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985B1 -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985B1
KR101286985B1 KR1020110143443A KR20110143443A KR101286985B1 KR 101286985 B1 KR101286985 B1 KR 101286985B1 KR 1020110143443 A KR1020110143443 A KR 1020110143443A KR 20110143443 A KR20110143443 A KR 20110143443A KR 101286985 B1 KR101286985 B1 KR 10128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base
eccentric cone
knuckle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920A (ko
Inventor
김위식
Original Assignee
김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위식 filed Critical 김위식
Priority to KR102011014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98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0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 B21D51/10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conically or cylindrically shap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4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되어 상기 편심콘의 저면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복수 개 이상의 지지부재와; 상부에 걸림턱을 갖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 측에서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되어 상기 편심콘이 상부 쪽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복수 개 이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내부금형지지부재에 장착된 내부금형과;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한 거리를 둔 맞은편에서 기립 설치되고 상기 내부금형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 보는 위치에 고정된 유압실린더가이드와; 선단부에 외부금형이 고정되고 후단부는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에 접촉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부 영역인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경사각을 유지하는 유압실린더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소재로 형성된 편심콘에 너클을 성형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하면서도 희망하는 형상의 너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을 대폭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knuckle molding apparatus of eccentric cone}
본 발명은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두께를 갖고 형성된 편심콘의 상부 또는 하부 영역을 이루는 소재에 너클을 형성함에 있어서, 성형시간을 대폭 단축하면서도 희망하는 형상의 너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한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심콘은 상부의 지름과 하부의 지름이 각각 다른 편심된 콘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편심콘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편심콘의 소재의 상 하부에는 너클을 성형하는데 상기 너클 성형은 다양한 장치 및 방법으로 성형 될 수 있다.
종래 너클을 갖는 편심콘의 제조방법은, 원자재에 마킹하여 마킹된 부분을 절단하는 마킹 및 절단공정, 절단된 각 부품을 벤딩롤러나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벤딩 또는 절곡하는 공정, 벤딩 또는 절곡된 것을 용접하여 접합하는 공정과, 완료된 제품의 상부를 편심 성형하는 공정, 그리고 하부를 편심 성형하는 공정을 거쳐 완성하는 장치 및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너클을 갖는 편심콘의 제조장치 및 방법은 매번 상부, 하부 금형을 제작,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금형제작비 과다와 금형 제작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전체적으로 제품 단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0931838호 "너클이 있는 편심콘의 제조방법"은, 제품의 하부를 성형기 회전테이블에 올려 편심 설치 고정하는 제품설치공정, 내 외측 유압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품 상부 너클을 편심형상으로 성형하는 상부너클편심성형공정, 상기 제품 상부를 성형기 회전 테이블에 올려 편심 설치 고정하는 제품설치공정과, 내 외측 유압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품 하부 너클을 편심형상으로 성형하는 하부너클편심성형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너클이 있는 편심콘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희망하는 너클을 형성할 수 있으나, 유압롤러에 부하가 발생하고 따라서 가압력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는 한편, 유압롤러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편심콘의 소재가 상향이동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성형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과 아울러, 빠른시간 내에 희망하는 너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성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에 복수 개 이상으로 기립 설치한 지지부재 및 고정부재를 설치하고,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내부금형, 고정부재와 일정한 거리를 둔 맞은편에서 기립 설치되고 내부금형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 보는 위치에 고정된 실린더가이드를 설치하고, 선단부에 외부금형이 고정되고 후단부는 실린더가이드에 접촉된 유압실린더를 설치하며, 유압실린더의 하부 영역인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저면을 지지하며 실린더의 경사각을 유지하는 실린더지지부재로서 편심콘의 너클을 성형함으로써,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소재로 형성된 편심콘에 너클을 성형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하면서도 희망하는 형상의 너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되어 상기 편심콘의 저면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복수 개 이상의 지지부재와; 상부에 걸림턱을 갖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 측에서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되어 상기 편심콘이 상부 쪽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복수 개 이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내부금형지지부재에 장착된 내부금형과;상기 고정부재와 일정한 거리를 둔 맞은편에서 기립 설치되고 상기 내부금형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 보는 위치에 고정된 유압실린더가이드와; 선단부에 외부금형이 고정되고 후단부는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에 접촉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부 영역인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경사각을 유지하는 유압실린더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되어 상기 편심콘의 저면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복수 개 이상의 지지부재와; 상부에 걸림턱을 갖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 측에서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되어 상기 편심콘의 일 측이 하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복수 개 이상의 고정부재와; 저면을 관통한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의 양단부 영역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높이로 기립된 제 1 가압편과, 일 측에 내부금형이 장착된 제 2 가압편을 갖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전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와; 저면이 상기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한 거리를 둔 맞은편에서 상기 내부금형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 보는 위치에 고정되며 일 측에 외부금형이 장착된 유압실린더가이드와; 일단이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와 접촉된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제 1 지지편에 접촉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부 영역인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실린더의 경사각을 유지하는 유압실린더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으로부터 회전하는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는 내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일정한 깊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후단에는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의 가이드홈에 삽입 접촉되는 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소재로 형성된 편심콘에 너클을 성형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하면서도 희망하는 형상의 너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을 대폭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편심플랜지를 편심콘의 외면에 용착하기 전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편심콘의 외면에 편심플랜지를 용착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만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편심플랜지가 용착된 편심콘을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장착된 편심콘 소재의 하부 영역에 너클을 1차 성형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장착된 편심콘 소재의 하부 영역에 너클을 2차 성형하는 것을 보인 발췌 단면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의 과정을 통해 편심콘 소재의 하부에 너클이 형성된 편심콘에서 편심플랜지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편심콘의 단면도,
도 8은 도 1 내지 도 6의 과정을 통해 편심콘 소재의 하부에 너클이 형성된 편심콘 소재의 상부 영역에 너클을 1차 성형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1 내지 도 6의 과정을 통해 편심콘 소재의 하부에 너클이 형성된 편심콘 소재의 상부 영역에 너클을 2차 성형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너클 성형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편심플랜지를 편심콘의 외면에 용착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편심콘의 외면에 편심플랜지를 용착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만을 보인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는, 중량이 있는 판상의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 상면에서 적어도 복수 개 이상 기립 설치된 지지부재(20)와, 상기 베이스(10) 상면에서 적어도 복수 개 이상 기립 설치된 고정부재(30)와, 베이스(10) 상면에 고정된 내부금형(40)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10) 상면에 고정된 내부금형(40)과, 베이스(10) 상면에 고정된 유압실린더가이드(50)와, 선단부에 외부금형(60)이 고정되고 후단부는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50)에 접촉된 유압실린더(70)와, 유압실린더(70)의 하부 영역인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유압실린더(70)의 저면을 지지하여 유압실린더(70)의 경사각을 유지하는 유압실린더지지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10)는 중량물인 판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20)는 베이스(10)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높이로 적어도 복수 개 이상으로 기립 설치되어 편심콘(100)의 저면이 베이스(10)의 상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도면에서는 지지부재(20)를 베이스(10)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4개를 기립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20)는 이하에서 설명될 편심콘(100)의 외면에 용착된 편심플랜지(10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20)는 베이스(10)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된 기둥(21)과, 상기 기둥(21)의 상부에 설치되어 기둥(21)으로부터 회전하는 롤러(22)로 구비된다. 여기서 롤러(22)에는 편심플랜지(101)가 올려지고, 따라서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희망하는 부분에 너클(102)이 완성되기까지는 작업자가 일정한 기구 등을 편심콘(100) 또는 편심콘(100)에 용착된 편심플랜지(101)에 접촉시켜 편심콘(100)을 일정한 간격씩 회전시키는데, 이때 롤러(22)는 편심콘(100) 또는 편심플랜지(101)의 원활한 회전을 돕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30)는 상부에 걸림턱(31)을 갖고 베이스(10)의 상면 일 측에서 일정한 높이로 적어도 복수 개 이상 기립 설치되어 이하에서 설명될 외부금형(60)이 유압실린더(70)에 의해 편심콘(100) 소재를 가압할 때 편심콘(100)이 상부 쪽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이하에서 설명될 편심콘(100) 소재를 두고 내 외부에서 상호 대향하게 위치하는 내부금형(40)과 일정한 거리를 둔 후방에서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부재(30)의 걸림턱(31)은 편심플랜지(101)의 상면과 접촉되어 유압실린더(70)에 의해 전후 동작하며 편심콘(100) 소재를 가압하여 너클(102)을 형성할 때 편심콘(100)의 일 측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베이스(10)의 상면에는 내부금형(40)이 고정되며, 여기서 내부금형(40)은 베이스(10) 상면에 직접 고착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저면이 베이스(10)에 고착된 내부금형지지대(41)에 고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내부금형(40)은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내면 너클 형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따른 유압실린더가이드(50)는 고정부재(30)와 일정한 거리를 둔 맞은편 즉 내부금형(4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 보는 위치에서 베이스(10)에 고정된 지지대(52)에 기립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50)는 유압실린더(70)가 동작할 때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유압실린더가이드(50)의 일 측 표면은 유압실린더(70)의 기울기를 변경할 때 유압실린더(70)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만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일정한 깊이까지 가이드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51)은 이하에서 설명될 유압실린더(70)의 후면에 설치된 요철 형상의 가이드돌기(71)와 결합 접촉되어 상기 유압실린더(70)가 유압실린더가이드(50)에서 기울기를 달리하기 위하여 이동할 때 이동하는 것을 원활하게 돕고 또는 유압실린더(70)가 유압실린더가이드(50)에 유동되는 것을 방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70)의 선단 로드(72)(72)에는 외부금형(60)이 고정되고, 후단에는 유압실린더가이드(50)의 요철 형상의 가이드홈(51)에 접촉되는 요철 형상의 가이드돌기(71)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지지부재(80)는 유압실린더(70)의 하부 영역인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유압실린더(70)의 저면을 지지하여 유압실린더(70)가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50)에서 일정한 경사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지지부재(80)는 1차 너클 성형 때와 2차 너클 성형할 때에는 경사각이 다른 것을 각각 교체 설치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은 외부금형(60)이 상기 내부금형(40)을 향하여, 즉 편심콘(100) 소재를 사이에 두고 편심콘(100) 소재를 가압할 때는 일정한 경사로 1차 너클 성형작업을 하므로 이때는 작업자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유압실린더지지부재(80)를 베이스(10) 상면에 고정한 후 작업한다. 그리고 2차로 편심콘(100) 소재에 너클(102)을 성형할 때에는 외부금형(60)이 상기 내부금형(40)을 향하여 수평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이때에는 유압실린더지지부재(80)는 경사각이 없는 표면이 수평을 이루는 것으로 교체 고정한 후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희망하는 부분에 너클(102)을 완성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장착된 편심콘 소재의 하부 영역에 너클을 1차 성형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장착된 편심콘 소재의 하부 영역에 너클을 2차 성형하는 것을 보인 발췌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의 과정을 통해 편심콘 소재의 하부에 너클이 형성된 편심콘에서 편심플랜지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편심콘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도 1 또는 도 2에서 볼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편심콘(100)의 외면 일정한 높이에 편심플랜지(101)를 용착한다. 이때 편심플랜지(101)를 편심콘(100)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편심플랜지(101) 저면 둘레방향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보강편(103)을 다수 용착하여 편심콘(100)의 외면에 용착하는 것이 편심콘(100)을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20)와 고정부재(30)에 지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편심콘(100)을 회전시킬 때 각종 기구를 보강편(103)에 걸어 편심콘(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외면에 편심플랜지가(101)이 용착된 편심콘(100)을 각종 기구를 사용하여 들어올려 편심플랜지(101)의 저면이 지지부재(20)의 롤러(22)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올리면 편심콘(100)은 베이스(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둔 높이에서 위치됨과 아울러, 동시에 편심플랜지(101)의 상면은 고정부재(30)의 걸림턱(31)에 걸림 된다. 이렇게 되면 편심콘(100) 소재 하부 희망하는 부분에 너클(102)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영역에 너클(102)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외부금형(60)이 편심콘(100) 소재를 사이에 두고 내부금형(40)과 마주보는 상태가 되고, 이때 유압실린더(70) 선단 로드(72)에 장착된 외부금형(60)은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유압실린더지지부재(80)에 지지되고, 유압실린더(70)의 후단은 유압실린더가이드(50)에서 일정한 경사로 지지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70)의 전후 동작으로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희망하는 곳에 1차 너클 성형작업을 한다.
작업자가 유압실린더(50)를 동작시키면 유압실린더(50)의 선단 로드(72)에 장착된 외부금형(60)은 편심콘(100)의 소재 하부를 가압한다. 외부금형(60)이 편심콘(100)의 하부 영역을 가압하면 1차 너클이 형성되며, 이때 편심콘(100)을 일정한 간격씩 회전하면서 가압하는데, 편심콘(100)의 회전은 작업자가 별도의 기구 등을 사용하여 편심콘(100) 또는 편심플랜지(101)를 회전시키면 편심플랜지(101)가 롤러(22)에 올려진 상태에서 원하는 간격만큼 쉽게 회전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영역 희망하는 곳에 1차 너클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도면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편심콘(100) 소재 하부 영역에 1차 너클 성형작업을 한 후 2차적으로 너클 성형작업을 한다. 이때에는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영역이 1차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외부금형(60)이 편심콘(100) 소재를 사이에 두고 내부금형(40)과 마주보는 상태가 되고, 이때 작업자에 의해 외부금형(60)을 내부금형(40)에 대하여 수평각을 갖도록 위치시키는데, 이때에는 작업자가 유압실린더지지부재(80)의 표면이 수평면을 갖는 것으로 대체하여 베이스(10)에 고정하면 유압실린더(70)는 유압실린더지지부재(80)에서 수평으로 위치하고 유압실린더(70)의 후단에 설치된 요철 형상의 가이드돌기(71)는 유압실린더가이드(50)의 만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51)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희망하는 곳에 수평각도로 2차 너클 성형작업을 한다.
작업자가 유압실린더(50)를 동작시키면 유압실린더(50)는 외부금형(60)을 편심콘(100)의 소재 하부측으로 가압하여 1차 성형된 부분을 2차적으로 가압한다. 외부금형(60)이 편심콘(100)의 하부 영역을 가압하면 내부금형(40)과 외부금형(60)에 의해 2차적으로 너클이 완성되며, 이때 편심콘(100)을 일정한 간격씩 회전하면서 가압하는데, 편심콘(100)의 회전은 별도의 기구 등을 사용하여 편심콘(100) 또는 편심플랜지(101)를 회전시키면 편심플랜지(101)가 롤러(22)에 올려진 상태에서 쉽게 원하는 간격만큼 회전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영역에 2차 너클작업을 하는 것으로서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영역에 희망하는 너클(102)이 완성된다.
한편, 도 8은 도 1 내지 도 6의 과정을 통해 편심콘 소재의 하부에 너클이 형성된 편심콘 소재의 상부 영역에 너클을 1차 성형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 내지 도 6의 과정을 통해 편심콘 소재의 하부에 너클이 형성된 편심콘 소재의 상부 영역에 너클을 2차 성형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의 과정에서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영역에 너클(102)을 완성한 후, 편심콘(100) 소재의 상부 영역에 너클(102')을 형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편심콘(100) 소재의 상부에 너클(10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편심콘(100)의 하부에 너클(102)이 형성된 편심콘(100)을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로부터 분리한 후 너클(102)이 형성된 편심콘 소재의 하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다시 올려 상부 너클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편심콘(100)의 상부 지름이 하부지름 보다 작기 때문에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부재(20)와, 고정부재(30) 그리고 유압실린더(70')가 마련된 유압실린더가이드(50')와 내부금형(40') 및 외부금형(60')의 위치를 바꾸는 작업을 선행하는데, 이때에는 베이스(10')에 고정된 상기 부품을 작업자가 베이스(10')로부터 고정된 상태를 분리하여 편심콘(100)의 상부 너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위츨 변경하여 다시 베이스(10") 고정하는 작업을 행한 후 편심콘의 상부에 너클을 성형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측과 또는 상부측에 너클을 형성하는 것은 작업자의 의도에 따른 어느 쪽의 작업을 선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도시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7에서 개시된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를 그대로 이용하여 편심콘(100)의 상부에 너클(102')을 형성하는데,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영역에 너클(102)을 형성하는 것과 달리, 유압실린더가이드(50')에 접촉된 유압실린더(70')의 선단 로드(72')에는 내부금형(40')이 장착되고, 편심콘(100) 소재를 사이에 두고 그 맞은편에는 외부금형(60')이 고정된다. 이 역시 베이스(10')에 기둥(21')에 롤러(22')가 설치된 지지부재(20')가 복수 개 이상 기립 설치되어 있으며, 걸림턱(31')을 갖는 고정부재(30') 또한 베이스(10)에 복수 개 이상 고정되어 있다. 단지 여기서 고정부재(30')는 편심플랜지(102')의 저면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3'는 보강편이며, 51'는 가이드홈이고, 71'는 가이드돌기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편심콘(100) 소재의 상부 영역에 너클(102')을 1차 또는 2차로 형성할 때에는 유압실린더(70')를 지지하는 유압실린더지지부재(80')의 경사각이 다른 것을 교체 고정하여 너클 성형 작업을 1차 내지 2차적으로 하는데, 여기서 편심콘(100) 소재의 상부 영역에 너클(102')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술된 도 1 내지 도 7에서의 작업과 같다. 단지, 고정부재(30')의 표면에 편심플랜지(101')의 저면이 위치하는 것이 다른데, 이는 내부금형(40')이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영역을 가압할 때, 유압실린더가이드(50') 후방 측 편심플랜지(101')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심콘(100) 소재의 하부 및 상부 영역 희망하는 부분에 너클(102)(102')을 완성한 후 지지부재(20)(20')와 고정부재(30)(30')로부터 편심콘(100)을 분리시켜 편심콘(100)의 외면에 용착된 편심플랜지(101)(101')을 제거한 후 제거된 부분을 면 가공하는 것으로서 편심콘(100)에 희망하는 너클(102)(102')이 완성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너클 성형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즉 위 도면에서는 편심콘(100)의 상부 지름이 비교적 작은 부분의 소재에 너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위 도면에서도 상술된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베이스(10")의 상면에 복수 개 이상으로 기립 설치된 기둥(21")에 롤러(22")가 설치된 지지부재(20")와 걸림턱(31")을 갖는 고정부재(30")를 구비하고 있으며, 편심콘(100")의 외면에도 일정한 높이에 편심플랜지(101")를 용착하고 있다. 다만, 저면을 관통한 가이드공(200)과, 가이드공(200)의 양단부 영역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높이로 기립된 제 1 가압편(202)과, 일 측에 내부금형(40")이 장착된 제 2 가압편(204)을 갖고 베이스(10")의 상면으로부터 전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205)를 별도 구비하고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1"는 가이드홈이고, 71"은 가이드돌기이며, 101"은 편심플랜지, 103"은 보강편을 표시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실린더가이드(70")의 저면은 가이드공(200)을 관통하여 베이스(10")에 고정되어 고정부재(30")와 일정한 거리를 둔 맞은편에서 내부금형(4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 보는 위치에 고정되며, 일 측에 외부금형(60")이 장착된 유압실린더가이드(50")가 구비되고, 일단이 유압실린더가이드(50")와 접촉된 상태에서 타단은 제 1 가압편(202)에 로드(72")가 접촉된 유압실린더(7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유압실린더(70")의 하부 영역인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유압실린더(70")의 저면을 지지하여 유압실린더(70")의 경사각을 유지하는 유압실린더지지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는, 유압실린더(70")의 로드(72")가 동작하면 슬라이더(205)의 제 1 가압편(202)이 일 측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제 2 가압편(204)에 장착된 내부금형(40")은 편심콘(100") 소재의 상부 영역을 일정한 경사각으로 가압하여 일정한 간격씩 회전시킨 부분에 1차 너클을 형성하고, 유압실린더지지부재(80")를 경사각 없는 수평면을 갖는 것으로 교체한 후 2차 너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상부 영역의 지름이 작은 편심콘(100") 소재의 상부 영역에 너클(102")을 형성한다. 이후 지지부재(20")와 고정부재(30")로부터 편심콘(100")을 분리시켜 편심콘(100")의 외면에 용착된 편심플랜지(101")를 제거한 후 제거된 부분을 면 가공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상부 영역의 지름이 작은 편심콘(100")의 소재 상부영역에 희망하는 너클(102")을 완성한다.
이에 본 발명은 성형시간을 대폭 단축하면서도 희망하는 형상의 너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더불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을 단축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10', 10" : 베이스
20, 20', 20" : 지지부재
21, : 기둥
22, : 롤러
30, 30', 30" : 고정부재
31 : 걸림턱
40, 40', 40" : 내부금형
41, : 내부금형지지대
50, 50', 50" : 유압실린더가이드
51, : 가이드홈
60, 60', 60" : 외부금형
70, 70', 70" : 유압실린더
71, : 가이드 돌기
72, : 로드(72)
80, 80', 80" : 유압실린더지지부재
100, 100', 100" : 편심콘
101, 101', 101" : 편심플랜지
102, 102', 102" : 너클
103, : 보강편
200, : 가이드공
202, : 제 1 가압편
204, : 제 2 가압편
205, : 슬라이더

Claims (5)

  1.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되어 상기 편심콘의 저면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복수 개 이상의 지지부재와;
    상부에 걸림턱을 갖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 측에서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되어 상기 편심콘이 상부 쪽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복수 개 이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내부금형지지부재에 장착된 내부금형과;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한 거리를 둔 맞은편에서 기립 설치되고 상기 내부금형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 보는 위치에 고정된 유압실린더가이드와;
    선단부에 외부금형이 고정되고 후단부는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에 접촉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부 영역인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경사각을 유지하는 유압실린더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2.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되어 상기 편심콘의 저면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복수 개 이상의 지지부재와;
    상부에 걸림턱을 갖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 측에서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되어 상기 편심콘의 일 측이 하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복수 개 이상의 고정부재와;
    저면을 관통한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의 양단부 영역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높이로 기립된 제 1 가압편과, 일 측에 내부금형이 장착된 제 2 가압편을 갖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전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와;
    저면이 상기 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한 거리를 둔 맞은편에서 상기 내부금형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 보는 위치에 고정되며 일 측에 외부금형이 장착된 유압실린더가이드와;
    일단이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와 접촉된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제 1 지지편에 접촉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부 영역인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실린더의 경사각을 유지하는 유압실린더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기립 설치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으로부터 회전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는 내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일정한 깊이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후단에는 상기 유압실린더가이드의 가이드홈에 삽입 접촉되는 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KR1020110143443A 2011-12-27 2011-12-27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KR10128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443A KR101286985B1 (ko) 2011-12-27 2011-12-27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443A KR101286985B1 (ko) 2011-12-27 2011-12-27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920A KR20120013920A (ko) 2012-02-15
KR101286985B1 true KR101286985B1 (ko) 2013-07-23

Family

ID=4583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443A KR101286985B1 (ko) 2011-12-27 2011-12-27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9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822A (ja) * 1985-07-12 1987-01-26 Toyo Seisakusho:Kk 金属材料の成形加工装置
JP2000190038A (ja) * 1998-12-24 2000-07-11 Sango Co Ltd 管素材の端部成形方法及び装置
KR20010078742A (ko) * 1998-06-24 2001-08-21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차량 휠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822A (ja) * 1985-07-12 1987-01-26 Toyo Seisakusho:Kk 金属材料の成形加工装置
KR20010078742A (ko) * 1998-06-24 2001-08-21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차량 휠 제조 방법
JP2000190038A (ja) * 1998-12-24 2000-07-11 Sango Co Ltd 管素材の端部成形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920A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663B1 (ko) 도어 힌지편 밴딩장치
KR101286987B1 (ko) 편심콘의 너클 성형방법
KR20080056612A (ko) 굴곡부를 갖는 와이어메쉬의 자동 절곡성형장치
KR101286985B1 (ko) 편심콘의 너클 성형장치
KR102216204B1 (ko) 다단식 드로잉 성형장치 및 방법
CN105945113A (zh) 一种用于保温杯原材料表面精度转动式检测和制造设备
CN102873749A (zh) 一种用于加工建筑板材的脱模装置
KR101252690B1 (ko) 시트 쿠션프레임의 연속제조공정을 위한 헤밍장치
KR101348239B1 (ko) 확장 가능한 파이프 성형용 벤딩기
JP2007021947A (ja) 成形装置
KR20090116893A (ko)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절곡성형장치
KR102121664B1 (ko) 전철 창틀 성형방법
JP2013121643A (ja) シート打抜き装置
KR20090126120A (ko) 복합 피어싱 장치
CN212042374U (zh) 一种模具用的送料扶正机构
JP6516383B2 (ja) 粉末成形プレス装置および粉末成形プレスシステム
KR101788475B1 (ko) 언더컷 성형이 가능한 단조용 금형 장치
KR101430711B1 (ko) 전지 케이스 제조용 임팩트 성형장치
KR100887513B1 (ko) 주물기의 유압조형장치
KR20080020727A (ko) 철근 조립대
JP2005125376A (ja) シート状材料成形・トリミング装置
CN219338267U (zh) 可快速下料的塑料制品加工模具
CN104438477B (zh) 法兰面矫正工具
CN216804490U (zh) 一种玻璃钢材料模压成型装置
CN217226667U (zh) 一种塑胶鞋自动套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