자들을 신속하게 치료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수의 의료진이 집중된 한 장소에서 여러 환자들을 신속하게 치료해 줄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응급환자유닛(10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응급환자유닛(1000)은 중앙에 위치하는 기둥 부재인 중앙 기둥부(1100), 상기 중앙 기둥부(1100) 주위 부분으로, 응급환자실 바닥면(6000)보다 높은 바닥 부위를 포함하는 유닛 바닥면부(1200), 상기 유닛 바닥면부(1200)의 테두리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과 직접 접촉하는 복수 개의 부위인 병상 접촉부(1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 기둥부(1100)는 기둥의 윗부분인 기둥 상부부(1101)에 위치하며, 해당 응급환자유닛이 주로 어떤 종류의 응급치료를 하는지를 보여주는 기둥 표지부(1102), 상기 기둥 상부부(1101)의 아래 부분에 위하며, 기둥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 모양의 부위이고, 의료기구가 수납되는 의료기구 수납부(1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기둥 표지부(1102)에는 "화상", "심장 질환"이라든지 하는 병명이 기재되어 있고, 해당 응급환자유닛(1000)에는 같은 종류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이 모이게 된다.
상기 기둥 표지부(1102)를 위한 실내 자료 통신 장치는 상기 중앙 기둥부(1100), 상기 유닛 바닥면부(1200) 각각에 일부분씩 나뉘어져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기구 수납부(1103)에는 해당 환자들을 위한 의료기구들이 모여 있어서, 같은 종류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집중적인 치료를 해주기 쉽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집중적인 치료를 해주기 쉬운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유닛 바닥면부(1200)는 상기 중앙 기둥부(1100) 주위 부분이며, 상기 응급환자실 바닥면(6000)보다 높은 바닥면 부위인 주위 바닥면부(1201), 상기 주위 바닥면부(1201)의 일부분이지만, 상기 응급환자실 바닥면(6000)과 같은 높이의 부위여서 의료진이 통로로 사용하는 부위인 출입 통로부(1202), 상기 주위 바닥면부(1201)의 측면 부위이며, 상기 병상 접촉부(1500)가 위치하는 바닥 측면부(12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병상 접촉부(1500)는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과 직접 암수 결합하는 부위이며,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와 결합 되는 것을 감지하는 부위인 바닥측 병상 고정부(1501), 상기 바닥측 병상 고정부(1501) 옆에 위치하는 기둥 부재인 병상별 기둥부(1502), 상기 병상별 기둥부(150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에 있는 환자의 성명을 포함한 환자의 인적사항을 표시해 주는 부위인 접촉부 표시부(15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응급환자유닛(1000)과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 사이에는 상기 이동식 칸막이(3000)와 같은 색채, 같은 분위기의 커튼 또는 시선 가림 막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이 응급환자유닛(1000)의 병상 접촉부(1500)와 결합하기 위해 이동 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은 병상의 다리 부위인 병상 다리부(2001) 중에서 환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배게(5000) 측의 한 개의 병상 다리부(2001)에 위치하며, 상기 유닛 바닥면부(1200)의 측면 테두리 부위와 직접 암수 결합하는 부위인 병상측 고정부(20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의 상기 병상측 고정부(2002)가 상기 병상 접촉부(1500)의 상기 바닥측 병상 고정부(1501)에 접촉되면, 상기 접촉부 표시부(1503)는 환자의 성명을 포함한 환자의 인적사항을 표시해 주게 된다.
상기 접촉부 표시부(1503)를 위한 실내 자료 통신 장치는 상기 병상측 고정부(2002)와 상기 바닥측 병상 고정부(1501) 각각에 일부분씩 나뉘어져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의료진 또는 문병객들이, 환자 또는 간병인의 얼굴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표지 부위인 상기 접촉부 표시부(1503)를 보고 환자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 또는 문병객들이, 환자 또는 간병인의 얼굴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표지부위를 보고 환자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기둥 표지부(1102), 상기 접촉부 표시부(1503)를 제어해 주는 제어부는 응급환자실내 또는 병원의 중앙 제어실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의 상기 배게(5000) 측 방향으로 상기 중앙 기둥부(1100)가 위치하고, 의료진은 상기 중앙 기둥부(1100)를 중심으로 모여 있어서, 의료진은 환자의 위급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환자는 쉽게 의료진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이 환자의 위급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환자는 쉽게 의료진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응급환자유닛 1100 : 중앙 기둥부
1101 : 기둥 상부부 1102 : 기둥 표지부
1103 : 의료기구 수납부 1200 : 유닛 바닥면부
1201 : 주위 바닥면부 1202 : 출입 통로부
1203 : 바닥 측면부 1500 : 병상 접촉부
1501 : 바닥측 병상 고정부 1502 : 병상별 기둥부
1503 : 접촉부 표시부 2000 :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
2001 : 병상 다리부 2002 : 병상측 고정부
3000 : 이동식 칸막이 5000 : 배개
6000 : 바닥면

Claims (6)

  1. 삭제
  2. 같은 종류의 응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모아주는 복수 개의 응급환자유닛(1000),
    상기 응급환자유닛(1000)과 결합하는 병상이며, 응급환자의 이동을 도와주고, 응급환자가 치료를 받으면서 안정을 취하고 있는 복수 개의 병상인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의 좌우를 가려주는 이동식 칸막이(3000),
    를 포함하며;
    상기 응급환자유닛(1000)은
    중앙에 위치하는 기둥 부재인 중앙 기둥부(1100),
    상기 중앙 기둥부(1100) 주위 부분으로, 응급환자실 바닥면(6000)보다 높은 바닥 부위를 포함하는 유닛 바닥면부(1200),
    상기 유닛 바닥면부(1200)의 테두리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과 직접 접촉하는 복수 개의 부위인 병상 접촉부(1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기둥부(1100)는
    기둥의 윗부분인 기둥 상부부(1101)에 위치하며, 해당 응급환자유닛이 주로 어떤 종류의 응급치료를 하는지를 보여주는 기둥 표지부(1102);
    상기 기둥 상부부(1101)의 아래 부분에 위하며, 기둥을 중심으로 한 테두리 모양의 부위이고, 의료기구가 수납되는 의료기구 수납부(110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앙 기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바닥면부(1200)는
    상기 중앙 기둥부(1100) 주위 부분이며, 상기 응급환자실 바닥면(6000)보다 높은 바닥면 부위인 주위 바닥면부(1201);
    상기 주위 바닥면부(1201)의 일부분이지만, 상기 응급환자실 바닥면(6000)과 같은 높이의 부위여서 의료진이 통로로 사용하는 부위인 출입 통로부(1202);
    상기 주위 바닥면부(1201)의 측면 부위이며, 상기 병상 접촉부(1500)가 위치하는 바닥 측면부(120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닛 바닥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병상 접촉부(1500)는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과 직접 암수 결합하는 부위이며,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와 결합 되는 것을 감지하는 부위인 바닥측 병상 고정부(1501);
    상기 바닥측 병상 고정부(1501) 옆에 위치하는 기둥 부재인 병상별 기둥부(1502);
    상기 병상별 기둥부(150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에 있는 환자의 성명을 포함한 환자의 인적사항을 표시해 주는 부위인 접촉부 표시부(150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병상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2000)은
    병상의 다리 부위인 병상 다리부(2001) 중에서 환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배게(5000) 측의 한 개의 병상 다리부(2001)에 위치하며, 상기 유닛 바닥면부(1200)의 측면 테두리 부위와 직접 암수 결합하는 부위인 병상측 고정부(200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응급환자용 이동식 병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KR1020110105613A 2011-10-16 2011-10-16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KR10128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13A KR101287342B1 (ko) 2011-10-16 2011-10-16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13A KR101287342B1 (ko) 2011-10-16 2011-10-16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404A KR20130041404A (ko) 2013-04-25
KR101287342B1 true KR101287342B1 (ko) 2013-07-23

Family

ID=4844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613A KR101287342B1 (ko) 2011-10-16 2011-10-16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3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638A (ja) * 2000-07-31 2002-02-06 Taihei Sangyo:Kk 間仕切り装置
KR200332768Y1 (ko) * 2003-08-11 2003-11-07 강두성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
JP2004162267A (ja) 2002-11-08 2004-06-10 Toshiyuki Suzuki 円形病院の建築構造
KR20070015223A (ko) * 2004-05-12 2007-02-01 샬롯테-맥클렌버그 하스피털 오쏘러티 두잉 비지니스 에즈 카롤리나스 메디컬 센터 이동식 의료 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638A (ja) * 2000-07-31 2002-02-06 Taihei Sangyo:Kk 間仕切り装置
JP2004162267A (ja) 2002-11-08 2004-06-10 Toshiyuki Suzuki 円形病院の建築構造
KR200332768Y1 (ko) * 2003-08-11 2003-11-07 강두성 환자 이송용 간이침대
KR20070015223A (ko) * 2004-05-12 2007-02-01 샬롯테-맥클렌버그 하스피털 오쏘러티 두잉 비지니스 에즈 카롤리나스 메디컬 센터 이동식 의료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404A (ko)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842B2 (en) Smart mattress
EP2680744B1 (en)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supports
JP7457625B2 (ja) ベッドシステム
WO2012025829A2 (en) Smart mattress
JP7267104B2 (ja) システム
KR20200105038A (ko) 슬립형 의료용 침대 및 그 구성 방법
US20140068860A1 (en) Hospital bed with bed leaving alarm function
KR101287342B1 (ko) 응급환자용 집합치료장치
US201602062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essure distribution over a pressure-detection mat with discontinuities
JP2008119476A (ja) 病院の患者搬送車台用プライバシー・スクリーン
CN209827907U (zh) 一种术前访视体验系统
ES2397768A1 (es) Terminal multimedia con medida de parámetros vitales
JP2010536501A (ja) 患者の間隙ゾーンを塞ぐ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hillimuntha et al. An intensive care unit design of the future
Liu et al. Human computer interaction design for intensive care unit monitors
US20230034389A1 (en) Interactive controllers for managing pressure-mitigation devices and approaches to facilitating engagement by users
Preston et al. Patient recovery and post-anaesthesia care unit (PACU)
CN219814577U (zh) 一种防感染隔离装置
AU2021104799A4 (en) Medical and therapeutic care facilitating apparatus, systems and devices thereof
JP7270796B2 (ja) 寝台装置
KR200464739Y1 (ko) 이동식 병상 세트
ES1153786U (es) Dispositivo de control médico para cama hospitalaria
Cellucci Between human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care spaces: case studies and design strategies
POMPILIO Design and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procedure for the assessment of offloading efficacy in therapeutic walkers and with air pressure mattress.
WO2024086795A2 (en) Controllers designed for multi-component use and approaches to using the same to inflate multiple pressure-mitigation apparat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